KR20190107115A - 카메라를 가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가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115A
KR20190107115A KR1020197024378A KR20197024378A KR20190107115A KR 20190107115 A KR20190107115 A KR 20190107115A KR 1020197024378 A KR1020197024378 A KR 1020197024378A KR 20197024378 A KR20197024378 A KR 20197024378A KR 20190107115 A KR20190107115 A KR 2019010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wimming
diving
hous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885B1 (ko
Inventor
한스-피터 와퍼기스
Original Assignee
카야고 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야고 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야고 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5/0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 A63B35/08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 A63B35/12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operat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B63B35/731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6Divers' sleds or like craft, i.e. craft on which man in diving-suit r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플로우 채널을 포함하거나 플로우 채널과 연관되는 외각을 포함하고, 이러한 플로우 채널은 모터 구동 물 가속 시스템, 특히 프로펠러와 연관되며, 본 발명의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는 외각의 상부면 상이 토르소용의 지지 표면과 수용 및 다이빙 보조기구에 부착된 핸드 그립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핸드 그립들 상에는 연관된 모터 제어에 의해 물 가속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요소들이 존재하고, 본 발명의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의 작동 파라미터들을 표시하기 위해 지지 표면을 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가 이동 방향으로 보여질 때 지지 표면의 앞에서 외각 내로 통합되고, 전자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며, 이러한 전자 제어 시스템은 전방을 향하는 카메라를 제어하고 카메라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비디오 레코딩의 시작 및 종료용 스위치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핸드 그립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수영 및 다이빙 보고지구의 이동 방향을 보는 비디오 레코딩이 이루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가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본 발명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플로우 채널(flow channel)을 포함하거나 플로우 채널과 연관되는 외각(hull)과, 모터로 구동되는 물 가속 장치(moter-driven water acceleration arrangement), 특히 프로펠러를 가지며, 이러한 모터 구동 물 가속 장치는 플로우 채널과 연관되어 있고, 외각의 상부면 상에 상부 몸체용 지지 표면과, 수용 및 다이빙 보조기구에 부착된 그립들을 가지며, 이러한 핸드 그립들 상에 제공되는 연관된 모터 제어기에 의해 물 가속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들을 가지며,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의 동작 파라미터들을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으로 향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를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수상 차량(water vehicle), 특히 "워터 스쿠터(water scooter)"라고 레크리에이션에서 사용되는 수상 차량은 DE 10 2004 049 615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것은 사용자가 쉬는 동안에, 사용자가 선박의 외각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가지고 움켜쥘 수 있는 그립 장치(grip arrangement)를 포함한다. 프로펠러가 수용되는 플로우 채널은 외각 안쪽에 배치된다. 프로펠러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통해 전기가 공급되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알려진 수상 차량에 있어서, 수면 아래와 수면 위 양쪽에서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무게 조절(weight taring)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수상 차량은 충분히 떠있을 수 있고 따라서 가라앉을 수 없는 충분한 부력을 생성해야 한다. 그렇지만, 수면 작동으로부터 다이빙 작동으로의 신속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이러한 부력은 과도해서는 안 된다. 내부 전기 장치들(fittings)의 재화중량(dead weight)때문에, 수상 차량은 외각 내에 충분한 크기의 부력 차체를 포함해야 하고, 이는 선박의 전체 크기와 그에 따른 작동 역학에 영향을 미친다. 물이 가득 차면서 작동 중 최적의 무게 타어링을 보장하는 침수실은 외각 내부에 더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물 밖으로 운송하는 경우, 침수 챔버를 배수하여 선박의 자체 중량이 낮도록 한다.
수상 차량의 다양한 구성부품의 배열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상단에 있든 없든 물차가 상면을 위로 하여 안정적인 방식으로 물속에 위치하도록 한다. 질량 분포는 수상 차량이 물 속에 똑바로 그리고 리스팅(listing) 없이 앉아 있게 되어 있다. 질량은 물 차량의 활에서 선미까지 진행되는 대칭 표면에 관해서 대칭적으로 물 차량의 우현 측면과 좌현 측 사이에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 차량은 수차의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량 저항이 낮은 외형을 가지고 있다. 수상 차량의 중량은 그러한 수상 차량이 운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문서 US6,115,060은 비디오 카메라용 수용 슬리브(receiving sleeve)를 가지는 보유 시스템(holding system)을 개시한다. 이러한 수용 슬리브는 투명한 덮개(covering)이나 광학 요소에 의해, 카메라의 보는 방향으로 차단된다(closed off). 피팅을 고정시키는 구멍은 배 선체에 유입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피팅은 외부 나사산을 가지고 있고 최종 위치의 포위 플랜지(encircling flange)가 있는 슬리브가 있다. 그것은 배 선체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바깥으로부터 선체와 맞닿아 있도록 한다. 선체 내부로부터 내부 나사산을 가진 플랜지 요소를 슬리브의 외부 나사산에 나사산하여 개구부의 테두리가 외부 플랜지와 내부 교대 플랜지 사이에 밀봉되도록 한다. 카메라를 가지는 수신 슬리브는 피팅의 슬리브에 삽입되고 O-링으로 동그랗게 밀봉된다. 수용 슬리브를 축으로 고정하는 커버 캡은 슬리브의 외부 나사산에 끝에 나사산이 나 있다.
불리하게도, 비디오 카메라를 US 6,115,060에서 도시된 방식으로 보트 선체에 고정할 때, 카메라는 제공되는 구멍의 영역에서 보트 선체의 표면 정상 라인 방향에만 방향을 잡을 수 있다. 다른 가시 방향을 가능하게 하려면 프리즘과 같은 추가 광학 요소가 필요하거나 카메라가 예를 들어 복잡하게 회전할 수 있는 장착 하우징을 이용하여 수신 슬리브에 이동적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동 방향의 선체의 표면 영역은 일반적으로 수상 차량의 활 부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 집약적인 광학 요소나 이동 가능한 하우징 구성 요소를 사용해야만 미래 지향적인 비디오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다. 흐릿하지 않고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려면, 보트 선체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휨강성을 보이는 것이 더 필요하다. 이는 특히 선체 벽 두께가 얇고 추진력이 높은 휴대용 기능을 갖춘 수상 차량에 대해서는 보장되지 않는다. 플랜지와 볼트된 온(bolted-on) 플랜지 요소를 사용하여 고정 시스템의 방수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선체가 개구부 영역에 평평하게 구현되어야 한다는 사실로부터 또 다른 불리한 결과가 생긴다. 유체역학적으로 최적화되어 있고 다이빙 운전용으로 설계되어 있는 수상 차량의 경우, 특히 수상 차량의 뱃머리(bow) 영역에는 이러한 평탄한 표면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디오카메라의 전면 장착이 불가능하다.
WO 2015/034382 A1에서는 특히 해상구조용 자가 추진되는 수상 차량을 공개하고 있다. 수상 차량은 U자 모양으로 설계되었으며, 전기 구동식 추진 터빈은 부유물로 구현된 각 사지에 배치되어 있다. 터빈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결과 수상 차량은 터빈이 물 쪽을 향하도록 물 입구 개구부를 향해 선회하여 거기서 물을 끌어다가 가장자리(limb)의 끝에 다시 배출하는 등, 어떤 식으로든 두 개의 표면을 가지고 물 위에 쉴 수 있다. 사람이 잡을 수 있는 그립은 가장자리들에 측면으로 배열되어 있다. 수상 차량은 원격 제어 시스템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제어기로 신호를 보내는 카메라(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음)는 수상 차량과 연관될 수 있다.
