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754A -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 - Google Patents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754A
KR20190105754A KR1020180026244A KR20180026244A KR20190105754A KR 20190105754 A KR20190105754 A KR 20190105754A KR 1020180026244 A KR1020180026244 A KR 1020180026244A KR 20180026244 A KR20180026244 A KR 20180026244A KR 20190105754 A KR20190105754 A KR 20190105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blocks
service
hopping
lis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호
박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2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754A/ko
Publication of KR2019010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에서, 상기 간섭회피 방법은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그룹들은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되며, 하나의 그룹은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을 포함한다.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공받는다.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호핑(hopping)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한다.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리스트의 순서를 바탕으로 다른 그룹으로 호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NB-IOT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에서 간섭을 회피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상기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 release-13에 정의된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기술은 20dB 커버리지의 확대, 긴 배터리의 사용, 용이한 설치, 낮은 디바이스 단가, 서비스 디바이스 수의 획기적인 증대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표준으로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가지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NB-IoT 구현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 주파수 내에 1RB(resource block)를 사용하는 In-Band 모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서비스 주파수의 가드밴드(guard-band) 내의 1RB를 사용하는 Guard-Band 모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서비스 주파수 외의 기타 주파수(Non-LTE wireless channel)에서 1RB를 사용하는 Stand-Alone 모드가 가능하다.
이러한 NB-IoT 기술은 1RB(200 kHz)의 협대역을 사용하며 최소의 리소스(resource)를 기반으로 매우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장점은 있으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복구가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In-Band 모드를 통한 NB-IoT 기술의 경우, 설사 LTE 서비스 주파수 내에 NB-IoT 전용 서비스를 위한 RB을 설정하더라도, LTE 신호가 NB-IoT 서비스에서의 수신 신호에 간섭을 야기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종래의 NB-IoT 서비스에서는, 특히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을 위해 LTE 서비스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간섭복구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일정 시간의 경과 후 재전송으로 동작을 대체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이에 따라 간섭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NB-IoT 서비스에서는 실시간 서비스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2195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NB-IoT 서비스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기 확보된 다른 리소스 블록들 중 하나로 호핑(hopping)을 수행하여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실시간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그룹들은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되며, 하나의 그룹은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을 포함한다.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공받는다.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호핑(hopping)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한다.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리스트의 순서를 바탕으로 다른 그룹으로 호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하나의 리소스 블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머지 리소스 블록들은 상기 서비스 제공 리소스 블록의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에서, 각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을 비교하여, 호핑 가능한 리스트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PUC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제공되는 리소스 블록들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할당된 그룹들 전체의 리소스 블록들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섭회피 방법은 상기 확보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NPDCCH를 통해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기지국은 업링크(UL)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단말은 다운링크(DL)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UL 응답 메시지 및 상기 DL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은 호핑된 다른 그룹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할당된 그룹들의 대역은 LTE/LTE-A 서비스 주파수 대역 내에 속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는 수신부, 호핑 리스트부 및 호핑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간섭회피 장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된 복수의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하나의 그룹은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호핑 리스트부는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한다. 상기 호핑부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리스트의 순서를 바탕으로 다른 그룹으로 호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핑 리스트부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제공되는 리소스 블록들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취합하는 정보 취합부, 및 각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 및 상기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이 속한 그룹을 선택하는 리소스 블록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섭회피 장치는 상기 확보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 및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제공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송신부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리스트의 순서를 바탕으로 다른 그룹으로 호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그룹의 리소스 블록으로 호핑하여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간섭과 무관하게 실시간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CQI 메시지를 바탕으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한 네트워크 상태에서 리스트 상의 순서를 바탕으로 가장 우수한 네트워크 상태의 리소스 블록으로 호핑을 수행하므로 가장 안정적인 리소스 블록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소스 블록들은 복수개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해당 그룹의 리소스 블록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해당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한 개의 리소스 블록으로만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블록은 전력 증가용으로 사용하므로 정보 제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핑 리스트를 확보하는 경우, 각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들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리소스 블록이 속하는 그룹을 최우선 호핑 리스트로 선정함으로써, 하나의 그룹에서 정해진 대역의 리소스 블록들만 비교하여 호핑 리스트를 선정하는 것보다 우수한 통신 네트워크 상태의 리소스 블록을 호핑 리스트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보된 호핑 리스트 정보는 기지국과 단말이 공유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이 호핑의 수행시 동일한 리소스 블록이 속하는 그룹으로의 호핑을 수행할 수 있어, 불필요한 통신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수신하는 UL ACK/NACK 메시지와 단말이 수신하는 DL ACK/NACK 메시지 중 어느 하나라도 수신되지 않는다면 호핑을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간섭 회피 방법은, LTE/LTE-A 서비스와의 간섭이 보다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는 In-Band 모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시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NB-IoT를 구현하는 모드들로서, In-Band 모드, Guard-Band 모드 및 Stand-Alone 모드를 각각 도시한 모식도들이다.
