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527A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527A
KR20190106527A KR1020180028142A KR20180028142A KR20190106527A KR 20190106527 A KR20190106527 A KR 20190106527A KR 1020180028142 A KR1020180028142 A KR 1020180028142A KR 20180028142 A KR20180028142 A KR 20180028142A KR 20190106527 A KR20190106527 A KR 2019010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frame
heat transfer
airbag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복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
Priority to KR102018002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527A/ko
Publication of KR2019010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외부케이스에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배전반의 외부케이스에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단열 구조를 강화하여 외부케이스의 외측면에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기초에 지지바가 구비되어, 차량이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반과 충돌할 경우, 차량이 지지바에 먼저 충돌하여 충격 흡수할 뿐 아니라, 상기 지지바에 차량이 충돌하면 상기 외부케이스에 구비된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의해 인도쪽으로 밀려나간 외부케이스가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에어백이 완충기능을 하여 보행자를 보호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외부케이스의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케이스의 표면에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여 외부케이스의 부식을 방지하고 장비의 수명보장을 통하여 장비교체 주기연장으로 비용절감과 열손실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외부케이스에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배전반의 외부케이스에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단열 구조를 강화하여 외부케이스의 외측면에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라 함은,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지상변압기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여러 전력장치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인 배전반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를 가지고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설치된다.
통상의 배전반은 케이스 내에 주배선 차단기와 보조배선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등의 각종 유니트가 설치되고, 그 유니트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되며, 부스바는 일측이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와, 모선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부스바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배전반 내부에는 배전 및 배전의 제어에 필요한 계기, 개폐기, 안전장치 등과 같은 주요부품이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의 케이스로 제작 사용되는데, 배전반이 우천, 설해, 결로, 결빙 등에 노출되는 경우, 습기가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습기에 노출되는 부품들의 수명 단축, 오작동, 케이스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습기로 인한 전기 합선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상변압기는 인도 등에 설치되어 지중전선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전기를 일반적인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여 수용가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기초(1)와, 상기 기초(1)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초(1)는 인도(4)의 일측에 차도(5)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인도(4)를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는 강도가 높은 금속판재질의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을 보호함으로써, 변압유닛(3)이 주변을 통과하는 보행자에게 노출되어, 보행자가 부상을 입거나 변압유닛(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지상변압기는 차도(5)에 근접되도록 설치됨으로, 차도(5)를 통과하는 차량이 충돌할 경우, 외부케이스(2)가 인도(4)쪽으로 튀어나가 인도(4)를 통과하는 보행자와 충돌하여, 보행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도(4)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상기 변압유닛(3)의 외부케이스(2)에 기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보행자가 외부케이스(2)에 기댄 상태에서 차량이 외부케이스(2)에 충돌할 경우, 외부케이스(2)에 기댄 보행자가 더욱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지상변압기 역시 습기로 인한 전기 합선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6037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충돌시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외부케이스에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케이스의 외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외부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기초와, 상기 기초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는 인도의 일측에 차도에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배전반으로, 상기 기초에서 상기 차도를 향하는 쪽 측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백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둘레면에 구비된 에어백과, 상기 외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수단과,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이 급속히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수단과, 충돌감지수단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바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팽창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백이 급속팽창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사각형상의 육면체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통해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단열 기능을 강화하여 외부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는: 사각형상의 육면체 틀을 형성하도록 육면체의 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단부를 고정시켜 육면체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 날개편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 날개편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全) 길이에 걸쳐 패킹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삽입홈에 패킹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패킹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는 제1 열전달 차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 날개편이 만나는 부분에 걸림돌부가 형성된 삽입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 고정되어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가스켓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가스켓과 프레임의 밀착면 사이에는 단열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 가스켓 및 단열부재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는 제2 열전달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단열재인 폴리우레탄을 발포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외부케이스의 판넬과 접촉하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열전달차단홈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달차단홈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는 제3 열전달 차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의 걸림 날개편에 밀착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를 연결하는 부위에서 상기 프레임의 삽입공간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부에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부가 형성된 삽입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의 일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에 보행자가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과,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과, 상기 에어백의 배기구에 구비되어 배기구를 개폐하는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근접감지수단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외부케이스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수단을 