WO 2012/089951은 선회 가능한 프레임을 통해 다이빙 보조기구에 고정되는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다이빙 보조기구를 설명한다. 이 경우 그 카메라는 물 밑바닥을 향해 있으며, 그곳의 서식지를 이미지화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레이저를 프레임에 설치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이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동 촬영이 가능한 트리거링 유닛도 기술되어 있다. 카메라가 설치된 프레임은 다이빙 보조 장치의 흐름 저항성을 상당히 증가시키며, 느린 수중 이동에만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언급된 종류의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기구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를 위한 낮은 흐름 저항과 간단한 동작의 상황에서, 이동 방향으로 비디오 이미지들을 캡처(capture)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지향 전방 카메라가 이동 방향으로 지지 표면 앞에서 선체에 통합되어 전자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고, 그러한 전자 제어 시스템은 전면 카메라에 제어를 적용하고 카메라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현되고, 비디오 캡처를 시작하고 종료하기 위한 스위칭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그립에 배열되는 것으로 달성된다. 전면 카메라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의 이동 방향에서 비디오 캡처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수영과 다이빙 보조장치 조작자의 시선 방향으로 방향을 맞추어서 운영자가 수영과 다이빙 보조 장치로 마주보고 있는 이미지 부분을 유용하게 포착한다. 전면 카메라의 이동 방향과 조작자 지지면 앞 방향의 방향은 전면 카메라를 수영과 다이빙 보조장치의 선체에 통합함으로써 가능하다. 전면 카메라 부위의 선체 외형이 최소한 매우 크게 유지될 수 있도록 통합이 이루어진다. 전면 카메라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장치의 유체역학적으로 최적화된 뱃머리 부위에 주로 존재하는 것과 같이 작은 외부 선체 윤곽선을 가진 선체 영역에서 배열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를 위한 카메라 부품이나 홀더는 선체 외부에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영 및 다이빙 보조장치의 흐름 저항은 전면 카메라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비디오 캡처를 시작하고 종료하기 위해 그립에 장착된 전환 요소는 힘차게 주행하는 동안에도 전면 카메라의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직관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주로 레크리에이션 분야에서 사용되는) 조작자의 이미지(셀피들(selfies))는 후방 지향 후방 카메라가 지지 표면 앞에 배치되어 전자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유리하게 후방 카메라에 대한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후방 카메라에 의해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의 획득은 전방 카메라가 연결되는 것과 동일한 전자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은 두 개의 다른 지향적인 카메라로 구성된 비디오 시스템을 위해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활성화될 카메라의 간단하고 쉽게 작동되는 선택은 비디오 캡처가 각각 발생하는 2개의 카메라들 사이의 전환을 위한 전환(switchover)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그립 상에 배치된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스위칭 요소와 같은 전환 요소는 수명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그립 상에 배치되고 따라서 조작자가 도달하기가 쉽다. 유리하게, 이러한 스위칭 요소는 하나의 그립 상에 장착되고,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다른 그립 상에는 전환 요소가 장착된다.
현재 획득되고 있는 비디오 캡쳐의 감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카메라의 전자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고, 각각의 선택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도록 설계된다는 전제(provision)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전자 제어 시스템과 표시장치는 이미 캡처된 비디오 시퀀스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여, 예를 들어, 추가 비디오 캡처를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평가 및 삭제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의 LCD 디스플레이 요소, 후방 카메라, 및 전자 제어 시스템이 방수 상태가 되게 구현되는 1개 또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배치된다는 전제가 이루어지면, 그러한 구성 성분들은 올바르게 배향되고 진동 방지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경우, 하우징 부품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방수 상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방수 상태 구성의 결과, 외부로부터의 물 또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넘쳐 흐르는 챔버로부터의 물 어느 것도 하우징이나 하우징들에 스며들지 않는다. 1개 또는 2개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 구성 성분들을 통합하는 것은 구성 성분들에 대한 단락 및 따라서 저간섭 전기 연결 접속들을 가능하게 한다.
방수 기능을 갖춘 하우징은 최소한 LCD 디스플레이 요소 영역 또는 LCD 디스플레이 요소 영역과 후면 카메라의 영역을 덮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덮혀 있어 백 카메라로 비디오 캡처 및 캡처 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덮개는 LCD 디스플레이 소자와 후방 카메라를 기계적으로 보호하며, 또한 물이 하우징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 시스템이 데이터 버스를 통해 모터 제어기에 연결되고, 전환 요소 및/또는 전환 요소의 전환 신호가 모터 제어기에 전달되며, 전자 제어 시스템이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는 조항이 만들어질 수 있다. 모터 제어기에서 전환 요소 및/또는 전환 요소의 전환 신호를 검색한다. 따라서 각 메뉴 선택에 따라, 예를 들어 추진 모터 제어 또는 비디오 캡처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사실에 의해 전환 요소와 전환 요소에 이중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비디오 시스템의 전자 제어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환 요소나 전환 요소를 통해 모터 제어기에 제어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탁월한 페일 세이프(fail-safe) 성능을 달성한다.
예를 들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를 물 밖으로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비디오 캡처가 우발적으로 시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 유닛이 물 가속 배열의 전기 모터에 전압을 가하고 비디오 캡처를 활성화하지 않도록 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 급수 장치의 전기 모터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모터 제어기에 설정된 전력 레벨은 전압이 전기 모터에 인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검색할 수 있다. 유리하게,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는 전기 모터가 작동 중일 때에도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추진이 회피되는 장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에서 전기 모터를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공간 문제로 인해 비디오 캡처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캡처용 메모리의 여유 메모리 용량이 사전 정의된 제한 값에 해당하거나 초과할 때 비디오 캡처가 가능하도록 제어 장치가 구현되고, 비디오 캡처용 메모리가 사전 정의된 제한 값 아래로 떨어지다면 비디오 캡처를 가능하게 하지 않도록 제어 장치가 구현되는 것 및/또는 비디오 캡처용 메모리의 자유 메모리 용량이 사전 정의된 제어 제한 값 아래로 떨어진다면 비디오 캡처를 중단하게 제어 장치가 구현되는 전게가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제한 값들은 동일하게 되게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 제한 값이 두 번째 제한 값보다 더 큰 메모리 용량에 대응한다는 전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비디오 캡처의 시작은 메모리 용량이 충분히 긴 캡처 시간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만 가능하게 된다. 메모리 용량이 비디오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하한에 도달하면 진행 중인 비디오 캡처가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변형 실시예는 제어 유닛이 무선 인터페이스, 특히 WiFi 인터페이스 또는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며,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모든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제어 유닛을 제공하고,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 성분들에는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위한 것 및/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위한 것 및/또는 모터 제어기를 위한 것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제어기)를 위한 것이 있다. 이로 인해 비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랩톱,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욉 메모리에 간단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비디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개발에 적응할 수 있다. 모터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의 전송 덕분에 수영 및 다이빙 보조의 추가적인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작동 특성은 조작자의 선호도에 따라 조정하거나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모터 제어기에 대해 새로 개발된 소프트웨어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캡처를 허용하기 위해 마이크가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와 연결되어 있고 캡처된 오디오 신호가 컨트롤 유닛에 전달되는 전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는 활성화된 특정 카메라의 비디오 신호와 함께 기록된다. 비용면에서 효과적으로, 마이크로폰은 하나의 카메라와만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어떤 카메라가 작동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오디오 신호를 캡처할 수 있다.
전방 카메라에서 전자 제어 시스템으로 오류 없는 데이터 전송은 전방 카메라가 디지털 인터페이스, 특히 USB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후방 카메라로부터의 제어 유닛으로의 에러가 없는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후방 카메라가 디지털 인터페이스, 특히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는 전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이동 방향을 참조하여 앞으로 향하는 지야각으로 전방 카메라의 간단하고 안전한 고정은, 전방 카메라는 방수 상태의 카메라 인클로저(enclosure)에 배치되고; 상기 방수 상태의 카메라 인클로저는 상기 외각 안의 전방 카메라 용기(front camera receptacle)에 수용되고 상기 수영 및 다이빙 보조 기구의 상기 외각에 고정되며; 상기 외각의 외부 가리개(outer envelope)는 상기 전방 카메라의 보기 방향(view direction)으로 투명한 창이 배치되는 카메라 카메라 패스스루(passthrough)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창은 앞에서 상기 방수 상태의 카메라 인클로저를 차단한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전방 카메라 용기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의 넘쳐 흐르는 챔버(flooding chamber)와 물리적으로 통해 있다는 전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침수실은 물통 개구부 및 물통 개구부를 통해 주변 물과 통신하고 있다. 수영과 다이빙 보조 장치를 운용하는 동안 챔버를 통해 물이 범람하여 수영과 다이빙 보조 장치의 부력을 정확히 조정한다. 예를 들어 전기 모터, 필수 충전 배터리 또는 모터 제어기와 같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장치의 전기 구성품은 각각 그에 따라 밀봉된 침수실(flooding chamber)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구성 요소의 폐열은 효과적으로 소멸된다. 육지에서는 물 유입구 개구부와 물 배출구 개구부를 통해 물이 범람실 밖으로 흘러나와 수영과 다이빙 보조 장치의 무게가 눈에 띄게 줄어든다. 카메라 인클로저의 방수 내장 덕분에 침수실과 연결된 전방 카메라 용기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영 및 다이빙 작업 시 물로 둘러쌓일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카메라 용기의 외부와 내부 모두에서 침수실에 대해 별도의 씰링이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선체에 대한 간단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 투명한 창 또는 상기 투명한 창이 보유되는 창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패스스루(passthrough)에 대하여 밀봉되거나; 물을 운반하는 틈새가 상기 투명한 창 또는 상기 투명한 창이 보유되는 창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패스스루 사이에 있게 구성된다는 전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 패스스루의 구역에서 선체 내로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씰(seal)이 방지한다. 투명한 창 또는 창 하우징은 또한 그러한 씰에 의해 선테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카메라 홀더에 대한 증강된 안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투명한 창 또는 창 하우징이 카메라 패스스루에 방수되지 않은 방식으로 연결된다면, 그 결과는 설치하기가 쉬운 구성이다. 이러한 종류의 배티는 특히 전방 카메라가 방수 카메라 인클로저에서 둘러싸일 때 유용하고, 카메라 인클로저가 배치되는 전방 카메라 용기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침수실에 연결될 때 유용하다. 유리하게 투명한 창 또는 창 하우징과 카메라 패스스루의 테두리 사이의 선체에 유입되는 물은 어떤 경우에도 물로 채워지는 침수실로 이동한다. 비-밀봉 방식으로 설치된 투명한 창, 또는 비-밀봉 방식으로 설치된 투명한 창 하우징은 서비스 상황에서 쉽게 제거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선체와 대해 원주 방향으로 투명한 창이나 창 하우징의 단순한 정렬은 투명한 창 및/또는 투명한 창이 고정되어 있는 창 하우징의 창 베젤이 타원형 구성이라는 사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원주 방향과 축 방향 모두 카메라 인클로저에 대한 창 하우징의 정확한 정렬은 창 하우징이 카메라 인클로저에 밀봉되어 있으며, 창 하우징과 카메라 인클로저가 축 방향과, 카메라 인클로저에 대한 창 하우징의 명료한 배향인 원주 방향 모두에서 규정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창이나 창 베젤의 타원형 구성에 의해 선체에 대한 원주 방향에서의 창 하우징의 배향이 추가로 사전 정의된 경우,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선체에 대한 카메라 인클로저에서 배열된 전방 카메라의 정확한 정렬이 달성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와 전자 제어 시스템 사이의 케이블 기반의 연결은, 카메라 인클로저가 카메라 인클로저 상으로 방수 방식으로 놓일 수 있는 하우징 클로저(housing closure)에 의해 뒤에서 차단된다는 사실과, 제어 유닛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하우징 클로저를 통해 방수 방식으로 안내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는 전방 카메라 용기의 구역에서 경직된(stiffened) 방식으로 구현된다는 전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선체의 진동들 그리고 전방 카메라 용기의 구역에서의 전방 카메라의 진동들이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도시된 예증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뒤에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앞에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역에서의, 일 부분의 뒤에서부터 본 사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전방 구역의 측면에서부터 본 단면도.