도 2a는 In-Band 모드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소스 블록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b는 In-Band 모드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리소스 블록들의 리스트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5는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을 위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단말이 각 RB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4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이 호핑 가능한 그룹 및 RB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이 호핑 가능한 그룹 및 RB를 선택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이 호핑 가능한 그룹 및 RB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ACK/N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호핑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고정국(Fixed Station), 노드 B(Node B), eNB(evolved-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ystem: BTS), 접근점(Access Point: AS),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이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휴대 가입자국(Mobile(Portable) Subscriber Station: MS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AMS(Advanced Mobile Station),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WT),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이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e: UL)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명확성을 해, 3GPP LTE/LTE-A(advance)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는 In-Band 모드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소스 블록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b는 In-Band 모드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리소스 블록들의 리스트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서비스는 In-Band 모드 서비스로서, LTE/LTE-A 서비스 주파수 내에 1(P)RB(physical resource block)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서는 10MHz의 LTE/LTE-A 서비스 주파수 대역에서, 200kHz의 협대역을 사용하는 NB-IoT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로서, 이에 따라 총 50(P)RB 중 임의의 1(P)RB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제조사별로, LTE/LTE-A 서비스 주파수 내에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용으로 사용되는 대역을 정의하여 제공하며, 이에 따라 기지국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lock) 형태로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한다.
이 경우, 상기 할당되는 블록의 크기는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으나, 대략 3RB(resource block) 내지 6RB(resource block)의 범위로 1개의 그룹을 형성하여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RB를 기본 할당 자원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렇게 제공되는 4개의 리소스 블록들을 하나의 그룹(group)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렇게 4RB를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하는 경우,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LTE-A 서비스 주파수 내에서 복수 개(그룹 1(10), ..., 그룹 N(N0))로 할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을 통해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4개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이 포함되는 경우, 그 중 어느 하나의 리소스 블록(1RB)(11, ..., N1)을 통해서만 정보를 제공하고, 나머지 3개의 리소스 블록들(3RB)(1b, ..., Nb)은 정보가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상기 정보가 없는 상태인 3개의 리소스 블록들(1b, ..., Nb)은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리소스 블록(11, ..., N1)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 즉 상기 하나의 리소스 블록(11, ..., N1)이 나머지 3개의 리소스 블록들(1b, ..., Nb)의 가용 가능한 모든 리소스를 사용하여 파워 부스팅(power boosting)됨으로써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커버리지(coverage)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상기 선택된 1개의 리소스 블록(11, ..., N1)은 최대 6dB까지 부스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그룹에서 가장 상태가 양호한 리소스 블록을 선택하여, 선택된 리소스 블록을 정보 제공을 위한 리소스 블록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을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5는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을 위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단말이 각 RB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4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이 호핑 가능한 그룹 및 RB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이 호핑 가능한 그룹 및 RB를 선택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이 호핑 가능한 그룹 및 RB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ACK/N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3의 간섭회피 방법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호핑하는 단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에서는, 기 선택된 K번째 그룹(또는 그룹 K)(N개의 그룹 중 임의의 한 그룹)을 통해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10).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K번째 그룹의 4RB 중 가장 상태가 우수한 1RB를 통해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1 송신부(110)를 통해 기지국(200)의 제2 수신부(210)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 할당된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20).
