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737A -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 - Google Patents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737A
KR20190105737A KR1020180026187A KR20180026187A KR20190105737A KR 20190105737 A KR20190105737 A KR 20190105737A KR 1020180026187 A KR1020180026187 A KR 1020180026187A KR 20180026187 A KR20180026187 A KR 20180026187A KR 20190105737 A KR20190105737 A KR 2019010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concentration
chamber
present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우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737A/ko
Publication of KR2019010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2Manganese;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상호간에 분리된 다수실을 포함하는 수액 제제로서, 제1실에는 환원당이 포함된 제1수액이 충전되고, 제2실에는 아미노산 및 전해질이 포함된 제2수액이 충전되고, 제3실에는 지질 및 지용성 비타민이 포함된 제3수액이 충전되고, 제4실에는 미량원소가 포함된 제4수액이 충전되고, 상기 제1수액 내지 제4수액은 상기 수액 제제의 사용 직전에 일부 또는 전부의 분리가 해제되고, 제1수액 내지 제4수액이 모두 혼합되는 것인 수액 제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A infusion solution containing fat-soluble vitamins and trace elements}
본 발명은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수 실을 구비하여 환원당, 아미노산, 지질 및 지용성 비타민, 미량원소가 분리·보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제에 관한 것이다.
수액 제제는 영양분의 경구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에 환자가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따라서, 수액 제제는 생존에 필요한 열량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가령, 수액 제제를 통하여 당류만을 환자에게 장기간 공급할 경우, 필수 지방산 내지 아미노산 등의 부족이 문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고칼로리 수액 제제에 지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공급함으로써 필수 지방산의 부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다만, 지질을 수액 제제와 함께 보관하는 경우, 수액 제제에 포함된 전해질 용액에 의하여 지질이 응집될 수 있다. 이는 응집된 지질이 환자의 혈관으로 투입될 시에는 지방 색전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질과 전해질 용액의 분리 및 보관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수단으로 수액 제제에 이실(二室)을 구비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이 방안은 하나의 실에는 전해질 용액을 보관하고, 다른 하나의 실에는 지질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액 제제가 사용되기 직전에 전해질 용액과 지질을 혼합함으로써, 지질이 전해질 용액과 접촉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수액 제제에 장기간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일부 환자의 경우, 당 및 지방산의 공급만으로는 필수 영양분의 섭취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섭취가 불가능한 필수 영양분의 예시로서 비타민 및 미량원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부족할 시 나타날 수 있는 결핍증의 위험함은 익히 알려져 있다.
더불어, 주사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수액 제제의 외부에 보관된 비타민 등을, 수액 제제의 사용 직전에 추가하는 방식은 추가적인 감염 우려가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많은 필수 영양소를 하나의 수액 제제에 포함시키기 위한 노력은 수액 제제의 안전한 사용이라는 측면에서도 요구된다.
특히, 여러 필수 영양소 중, 지용성 비타민A, D, E 등의 경우 분해가 용이하여 보관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전이금속과 같은 미량원소 또한 당, 아미노산, 전해질 용액 등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바 수액 제제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일본등록특허 제5631737호
본 발명은 당, 아미노산, 지질뿐만 아니라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까지 한번에 공급이 가능한 수액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수액 제제의 사용 시에 오염의 위험성이 적은 수액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보관 및 사용기간이 연장되고, 수액에 포함된 성분의 변성을 최소화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당, 아미노산, 지질, 지용성 비타민, 미량원소를 동시에 공급함에 있어서 안전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는 상호간에 분리된 다수실을 포함하는 수액 제제로서, 제1실에는 환원당이 포함된 제1수액이 충전되고, 제2실에는 아미노산 및 전해질이 포함된 제2수액이 충전되고, 제3실에는 지질 및 지용성 비타민이 포함된 제3수액이 충전되고, 상기 제1수액 내지 제3수액은 상기 수액 제제의 사용 직전에 일부 또는 전부의 분리가 해제되고, 제1수액 내지 제3수액이 모두 혼합되는 것인 수액 제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각 수액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제1수액은 농도가 143,000 mg/L 내지 462,000 mg/L 사이인 포도당 일수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액은 농도가 5,100 mg/L인 L-페닐알라닌, 3,000 mg/L인 L-히스티딘, 5,000 mg/L인 L-이소류신, 6,600 mg/L인 L-리신, 7,400 mg/L인 L-류신, 4,300 mg/L인 L-메티오닌, 4,400 mg/L인 L-트레오닌, 6,200 mg/L인 L-발린, 및 2,000 mg/L인 L-트립토판, 14,000 mg/L인 L-알라닌, 12,000 mg/L인 L-아르기닌, 11,000 mg/L인 글리신, 11,200 mg/L인 L-프롤린, 6,500 mg/L인 L-세린, 400 mg/L인 L-티로신, 1,000 mg/L인 타우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3수액은 농도가 20,000 mg/L 내지 40,000 mg/L 사이인 어유, 농도가 40,000 mg/L 내지 60,000 mg/L 사이인 올리브유, 농도가 50,000 mg/L 내지 70,000 mg/L 사이인 중쇄지방산유(MCT), 농도가 50,000 mg/L 내지 70,000 mg/L 사이인 대두유, 농도가 