도 5는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subassembly)의 분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의 구역에서의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도 4에 도시된 일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
도 7은 후방 카메라의 구역에서, 도 4에 도시된 일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
도 8은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flow chart).
도 1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뒤에서부터 본 사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앞에서부터 본 사시 측면도이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는 선체(11)를 포함한다. 선체(11)은 상부(11.6)와 하부(11.4)로 이루어진다(도 2에 도시된). 상부(11.6)에는 선체(11)의 양쪽에 배열되는 2개의 그립(16)이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그립(16)에 장착된 제어 요소(16.1)를 사용하여 이러한 그립(16)과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를 잡을 수 있다. 특히,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모터 파워 레벨은 여기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전환 요소(16.2)는 그립(16)들 중 하나에 배치되고, 전환 요소(16.3)는 반대 그립(16)에 배치된다. 그립(16)을 잡고 있는 사용자는 상단(11.6)의 표시장치(20) 뒤에 있는 지지 표면(11.3)에 상체를 대고 누워 있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는 표시장치(20)를 쉽게 읽을 수 있으며 제어 요소(16.1), 전환 요소(16.2) 및 전환 요소(16.3)를 작동할 수 있다. 지지 표면(11.3)에 탑재된 홀더는 사용자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에 벨트를 부착할 수 있는 벨트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11.7)이다. 지지 표면(11.3) 앞에는 도 4에 도시되고 그 뒤에 위치하는 충전 소켓(12)을 위한 클로저(12.1)가 배치된다. 선체(11)에 포함된 충전식 배터리는 충전 소켓(12)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물 속에 있지 않을 때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 손잡이(11.2)는 선체(11) 측면에 배열되어 있다.
제거 가능한 덮개 후드(covering hood)(14)가 선체(11) 상에, 이동 방향에서 디스플레이(20) 앞에, 그리고 2개의 그립(16)들 사이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환기 개구부(15.1)는 후드(15)를 덮을 때 측면으로 제공되며, 선체(11)에 제공되고 도 4에 표시된 침수 챔버(19)에 연결된다.
도 2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물이 침수 챔버(19) 내로 흐를 수 있는 물 유입 개구부들(15.2)는 뱃머리(11.1) 구역에 제공된다. 침수 챔버(19)는 덮개 후드(14)의 환기 개구부(15.1)를 통해 그러한 목적으로 환기될 수 있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부력은 수영과 다이빙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사전 정의된 부력 힘을 유지하기 위해 물이 채워지는 침수 챔버(19)을 통해 조절된다. 베인(vein)으로 덮여 있고 침수실(19)과도 통해 있는 물 유출 개구부(15.3)들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선미(11.5)(도 1에 도시된)에 장착된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 (10)을 물에 넣는 순간, 침수실(19)은 물 유입 개구부(15.2)와 물 유출 개구부(15.3)를 관통하는 물로 범람하게 된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가 움직이는 동작으로 전이하자마자, 물이 물 유입 개구부(15.2)들을 통해 침수실(19)로 드어가도록 침수실(19)에서 흐름이 생성된다. 물이 침수실(19)을 통과하여 흐르고, 예를 들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을 추진하기 위한 전기 모터(30)(도 4에 도시된) 또는 관련된 충전식 배터리와 같이, 침수실(19)에 포함된 전기 구성 성분들 주위로 흐른다. 그러한 상황에서, 물은 전기 구성 요소의 폐열을 흡수하여 그것들을 냉각시킨다. 침수실(19)을 통한 흐름 후, 물은 흐름 채널(18)의 제트 출구(17)의 양쪽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물 유출 개구부(15.3)를 통해 떠난다. 흐름 채널(18)에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프로펠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물을 끌어들여 제트 출구(17)로부터에서 배출함으로써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를 추진한다.
플로우 채널(18)을 통과하는 물의 회전에 반작용하는 플로우 스테이터(18.2)는 플로우 채널(18)의 끝에 배치되어, 가능한 한 적은 회전으로 플로우 채널(18)에서 물이 흘러나오고, 물의 회전 에너지가 선형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를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선체(11)는 플라스틱이나 복합 재료로 제조된다. 그 결과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무게가 적어 물속에 없을 때는 한 사람이 들고 다닐 수 있다. 보우(11.1)의 앞 구역을 구성하는 보우 팁(bow tip)(11.8)은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물질로부터 생성되어 보우(11.1)의 앞 구역에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충격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보우 팁(11.8) 위에서는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도 5와 도 6에서 더 상세하게 도시되는)의 투명한 창(61)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선체(11)에 움푹 들어가 있다. 투명한 창(61)은 선체(11) 중심에 고정되고 이동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20)의 구역에서, 도 1에 도시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일 부분 뒤에서부터 본 사시 측면도이다. 그 중에서도 디스플레이(20)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작동 파라미터들, 예를 들면 제어 요소들(16.1)을 통한 조작자에 의해 설정된 것과 같은 추진 유닛의 현재 전력 설정, 이동 속력, 똔느 다이빙 깊이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투명한 디스플레이 덮개(21)가 부분적으로 열려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투명한 디스플레이 덮개(21)가 본 경우에서는 깨끗한 아크릴로 만들어진다. 투명한 디스플레이 덮개(21) 뒤에는 LCD 디스플레이 요소(22)가 배열된다. LCD 디스플레이 요소(22)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3)의 LCD 디스플레이 요소 용기(23.1) 내로 삽입된다. 후방 카메라(50)는 LCD 디스플레이 요소(22) 아래에 배치된다. 후방 카메라(5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3)의 후방 카메라 용기(23.2)에서 보유된다. 후방 카메라(50)는 지지 표면(11.3) 쪽으로 투명한 디스플레이 덮개(21)를 통해 바라본다. 작동하는 동안에, 그것은 특히 지지 표면(11.3) 상에 놓여 있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조작자의 얼굴의 영상을 비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전방 구역의 측단면도이다. 동일한 참조 문자들이 동일한 구성 성분들에 대해 사용된다.
수중 추진 유닛이 선체(11) 내에 배치된다. 본 예증하는 실시예에서는, 수중 추진 유닛이 그것과 연관되었는데, 즉 전기 모터(30); 전자 하우징(40); 본 경우에서는 탄소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작되고 둘러싸는 외부 튜브(34.1)를 가지는 모터 샤프트(34); 및 프로펠러(미도시)가 있다.
