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139B1 - 지상변압기 - Google Patents

지상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139B1
KR101815139B1 KR1020170051918A KR20170051918A KR101815139B1 KR 101815139 B1 KR101815139 B1 KR 101815139B1 KR 1020170051918 A KR1020170051918 A KR 1020170051918A KR 20170051918 A KR20170051918 A KR 20170051918A KR 101815139 B1 KR101815139 B1 KR 10181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air
airbag
air bag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7005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1)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지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백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일측에 배기구(21)가 형성된 에어백(20)과,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센서(30)와,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70)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되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미리 입력된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경고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 기대어 에어백(20)이 가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수단(90)을 작동시켜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에게 경고멘트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을 경우,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을 일정시간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7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댄 상태에서,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을 하는 교통사고가 발생되어,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가 큰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상변압기{pad mounted transfer}
본 발명은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외부케이스에 기대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지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변압기는 인도 등에 설치되어 지중전선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전기를 일반적인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여 수용가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기초(3)와, 상기 기초(3)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4)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초(3)는 인도(1)에서 차도(2)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인도(1)를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4)는 강도가 높은 금속판재질의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을 보호함으로써, 변압유닛(5)이 주변을 통과하는 보행자에게 노출되어, 보행자가 부상을 입거나 변압유닛(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지상변압기의 경우, 인도(1)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상기 변압유닛(5)의 외부케이스(4)에 기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지상변압기의 경우,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을 하는 교통사고가 발생될 경우,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6037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도(1)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지상변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기초(3)와, 상기 기초(3)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4)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에 있어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백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일측에 배기구(21)가 형성된 에어백(20)과,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센서(30)와,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70)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되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미리 입력된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경고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 기대어 에어백(20)이 가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수단(90)을 작동시켜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에게 경고멘트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을 경우,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을 일정시간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7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4a)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는 배기관(22)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60)은 외부케이스(4)의 외부로 연장된 흡기관(6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22)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연장되어 에어백(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온도측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기수단(60)을 통해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켜 외부케이스(4)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4)에 차도(2)쪽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차도(2)에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근접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이 근접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20)이 팽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4)는 상기 기대에 차도(2)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4)에 연결되어 외부케이스(4)가 차도(2)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백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일측에 배기구(21)가 형성된 에어백(20)과,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센서(30)와,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70)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되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미리 입력된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경고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 기대어 에어백(20)이 가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수단(90)을 작동시켜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에게 경고멘트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을 경우,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을 일정시간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7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댄 상태에서,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을 하는 교통사고가 발생되어,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가 큰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상변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회로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변압기를 도시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기초(3)와, 상기 기초(3)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4)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기초(3)는 인도(1)에서 차도(2)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인도(1)를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4a)가 형성되어, 상기 변압유닛(5)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된 내부의 공기가 상기 환기구(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대의 상면에는 차도(2)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케이스(4)는 상기 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4)에는 외부케이스(4)가 차도(2)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2)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11)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편(11a)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2)는 양단이 상기 지지편(11a)과 외부케이스(4)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차도(2)를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 외부케이스(4)에 충돌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2)가 압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4)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일측에 배기구(21)가 형성된 에어백(20)과,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센서(30)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40)와, 상기 외부케이스(4)에 차도(2)쪽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차도(2)에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50)와,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70)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와 급기수단(60)과 온도측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된 경고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에어백(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백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4)의의 측면에 구비되어,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댈 경우, 가압되어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이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20)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급기수단(60)을 이용하여 내부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외부케이스(4)의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되다.
