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102A - 조립식 전기실 - Google Patents

조립식 전기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102A
KR20190106102A KR1020180027092A KR20180027092A KR20190106102A KR 20190106102 A KR20190106102 A KR 20190106102A KR 1020180027092 A KR1020180027092 A KR 1020180027092A KR 20180027092 A KR20180027092 A KR 20180027092A KR 20190106102 A KR20190106102 A KR 2019010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support frame
wall pane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955B1 (ko
Inventor
예정희
김귀환
정응수
유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80027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9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되는 제1 바닥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되어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천장 프레임과, 상기 제1 바닥 프레임 상에 부착되는 제1 바닥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1 벽체 패널과, 상기 천장 프레임에 부착되는 천장 패널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지붕과, 상기 지붕과 체결되어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벽체 패널과,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상에 배치되는 제2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내에 각각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내부에 구비하는 중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 상에서 상기 제1 모듈과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전기실{ASSEMBLY TYPE ELECTRIC ROOM}
본 발명은 조립식 전기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실은 콘크리트 기초패드 위에 건축물을 세워 내부에 배전반, 제어반, 트레이, 케이블, 조명, 소방 등 공장설비가 가동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곳이다.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 전기실은 현장에서 시공하는 방식으로 날씨 변화, 파업 등으로 공사 지연이 빈번히 발생하는 어려움 있다. 또한, 설비 및 타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좁은 면적 내에 전기실을 설치할 경우 공간적 한계가 있어서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는 조립식 전기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되는 제1 바닥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되어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천장 프레임과, 상기 제1 바닥 프레임 상에 부착되는 제1 바닥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1 벽체 패널과, 상기 천장 프레임에 부착되는 천장 패널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지붕과, 상기 지붕과 체결되어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벽체 패널과,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상에 배치되는 제2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내에 각각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내부에 구비하는 중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 상에서 상기 제1 모듈과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선단에 제1 체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선단에 제2 체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을 일체로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상호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모듈은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을 내부 공간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모듈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중간 벽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벽체 패널과 상기 제2 벽체 패널에는 각각 내부 출입을 위한 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벽체 패널의 외측에 제공되는 발코니를 매개로 상기 문과 연결되는 계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는 조립식 전기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의 제1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의 제2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는 조립식 전기실에서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의 제1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의 제2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 5는 조립식 전기실에서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1)은 제1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은 비나 눈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내장되는 배전반 등과 같은 전자장치(ED)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워크-인 타입의 전기실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모듈(10)은 기초패드 위에 놓이는 베이스 프레임(11)과, 베이스 프레임(11)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베이스 프레임(11)과 체결되는 제1 바닥 프레임(12)과, 제1 바닥 프레임(12) 상에 부착되는 제1 바닥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과 제1 바닥 프레임(12) 및 제1 바닥 패널(13)은 제1 모듈(10)의 바닥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은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형강(section shape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형강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은 다수개의 형강을 연결하여 대략 직사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의 크기는 제1 모듈(10)이 설치될 기초패드의 면적, 내장되는 전자장치(ED)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연결되는 형강의 수량을 더하거나 빼는 것으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바닥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11)에 형성되는 내부 수평 공간에서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1)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의 내측면을 따라서 체결될 수 있다.
제1 바닥 패널(13)은, 예컨대 무늬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 체결을 통해서 제1 바닥 프레임(12)에 부착될 수 있다.
