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006A -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006A
KR20190106006A KR1020180026877A KR20180026877A KR20190106006A KR 20190106006 A KR20190106006 A KR 20190106006A KR 1020180026877 A KR1020180026877 A KR 1020180026877A KR 20180026877 A KR20180026877 A KR 20180026877A KR 20190106006 A KR20190106006 A KR 2019010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outlet
electric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상
이재진
Original Assignee
김용상
이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상, 이재진 filed Critical 김용상
Priority to KR102018002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006A/ko
Publication of KR2019010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에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승인하여 전기차의 충전시에 사용된 전기차용 콘센트, 전기계량기에 대한 충전비용을 정산할 수 있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요구성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플러그(210)가 체결되고 고유 ID, 위치정보, 연결된 전기계량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와; 일단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되는 전기플러그(210)가 형성되고, 타단이 전기차에 연결되는 전기충전기(220)가 형성되며 각종 메뉴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며 확인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고,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받은 충전승인신호에 따라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를 전기차로 제공하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통신하면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가 전기차로 공급될 수 있도록 충전을 승인하고 비용결제 등을 관리하는 충전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Charge management system of electric car}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에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승인하여 전기차의 충전시에 사용된 전기차용 콘센트, 전기계량기에 대한 충전비용을 정산할 수 있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 각국별로 환경오염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전지의 재충전을 위한 충전소 설치 등의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전기차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충전기는 벽전원에 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체결되는 전기플러그와 전기차에 연결되는 전기충전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콘센트의 전기를 전기차에 제공한다. 이러한 상용전원은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경우에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계량기에서 소비되는 전기량에서 전기차의 충전으로 소비되는 전기량을 제외하고 과금해야 하지만 전기차용 콘센트에서 소비된 전기량만을 제외하고 어려워 전용 전기차용 콘센트와 전기례량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에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승인하여 전기차의 충전시에 사용된 전기차용 콘센트, 전기계량기에 대한 충전비용을 정산할 수 있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전기차용 콘센트에서 비콘신호를 발생시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의 사용자가 초행길이더라도 전기차용 콘센트의 위치를 간단하게 확인하여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플러그(210)가 체결되고 고유 ID, 위치정보, 연결된 전기계량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와; 일단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되는 전기플러그(210)가 형성되고, 타단이 전기차에 연결되는 전기충전기(220)가 형성되며 각종 메뉴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며 확인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고,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받은 충전승인신호에 따라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를 전기차로 제공하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통신하면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가 전기차로 공급될 수 있도록 충전을 승인하고 비용결제 등을 관리하는 충전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각종 메뉴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241)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관리부(242)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콘센트 정보인식부(243)와; 전기플러그(210)가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되면 전기차용 콘센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콘센트 접속확인부(244)와; 전기충전기(220)가 전기차에 연결되면 전기차와 통신하면서 전기차의 접속을 확인하고 전기차의 전기충전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는 전기차 접속확인부(245)와;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를 통해서 확인된 자동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식별정보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면서 충전승인을 요청하는 충전승인 요청부(246)와;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충전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서 전기차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차량 충전관리부(247)와; 전기차용 콘센트(100)를 통해서 전기차로 공급된 충전량을 확인하면서 충전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충전량을 제공하는 충전량 확인부(248)와; 사용자가 전기차로 공급된 전기의 충전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충전결제 관리부(249);를 포함하고,
충전관리서버(30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전기차용 콘센트 관리부(31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충전기 관리부(32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스마트 충전기의 정보, 연결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와 함께 충전요청정보를 제공받는 충전요청 접수부(330)와; 충전요청 접수부(330)를 통해 접수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되면 충전승인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하는 충전요청 승인부(34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충전량을 제공받아 스마트폰 충전기의 사용자정보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충전량 관리부(35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를 통해서 충전량에 대한 결제를 요청받으면 승인하고,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결제정보 관리부(360)와; 스마트 충전기의 충전량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하는 결제완료 전송부(370)와; 전기차용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계량기의 사용 전력량에서 전기차용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량을 차감되도록 관리하는 전기계량기 관리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플러그(210)는 전력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릴레이(221)가 내장되고, 차량 충전관리부(247)는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충전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전기플러그(210)에 내장되어 있는 릴레이(221)를 온시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가 전기차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는 내장되거나 또는 외면에장착된 식별태그에 내장되어 장착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가 내장된 경우에는 전기플러그(210)의 접속시에 유선으로 고유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가 식별태그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별태그 인식기를 이용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차용 콘센트(100)는 고유의 비콘신호를 발생하는 비콘이 장착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는 