구동시켜 에어백을 일정시간 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기초에 차도 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에 연결되어 외부케이스가 차도 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의하면, 기초에 지지바가 구비되어, 차량이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반과 충돌할 경우, 차량이 지지바에 먼저 충돌하여 충격 흡수할 뿐 아니라, 상기 지지바에 차량이 충돌하면 상기 외부케이스에 구비된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의해 인도쪽으로 밀려나간 외부케이스가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에어백이 완충기능을 하여 보행자를 보호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전반의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케이스의 표면에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여 외부케이스의 부식을 방지하고 장비의 수명보장을 통하여 장비교체 주기연장으로 비용절감과 열손실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회로구성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외부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임과 결합구를 이용하여 사각형상의 육면체 틀을 구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표시의 육면체 틀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과 가스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1표시의 프레임과 가스켓의 분리도,
도 13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회로구성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기초(1)와, 상기 기초(1)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기초(1)는 인도(4)에서 차도(5)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인도(4)를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의 둘레면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2a)가 형성되어, 상기 변압유닛(3)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된 내부의 공기가 상기 환기구(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초(1)에서 상기 차도(5)를 향하는 쪽 측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10)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일측에 배기구(21)가 형성된 에어백(20)과, 상기 외부케이스(2)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2)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수단(30)과, 상기 외부케이스(2)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2)에 보행자가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40)과,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50)와,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이 급속히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수단(60)과,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80)와, 상기 충돌감지수단(30)과 근접감지수단(40) 및 온도측정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팽창수단(60)과 상기 급기수단(70) 및 배기밸브(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관체의 양단을 하측으로 절곡한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바(10)의 측면에 고정된 것으로, 차량이 지상에 설치된 배전반쪽으로 돌진할 때, 상기 지지바(10)에 먼저 충돌하도록 함으로, 외부케이스(2)와 변압유닛(2)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기초(1)의 상면에는 차도(5)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a)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는 상기 가이드레일(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에는 외부케이스(2)가 차도(5) 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b)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a)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편(1b)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2b)는 양단이 상기 지지편(1b)과 외부케이스(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차도(5)를 주행하는 차량이 지상에 설치된 배전반에 충돌할 경우, 차량은 상기 지지바(10)에 먼저 충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0)가 후방으로 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0)에 의해 차량이 완전히 정차되지 못하고, 상기 지지바(10)와 차량이 외부케이스(2) 쪽으로 밀려서 외부케이스(2)에 충돌할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b)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2)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백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2)의 측면에, 특히, 상기 지지바(10)가 구비된 쪽의 반대쪽 면에 구비된 것으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팽창수단(60)이 작동되거나 급기수단(70)에 의해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면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구(21)는 상기 에어백(20)의 하측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20)에는 배기관(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기관(22)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밸브(80)를 개방하여 에어백(20)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된 공기가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돌감지수단(30)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의 일측, 즉, 도로(5)를 향하는 쪽 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차량이 외부케이스(2)에 충돌할 때 상기 외부케이스(2)에 가해지는 압력과 변형을 측정함으로써, 차량이 외부케이스(2)에 충돌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충돌감지수단(30)은 차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인도(4) 측면에 인도(4)를 통과하는 보행자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보행자를 향하여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출력하고, 출력된 초음파 적외선이 외부케이스(2)로 근접하는 보행자의 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외부케이스(2)로 근접하는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근접감지수단(4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온도측정센서(50)는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팽창수단(60)은 내부에 화약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90)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약이 점화되어 에어백(20)의 내부로 고압의 가스를 급격하게 공급함으로써, 에어백(20)이 급격하게 팽창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팽창수단(60)은,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백에 구비되는 인플레이터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급기수단(70)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급기관(71)을 통해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급기수단(70)에는 외부케이스(2)의 외부로 연장된 흡기관(72)이 구비되어, 상기 흡기관(72)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밸브(80)는 상기 배기관(22)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관(22)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배기관(22)을 밀폐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 또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배기관(22)을 개방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배기밸브(80)가 배기관(22)을 밀폐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충돌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이 상기 외부케이스(2)에 충돌한 것이 감지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수단(6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의 내부로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여 에어백(20)이 팽창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10)에 충돌하여 감속한 차량이 외부케이스(2)에 충돌하여 외부케이스(2)가 인도(4) 쪽으로 밀리고, 이에 따라, 보행자가 외부케이스(2)에 충돌을 하게 될 경우, 상기 에어백(20)이 급속팽창되어 완충기능을 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에 차량이 충돌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외부케이스(2)에 기대기 위해 외부케이스(2)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7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20)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를 밀어낸다.