모터 제어기(미도시)는 전자 하우징(40)에 배치되고 전자 하우징(40)에 의해 방수 방식으로 둘러싸인다. 전자 하우징(40)은 2개의 하우징 절반부로 구성되고 하나의 하우징 절반부를 제거함으로써 열릴 수 있다. 하나의 절반 하우징만이 선택된 단면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제2 하우징 절반부(미도시)는 제1 하우징 절반부의 닫는 표면 상에서 에워싸는 제2 닫는 표면을 가지고 방수 방식으로 얹혀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2개의 닫는 표면들 사이에 씰(미도시)이 제공된다. 전자 하우징(40)은 전기 모터(30)에 개구 부분(41)을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개구 부분(41)에 접하는 씰링 부분(41.1)은 그러한 목적으로 전기 모터(40)의 모터 하우징(33)의 끝에 놓인다. 씰링 부분(41.1)과 모터 하우징(33) 사이에 형성된 틈새(gap)는 씰링 요소들(42)에 의해 밀봉된다. 전자 하우징(40)은 그로 인해 전기 모터(30)의 모터 하우징(33)에 방수 방식으로 연결된다. 모터 제어기와 전기 모터(30) 사이의 전기적 접속들은 개구 부분(41)을 통해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전자 하우징(40)은 고정 요소들의 도움으로 침수실(19)에서 보유된다. 침수실(19)은 물이 침수실(19) 내로 흐를 수 있는 침수 개구부(19.1)들을 포함한다. 전기 모터(30)는 또한 침수실(19) 내부에 배치된다. 전기 모터(30)는 선체(11)에 고정된다.
모터 샤프트(50)는 전기 모터(30)로부터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흐름 채널(18) 내로 외부 관(34.1) 내에서 안내된다. 흐름 채널(18)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것의 선미(11.5)에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 상의 인플로우(inflow) 개구(18.4)로부터 제트 유출구(17)까지 연장한다. 그것은 선체(11)에서 하나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증하는 실시예에서는 흐름 채널(18)이 상부 쉘(shell)과 하부 쉘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쉘들은 적합한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물이 흘러 지나가고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아래 지지부를 형성하는 지향 요소(directing element)(18.1)는 인플로우 개구(18.4)의 구역에서 제공된다.
모터 하우징(33)으로의 전자 하우징(40)의 밀봉되고 삽입 가능한 연결, 외부 관(34.1)의 모터 하우징(30) 상으로의 장착, 및 외부 관(34.1)과 모터 샤프트(40) 사이의 프로펠러측 씰(미도시) 덕분에 완전히 캡슐로 둘러싸인 수중 추진 유닛이 구성된다. 그러한 유닛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선체(10) 내의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는 구역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예증하는 실시예에서, 전자 하우징(40)에 배치된 전기 모터(30)와 모터 제어기는 침수실(19)에 배치되는데 반해, 외부 관(34.4)은 흐름 채널(18)에서 모터 샤프트(34)와 마찬가지로 배치된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가 침수되면 침수실(19)은 범람 개구들(19.1)과 물 유입 및 유출 개구들(15.2, 15.3)을 통해 물이 범람하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환기 개구들(15.1)을 통해 이탈한 공기가 배출된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가 물을 통과함에 따라 침수실(19) 내 흐름이 발생하고; 물이 보우(11.1)에 위치한 물 유입 개구들(15.2) 내로 흐르며, 선미(11.5)에 배치된 물 유출 개구들(15.3)을 통해 다시 흘러 나간다. 따라서 전기 모터(30)와 전기 제어기는 흘러 지나가는 물에 의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폐열은 전기 모터(30)과 매우 높은 전력 레벨을 가지는 연관된 모터 제어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빠르게 방출될 수 있다.
전기 모터(30)는 모터 샤프트(34)를 통해 프로펠러를 구동한다. 이러한 프로펠러는 인플로우 개구(18.4)로부터 제트 유출구(17)까지 흐름 채널(18) 내에서 물의 흐름을 생성하고, 그로 인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를 추진한다. 전기 모터(30)dlm 로터(32)는 모터 샤프트(34)의 로터 부분 상으로 놓이고 그러한 로터 부분 상에 달라붙게 접착된다. 전기 모터(30)의 스테이터(31)는 로터(32) 주위에서 에워싸게 제공된다. 스테이터(31)는 캡슐로 감싸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모터 하우징(33)에서 캡슐로 감싸이고, 그로 인해 모터 하우징(33)에 열적으로 결합된다. 그로 인해 전기 모터(30)로부터의 폐열은 모터 하우징(33)으로 효율적으로 방산될 수 있고, 그곳으로부터 물이 흘러 지나간다.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는 "Ⅵ"로 표시된 구역에 대해 도 6에서 확대된 방식으로 도시된 것처럼,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보우(11.1)의 구역에서 전방 카메라 수용 구역(80)에 배치된다.
"Ⅶ"로 표시된, 후방 카메라(50) 주위의 구역은 도 7에서 확대된 방식으로 도시된다.
도 5는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의 분해도이다.
투명한 창(61)은 타원형의 외부 덮개(outer enveloping) 표면(61.1)을 가지고, 이러한 외부 덮개 표면(61.1)은 2개의 창 씰링 요소들(61.3)과 연관된다. 2개의 낫 모양의 차단 요소들이 또한 타원형의 투명한 창(61.2)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한 요소들은 외부 윤곽선들을 가지고 투명한 창(61.2)의 외부 윤곽선을 따르고, 투명한 창(61.2)의 중심에서 원형의 투명한 구역(61.2)을 열어두는 방식으로 모양을 가진다.
창 하우징(63)은 투명한 창(61) 쪽을 향하게 배치된다. 창 하우징(63)은 창 베젤(63.1), 이어지는 잠금 부분(63.2), 및 종료하는 원통형 연장 피스(63.6)를 포함한다. 창 베젤(63.1)은 창 씰링 요소들(63.1)에 의해 밀봉된 투명한 창(61)이 삽입될 수 있는 타원형의 구멍을 둘러싼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투명한 창(61)이 그것의 덮개 표면(61.1)을 따라서 창 베젤(63.1)의 타원형구멍 내로 달라붙게 접착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창 베젤(63.1)은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가 설치될 때 차단 요소들(62)이 투명한 창(61)에 맞닿아 이웃하는 위치에 보유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카메라 인클로저(64)는 또한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와 연관된다. 카메라 인클로저(64)는 창 하우징(63)의 연장 피스(63.6)로 향하는 원통형 제1 하우징 부분(64.1)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분(64.1)과 접하는 것은 제1 하우징 부분(64.1)과 비교시 그것의 외측 직경 측면에서 넓어지는 제2 하우징 부분(64.2)이다. 제2 하우징 부분(64.2) 다음에는 본 경우에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외부 및 내부 윤곽선을 가지는 제3 하우징 부분(64.3)이 온다. 제3 하우징 부분(64.3)의 모양을 가지게 제2 하우징 부분(64.2)에 대해 다시 한번 확대된 외부 직경을 가지는 제4 하우징 부분(64.4)이 형성된다. 창 하우징(63) 쪽을 향하는 2개의 하우징 스터드(stud)들(64.5)는 제1 하우징 부분(64.1)이 면(side)들 상의 각 오프셋(angular offset)을 가지고 배치된다. 선택된 보기(view)에서는 잠금 스터드들(64.5) 중 하나만이 보일 수 있고, 다른 잠금 스터드(64.5)는 제1 하우징 부분(64.1)에 의해 숨겨지도록 배치된다. 볼트 연장부(64.6)가 또한 창 하우징(63)으로 향하게 제1 하우징 부분(64.1) 상에 옆으로 배치된다. 본 경우에, 볼트 연장부(64.6)는 2개의 잠금 스터드들(64.5)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의 절반만큼 배치되고 카메라 인클로저(64)의 중심축을 참조한다. 볼트 연장부(64.6)와 잠금 스터드들(64.5)은 제2 하우징 부분(64.2) 상으로 그리고 제1 하우징 부분(64.1) 상으로 옆으로 단부(end)들에서 성형된다. 볼트 연장부(64.6)와 잠금 스터드들(64.5)은 카메라 인클로저(64)의 제1 하우징 부분(64.1)의 끝면 말단(end-face termination)을 넘어 창 하우징(63) 쪽으로 돌출한다.
제1 하우징 부분(64.1)은 세로 중심축을 따라 창 하우징(63.6)의 연장 부분을 미끄러뜨릴 수 있는 원통형 개구부로 구성된다. 카메라 인클로저(64)와 윈도우 하우징(63) 사이에 방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2개의 O-링 홈(63.5)들을 창 하우징(36)의 연장 부분63.6에 포위하여 잠근다. 각각의 창-하우징 씰링 요소(63.7)를 이들 O-링 홈(63.5)들 각각에 삽입할 수 있다. 설치 상태에서 창 하우징 밀봉 요소(63.7)는 연장부(63.6)의 O-링 홈(63.5)들과 제1 하우징 부분(64.1)의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하여 전이 틈새를 밀봉한다.