600 mg/L인 비타민 A, 농도가 150 mg/L인 비타민 D, 및 농도가 3,100 mg/L인 비타민 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수액 제제에 있어서, 상기 수액 제제는 제1실 내지 제3실과 분리된 제4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실에는 미량원소가 포함된 제4수액이 충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미량원소는 3.0 ㎍/mL 내지 7.0 ㎍/mL 사이인 셀레늄이온, 1.0 ㎍/mL 내지 3.0 ㎍/mL 사이인 크로뮴이온, 70 ㎍/mL 내지 90 ㎍/mL 사이인 구리이온, 및 10 ㎍/mL 내지 30 ㎍/mL 사이인 망간이온인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수액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제4실에는 카르복시산 화합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4수액의 pH는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각 수액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제4실은 상기 제2실과만 분리가 해제되어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을 활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당, 아미노산, 지질뿐만 아니라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까지 한번에 공급이 가능한 수액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 제제는 상기 수액 제제의 외부로부터 주사 등을 사용한 추가적인 보충을 요하지 아니하는 바, 수액 제제의 사용 시에 오염의 위험성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 제제는 마이야르 반응, 지용성 비타민의 파괴 및 변성 등을 억제하여, 그 보관 및 사용기간이 연장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 아미노산, 지질, 지용성 비타민, 미량원소를 혼합하는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수액 사용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때문에 가령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여야만 하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덧붙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명확히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기능,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예비적으로 배제하고자 사용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특정 용어가 과도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수액 제제의 용기>
본 발명은 상호간에 분리된 다수실을 포함하는 수액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리된 다수실"이란 각각의 실에 포함된 수액이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성 상, 상기 수액은 일응 각각 분리되어 있다가, 필요에 의하여 혼합될 수 있는 상태일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분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개봉이 가능한 씰(Seal)에 의하여 벽이 형성되거나, 각 실 사이의 외부에 클립을 끼우거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벽이 개방되는 등의 다양한 수단을 차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일부 실 사이의 벽은 개방이 불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특정 실의 수액과 상기 특정 실에 인접한 다른 실의 수액이 우선하여 혼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수액 제제는 다수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실이란, 둘 이상의 구분 가능한 실(室)을 의미하며, 각각의 실을 서로 다른 수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세 개 이상의 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네 개 이상의 실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을 포함하는 용기의 재질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가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및 에틸렌·*j올레핀 공중합체 등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산소와 수액의 접촉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vinylalcohol copolymer),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 등으로 상기 용기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수액 제제>
본 발명의 수액 제제에 포함되는 다수실에는 각각의 수액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액제제는 상기 <1. 수액 제제의 용기>에 보관된다. 이하의 각 수액은 각 실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지칭한다. 가령, 제1실에 포함된 수액은 제1수액이며, 제1수액이라 함은 제1실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4수액은 제4실에 포함되어 있는 수액을 의미한다. 또한, 각 수액의 분리·보관의 목적에 따라 각 수실이 분리되는 바, 다른 번호의 수액은 그 구성성분 또한 상이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2-1. 제1수액>
제1실에는 당이 포함된 제1수액이 충전된다. 제1실에 충전되는 당은 환원당 내지는 비환원당일 수 있다. 다만, 혈당치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환원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당의 예시로서 포도당, 과당, 엿당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1 종 이상의 환원당을 혼합하여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환원당은 아미노산과 메일라드 반응을 진행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환원당이 충전된 제1수액에 아미노산을 추가로 충전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제1수액에 포함된 포도당 일수화물의 비율은 143,000 mg/L 내지 462,000 mg/L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당의 공급은 환자의 신체가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량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당의 비율이 143,000 mg/L 이하인 경우에는, 약 400 Kcal/L 이하의 열량만이 공급되어 열량부족 내지 저혈당 쇼크 등이 초래될 수 있으며, 반대로 당의 비율이 462,000 mg/L 이상인 경우에는 약 2000 Kcal/L의 열량이 공급되어 고혈당 증상 및 지방간 생성 등이 문제될 수 있다.