그리고, 에어백(20)이 적절한 부피로 팽창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급기수단(7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밸브(80)를 작동시켜 배기관(22)을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에어백(20)을 팽창시켜 외부케이스(2)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를 밀어낸 후,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배기밸브(80)를 개방시켜 에어백(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에어백(20)의 내부가 초기상태로 낮아지면, 상기 배기밸브(80)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에어백(20)이 자체 탄성에 의해 팽창되기 전의 부피로 줄어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에어백(20)에서 배출된 공기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외부케이스(2)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상기 환기구(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외부케이스(2)의 내부를 냉각시킨다.
특히, 상기 급기수단(70)은 상기 흡기관(72)을 통해 차가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함으로, 이와 같이,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되면, 외부케이스(2)의 내부가 급격히 낮아져, 상기 변압유닛(3)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측정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70)을 통해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밸브(8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를 강제로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2) 내부의 온도가 적정수준으로 낮아지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급기수단(7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부케이스(2)에 단열수단(300)을 더 구비하여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케이스(2)의 외부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수단(300)의 구비되는 외부케이스(2)의 구성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외부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임과 결합구를 이용하여 사각형상의 육면체 틀을 구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육면체 틀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과 가스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1표시의 프레임과 가스켓의 분리도, 도 13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외부케이스(2)에 사각형상의 육면체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210)을 통해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단열 기능을 강화하여 외부케이스(2)의 외부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케이스(2)는 사각 형상의 육면체 틀을 형성하도록 육면체의 변을 형성하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단부를 고정시켜 육면체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결합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수단(300)은 제1 열전달 차단부(302)와 제2 열전달 차단부(304) 및 제3 열전달 차단부(3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열전달 차단부(302)는 상기 프레임(2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 날개편(21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날개편(2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全) 길이에 걸쳐 패킹삽입홈(214)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삽입홈(214)에 패킹(230)을 삽입 설치함에 의해, 상기 패킹(230)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열전달 차단부(304)는 상기 프레임(2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 날개편(212)이 만나는 부분에 걸림돌부(216a)가 형성된 삽입공간부(216)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간부(216)에 삽입 고정되어 프레임(210)에 밀착되도록 가스켓(240)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가스켓(240)과 프레임(210)의 밀착면 사이에는 단열부재(250)를 삽입 설치함에 의해, 상기 가스켓(240) 및 단열부재(250)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250)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240)은 상기 프레임(210)의 걸림 날개편(212)에 밀착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242)와, 상기 밀착부(242)를 연결하는 부위에서 상기 프레임(210)의 삽입공간부(216)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삽입고정부(2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고정부(244)에는 상기 걸림돌부(216a)에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부(244a)가 형성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열절단 차단부(306)는 상기 프레임(210)의 내부에는 단열재인 폴리우레탄(211)을 발포하고, 상기 프레임(210)에는 외부케이스의 판넬과 접촉하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열전달차단홈(216)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달차단홈(218)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패킹(230)에 의한 제1 열전달 차단부(302)와, 상기 가스켓(240) 및 단열부재(250)에 의한 제2 열전달 차단부(304) 및 상기 열전달 차단홈(218)에 의한 제3 열전달 차단부(306)에서 순차적으로 열의 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열전달 차단홈(218)에 의해 프레임(210)을 통한 열전달 경로가 길어짐으로 인하여 열전달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전반은, 상기 기대(1)에 지지바(10)가 구비되어, 차량이 배전반과 충돌할 경우, 차량이 지지바(10)에 먼저 충돌하여 충격 흡수할 뿐 아니라, 상기 외부케이스(2)에 차량이 충돌하면 상기 외부케이스(2)에 구비된 에어백(20)을 팽창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의해 인도(4)쪽으로 밀려나간 외부케이스(2)가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에어백(20)이 완충기능을 하여 보행자를 보호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충돌감지수단(30)은 상기 외부케이스(2)에 구비됨으로, 차량이 지지바(10)에 충돌하여 정지됨으로써, 외부케이스(2)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팽창수단(60)이 작동되어 에어백(20)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충돌감지수단(30)은 상기 외부케이스(2)가 아닌 지지바(1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차량(10)이 약하게 상기 지지바(10)에 충돌하여 정지된 상태에서도, 불필요하게 상기 팽창수단(60)이 작동되어 에어백(20)이 팽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에어백(20)과 팽창유닛(60)을 교체하는 비용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충돌감지수단(30)이 상기 외부케이스(2)에 구비됨으로, 차량이 외부케이스(2)에 직접 충돌하여야만 상기 팽창수단(60)이 작동되어 에어백(20)이 팽창되도록 함으로, 불필요하게 에어백(20)과 팽창유닛(60)을 교체하는 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90)은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외부케이스(2)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수단(7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을 일정시간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8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낸다.