잠금 부분 63.2는 연장 부분 63.6에 관해서 편심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연장 부분 63.6을 넘어서 방사적으로 둘러쳐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 부분 63.2는 카메라 인클로저 64.1의 첫 번째 주택 부분에 대한 정지를 구성한다. 따라서 창문 하우징 63을 첫 번째 주택 부분 64.1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한다. 잠금 부분 63.2는 잠금 스터드 64.5를 향한 63.3단계를 포함한다. 카메라 인클로저 64.1의 첫 번째 하우징 부분에 63.6절을 삽입하면 잠금 스터드 64.5가 잠금 부분 63.2의 63.3단계에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창문 하우징 63은 또한 카메라 엔클로저 64에 관해서 원주 방향으로 정확히 정렬된다. 카메라 인클로저 64의 볼트 익스텐션 64.6은 잠금 부분 63.2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패스스루 63.4에 정렬되어 있다. 전면 카메라 횡단구성요소 60을 설치할 때 고정 볼트 60.1은 볼트 헤드가 잠금 부분 63.2에 닿을 때까지 볼트 패스스루 63.4를 통해 64.6으로 나사산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창 하우징(63)은 카메라 인클로저(64)와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2개의 카메라 하우징 플랜지(64.7)는 카메라 인클로저(64.4)의 네 번째 하우징 부분에 반대쪽과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카메라 하우징 플랜지(64.7) 각각에는 오리피스가 있는데, 오리피스는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를 수영 및 다이빙 보조장치(10)의 선체(1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컨텍스트 볼트(context bolt)들은 오리피스를 통해 오리피스를 통과하고 나사산을 선체(11)에 접합한다.
전면 카메라 65는 카메라 인클로저 64.4의 네 번째 주택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카메라 회로 기판 65.3은 카메라 렌즈 65.1과 카메라가 65.2를 가지고 있는 전면 카메라 65와 연관되어 있다. 카메라 렌즈 직경은 65.4단계의 형태로 65.2를 수용하는 카메라 쪽으로 증가한다. 카메라 인클로저 64에 전면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파스스트루 65.5는 카메라 회로 보드(65.3)의 모서리들에 제공된다.
하우징 인클로저(66)는 전면 카메라 65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하우징 폐쇄 66은 두 개의 동그라미 모양의 홈 모양의 O-링 콘센트 66.2가 형성되는 속이 빈 실린더 형태의 씰링 부분 66.1로 구성된다. 카메라 엔클로저 64에서 반대쪽으로 향한 측면에서는 하우징 클로저 66이 원형 클로저 커버 66.3에 의해 닫힌다. 닫힘 커버 66.3은 밀봉 부분 66.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케이블 구멍 66.4는 중앙 축을 따라 폐쇄 커버 66.3으로 형성된다. 케이블 구멍 66.4는 환상 플랜지 66.6에 둘러싸여 있다.
하우징 클로저(66)와 전면 카메라(65) 사이에 2개의 하우징 O-링(66.5)이 묘사되어 있다. 주택 O-링 66.5는 주택 폐쇄 66의 O-링 콘센트 66.2에 넣을 수 있다. 일단 전면 카메라 65가 카메라 인클로저(64)에 설치되면, 클로저 커버(66.3)가 카메라 인클로저(64)에 도달할 때까지 씰링 부분(66.1)을 카메라 인클로저(64)의 ㅈ제4 하우징 부분(64.4)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전방 카메라(65)의 커넥터 케이블들은 캐이블 구멍(66.4)을 통해 카메라 인클로저(64)로부터 안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면 카메라 횡단구성요소 60의 고정 클램프가 표시된다. 홀딩 클램프 67은 클램프 스트럿 67.2를 홀딩 영역 67.3에 투사하여 횡방향으로 정렬된 클램프 플랜지 67.1로 구성된다. 주택 폐쇄 지지대 67.4는 지주 지역 67.3으로 형성된다. 주택 폐쇄 66을 카메라 인클로저 64로 미끄러뜨릴 때, 홀딩 클램프 67을 카메라 인클로저 64.7의 카메라 하우징 플랜지에 대해 67.1의 클램프 플랜지가 부착되는 방식으로 주택 폐쇄 66의 폐쇄 커버 66.3에 대해 67.3으로 누를 수 있다. 카메라 인클로저 64의 설치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체결 볼트는 서로 정렬된 오리피스를 통해 67.1 클램프 플랜지로 유입되고 카메라 하우징 플랜지 64.7,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 10의 선체 11에 나사산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카메라 횡단구성요소 60은 선체 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하우징 폐쇄 66은 클램프 67.3의 영역을 유지함으로써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클램프 67을 잡으면 하우징 폐쇄 66이 우발적으로 열리지 않는다. 설치된 상태에서 환형 플랜지 66.6은 고정 클램프 67.4의 하우징 폐쇄 지지대에 의해 안내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의 구역에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도 4에 도시된 일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시된 구역은 도 4에서 "Ⅵ"로 표시되는 부분으로 표시된다.
분해도에서 도 5에 도시된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는 설치된 상태로 도 6에 도시된다. 타원형 투명창 61을 창호 63.1의 베젤에 삽입한다. 투명창 61은 창문 밀봉 요소 61.3 3을 이용하여 창문 하우징 6과 관련하여 밀봉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창 61은 창문 밀봉 요소 61.3에 추가되거나 대체적으로 창문 밀봉 요소 64에 접착될 수 있다. 카메라 외장장치 64의 첫 번째 주택 부분은 창문 하우징 63의 63.2의 잠금 부분에 대해 끝면이 있는 부분이 부착된 방식으로 창문 하우징 63.6의 연장 부분에 미끄러진다. 확장물 63.6에서 첫 번째 주택 부분 64.1로의 전환은 연장물 63.6의 O-링 홈에 배치되는 창문-하우징 밀봉 요소 63.7에 의해 밀봉된다. 고정 볼트 60.1은 창문 하우징 63.2의 잠금 부분 63.2의 볼트 파스스터 63.4를 통해 카메라 인클로저 64.6의 볼트 연장 64.6으로 유도되어 나사산 처리된다. 결과적으로, 고정 볼트 볼트 60.1 볼트 헤드가 잠금 부분 63.2에 대해 한 부분으로 되어 있어, 63 윈도우 하우징이 카메라 엔클로저 64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원주 방향에서, 창문 하우징 63은 잠금 부분 63.2의 잠금 단계 63.3에 잠금 스터드 64.5(그림 5 참조)를 체결하여 카메라 엔클로저 64에 대해 정확히 정렬된다. 결과는 윈도우 하우징 63과 관련하여 카메라 인클로저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 65의 축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모두 정확한 정렬이며, 따라서 타원형 투명 윈도우 61에 관해서이다.
전면 카메라 65는 카메라 렌즈 전면 종단 65.1이 첫 번째 하우징 부분 64.1의 바깥쪽 끝과 같을 정도로 충분히 멀리 64로 도입된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 65.1은 차단 요소 62 바로 앞에서 끝난다. 카메라 렌즈 65.1은 창문 하우징 63.6의 연장 부분 외측 끝단부에 원형으로 탑재된 해당 내장형 내부 층계에 대해 65.4로 고정된다. 전면 카메라 65는 축 방향으로 정확히 배치된다. 카메라 하우징 65.2는 첫 번째 주택 부분 64.1에 비해 단계적 방식으로 넓어진 두 번째 주택 부분 64.2에 배치되어 있으며, 직사각형 카메라 회로 기판 65.3은 해당 직사각형으로 구현된 세 번째 주택 부분 64.3에 도입된다. 카메라 인클로저 64는 주택 폐쇄 66에 의해 마지막에 폐쇄된다. 후자는 카메라 인클로저 64.4의 네 번째 주택 부분에서 폐쇄 커버 66.3에 대해 정지될 때까지 밀봉 부분 66.1로 미끄러진다. 현재의 경우 USB 케이블(그림에 표시되지 않음)은 폐쇄 커버 66.3의 케이블 구멍 66.4를 통해 안내된다. 따라서 전면 카메라 65는 그림 7에 표시된 전자 제어 시스템 70에 연결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서브 어셈블리 60은 선체 11의 전면 카메라 소켓 83에 고정되어 있다. 전면 카메라 콘센트 83은 내부 지역에서 11번 선체에 그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앞쪽 카메라 콘센트 83은 뱃머리 끝 11.8을 향하고 있으며, 선체 외부 표면 81에 카메라 패스스루 81을 통해 개방되어 있다. 카메라 패스스루 81은 타원형 모양이며, 63번 창문의 타원형 베젤 63.1은 카메라 패스스루 81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카메라 패스스루 81과 관련하여, 선체 11은 카메라 스톱 82를 형성하고, 63개의 윈도우가 잠금 부분 63.2와 함께 부착되어 있다. 고정 볼트 60.1도 카메라 스톱 82에 대한 볼트 헤드로 고정된다. 이는 의도치 않게 고정 볼트 60.1의 이완을 방지한다. 전면 카메라 횡단구성요소 60의 축방향 위치는 잠금 부분 63.2가 카메라 패스스루 81 주위에 둘러싸인 82개의 카메라 정지에 대해 정지한다는 사실에 의해 정확히 정의된다. 투명한 창문 61과 창문 하우징 63의 베젤 63.1의 타원형 형상 때문에, 후자는 선체 11의 (타원형) 카메라 패스스루 81에 관해서 원주 방향으로 분명히 정렬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카메라 인클로저 64.5의 잠금 스터드와 창 하우징 63.3의 래치 단계 사이의 작동식 연결의 결과, 카메라 인클로저(64)(따라서 여기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65))는 창 하우징(3) 그리고 따라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선체(1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정확히 정렬되어 있다.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의 방수 내장 덕분에 카메라 패스스루(81) 구역에서는 창 하우징(63)과 선체(11) 사이의 밀봉이 필요하지 않다. 도 4에서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전면 카메라 수신부 내부, 따라서 전방 카메라 용기(83)는 물리적으로 침수실(19)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창 하우징(63)을 횡방향으로 지나 흐르는 물은 운전 중 어떤 경우에도 물이 흐르는 침수실(19)로 이동한다. 그러나 접착제, 실란트 또는 밀봉 요소를 사용하여 카메라 패스스루(81) 영역에서 창 하우징(63)과 선체11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밀봉할 수도 있다.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에 대한 전방 카메라 접근 영역(87)은 침수실(19)을 통해 구성되며, 따라서 유지보수 또는 수리를 위해 전방 카메라(65)에 접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것처럼(하지만 도 6에 대해 선택된 단면도에서는 볼 수 없는), 전방 카메라 부조립체(60)는 카메라 하우징 플랜지들(64.7)과 클램프 플랜지들(67.1)의 오리피스들을 통해 안내되는 볼트들에 의해 선체(11)에 연결된다.