이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로서,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링크(downlink) 채널(channel)의 상태를 측정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200)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란, 네트워크 상태 정보로서, 결국 네트워크 송수신 상태 정보, 즉 데이터 송수신 상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태 정보가 우수할수록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메시지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단말(100)에서 제공되는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는, 궁극적으로는 호핑(hopping)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므로,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K번째 그룹 및 K번째 그룹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상태 정보는 제외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시예에 따라서는, K번째 그룹 및 K번째 그룹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상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즉,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는 K번째 그룹 및 K번째 그룹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들에서 별도의 간섭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보다 좋은 상태를 가지는 그룹 및 해당 그룹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이 있다면 해당 그룹 및 해당 리소스 블록으로 호핑(hopping)을 유도하여 미리 간섭을 예방하고 보다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미리 보다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핑을 수행한다면,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는 K번째 그룹 및 K번째 그룹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상태 정보도 동시에 제공하여 여타의 그룹 및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상태 정보와 비교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제1 송신부(110)에서 상기 CQI 메시지를 제공하고, 업링크(UL) ACK/NACK 메시지(UL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수신부(210)로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되는 상기 업링크(UL) ACK/NACK 메시지는 후술하겠으나, 호핑(hopping)의 판단 기준이 된다.
이후,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호핑(hopping) 가능한 그룹(Group) 및 리소스 블록(RB)의 리스트를 확보한다(단계 S30).
즉,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제2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CQI 메시지를 전송받아, 각각의 리소스 블록들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우수한 상태의 리소스 블록들의 순서로 리스팅하여 호핑(hopping) 가능한 리스트를 확보하는 호핑 리스팅부(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핑 리스팅부(220)는 정보 취합부(221)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취합부(221)에서는, 우선, 상기 CQI 메시지를 바탕으로 수신된 리소스 블록들의 상태 정보를 취합한다.
일반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200, 201, 202)은 각각 특정 영역(300, 301, 302)의 내에 있는 단말들(100, 101, 102)에게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 내에서 복수개의 단말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 내의 복수의 단말들 각각은, 다운링크 채널의 상태를 측정한 CQI 메시지를 상기 특정 영역을 커버하는 하나의 기지국으로 제공한다.
이 경우, 각각의 단말들은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할당된 모든 리소스 블록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는 없으므로, 해당 단말이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리소스 블록들에 대하여만 상기 기지국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1>은 그룹 1(10) 및 이에 속하는 4RB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2>는 그룹 6(60) 및 이에 속하는 4RB에 대한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특정 영역 내에 속하는 단말들의 개수가 M개라고 가정하면, 상기 M개의 단말들은 각각 1개 이상의 그룹들 및 이에 속하는 4RB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하나의 기지국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만 제공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단말은 2개 이상의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M개의 단말들로부터 제공되는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기지국의 정보 취합부(221)에 의해 취합되며, 결국 협대역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N개의 그룹들 중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는 그룹을 제외한 (N-1)개 그룹들(10, 20, ..., N0)의 각각의 RB들에 대한 상태 정보가 획득된다.
이와 같이 (N-1)개 그룹들(10, 20, ..., N0)의 각각의 RB들에 대한 상태 정보가 제공되면, 결국 (N-1)개 각각의 그룹들에서 가장 상태가 우수한 RB들(12, 34, 53, 61, ..., N3)에 대한 정보도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호핑 리스팅부(220)의 리소스 블록 선택부(222)에 의해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로부터 가장 상태가 우수한 리소스 블록을 선택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장 상태가 우수한 리소스 블록이 속하는 그룹이 선택된다.