상기 배기구(21)는 상기 에어백(20)의 하측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20)에는 배기관(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기관(22)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밸브(70)를 개방하여 에어백(20)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경우, 배출된 공기가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압측정센서(30)는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보행자가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대에 에어백(20)이 가압될 경우, 에어백(20)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도측정센서(40)는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근접감지센서(50)는 상기 외부케이스(4)의 차도(2)쪽 면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고, 조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이 차량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감지하여, 차도(2)를 통행하는 차량이 외부케이스(4)를 향해 전진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차량이 외부케이스(4)를 향해 전진되는 것이 감지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근접감지센서(50)는 차량이 차도(2)를 따라 외부케이스(4)의 근처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전진될 때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차량이 차도(2)를 가로질러 외부케이스(4)를 향해 일정속도 이상으로 전진됨으로써,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할 위험이 있을 경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충돌할 상황에서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감지센서(50)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급기수단(60)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급기관(62)을 통해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급기수단(60)에는 외부케이스(4)의 외부로 연장된 흡기관(61)이 구비되어, 상기 흡기관(6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밸브(70)는 상기 배기관(22)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관(22)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경고수단(90)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미리 녹음된 경고멘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고수단(90)에 녹음되는 경고멘트는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댄 상태의 보행자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지 않도록 안내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급기수단(60) 및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며, 상기 에어백(20)은 적절한 부피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 기대어 에어백(20)이 가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수단(90)을 구동시켜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에게 경고멘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20)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를 밀어낸다.
그리고, 에어백(20)이 적절한 부피로 팽창되면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급기수단(6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밸브(7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에어백(20)을 팽창시켜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를 밀어낸 후,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배기밸브(70)를 개방시켜 에어백(2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에어백(20)의 내부가 초기상태로 낮아지면, 상기 배기밸브(70)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에어백(20)이 팽창되기 전의 부피로 줄어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에어백(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상기 환기구(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외부케이스(4)의 내부를 냉각시킨다.
특히, 상기 급기수단(60)은 상기 흡기관(61)을 통해 차가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함으로, 이와 같이,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면, 외부케이스(4)의 내부가 급격히 낮아져, 상기 변압유닛(5)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온도측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60)을 통해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를 강제로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4) 내부의 온도가 적정수준으로 낮아지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급기수단(60)과 개폐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20)에 적정 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근접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할 위험이 감지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60)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20)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에어백(20)이 팽창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하여 외부케이스(4)가 인도(1)쪽으로 밀려서,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충돌을 하게 될 경우, 에어백(20)이 완충기능을 하여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상변압기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백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일측에 배기구(21)가 형성된 에어백(20)과,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센서(30)와,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70)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되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미리 입력된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경고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 기대어 에어백(20)이 가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수단(90)을 작동시켜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에게 경고멘트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을 경우,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을 일정시간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7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댄 상태에서,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을 하는 교통사고가 발생되어,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는 보행자가 큰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제어수단(80)에는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미리 입력된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경고수단(90)이 연결됨으로, 보행자가 미리 녹음된 경고멘트를 출력함으로써,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지 않도록 정확히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4a)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는 배기관(22)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60)은 외부케이스(4)의 외부로 연장된 흡기관(6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22)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연장되어 에어백(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케이스의 내부온도를 냉각시켜 상기 변압유닛(5)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온도측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기수단(60)을 통해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켜 