전방 카메라의 부조립체(60)을 향하는 선체(11)는 내부 단계인 84의 선체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은 등고선 측면에서 전방 카메라의 부조립체(60)의 외부 형태 및/또는 카메라 인클로저 64.1, 64.2, 64.3, 64.4의 주택의 단계적 순서에 부합한다. 선체(11)는 전면 카메라 수신 구역 80에서 강화되는 방식으로 더욱 구체화되었다. 예를 들어, 현재의 경우 수직으로 정렬된 강화 웹 85와 수평으로 정렬된 강화 스트럿 86이 전면 카메라 수신 영역 80으로 안내된다. 경직되는 웹(we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형으로 전방 카메라의 부조립체(60)를 감싸는 베젤(88)을 운반한다. 이러한 강화 기능은 예를 들어 수영모드에서 고속으로 선체(11)에 심각한 기계적 하중이 가해져도 전면 카메라 수신 구역 80에서 선체가 변형되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불충분한 보강 선체(11)의 고주파 진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면 카메라 65의 영상 화상의 블러링을 피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되고 "Ⅶ"로 표시되는 후방 카메라(50)의 구역에서의 일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후방 카메라(50)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지지 표면(11.3) 쪽으로 따라서 지지된 조작자 쪽 방향으로 배향되는 디스플레이(20)에서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0)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덥개(21)에 의해 덮인다. 디스플레이 덮개(21)의 외부 주변부에서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3)이 디스플레이 덮개(21)에 맞닿아 디스프레이 하우징 프레임(23.5)에 접한다.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밀봉 요소(23.3)가 놓이는 홈(23.4)이 디스플레이 덮개(21)에 맞닿아 디스플레이 하우징 프레임(23.5)의 접합 표면 내로 성형된다. 후방 카메라 용기(23.2)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프레임(23.5) 내로 성형된다. 후방 카메라(50)는 그것의 후방 카메라 하우징(51)을 가지고 후방 카메라 용기(23.2) 내로 삽입된다. LCD 디스플레이 요소(22)는 후방 카메라(50)로부터의 옆 간격(lateral spacing)을 가지고 디스플레이 하우징(23)의 LCD 디스플레이 요소 용기(23.1) 내로 삽입되고, 그 안에 보유된다. HMI(human-machine interface) 하우징(24)은 디스플레이 하우징(23) 상에 플랜지-장착된다. HMI 하우징(24)은 디스플레이 하우징(23)의 디스플레이 하우징 프레임(23.5)에 맞닿아 그것의 테두리와 접한다. 정확한 위치 정하기를 위해, HMI 하우징 웹(24.3)은 HMI 하우징(24)의 테두리 상으로 둘러싸게 성형되고, 이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프레임(23.5)을 외부로 둘러싼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3)에 맞닿아 HMI 하우징(24)의 접합 표면 내로 HMI 하우징 홈(24.1)이 성형된다. 상히 홈 내에는 제2 밀봉 요소(24.2)가 삽입되고, 이에 의해 HMI 하우징(24)이 디스플레이 하우징(23)에 대해 밀봉된다. 볼트들(21.1)은 디스플레이 덮개(21), 디스플레이 하우징 프레임(23.5), 및 HMI 하우징(24)의 테두리를 통해 안내되고, 각각의 너트(21.2) 내로 뒤에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덮개(21), 디스플레이 하우징(23), 및 HMI 하우징(24)은 서로 연결된다.
전자 제어 시스템(70)을 HMI 하우징(24)에 삽입하고 고정한다. HMI 하우징(64)의 후면에는 구멍 형태로 케이블 패스스루24.4가 있다. 플러그 24.5를 케이블 패스스루 24.4에 삽입한다. 플러그 24.5에는 2개의 축간격 플러그 홈 24.6이 있으며, 플러그 24.5가 HMI 하우징 24에 대해 씰링된 O-링 24.7은 플러그 홈 24.6에 위치한다. 플러그 24.5에는 케이블의 밀봉 통과를 위한 중앙 오리피스가 있다. 전면 카메라 65의 데이터 케이블은 오리피스를 통해 HMI 하우징 24로 유입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 65와 후면 카메라 50은 각각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전자 제어 시스템 7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전면 카메라는 USB 2.0 인터페이스를 통해, 후면 카메라 50은 M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제어 시스템(70)에 연결된다. 전자 제어 시스템(70)은 버스 시스템을 통해 전자장치 하우징에 배열된 모터 제어기에 연결된다. LCD 디스플레이 요소(22)는 전자 제어 시스템(70)에 더 연결된다. 그립 16에 배열된 제어 요소 16.1, 전환 요소 16.2 및 전환 요소 16.3은 모터 제어기에 연결된다. 제어 요소 16.1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 10의 급수 가속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그 맥락에서 특히 전기 모터 30의 전력 수준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50, 65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16.2 및 전환 요소 16.3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제어 시스템(70)은 스위칭소자 16.2와 전환소자 16.3의 각각의 개폐상태를 모터 제어기로부터 짧은 주기로 회수한다. 전면 카메라 65 또는 후면 카메라 50의 비디오 이미지는 전환 요소 16.2 및 전환 요소 16.3의 작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20에 표시될 수 있다. 비디오 캡처는 전자제어시스템 70에 연결된 메모리로 더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로서 SD메모리 카드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전자 제어 시스템(70)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데이터 매체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 WiFi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WiFi 인터페이스는 또한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또는 모터 제어기 및/또는 충전식 배터리 관리 시스템(배터리 컨트롤러)과 같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모든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그런 다음 모터 제어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본 경우에서는 CAN 데이터 버스인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자 제어 시스템(70)으로부터 모터 제어기로 전달된다. 또한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진단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진단 데이터는 예를 들어 충전식 배터리의 상태 또는 추진 시스템의 고장과 관련될 수 있다. WiFi 인터페이스 대신 WLAN 인터페이스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모터 제어기와 전자 제어 시스템(70) 사이의 디지털 연결로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의 현재 작동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카메라들(50, 65)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메인 메뉴(90)로부터 시작하여, "SE" 질의(91.1)는 스위칭 요소(16.2)가 작동되었는지를 묻는다. 만약 그렇다면, 그 다음 "파워설정" 질문(91.2)에서는 전기 모터(30)에 대한 모터 제어기의 현재 파워 설정이 물어진다. 만약 파워 설정이 0으로 되어 있다면 즉, 전기 모터(30)에 어떠한 전압도 인가되지 않는다면, 제1 "메시지 출력"(92.1)에서 디스플레이(20)는 적어도 1인 파워 설정을 확립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질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가 작동되지 않으면서 비디오 캡처가 무심코 시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펠러에 대한 에너지 전달 분리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10)가 정지해 있을 때에도 비디오 캡처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첫 번째 "메시지 출력"(92.1) 이후, 실행은 다시 메인 메뉴(90)으로 분기한다. "파워설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전기 모터(30)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라면, 제1 "메모리 용량" 질의에서 비디오 캡처를 위한 메모리의 자유 메모리 용량을 점검한다. 메모리 용량이 사전 정의된 제한 값 미만인 경우, 제2 "메시지 출력"(92.2)에서 비디오 캡처에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다는 알림이 실행되며, 먼저 파일을 삭제해야 한다. 실행 후 다시 메인 메뉴(90)으로 분기한다. 그러나 제1 "메모리 용량" 질의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이 제한 값에 해당하거나 그 이상인 경우, "프론트 캡처" 블록(93.1)에서 비디오 캡처가 전방 카메라(65)를 통해 이루어진다. 전방 카메라(65)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고 디지털 메모리에 의해 기록된다. 비디오 녹화 중 전환 요소(16.2)의 스위칭 상태는 제2 "SE" 질의에서 물어지고,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은 제2 "메모리 용량" 질의(91.5)에서 물어진다. 만약 비디오 캡처 중에 전환 요소(16.2)가 작동되면 캡처가 종료되고 주 메뉴(90)으로 실행이 분기한다. 전방 카메라(65)를 사용한 비디오 캡처 중에 메모리의 메모리 용량이 제2 제한 값에 도달하면 비디오 캡처가 종료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메인 메뉴(90)로 향한다. 전방 카메라(65)를 사용한 비디오 캡처 중 전환 요소(16.3)의 스위칭 상태는 제1 "US" 질의를 통해 또 물어진다. 이 요소를 누르면 전방 카메라(65)에 의한 현재 비디오 캡처가 종료되고, 후방 카메라(50)를 이용한 비디오 캡처가 "후방 캡처" 블록(93.2)에서 수행된다. 그 비디오 캡처는 또한 저장되고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다. 후방 카메라(50)를 사용하여 캡처하는 동안 전방 카메라(65)를 사용하여 캡처하는 것과 유사하게, 제3 "SE" 질의(91.7)에서 스위칭 요소(16.2)의 스위칭 상태가 물어지고, 데이터 메모리의 자유 메모리 용량이 제3 "메모리 용량" 질의(91.8)에서 물어지며, 스위칭 요소(16.3)의 스위칭 상태는 제2 "US" 질의(91.9)에서 물어진다. 스위칭 요소(16.2)를 작동하거나 메모리 용량이 제2 제한 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비디오 캡처가 종료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메인 메뉴(90)으로 향한다. 스위칭 요소(16.3)를 작동하면 후방 카메라(90)를 이용하는 비디오 캡쳐도 종료되며, 전방 카메라(65)를 통한 새로운 비디오 캡쳐가 시작된다.