이 경우, 상기 리소스 블록 선택부(222)는 각각 하나의 그룹 및 하나의 리소스 블록만을 선택하는 것 외에, 상태가 우수한 순서대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을 리스팅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취합부(221)에 의해, (N-1)개의 그룹들(10, 20, ..., N0)의 각각의 RB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각각의 그룹들에서 가장 상태가 우수한 RB들(12, 34, 53, 61, ..., N3)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리소스 블록 선택부(222)는 해당 그룹에서 가장 상태가 우수한 RB들(12, 34, 53, 61, ..., N3)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상태가 우수한 RB 및 해당 RB가 속하는 그룹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그룹 N(N0)에 속하는 RB 중 가장 상태가 우수한 RB(N3)가 여타의 그룹들을 대표하는(즉, 여타의 그룹들 각각에서 상태가 가장 우수한) RB들(12, 34, 53, 61)보다 상태가 우수하다고 판단되면, 그룹 N의 3번째 RB(N3)를 가장 우수한 리소스 블록으로 선택하며, 이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그룹 N(N0)을 가장 우수한 그룹으로 선택하여 리스팅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8에서는 가장 우수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만 선택되어 리스팅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2번째, 3번째 등의 순서로 상태가 우수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을 리스팅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그룹에서 가장 우수한 리소스 블록 하나만을 선택하는 것에 대하여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서는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통해서만 정보를 제공하고 나머지 리소스 블록들은 정보의 제공 없이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상기 호핑 리스팅부(220)에서는 상기 정보 취합부(221) 및 상기 리소스 블록 선택부(222)를 통해 상태가 우수한 순서로 그룹들 및 리소스 블록들을 리스팅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리스팅된 호핑 가능한 그룹들 및 리소스 블록들의 정보는 제2 호핑부(230)로 제공되어 저장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는 그룹도 포함하여 N개의 그룹들의 각각의 RB들에 대한 상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는,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는 그룹 및 RB에서 간섭이 발생하지는 않더라도 보다 우수한 상태의 그룹 및 RB가 존재한다면 미리 호핑을 수행하여 보다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호핑 리스팅부(220)의 리소스 블록 선택부(222)에 의해 상기 N개 그룹들 각각에서,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로부터 가장 상태가 우수한 리소스 블록을 선택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장 상태가 우수한 리소스 블록이 속하는 그룹이 선택된다.
이 경우, 상기 리소스 블록 선택부(222)는 각각 하나의 그룹 및 하나의 리소스 블록만을 선택하는 것 외에, 상태가 우수한 순서대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을 리스팅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간섭이 발생하기 전에 보다 우수한 상태의 그룹 및 리소스 블록으로 호핑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간섭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생략되며, 즉각적으로 우수한 상태의 그룹 및 리소스 블록으로 호핑을 수행하게 된다.
이 후,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200)에서는, 제2 송신부(240)를 통해 상기 호핑 리스팅부(220)에서 확보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상기 단말(100)의 제1 수신부(140)로 제공한다(단계 S40).
이 때, 상기 호핑 리스팅부(220)의 정보 취합부(221)에서 취합된 (N-1)개의 그룹들 및 리소스 블록들의 상태 정보는 물론이며, 상기 리소스 블록 선택부(222)를 통해 상태가 우수한 순서로 리스팅된 호핑 가능한 그룹들 및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정보가 모두 상기 단말(100)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200)과 상기 단말(100)은 동일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그리하여, 추후 호핑(hopping)시 동일한 그룹의 동일 리소스 블록으로의 호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제1 수신부(140)를 통해 제공받은 호핑 가능한 그룹들 및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정보를 정보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하고, 제1 호핑부(13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여 저장한다.
이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는 NPDCCH(NB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단말(100)로 전송된다.