더하여, 혈관의 두께 및 에너지 공급의 원활성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수액 제제가 말초정맥용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제1수액에 포함된 포도당 일수화물의 비율이 142,000 mg/L 내지 144,000 mg/L 사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정맥용 수액 제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461,000 mg/L 내지 463,000 mg/L인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수액에는 pH 조절을 목적으로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염산 등의 무기산, 및 탄산, 초산, 시트르산, 말산 등의 유기산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가 적당량 추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당과 첨가제가 용해되는 용매로서 통상의 주사용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2-2. 제2수액>
제2실에는 아미노산 및 전해질이 포함된 제2수액이 충전된다. 제2수액에 사용되는 아미노산은 영양 보급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아미노산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전해질은 수액 제제 분야에서 이용되는 통상의 전해질이면 충분하며, 구체적으로는 체액에 포함되는 전해질이다. 환언하자면, 생리학적 전해질로서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아연, 염소, 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은 체내 흡수를 촉진한다는 관점에서, 유리 아미노산의 상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아미노산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아미노산 염, 에스테르 유도체, N-아실 유도체, 다이펩티드 등의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아미노산의 구체적인 예로서, L-류신, L-이소류신, L-발린, L-리신, L-트레오닌, L-트립토판, L-메티오닌, L-페닐알라닌, L-시스테인, L-티로신, L-아르기닌, L-히스티딘, L-알라닌, L-프롤린, L-세린, 글리신, L-아스파라긴산, L-글루타민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미노산의 염으로서, 염산염과 같은 무기산염 및 초산염, 말산염, 시트르산염 등과 같은 유기산염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N-아실 유도체의 예시로서, N-아세틸-L-시스테인, N-아세틸-L-트립토판, N-아세틸-L-프롤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L-시스테인은 N-아세틸-L-시스테인인 것이 아미노산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더불어, 최소한의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수액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즉, L-페닐알라닌 L-히스티딘, L-이소류신, L-리신, L-류신, L-메티오닌, L-트레오닌, L-발린, 및 L-트립토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은, 상기 제2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충분한 영양공급 등의 관점에서 다음의 농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는 L-이소류신 4,900 mg/L 내지 5,100 mg/L, L-류신 7,300 mg/L 내지 7,500 mg/L, L-리신 6,200 mg/L 내지 7,000 mg/L, L-메티오닌 4,000 mg/L 내지 4,400 mg/L, L-페닐알라닌 4,800 mg/L 내지 5,200 mg/L, L-트레오닌 4,300 mg/L 내지 4,800 mg/L, L-트립토판 1,900 mg/L 내지 2,300 mg/L, L-발린 6,100 mg/L 내지 6,500 mg/L, L-아르기닌 11,000 mg/L 내지 13,000 mg/L, L-히스티딘 2,800 mg/L 내지 3,100 mg/L, L-알라닌 13,000 mg/L 내지 15,000 mg/L, L-글리신 10,000 mg/L 내지 12,000 mg/L, L-프롤린 11,100 mg/L 내지 11,300 mg/L, L-세린 6,400 mg/L 내지 6,600 mg/L, L-티로신 300 mg/L 내지 500 mg/L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수액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농도는 유리 아미노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40,000 mg/L 내지 120,000 mg/L인 것이 바람직하며, 60,000 mg/L 내지 110,000 mg/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발명의 수액 제제에 있어서, 제1수액과 제2수액의 혼합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유리 아미노산의 총 농도는 10,000 mg/L 내지 70,000 mg/L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00 mg/L 내지 70,000 mg/L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수액 제제에 있어서, 제2수액의 액량은 그 수액 제제의 총 액량이나 제2수액을 제외한 제1수액 내지 제4수액의 액량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수액의 용매로서 통상의 주사용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수액에는 전해질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수액에 포함되는 전해질은 생리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아연, 염소, 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 포함되는 칼륨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염화칼륨, 초산칼륨, 시트르산칼륨, 글리세로인산칼륨, 황산칼륨, 젖산칼륨 등의 일부인 양이온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화물 형태의 칼륨도 허용된다. 칼륨의 농도는 제2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25 mEq/L 내지 40 mEq/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 포함되는 칼슘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염화칼슘, 초산칼슘, 시트르산칼슘, 글리세로인산칼슘, 황산칼슘, 젖산칼슘 등의 일부인 양이온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화물 형태의 칼슘도 허용된다. 칼슘의 농도는 제2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9 mEq/L 내지 18 mEq/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 포함되는 나트륨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글리세로인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젖산나트륨 등의 일부인 양이온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화물 형태의 나트륨도 허용된다. 