따라서, 보행자가 외부케이스(2)에 기댄 상태에서 차량에 의해 외부케이스(2)가 밀려남으로써, 보행자가 큰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의 둘레부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2a)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는 배기관(22)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70)은 외부케이스(2)의 외부로 연장된 흡기관(72)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22)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연장되어 에어백(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케이스의 내부온도를 냉각시켜 상기 변압유닛(3)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온도측정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기수단(70)을 통해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밸브(8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2)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켜 외부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됨으로, 외부케이스(2)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2)는 상기 기초(1)에 차도(5)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에는 외부케이스(2)가 차도(5) 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b)가 연결됨으로, 외부케이스(2)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외부케이스(2)가 가이드레일(1a)을 따라 후퇴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저속으로 외부케이스(2)에 충돌할 경우, 외부케이스(2)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외부케이스(2)에 단열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케이스(2)를 구성하는 프레임(210)을 통해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케이스(2)의 외부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210)의 걸림 날개편(212)에 형성되는 패킹삽입홈(214)에 결합되는 패킹(230)에 의한 제1 열전달 차단부(302)와, 상기 걸림 날개편(212)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가스켓(240) 및 단열부재(250)에 의한 제2 열전달 차단부(304)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열전달 차단홈(218)에 의한 제3 열전달 차단부(306)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2차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 지지바 20 - 에어백
30 - 충돌감지수단 40 - 근접감지수단
50 - 온도측정센서 60 - 팽창수단
70 - 급기수단 80 - 개폐밸브
90 - 제어수단 210 - 프레임
212 - 걸림 날개편 214 - 패킹삽입홈
216 - 삽입공간부 218 - 열전달 차단홈
220 - 걸림구 230 - 패킹
240 - 가스켓 250 - 단열부재
300 - 단열수단 302 - 제1 열전달 차단부
304 - 제2 열전달 차단부 306 - 제3 열전달 차단부

Claims (6)

  1. 지면에 설치된 기초(1)와,
    상기 기초(1)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2)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3)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1)는 인도(4)의 일측에 차도(5)에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기초(1)에서 상기 차도(5)를 향하는 쪽 측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10)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백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2)의 둘레면에 구비된 에어백(20)과,
    상기 외부케이스(2)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2)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수단(30)과,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이 급속히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수단(60)과,
    충돌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차량이 충돌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팽창수단(6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백(20)이 급속팽창되도록 하는 제어수단(90)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에는,
    사각형상의 육면체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210)을 통해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열전달 되지 않도록 단열 기능을 강화하여 외부케이스(2)의 외부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수단(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는:
    사각형상의 육면체 틀을 형성하도록 육면체의 변을 형성하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단부를 고정시켜 육면체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결합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열수단(300)은:
    상기 프레임(2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 날개편(212)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 날개편(2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全) 길이에 걸쳐 패킹삽입홈(214)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삽입홈(214)에 패킹(230)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패킹(230)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는 제1 열전달 차단부(302)와,