비코신호 수신기로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충전관리서버(300)의 충전요청 승인부(34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로부터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스마트 충전기의 정보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되는 경우에만 충전승인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관리서버에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에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승인하기 때문에 전기차의 충전시에 사용되는 전기차용 콘센트, 전기계량기에 대한 충전비용을 정확하게 정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차용 콘센트에서 비콘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의 사용자가 초행길이더라도 전기차용 콘센트의 위치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전관리서버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에서 제공받은 전기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와 전기차용 콘센트에서 제공받은 접속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에 대한 정보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충전을 승인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전기차용 콘센트를 이용하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관리서버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은 단위 충전 구역에 구비되어 전기차의 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와 전기차에 연결되어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를 차량으로 제공하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를 이용한 충전과 결제 등을 관리하는 충전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전기차용 콘센트(100)는 관공서의 주차장, 아파트의 주차장, 휴게소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계량기에 연결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플러그(210)가 체결된다. 전기차용 콘센트(100)는 ID, 위치정보, 연결된 전기계량기 정보 등의 고유정보가 내장되거나 또는 고유정보가 기록된 RFID, QR 등의 식별태그가 외면에 장착되거나 또는 고유의 비콘신호를 발생하는 비콘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기차용 콘센트(100)에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사용자가 초행길이더라도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위치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비콘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차용 콘센트(10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가 접속되면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유무선 통신으로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일단은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되는 전기플러그(210)가 형성되고, 타단은 전기차에 연결되는 전기충전기(220)가 형성되며 각종 메뉴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며 확인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고,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받은 충전승인신호에 따라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를 전기차로 제공한다. 전기플러그(210)에는 전력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릴레이(221)가 내장된다. 또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디스플레이 관리부(241), 식별정보 관리부(242), 콘센트 정보인식부(243), 콘센트 접속확인부(244), 전기차 접속확인부(245), 충전승인 요청부(246), 차량 충전관리부(247), 충전량 확인부(248), 충전결제 관리부(249), 영수증 관리부(2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관리부(241)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각종 메뉴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관리부(241)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부(230)에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 연결상태, 충전스위치, 충전여부, 충전량, 결제정보 등이 표시된다.
식별정보 관리부(242)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식별정보에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소유자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한다.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표시되는 '콘센트 확인' 메뉴가 선택되면 확인된 콘센트의 고유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가 내장된 경우에는 전기플러그(210)의 접속시에 유선으로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가 식별태그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RFID, QR인 경우에는 RFID 인식기, QR 인식기를 이용하여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식별태그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비콘이 장착된 경우에는 비콘신호 수신기를 이용하여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콘센트 정보인식부(243)가 비콘신호 수신기인 경우에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주위에 전기차용 콘센트(100)가 존재하는 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센트 접속확인부(244)는 전기플러그(210)가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되면 전기차용 콘센트의 연결을 확인한다. 이때, 콘센트 접속확인부(244)에 의해서 확인된 접속은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된다.
전기차 접속확인부(245)는 전기충전기(220)가 전기차에 연결되면 전기차와 통신하면서 전기차의 접속을 확인하고 전기차의 전기충전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한다. 이때, 전기차 접속확인부(245)에 의해서 확인된 전기차의 전기충전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된다.
충전승인 요청부(246)는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를 통해서 확인된 자동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식별정보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면서 충전승인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충전요청부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표시되는 '충전요청' 메뉴가 선택되면 충전관리서버(300)로 충전을 요청하게 된다.
차량 충전관리부(247)는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충전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서 전기차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차량 충전관리부(247)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충전시작' 메뉴가 선택되면 전기플러그(210)에 내장되어 있는 릴레이(221)가 온되면서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충전량 확인부(248)는 전기차용 콘센트(100)를 통해서 전기차로 공급된 충전량을 확인하면서 충전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충전량을 제공한다. 충전량 확인부(248)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충전량' 메뉴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충전량과 충전비용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충전결제 관리부(249)는 사용자가 전기차로 공급된 전기의 충전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충전결제 관리부(249)는 '충전비용 결제' 메뉴가 선택되면 충전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30)에 카드결제 등을 안내하고, 충전비용이 결제되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영수증 관리부(250)는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결제완료신호가 접수되면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영수증 관리부(250)는 '영수증 출력' 메뉴가 선택되면 충전비용에 대한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또는 이메일로 제공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관리서버(30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통신하면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가 전기차로 공급될 수 있도록 충전을 승인하고 비용결제 등을 관리한다. 이러한 충전관리서버(300)는 전기차용 콘센트 관리부(310), 스마트 충전기 관리부(320), 충전요청 접수부(330), 충전요청 승인부(340), 충전량 관리부(350), 결제정보 관리부(360), 결제완료 전송부(370), 전기계량기 관리부(380)를 포함한다.