나트륨의 농도는 제2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50 mEq/L 내지 100 mEq/L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액 제제에 인,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침전 방지를 위하여 최소한 일부의 나트륨을 시트르산나트륨 형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 포함되는 마그네슘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염화마그네슘, 초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등의 일부인 양이온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화물 형태의 마그네슘도 허용된다. 마그네슘의 농도는 제2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 mEq/L 내지 20 mEq/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 포함되는 아연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염화아연, 초산아연, 황산아연 등의 양이온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화물 형태의 아연도 허용된다. 아연의 농도는 제2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20 mg/L 내지 600 mg/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 포함되는 염소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등의 음이온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염소의 농도는 제2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50 mEq/L 내지 100 mEq/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수액에 포함되는 인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글리세로인산나트륨, 글리세로인산칼륨 등의 유기염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수액에 레시틴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레시틴 또한 인 공급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제1수액과 제2수액의 혼합액에 포함된 인의 농도는 30 내지 600 mg/L,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mg/L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수액에는 pH 조절을 목적으로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염산 등의 무기산, 및 탄산, 초산, 시트르산, 말산 등의 유기산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가 적당량 추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리 아미노산과 전해질를 용해하는 용매로서 통상의 주사용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2-3. 제3수액>
본 발명의 수액 제제의 제3실에는 지질 및 지용성 비타민이 포함된 제3수액이 충전된다. 상기 지용성 비타민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비타민 A, 비타민 D, 및 비타민 E를 포함할 수 있다. 지용성 비타민은 특히, 양이온성 촉매조건 하에서 쉽게 결합이 해리되거나, 이성질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수액의 전해질과 분리하여 보관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용성 비타민을 지질과 함께 보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용성 비타민을 지질 중에 보관함으로써, 지용성 비타민의 산화, 특정 결합의 해리, 이성질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수액에 포함되는 지질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어유, 식물유, 중쇄지방산유(MCT)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어유와 식물유의 일종인 올리브유, 중쇄지방산유 등은 항산화 효과가 있으므로, 지용성 비타민의 변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수액에 포함되는 지질의 구체적인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제3수액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제3수액은 농도가 20,000 mg/L 내지 40,000 mg/L 사이인 어유, 농도가 30,000 mg/L 내지 70,000 mg/L 사이인 올리브유, 농도가 40,000 mg/L 내지 80,000 mg/L 사이인 중쇄지방산유(MCT), 농도가 40,000 mg/L 내지 80,000 mg/L 사이인 대두유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3수액에 포함되는 지용성 비타민의 구체적인 비율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3수액에는 농도가 500 mg/L 내지 700 mg/L인 비타민 A, 농도가 100 mg/L 내지 200 mg/L인 비타민 D, 및 농도가 2500 mg/L 내지 3,500 mg/L인 비타민 E가 포함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3수액에의 용매로서 통상의 주사용 증류수가 포함될 수 있다. 주사용 증류수가 포함됨으로써, 비타민 A의 바이닐 알코올(Vinyl alcohol) 기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추가로 향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수액에는 유화제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레시틴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레시틴으로서 난황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나, 대두로부터 유래된 것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제3수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지질 및 유화제의 비율은 수중유형 수액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통상적으로, 제3수액의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지질은 0.5 w/v% 내지 30w/v% 사이이면 족하고, 10 w/v% 내지 20w/v%인 것이 지용성 비타민의 안정성 증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지질의 비율을 고려하여 첨가될 필요가 있으며, 제3수액의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0.01 w/v% 내지 2 w/v%이면 충분하다. 더욱이는 0.05 w/v% 내지 1.5 w/v%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수액에 포함되는 비타민 A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팔미틴산 레티놀(Retinyl palmitate)과 같은 에스테르형인 것이 안정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에스테르 형의 비타민 A는 미리 오일에 용해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3수액의 전체 농도를 고려하였을 때 비타민 A의 농도는, 500 mg/L 내지 700 mg/L 사이이고, 550 mg/L 내지 650 mg/L 사이에 더욱 가깝다.