    상기 프레임(21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 날개편(212)이 만나는 부분에 걸림돌부(216a)가 형성된 삽입공간부(216)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간부(216)에 삽입 고정되어 프레임(210)에 밀착되도록 가스켓(240)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가스켓(240)과 프레임(210)의 밀착면 사이에는 단열부재(250)를 삽입 설치하여, 상기 가스켓(240) 및 단열부재(250)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는 제2 열전달 차단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10)의 내부에는 단열재인 폴리우레탄(211)을 발포하고,
    상기 프레임(210)에는 외부케이스의 판넬과 접촉하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열전달차단홈(216)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달차단홈(218)에 의해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달을 차단하는 제3 열전달 차단부(30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240)은,
    상기 프레임(210)의 걸림 날개편(212)에 밀착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밀착부(242)와,
    상기 밀착부(242)를 연결하는 부위에서 상기 프레임(210)의 삽입공간부(216)에 삽입 고정되도록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부(216a)에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부(244a)가 형성된 삽입고정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20)의 일측에는 배기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2)에 보행자가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40)과,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외부케이스(2)에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수단(7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을 일정시간 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8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는 상기 기초(1)에 차도(5) 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에 연결되어 외부케이스(2)가 차도(5) 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180028142A 2018-03-09 2018-03-09 배전반 KR20190106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42A KR20190106527A (ko) 2018-03-09 2018-03-09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42A KR20190106527A (ko) 2018-03-09 2018-03-09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27A true KR20190106527A (ko) 2019-09-18

Family

ID=6807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42A KR20190106527A (ko) 2018-03-09 2018-03-09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5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1657A (zh) * 2021-08-05 2021-12-10 许浩南 一种有效避免雨水短路的新能源汽车充电桩散热设备
CN116505402A (zh) * 2023-06-21 2023-07-28 昆明惠尔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带保险和自动锁死断路的多功能防护配电柜
CN117154568A (zh) * 2023-08-31 2023-12-01 保定晟睿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变电设备用防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77Y1 (ko) 2011-04-21 2012-05-21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77Y1 (ko) 2011-04-21 2012-05-21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냉각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1657A (zh) * 2021-08-05 2021-12-10 许浩南 一种有效避免雨水短路的新能源汽车充电桩散热设备
CN116505402A (zh) * 2023-06-21 2023-07-28 昆明惠尔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带保险和自动锁死断路的多功能防护配电柜
CN116505402B (zh) * 2023-06-21 2024-01-26 昆明惠尔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带保险和自动锁死断路的多功能防护配电柜
CN117154568A (zh) * 2023-08-31 2023-12-01 保定晟睿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变电设备用防护装置
CN117154568B (zh) * 2023-08-31 2024-03-19 保定晟睿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变电设备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527A (ko) 배전반
KR20190106526A (ko) 배전반
KR101815130B1 (ko) 지상변압기
KR101760786B1 (ko) 지상변압기
KR101815155B1 (ko) 지상변압기
KR101815163B1 (ko) 지상변압기
KR101778239B1 (ko) 지상변압기
KR101815139B1 (ko) 지상변압기
CN201622983U (zh) 一种快速大电流保险装置
CN109216799B (zh) 电池系统
KR101860399B1 (ko) 완충수단을 갖는 차량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KR20050079921A (ko) 지상형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고압팽창가스 방출장치설치방법
CN111894084B (zh) 一种具有自照明功能的防撞抗冻室外消防栓
KR101778207B1 (ko) 지상변압기
CN210273302U (zh) 充气式全绝缘全密封式开关柜
CN111276895A (zh) 一种用于防泄露的环网柜
CN208175140U (zh) 一种保障网络设备的安全装置
CN203836325U (zh) 安全阀和可燃制冷剂空调系统
CN113153413B (zh) 一种用于煤矿风井导风硐的自动喷淋消波系统
CN214895771U (zh) 一种露天用毫米波交通雷达用保护结构
KR20150000145U (ko) 배출 수단을 갖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200065642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방압판의 커버 어셈블리
CN220865347U (zh) 一种汽车底盘组装护板
CN212230919U (zh) 一种防撞且性能好的配电柜
CN219876505U (zh) 一种具有防撞击功能的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5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28

Effective date: 202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