상기 NPDCCH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서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에 해당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이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송신부(240)에서는 상기 제1 수신부(140)로 다운링크(DL) ACK/NACK 메시지(DL 응답 메시지)를 제공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송신부(110)에서는 상기 제2 수신부(210)로 업링크(UL) ACK/NACK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200)의 제2 수신부(210)는 상기 업링크(UL) ACK/NACK 메시지가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며(단계 S50), 상기 단말(100)의 제1 수신부(140)는 상기 다운링크(DL) ACK/NACK 메시지가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0).
그리하여, 상기 업링크(UL) ACK/NACK 메시지가 수신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상기 다운링크(DL) ACK/NACK 메시지도 수신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기지국(200)과 상기 단말(100) 사이에는 간섭이 발행하지 않는 것으로 현재 서비스가 제공 중인 그룹, 즉 K번째 그룹의 1개의 리소스 블록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지국(200)에서의 이러한 일련의 리스트 제공 단계(단계 S40) 및 메시지 수신 단계(단계 S50)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송신부(240)에서는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1ms 동안 NPDCCH를 통해 상기 제1 수신부(140)로 제공하며(단계 S40), 이 후 4ms 동안의 지연(scheduling delay) 후, 3ms 동안 NPDSCH(NB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NPDSCH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에 해당된다.
이 후, 12ms 동안의 지연 후, 8ms 동안 ACK/NACK 메시지가 수신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50), 메시지 수신이 확인되면 4ms 동안의 지연 후, 다시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NPDCCH를 통해 제공한다(단계 S40).
이와 달리, 상기 업링크(UL) ACK/NACK 메시지 및 상기 다운링크(DL) ACK/NACK 메시지 중 어느 하나라도 수신되지 않는다면, 이는 상기 기지국(200)과 상기 단말(10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다른 그룹으로의 호핑(hopping)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70 및 단계 S80).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그룹 K의 가장 좌측 첫 번째 RB(K1)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에서(나머지 3개의 RB(kb)가 부스팅(boosting)을 수행함은 앞서 설명함), 상기 업링크(UL) ACK/NACK 메시지 및 상기 다운링크(DL) ACK/NACK 메시지 중 어느 하나라도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호핑부(130) 및 상기 제2 호핑부(230)는 다른 그룹으로 호핑(hopping)하여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호핑부들(130, 230)은 이미, 상태가 우수한 순서로 리스팅된 호핑 가능한 그룹들 및 리소스 블록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리스팅된 정보로부터 가장 상태가 우수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을 선택하여 해당 그룹 및 리소스 블록으로 동시에 호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스팅된 호핑 가능한 그룹들 및 리소스 블록들에서, 그룹 L의 세 번째 RB(L3)가 가장 상태가 우수하다면, 그룹 L의 세 번째 RB(L3)로 호핑하여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행한다. 이 경우, 선택된 세 번째 RB(L3) 외의 나머지 3개의 RB들(Lb)은 상기 세 번째 RB(L3)의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든 리소스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호핑이 수행된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그룹 L을 통해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수행되며,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단계들(단계 S10 내지 단계 S80)이 반복되면서 필요에 따라 다시 그룹 M으로 호핑하여 서비스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그룹의 리소스 블록으로 호핑하여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간섭과 무관하게 실시간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CQI 메시지를 바탕으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한 상태에서 리스트 상의 순서를 바탕으로 가장 우수한 상태의 리소스 블록으로 호핑을 수행하므로 가장 안정적인 리소스 블록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소스 블록들은 복수개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해당 그룹의 리소스 블록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해당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상태가 좋은 한 개의 리소스 블록으로만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블록은 전력 증가용으로 사용하므로 정보 제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핑 리스트를 확보하는 경우, 각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들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리소스 블록이 속하는 그룹을 최우선 호핑 리스트로 선정함으로써, 하나의 그룹의 정해진 대역의 리소스 블록들만 비교하여 호핑 리스트를 선정하는 것보다 우수한 통신 상태의 리소스 블록을 호핑 리스트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보된 호핑 리스트 정보는 기지국과 단말이 공유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이 호핑의 수행시 동일한 리소스 블록이 속하는 그룹으로의 호핑을 수행할 수 있어, 불필요한 통신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수신하는 UL ACK/NACK 메시지와 단말이 수신하는 DL ACK/NACK 메시지 중 어느 하나라도 수신되지 않는다면 호핑을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간섭 회피 방법은, LTE/LTE-A 서비스와의 간섭이 보다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는 In-Band 모드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시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1, 102 : 단말 110 : 제1 송신부
120 : 정보 획득부 130 : 제1 호핑부
140 : 제1 수신부
200, 201, 202 : 기지국 210 : 제2 수신부
220 : 호핑 리스팅부 221 : 정보 취합부
222 : 리소스 블록 선택부 230 : 제2 호핑부
240 : 제2 송신부

Claims (14)

  1.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된 복수의 그룹들에 대하여, 하나의 그룹은 복수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호핑(hopping)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리스트의 순서를 바탕으로 다른 그룹으로 호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하나의 리소스 블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머지 리소스 블록들은 상기 서비스 제공 리소스 블록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에서,