전기장치(ED)는 베이스 프레임(11) 및 제1 바닥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바닥 패널(13) 상에 놓여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10)은 베이스 프레임(11)과 체결되어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지지 프레임(14)과, 제1 지지 프레임(14)의 상부에서 제1 지지 프레임(14)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 프레임(15)과, 제1 연결 프레임(15)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1 연결 프레임(15)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격자 모양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천장 프레임(16)과, 제1 지지 프레임(14)에 부착되는 제1 벽체 패널(17)과, 천장 프레임(16)에 부착되는 천장 패널(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 프레임(14)과 제1 벽체 패널(17)은 제1 모듈(10)의 측벽 구조를 구성하고, 제1 연결 프레임(15)과 천장 프레임(16)과 천장 패널(18)은 제1 모듈(10)의 천장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벽체 패널(17)은 강판을 접어서 형성되는 주름골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천장 패널(18)은 무늬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볼트 체결을 통해서 제1 지지 프레임(14) 및 천장 프레임(16)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4)은 제1 연결 프레임(15)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만큼 더 연장된 선단에 제1 체결판(19)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모듈(10) 내에는 조명, 공조를 위한 환풍장치, 에어컨디셔너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1)은 제2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듈(20)은 제1 모듈(10)과 마찬가지로 워크-인 타입의 전기실을 구성하며, 제1 모듈(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10)은 전기실(1)의 1층을 구성하고, 제2 모듈(20)은 전기실(1)의 2층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실(1)은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모듈(20)은 지붕(21)과, 지붕(21)과 체결되어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22)과, 제2 지지 프레임(22)의 하부에서 제2 지지 프레임(22)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 프레임(23)과, 제2 연결 프레임(23)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2 연결 프레임(23)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격자 모양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바닥 프레임(24)과, 제2 지지 프레임(22)에 부착되는 제2 벽체 패널(25)과, 제2 바닥 프레임(24)에 부착되는 제2 바닥 패널(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 프레임(22)과 제2 벽체 패널(25)은 제2 모듈(20)의 측벽 구조를 구성하고, 제2 연결 프레임(23)과 제2 바닥 프레임(24)과 제2 바닥 패널(26)은 제2 모듈(20)의 바닥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지붕(21)은 눈과 비 등을 차단하고 빗물 등이 고이지 않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벽체 패널(25)은 강판을 접어서 형성되는 주름골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제2 바닥 패널(26)은 무늬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볼트 체결을 통해서 제2 지지 프레임(22) 및 제2 바닥 프레임(24)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22)은 제2 연결 프레임(23)으로부터 하부로 소정 거리만큼 더 연장된 선단에 제2 체결판(29)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모듈(20) 내에는 조명, 공조를 위한 환풍장치, 에어컨디셔너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듈(20)은 제1 모듈(10) 상에 놓여서 제1 모듈(10)과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프레임(22)의 하부로 연장된 선단에 구비되는 제2 체결판(29)이 제1 지지 프레임(14)의 상부로 연장된 선단에 구비되는 제1 체결판(19)과 접하는 구조로 제2 모듈(20)을 제1 모듈(10) 상에 올려놓고, 제2 체결판(29)이 제1 체결판(19) 위에 놓인 상태에서, 제1 체결판(19)과 제2 체결판(29)을 일체로 관통하는 볼트(B) 및 볼트(B)에 체결되는 너트(N)를 통해 상호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1)은 중간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모듈(30)은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모듈(30)은 제1 모듈(10)의 제1 체결판(19)과 제2 모듈(20)의 제2 체결판(29)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제1 연결 프레임(15)과 제2 연결 프레임(23)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을 내부 공간으로 가질 수 있다. 즉, 중간 모듈(30)은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중간 모듈(30)은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 내에 각각 구비되는 전기장치(ED)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C)과, 이러한 케이블(C)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T)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중간 모듈(30)은 제1 모듈(10)의 제1 연결 프레임(15)과 천장 패널(18)을 바닥 구조로 하고, 제2 모듈(20)의 제2 연결 프레임(23)과 제2 바닥 패널(26)을 천장 구조로 할 수 있다.
중간 모듈(30)은 제1 연결 프레임(15)과 제2 연결 프레임(23)에 부착되어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중간 벽체 패널(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모듈(30)이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체결판(19)과 제2 체결판(29)에 체결될 수 있는 수직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미도시)과 체결되는 앵글 프레임(미도시)이 골격을 이루는 별개의 강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듈(10) 상에 중간 모듈(30)이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고, 중간 모듈(30) 상에 제2 모듈(20)이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1)은 발코니(40)와 계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10)의 제1 벽체 패널(17)과 제2 모듈(20)의 제2 벽체 패널(25)에는 각각 내부 출입을 위한 문(17-1, 25-1)이 구비될 수 있다.