전기차용 콘센트 관리부(31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ID, 설치된 위치정보, 연결된 전기계량기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전기차용 콘센트(100)에는 비콘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비콘장치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요청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충전기 관리부(32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스마트 충전기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식별정보이며, 추가적으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요청 접수부(33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스마트 충전기의 정보, 연결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와 함께 충전요청정보를 제공받는다.
충전요청 승인부(340)는 충전요청 접수부(330)를 통해 접수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되면 충전승인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한다. 특히, 충전요청 승인부(34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로부터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스마트 충전기의 정보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되는 경우에만 충전승인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량 관리부(35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충전량을 제공받아 스마트폰 충전기의 사용자정보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충전량 관리부(350)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충전정보와 사용자의 충전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결제정보 관리부(36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를 통해서 충전량에 대한 결제를 요청받으면 승인하고,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결제정보 관리부(36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에서 입력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등을 확인하여 실시간 결제하거나 또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에 설치된 ISP 등의 결제어플에 등록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거나 또는 계좌이체 등을 통해서 결제할 수 있다.
결제완료 전송부(370)는 스마트 충전기의 충전량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영수증을 즉석에서 출력하거나 또는 이메일 등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전기계량기 관리부(380)는 전기차용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계량기의 사용 전력량에서 전기차용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량을 차감되도록 관리한다. 이러한 전기계량기 관리부(380)에 의해서 전기계량기에서 사용된 사용량의 비용만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사용상태에 설명한다.
먼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RFID, QR 등의 고유정보가 내장된 경우에는 전기플러그(210)의 접속시에 유선으로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가 식별태그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RFID, QR인 경우에는 RFID 인식기, QR 인식기를 이용하여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식별태그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비콘이 장착된 경우에는 비콘신호 수신기를 이용하여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콘센트 정보인식부(243)가 비콘신호 수신기인 경우에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주위에 전기차용 콘센트(100)가 존재하는 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플러그(210)를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충전기(220)를 전기차에 연결한다. 스마트 충전기와 전기차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각각 연결상태가 표시된다.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와 전기차가 연결되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대한 정보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면서 충전승인을 요청한다.
충전관리서버(300)는 접수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전기차용 콘센트(100)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되면 충전승인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한다.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충전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서 전기차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230)의 '충전시작' 메뉴를 작동시키면 릴레이(221)가 온되면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가 전기차로 제공되게 된다.
한편, 전기차로 제공되는 충전량과 충전비용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비용이 결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30)에 카드결제 등을 안내한다.
그리고,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결제완료신호가 접수되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한편,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결제완료신호가 접수되면 '영수증' 메뉴를 통해서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메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관리서버(30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에서 전송된 전기량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된 전기계량기의 사용 전력량에서 전기차용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량을 차감한다. 이러한 전기계량기 관리부(380)에 의해서 전기계량기에서 사용된 사용량의 비용만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전기차용 콘센트 200 :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
210 : 전기플러그 220 : 전기충전기
221 : 릴레이 230 : 디스플레이부
241 : 디스플레이 관리부 242 : 식별정보 관리부
243 : 콘센트 정보인식부 244 : 콘센트 접속확인부
245 : 전기차 접속확인부 246 : 충전승인 요청부
247 : 차량 충전관리부 248 : 충전량 확인부
249 : 충전결제 관리부 250 : 영수증 관리부
300 : 충전관리서버 310 : 전기차용 콘센트 관리부
320 : 스마트 충전기 관리부 330 : 충전요청 접수부
340 : 충전요청 승인부 350 : 충전량 관리부
360 : 결제정보 관리부 370 : 결제완료 전송부
380 : 전기계량기 관리부

Claims (9)

  1.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플러그(210)가 체결되고 고유 ID, 위치정보, 연결된 전기계량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와;
    일단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되는 전기플러그(210)가 형성되고, 타단이 전기차에 연결되는 전기충전기(220)가 형성되며 각종 메뉴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하며 확인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고,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받은 충전승인신호에 따라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를 전기차로 제공하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통신하면서 접속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가 전기차로 공급될 수 있도록 충전을 승인하고 비용결제 등을 관리하는 충전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각종 메뉴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241)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관리부(242)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콘센트 정보인식부(243)와;
    전기플러그(210)가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되면 전기차용 콘센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콘센트 접속확인부(244)와;
    전기충전기(220)가 전기차에 연결되면 전기차와 통신하면서 전기차의 접속을 확인하고 전기차의 전기충전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는 전기차 접속확인부(245)와;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를 통해서 확인된 자동차용 콘센트에 대한 정보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식별정보를 충전관리서버(300)로 제공하면서 충전승인을 요청하는 충전승인 요청부(246)와;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충전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전기차용 콘센트(100)에서 전기차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차량 충전관리부(247)와;