    각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을 비교하여, 호핑 가능한 리스트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제공되는 리소스 블록들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할당된 그룹들 전체의 리소스 블록들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보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기지국은 상기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NPDCCH(NB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기지국은 업링크(UL)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단말은 다운링크(DL)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UL 응답 메시지 및 상기 DL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은 호핑된 다른 그룹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그룹들의 대역은 LTE/LTE-A 서비스 주파수 대역 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11.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된 복수의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하나의 그룹은 복수의 리소스 블록(RB)들을 포함하며,
    상기 리소스 블록들 각각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를 확보하는 호핑 리스트부; 및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리스트의 순서를 바탕으로 다른 그룹으로 호핑하는 호핑부를 포함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핑 리스트부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제공되는 리소스 블록들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취합하는 정보 취합부; 및
    각 그룹의 리소스 블록들 중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 및 상기 가장 네트워크 상태가 좋은 리소스 블록이 속한 그룹을 선택하는 리소스 블록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보된 호핑 가능한 그룹 및 리소스 블록의 리스트, 및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제공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송신부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핑 가능한 리스트의 순서를 바탕으로 다른 그룹으로 호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장치.
KR1020180026244A 2018-03-06 2018-03-06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 KR20190105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44A KR20190105754A (ko) 2018-03-06 2018-03-06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44A KR20190105754A (ko) 2018-03-06 2018-03-06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54A true KR20190105754A (ko) 2019-09-18

Family

ID=6807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44A KR20190105754A (ko) 2018-03-06 2018-03-06 협대역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간섭회피 방법 및 이의 간섭회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7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195A (ko) 2015-02-25 2017-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협대역 셀룰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 할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195A (ko) 2015-02-25 2017-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협대역 셀룰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 할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543B1 (ko)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258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2D signal considering prio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96167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d2d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JP6553076B2 (ja) Fdr伝送をサポートする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割当て方法及び装置
CN113207110B (zh) 配置信息的传输方法和终端设备
CN112333827B (zh) 侧行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6537835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信号的方法和设备
US112658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50663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ドリンク通信を行う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CN109511171B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US11122543B2 (en) Method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9891816B (zh) 短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映射方法、装置
US10863398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 handover
JP2019527972A (ja) デバイス間通信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US112526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98974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5684536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和装置
CN111543009B (zh) 一种扩频通信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202001700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lurality of tti lengths
JP2020508016A (ja)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端末
CN113114419A (zh) 用于侧行链路的通信方法和设备
EP3834544B1 (en) Intra-symbol occ mapping for transmissions such as nr-u pucch transmissions
CN106612554B (zh) 分配时域资源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20210144704A1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multiple traffic typ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v2x and apparatus therefor
US11272460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a preference based on the device power consumption or on performance of carri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