제1 "메모리 용량" 질의(91.3)의 상황에서의 메모리 용량에 대한 제한 값, 예를 들면 2GB는 1GB와 같이 제2 "메모리 용량" 질의(91.5)의 상황에서의 제2 제한 값보다 크게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2개의 카메라(50, 65)를 제공하는 것은 조작자와 이동 방향 모두에서의 비디오 캡처들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립(16.1) 상에 장착된 스위칭 요소(16.2)와 마찬가지로 그립(16.1) 상에 장착된 전환 요소(16.3)는 심지어 활발한 라이딩(riding) 동안에도 비디오 시스템의 간단한 작동을 허용한다. 제공되는 WiF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들과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시스템(70)과 모터 제어기 사이의 디지털 연결은 또한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배터리 제어기)와 같은, 수영 및 다이빙 보조 장치의 다른 하드웨어 구성 성분들이나 모터 제어기와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비디오 시스템은,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이 모터 제어기 및/또는 다른 전술한 하드웨어 구성 성분들에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추가적인 기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전방 카메라(65)가 선체(11) 내로 통합되기 때문에 이동 방향으로 배향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 카메라(65)를 선체(11) 내로 통합하는 것은 낮은 진동과 따라서 간섭이 없는 비디오 캡처들이 이루어지게 한다. 비디오 품질은 특히 선체(11)의 전방 카메라 수용 구역(80)의 추가적으로 경직시키는 것에 의해 상당히 개선된다.

Claims (20)

  1.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swimming and diving aid)(10)에 있어서,
    플로우 채널(34)을 포함하거나 플로우 채널(34)이 연관되는 외각(11)을 가지고, 상기 플로우 채널(34)과 연관되어 있는 모터로 구동되는 물 가속 장치(water acceleration arrangement), 특히 프로펠러를 가지며; 상기 외각(11)의 상측에서 상부 몸체를 위한 지지 표면(11.3)을 가지고; 상기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10) 상에 장착되는 그립(grip)(16)들과, 상기 그립(16)들 상에 제공되고 연관되는 모터 제어기에 의해 상기 물 가속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들(16.1)을 가지며; 상기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10)의 작동 파라미터들을 보여주기 위해, 상기 지지 표면(11.3)으로 향하는 디스플레이(20)를 가지고,
    앞으로 향하는 전방 카메라(a forward-directed front camera)(65)가 이동 방향으로 상기 지지 표면(11.3) 앞에서 상기 외각(11)에 통합되고, 전자 제어 시스템(7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전방 카메라(65)에 제어를 인가하고 카메라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의 그립(16)에 비디오 캡처(video capture)의 시작과 종료를 위한 스위칭 요소(16.2)가 배치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뒤로 향하는 후방 카메라(a reward-directed back camera)(50)가 상기 지지 표면(11.3)의 앞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70)에 연결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비디오 캡처가 각각 발생하는 상기 2개의 카메라들(50, 65) 사이의 전환(switching)을 위한 전환 요소(16.3)가 적어도 하나의 그립(16)에 배치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카메라들(50, 65)의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70)에 연결되고, 각각 선택된 카메라(50, 65)를 사용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도록 설계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0)의 LCD 디스플레이 요소(22), 상기 후방 카메라(50), 및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70)은 방수 상태(watertight)가 되게 구현되는, 1개 또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6. 제5 항에 있어서,
    방수 상태가 되게 구현되는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LCD 디스플레이 요소(22)의 구역, 또는 상기 LCD 디스플레이 요소(22)와 상기 후방 카메라(50)의 구역에서 투명한 디스플레이 덮개(display covering)(21)에 의해 덮여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70)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모터 제어기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요소(16.2) 및/또는 상기 전환 요소(16.3)의 상기 스위칭 신호들은 상기 모터 제어기에 전달되며;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모터 제어기로부터 상기 스위칭 요소(16.2) 및/또는 상기 전환 요소(16.3)의 상기 스위칭 신호들을 검색하기 위해 구현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70)은 상기 물 가속 장치의 전기 모터(30)에 전압이 인가되면 비디오 캡처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물 가속 장치의 상기 전기 모터(3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비디오 캡처가 가능하지 않게 구현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70)은 상기 비디오 캡처들을 위한 메모리의 자유 메모리 용량이 미리 정의되는 제한 값(a pre-defined limit value)에 대응하거나 초과할 때 비디오 캡처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비디오 캡처들을 위한 상기 메모리의 상기 자유 메모리 용량이 미리 정의되는 제한 값 미만이라면 비디오 캡처를 가능하게 하지 않게 구현되고/되거나; 상기 제어 유닛(70)은 상기 비디오 캡처들을 위한 상기 메모리의 상기 자유 메모리 용량이 미리 정의되는 제2 제한 값 미만이라면 비디오 캡처를 중단하도록 구현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70)은 무선 인터페이스(radio interface), 특히 WiFi 인터페이스 또는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70)은 예를 들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카메라 시스템을 위한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위한 및/또는 상기 모터 제어기를 위한 및/또는 상기 재충전 가능한-배터리 관리 시스템(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제어기)을 위한, 상기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의 개별 또는 수개의 하드웨어 구성성분들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고/하거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카메라(65) 및/또는 후방 카메라(50)에 마이크로폰이 연관되고; 상기 캡처된 오디오 신호들이 상기 제어 유닛(70)에 전달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카메라(65)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특히 USB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유닛(70)에 연결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50)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특히 M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유닛(70)에 연결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카메라(65)는 방수 상태의 카메라 인클로저(enclosure)(64)에 배치되고; 상기 방수 상태의 카메라 인클로저(64)는 상기 외각(11) 안의 전방 카메라 용기(front camera receptacle)(83)에 수용되고 상기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10)의 상기 외각(11)에 고정되며; 상기 외각의 외부 가리개(outer envelope)는 상기 전방 카메라(65)의 보기 방향(view direction)으로 투명한 창(61)이 배치되는 카메라 카메라 패스스루(passthrough)(81)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창(61)은 앞에서 상기 방수 상태의 카메라 인클로저(64)를 차단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카메라 용기(83)는 상기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10)의 침수실(flooding chamber)(19)과 물리적으로 통해 있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6. 제14 항 또는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창(61) 또는 상기 투명한 창(61)이 보유되는 창 하우징(63)은 상기 카메라 패스스루(81)에 대하여 밀봉되거나; 물을 운반하는 틈새가 상기 투명한 창(61) 또는 상기 투명한 창(61)이 보유되는 창 하우징(63)과 상기 카메라 패스스루(81) 사이에 있게 구성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7. 제14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창(61), 및/또는 상기 투명한 창(61)이 보유되는 창 하우징(63)의 창 베젤(window bezel)(83.1)은 타원형 구성을 가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8. 제14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 하우징(63)은 상기 카메라 인클로저(64)에 밀봉되게 연결되고; 상기 창 하우징(63)과 상기 카메라 인클로저는, 축 및 원주 방향 모두에서 상기 카메라 인클로저(64)에 대하여 상기 창 하우징(63)의 명료한 오리엔테이션(unequivocal orientation)을 규정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19. 제14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인클로저(64)는 상기 카메라 인클로저(64) 상으로 방수 상태가 되는 방식으로 놓일 수 있는 하우징 마개(housing closure)(66)에 의해 뒤에서 차단되고; 상기 제어 유닛(70)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 마개(66)를 통해 방수 상태가 되는 방식으로 안내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20. 제14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11)은 상기 전방 카메라 용기(83)의 상기 구역에서 경직된 방식(stiffened fashion)으로 구현되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KR1020197024378A 2017-01-20 2018-01-04 카메라를 가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KR102520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1146.3 2017-01-20