발코니(40)는 2층에 해당하는 제2 모듈(20)의 제2 벽체 패널(25)의 외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계단(50)은 발코니(40)를 매개로 제2 벽체 패널(25)에 구비되는 문(25-1)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계단(50)과 발코니(40)를 통해서 제2 모듈(20) 내부로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실(1)은 강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배전반 등의 전기장치가 배치되는 제1 모듈(10)과, 강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전기장치가 배치되는 제2 모듈(20)을 각각 현장이 아닌 제작공장 내에서 개별적으로 사전 제작하고,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을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설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10, 20)이 상호 조립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송이 간편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 사이에 중간 모듈(30)을 구비하여 각종 케이블들을 수용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 모듈(10) 상에 제2 모듈(20)이 탈착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층이 아닌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구현하여 대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식성이 강한 강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옥외 지역, 예컨대 해안가나 습도가 높은 지역에 설치 시 부식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조립식 전기실
10... 제1 모듈
20... 제2 모듈
30... 제3 모듈
40... 발코니
50... 계단
ED... 전자장치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되는 제1 바닥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체결되어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천장 프레임과, 상기 제1 바닥 프레임 상에 부착되는 제1 바닥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1 벽체 패널과, 상기 천장 프레임에 부착되는 천장 패널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지붕과, 상기 지붕과 체결되어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바닥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벽체 패널과, 상기 제2 바닥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상에 배치되는 제2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내에 각각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내부에 구비하는 중간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 상에서 상기 제1 모듈과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선단에 제1 체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선단에 제2 체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을 일체로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상호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모듈은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공간을 내부 공간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모듈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중간 벽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체 패널과 상기 제2 벽체 패널에는 각각 내부 출입을 위한 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벽체 패널의 외측에 제공되는 발코니를 매개로 상기 문과 연결되는 계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실.
KR1020180027092A 2018-03-07 2018-03-07 조립식 전기실 KR10217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92A KR102174955B1 (ko) 2018-03-07 2018-03-07 조립식 전기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092A KR102174955B1 (ko) 2018-03-07 2018-03-07 조립식 전기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02A true KR20190106102A (ko) 2019-09-18
KR102174955B1 KR102174955B1 (ko) 2020-11-05

Family

ID=6807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092A KR102174955B1 (ko) 2018-03-07 2018-03-07 조립식 전기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13B1 (ko) 2020-09-09 2022-01-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다층구조 조립식 전기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558B2 (ja) * 1991-11-14 1997-03-0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の積み重ね方法およびその治具
JP2799480B2 (ja) * 1993-05-24 1998-09-17 東北グレーダー株式会社 伸縮組立ハウスおよび2階建て伸縮組立ハウス
JPH11196525A (ja) * 1997-12-26 1999-07-21 Toyota Motor Corp ユニット工法における配線方法
JP5775410B2 (ja) * 2011-08-25 2015-09-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558B2 (ja) * 1991-11-14 1997-03-0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の積み重ね方法およびその治具
JP2799480B2 (ja) * 1993-05-24 1998-09-17 東北グレーダー株式会社 伸縮組立ハウスおよび2階建て伸縮組立ハウス
JPH11196525A (ja) * 1997-12-26 1999-07-21 Toyota Motor Corp ユニット工法における配線方法
JP5775410B2 (ja) * 2011-08-25 2015-09-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13B1 (ko) 2020-09-09 2022-01-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다층구조 조립식 전기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955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8341C2 (ru) Модульное здание
US20180073238A1 (en) A building access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uilding with such a building access system
CN110612373A (zh) 建筑物的预制预装饰体积建造
US8499504B1 (en) Prefabricate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KR20190106102A (ko) 조립식 전기실
EP2792803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20200038594A (ko) 조립식 전기실
CN202202580U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RU2312191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модульного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JP639944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WO2022067416A1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модульного здания
WO2009108986A1 (en) A transportable building including a roof structure for stacking of multiple buildings
CN205976631U (zh) 一种撬装化可移动控制室
EP0053863B1 (en) Construction system for a dwelling together with a dwelling built in this way
RU141119U1 (ru) Разборные модули для малоэтаж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CN218234529U (zh) 一种新型复式地下车库
KR20050049015A (ko) 조립식 건축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415505B2 (ja) 集合住宅及び集合住宅施工方法
KR20180066345A (ko) 이중 천장 모듈 시스템
JPH03217531A (ja) 工業化住宅の屋根ユニット
JP6399339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WO2021078970A1 (en) Prefabricated bathroom module with leakage protection
AU2008352420B2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roof structure
JP2001302137A (ja) エレベータの塔屋の構造
CN107605049A (zh) 一种活动板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