    전기차용 콘센트(100)를 통해서 전기차로 공급된 충전량을 확인하면서 충전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충전량을 제공하는 충전량 확인부(248)와;
    사용자가 전기차로 공급된 전기의 충전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충전결제 관리부(249);를 포함하고,
    충전관리서버(30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전기차용 콘센트 관리부(31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충전기 관리부(32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스마트 충전기의 정보, 연결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와 함께 충전요청정보를 제공받는 충전요청 접수부(330)와;
    충전요청 접수부(330)를 통해 접수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되면 충전승인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하는 충전요청 승인부(34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충전량을 제공받아 스마트폰 충전기의 사용자정보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충전량 관리부(350)와;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를 통해서 충전량에 대한 결제를 요청받으면 승인하고,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결제정보 관리부(360)와;
    스마트 충전기의 충전량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하는 결제완료 전송부(370)와;
    전기차용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계량기의 사용 전력량에서 전기차용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량을 차감되도록 관리하는 전기계량기 관리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전기플러그(210)는 전력공급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릴레이(221)가 내장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차량 충전관리부(247)는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충전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전기플러그(210)에 내장되어 있는 릴레이(221)를 온시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전기가 전기차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는 내장되거나 또는 외면에장착된 식별태그에 내장되어 장착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는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가 내장된 경우에는 전기플러그(210)의 접속시에 유선으로 고유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고,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고유정보가 식별태그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별태그 인식기를 이용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기차용 콘센트(100)는 고유의 비콘신호를 발생하는 비콘이 장착되고,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콘센트 정보인식부(243)는 비코신호 수신기로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충전관리서버(300)로부터 결제완료신호가 접수되면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영수증 관리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충전관리서버(300)의 충전요청 승인부(340)는 전기차용 콘센트(100)로부터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의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스마트 충전기의 정보와 전기차용 콘센트(100)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되는 경우에만 충전승인신호를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충전관리서버(300)의 결제정보 관리부(360)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에서 입력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등을 확인하여 실시간 결제하거나 또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에 설치된 결제어플에 등록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거나 또는 계좌이체 등을 통해서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휴대용 스마트 충전기(200)는 전기플러그(210)가 전기차용 콘센트(100)에 연결하고 전기충전기(220)가 전기차에 연결되면 각각의 연결상태를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KR1020180026877A 2018-03-07 2018-03-07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KR20190106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77A KR20190106006A (ko) 2018-03-07 2018-03-07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77A KR20190106006A (ko) 2018-03-07 2018-03-07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006A true KR20190106006A (ko) 2019-09-18

Family

ID=6807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77A KR20190106006A (ko) 2018-03-07 2018-03-07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0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43B1 (ko) * 2021-03-23 2022-03-29 송민서 멀티기능을 결합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490901B1 (ko) * 2021-11-26 2023-01-20 주식회사 세종지에스 전기차 충전 요금 납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43B1 (ko) * 2021-03-23 2022-03-29 송민서 멀티기능을 결합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490901B1 (ko) * 2021-11-26 2023-01-20 주식회사 세종지에스 전기차 충전 요금 납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6930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off-l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JP5163238B2 (ja) 充電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充電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
US20100274570A1 (en) Vehicle charging authorization
TWI582722B (zh) The use of smart cars in the service point to pay the system and methods
KR101623338B1 (ko) 도전 방지를 위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이를 위한 전기차의 충전 인증 시스템
CA3084854C (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ee calculation, and vehicle payment system
EP2500209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CN101895137A (zh) 利于电动车辆的充电机会的方法
KR101192004B1 (ko) 차량 부착 과금장치를 갖는 전기구동 이동체의 충전 과금 시스템
KR101900946B1 (ko) 식별코드스캔부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결제 시스템
US9669722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JP2010079456A (ja) 移動体用電力料金課金システム
KR20210032107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관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20110059992A (ko) 전기자동차의 과금시스템 및 과금방법
KR102382606B1 (ko) 자동 인증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장치
KR102216136B1 (ko) 유료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충전 관리시스템
KR20190106006A (ko) 전기차의 충전 관리시스템
KR101142746B1 (ko) 차량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319312B1 (ko) 비접촉식 전기구동 이동체를 위한 전기 요금의 과금 방법 및 장치
KR20110084634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산방법
KR101227433B1 (ko) 모바일 카드용 하이패스 전환기 및 전환 방법
KR20190023724A (ko)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881138B1 (ko) 공중전화 시설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8772A (ko) 공공장소에서의 운송기 전력충전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102551396B1 (ko) 전기차의 자동 충전 보안성을 높이는 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