외부케이스(4)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됨으로, 외부케이스(4)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4)에 차도(2)쪽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차도(2)에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근접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이 근접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20)이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외부케이스(4)에 충돌하는 교통사고라 발생될 경우, 보행자가 차량에 의해 밀려나간 외부케이스(4)에 충돌하여 큰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외부케이스(4)는 상기 기대에 차도(2)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4)에는 외부케이스(4)가 차도(2)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2)가 연결됨으로, 외부케이스(4)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외부케이스(4)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후퇴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저속으로 외부케이스(4)에 충돌할 경우, 외부케이스(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 에어백 30. 기압측정센서
40. 온도측정센서 50. 근접감지센서
60. 급기수단 70. 개폐밸브
80. 제어수단 90. 경고수단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된 기초(3)와,
    상기 기초(3)의 상부에 구비된 외부케이스(4)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 변압유닛(5)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에 있어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백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며 일측에 배기구(21)가 형성된 에어백(20)과,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측정센서(30)와,
    상기 에어백(20)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0)과,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 구비되어 배기구(21)를 개폐하는 배기밸브(70)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제어수단(80)에 연결되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미리 입력된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경고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급기수단(60)과 배기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기가 저장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상기 기압측정센서(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 기대어 에어백(20)이 가압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수단(90)을 작동시켜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에게 경고멘트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보행자가 외부케이스(4)에 기대어 있을 경우,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에어백(20)을 일정시간동안 팽창시킨 후, 상기 배기밸브(70)를 작동시켜 상기 에어백(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백(20)이 초기형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4)에 기댄 보행자를 밀어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부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4a)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20)의 배기구(21)에는 배기관(22)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수단(60)은 외부케이스(4)의 외부로 연장된 흡기관(6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22)은 상기 외부케이스(4)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연장되어 에어백(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온도측정센서(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기수단(60)을 통해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22)을 통해 외부케이스(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외부케이스(4)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켜 외부케이스(4)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4)에 차도(2)쪽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차도(2)에서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근접감지센서(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이 근접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기수단(60)을 구동시켜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20)이 팽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4)는 상기 기대에 차도(2)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부케이스(4)에 연결되어 외부케이스(4)가 차도(2)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
KR1020170051918A 2017-04-21 2017-04-21 지상변압기 KR10181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918A KR101815139B1 (ko) 2017-04-21 2017-04-21 지상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918A KR101815139B1 (ko) 2017-04-21 2017-04-21 지상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139B1 true KR101815139B1 (ko) 2018-01-05

Family

ID=6100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918A KR101815139B1 (ko) 2017-04-21 2017-04-21 지상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484B1 (ko) * 2021-06-23 2021-07-27 (주)코담기술단 지상변압기
KR102282479B1 (ko) * 2021-06-23 2021-07-27 (주)코담기술단 지상변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335A (ja) 2002-10-01 2004-06-24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JP2010083382A (ja) 2008-09-30 2010-04-15 Fujitsu Ten Ltd 筐体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335A (ja) 2002-10-01 2004-06-24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JP2010083382A (ja) 2008-09-30 2010-04-15 Fujitsu Ten Ltd 筐体固定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484B1 (ko) * 2021-06-23 2021-07-27 (주)코담기술단 지상변압기
KR102282479B1 (ko) * 2021-06-23 2021-07-27 (주)코담기술단 지상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130B1 (ko) 지상변압기
KR101760800B1 (ko) 지상변압기
KR101815139B1 (ko) 지상변압기
KR101252104B1 (ko)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ITMI20041001A1 (it) Sistema di sicurezza per casco di motociclo
KR102186102B1 (ko)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지상변압기
EP1604874A4 (en) CONTROL UNIT FOR PROTECTION DEVICE AGAINST A COLLISION OBJECT
KR101815155B1 (ko) 지상변압기
US20130086841A1 (en) Overhead Door Object Detection Apparatus
KR101760786B1 (ko) 지상변압기
JPH10504253A (ja) 緊急警報システム
KR102282479B1 (ko) 지상변압기
KR102282484B1 (ko) 지상변압기
US20150033826A1 (en) Diagnose arrangement for a vehicle pedestrian impact sensor
KR101815163B1 (ko) 지상변압기
KR102373785B1 (ko) 과열방지 기능이 있는 지상변압기
KR101778239B1 (ko) 지상변압기
GB2358220A (en) Testing means for door obstruction detector
CN210181754U (zh) 一种新型火情探测报警装置
EP1342596A3 (de) Leckageerkennung in luftgefederten Niveauregeleinrichtung
KR102334592B1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장치
KR101778207B1 (ko) 지상변압기
US7743560B2 (en) Door sealing system
DE102006051749A1 (de) Kollisionsdetektor für ein Fahrzeug
CN109017662A (zh) 客车火灾智能爆窗装置的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