DE102017101146.3A DE102017101146A1 (de) 2017-01-20 2017-01-20 Schwimm- und Tauchhilfe mit einer Kamera
PCT/EP2018/050213 WO2018134060A1 (de) 2017-01-20 2018-01-04 Schwimm- und tauchhilfe mit einer k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115A true KR20190107115A (ko) 2019-09-18
KR102520885B1 KR102520885B1 (ko) 2023-04-11

Family

ID=6109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378A KR102520885B1 (ko) 2017-01-20 2018-01-04 카메라를 가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401018B2 (ko)
EP (1) EP3570945A1 (ko)
JP (1) JP7109451B2 (ko)
KR (1) KR102520885B1 (ko)
CN (1) CN110198765A (ko)
AU (1) AU2018209602B2 (ko)
BR (1) BR112019014792A2 (ko)
DE (1) DE102017101146A1 (ko)
EA (1) EA037722B1 (ko)
MX (1) MX2019008541A (ko)
WO (1) WO2018134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1146A1 (de) * 2017-01-20 2018-07-26 Cayago Gmbh Schwimm- und Tauchhilfe mit einer Kamera
GB2574641B (en) * 2018-06-13 2020-09-02 David Richard O'brien Archie Waterjet propulsion apparatus
JP1644785S (ko) * 2019-01-31 2019-11-05
CN110012207B (zh) * 2019-06-05 2019-09-10 清华四川能源互联网研究院 拍摄装置及巡检设备
DE102019135838A1 (de) * 2019-12-27 2021-07-01 Cayago Tec Gmbh Akkumulatormodul und Schwimm- und Tauchhilfe mit einem solchen Akkumulatormodul
USD979480S1 (en) * 2021-04-28 2023-02-28 Shenzhen Geneinno Technology Company Ltd Underwater scoo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6082A (ja) * 2011-11-10 2013-05-30 Yamaha Motor Co Ltd 小型船舶
DE102015100497A1 (de) * 2015-01-14 2016-07-14 Cayago Gmbh Schwimm- und Tauchhilfe mit Befestigungselemente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8889A (en) * 1955-12-07 1959-12-29 Cinefot Internat Corp Control means for underwater vehicle
JPH0678075B2 (ja) * 1988-02-02 1994-10-05 株式会社アポロスポーツ 水中スクーター
US5105753A (en) * 1990-02-27 1992-04-21 Chih Liu P Multi-purpose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US5158034A (en) * 1992-02-24 1992-10-27 Tontech International Co., Ltd. Automatic swimming board
US5399111A (en) * 1992-11-17 1995-03-2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Watercraft
US5634423A (en) * 1996-01-02 1997-06-03 Lashman; Morton E. Personal submersible marine vehicle
US6115060A (en) 1998-05-11 2000-09-05 Rowley; Steven R. Thru-hull video camera
US6848385B2 (en) * 2002-10-25 2005-02-01 Pat Y. Mah Underwater motive device
CN1189354C (zh) * 2002-12-10 2005-02-16 上海劲钻实业公司 人控机器鱼
US7000559B2 (en) * 2004-05-28 2006-02-21 Daka Research Inc. (Br. Virg. Isl Corp.) Offshoreincorporations Centre Modularized underwater motive device
DE102004049615B4 (de) 2004-10-12 2009-03-05 Rotinor Gmbh Motorwasserfahrzeug
CN1955069A (zh) 2005-10-28 2007-05-02 智点科技股份有限公司 浮潜机
FR2964361B1 (fr) 2010-09-03 2013-04-26 Inst Rech Developpement Ird Dispositif mobile sous-marin d'enregistrement d'images
CN201878251U (zh) 2010-12-15 2011-06-22 陈东明 一种泳镜摄像机
US8869729B2 (en) * 2011-07-08 2014-10-28 Julien Montousse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US8651041B2 (en) * 2012-05-07 2014-02-18 Michael Myers Personal underwater vehicle
EP2943399B1 (en) * 2013-01-10 2017-03-01 Julien Montousse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with on-board oxygen
US10071792B2 (en) * 2013-01-10 2018-09-11 Julien Montousse Underwater personal submersible
PT107141B (pt) 2013-09-03 2020-05-05 Fundação Noras Veículo aquático autopropulsionado
US9193424B2 (en) 2014-01-24 2015-11-24 Pacific Ocean Marine Industry Co., Ltd. Manned submarine for underwater viewing and experience
US9729253B2 (en) 2014-10-24 2017-08-08 Wahoo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derwater video
DE102015000259B4 (de) * 2015-01-16 2016-12-29 Cayago Gmbh Schwimm- und Tauchhilfe
CN104960639A (zh) 2015-07-30 2015-10-07 郑成恩 水上娱乐船
DE102017101146A1 (de) * 2017-01-20 2018-07-26 Cayago Gmbh Schwimm- und Tauchhilfe mit einer Kamera
US11345453B2 (en) * 2017-03-09 2022-05-31 Brandon Robinso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JP1642997S (ko) * 2018-05-16 2019-10-07
US10603550B1 (en) * 2018-12-21 2020-03-31 Charles Fultz Handheld propulsion unit for use by a user in and under water
USD887947S1 (en) * 2019-11-26 2020-06-23 Hongliang Ma Swimming boo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6082A (ja) * 2011-11-10 2013-05-30 Yamaha Motor Co Ltd 小型船舶
DE102015100497A1 (de) * 2015-01-14 2016-07-14 Cayago Gmbh Schwimm- und Tauchhilfe mit Befestigungselem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09451B2 (ja) 2022-07-29
AU2018209602B2 (en) 2022-05-26
BR112019014792A2 (pt) 2020-02-27
EP3570945A1 (de) 2019-11-27
US11401018B2 (en) 2022-08-02
DE102017101146A1 (de) 2018-07-26
US20210129959A1 (en) 2021-05-06
JP2020508916A (ja) 2020-03-26
MX2019008541A (es) 2019-11-05
EA201991725A1 (ru) 2019-12-30
KR102520885B1 (ko) 2023-04-11
CN110198765A (zh) 2019-09-03
WO2018134060A1 (de) 2018-07-26
EA037722B1 (ru) 2021-05-14
AU2018209602A1 (en)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115A (ko) 카메라를 가지는 수영 및 다이빙 보조기구
US8330854B2 (en) Sealed, waterproof digital electronic camera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6662742B2 (en) Remote operated vehicles
US6795110B1 (en) Weatherproof and watertight digital electronic camera, including a solid or fluid-filled digital camera operating at great depths
JPH04316033A (ja) カメラ用ケース
EP2550069A1 (en) A joint commonality submersible (jcs)
US20230025105A1 (en) Extended Range Motorized Surfboard Fin and Remote Control
US11459068B2 (en) Motorized surfboard fin and remote control
US10416535B2 (en) Retrofittable float with an underwater camera attachment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4509905A (zh) 浮力调整机构及壳体
CN214985989U (zh) 一种水下视频图像采集机器人
CN108945353A (zh) 手持式带拍摄功能的潜水助推器
JP2023120795A (ja) 防水カメラシステム
CN213109742U (zh) 一种rov水下航行器的平衡系统
CN209839638U (zh) 水下自拍杆
RU2758320C1 (ru) Подводный скутер для водолазов
KR101939362B1 (ko) 수중 카메라 하우징
Schillaci et al. A Customisable underwater robot
JP4066350B2 (ja) 防水型デジタルカメラ
CN109501981A (zh) 手持式带拍摄功能的潜水助推器
CN220274019U (zh) 遥控器
CN219077449U (zh) 遥控无人水下运载工具
RU206387U1 (ru) Телеуправляемый необитаемый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