본 발명의 제3수액에 포함되는 비타민 D로서 에르고칼시페롤(Ergocalciferol)과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비타민 D는 비타민 A와 마찬가지로 지용성 비타민의 일종이며, 비타민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성자성 용매조건에서 안정하다. 제3수액의 전체 농도를 고려하였을 때 비타민 D의 농도는, 100 mg/L 내지 200 mg/L 사이이고, 130 mg/L 내지 170 mg/L 사이에 더욱 가깝다.
본 발명의 제3수액에 포함되는 비타민 E로서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j토코페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양성자성 조건에서 비타민 A의 바이닐 알코올이 분해될 위험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페놀기가 차폐된 토코페롤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수액의 전체 농도를 고려하였을 때 비타민 E의 농도는, 2,500 mg/L 내지 3,500 mg/L 사이이고, 2,800 mg/L 내지 3,200 mg/L 사이에 더욱 가깝다.
본 발명의 제3수액에는 상술한 지용성 비타민이 최소한 1종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고려하였을 때에,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3수액에는 pH 조절을 목적으로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염산 등의 무기산, 및 탄산, 초산, 시트르산, 말산 등의 유기산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가 적당량 추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수액을 약염기조건으로 유지함으로써 옥소늄이온(Oxonium ion, H3O+)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용성 비타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3수액을 약염기조건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액 제제 있어서, 제3수액이 포함되는 양은 수액 제제의 총 액량, 제1수액 내지 제2수액의 액량, 및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수액을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사용 증류수에 상술한 지질, 유화제, 글리세린, 비타민 E를 첨가하고 고압 유화법과 같은 관용의 방법을 통하여 충분히 유화를 진행한다. 예컨대, 호모게나이저(에스피엑스사)등의 유화기를 이용하여, 지질 유제를 300 내지 600 bar 정도의 조건 하에서 2 내지 50회 정도, 더욱이 5 내지 10회 정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정을 제1차유화단계라고 지칭한다. 제1차유화단계 이후 가열된 유중수의 온도를 20 내지 25 ℃까지 식힌 후, 비타민 D, 비타민 A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2차로 유화를 진행한다. 이를 제2차유화단계라고 한다. 제2차유화단계는 승온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100 내지 200 bar의 조건 하에서 5 내지 10회 정도 통과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2-4. 제4수액>
본 발명의 수액 제제는 상기 <2-1. 제1수액> 내지 <2-3. 제3수액> 영역에 기재된 각 수액에 더하여 제4수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수액은 제1실 내지 제3실과 분리된 제4실에 충전되며, 상기 제4수액에는 미량원소 및 카르복시산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미량원소는 생명유지 및 신체기능 발휘에 요구되는 미량원소 일체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하의 미량원소는 미량원소 셀레늄(Se), 크롬(Cr), 구리(Cu), 망간(Mn)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액 제제와 달리, 당, 지질, 아미노산의 공급에 더하여 미량원소의 공급까지 일거에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조적인 경구 섭취가 수반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영양공급이 가능한 것을 중요한 일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미량원소는 체내 흡수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금속 상태가 아닌 이온 상태로 보관 및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미량원소를 이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제4수액에 카르복시산을 적당량 첨가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초산으로부터 얻어지는 초산음이온은 두자리 리간드(Bidentate ligand)로서 미량원소와 킬레이션(Chelation)을 형성하여 금속양이온을 안정화시킨다. 두자리 리간드에 의한 킬레이션은 엔트로피의 측면에서 매우 안정하여, 금속양이온이 금속으로 석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아울러, 초산음이온이 금속양이온과 충분히 킬레이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4수액를 약산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pH가 대략 3 이하일 때에 카르복시산 음이온이 충분히 발생하는 한편, 기존의 금속이온에 배위결합 중이던 작용기의 이탈성능(Leaving group ability)가 증가하여, 킬레이션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수액에 포함되는 셀레늄은 아셀렌산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제4수액의 부피가 1mL라고 할 때에, 본 발명의 셀레늄은 양이온인 셀레늄이온을 기준으로 3.0 ㎍/mL 내지 7.0 ㎍/mL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수액 제제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셀레늄이온은 14.0 ㎍/L 내지 22.0 ㎍/L, 바람직하게는 17 ㎍/L 내지 21 μg/L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수액에 포함되는 크롬은 염화크롬수화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제4수액의 부피가 1mL라고 할 때에, 본 발명의 크롬은 양이온인 크로뮴이온을 기준으로 1.5 ㎍/mL 내지 2.5 ㎍/mL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수액 제제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크로뮴이온은 6.0 ㎍/L 내지 9 ㎍/L, 바람직하게는 7 ㎍/L 내지 8 μg/L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수액에 포함되는 구리는 황산구리수화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제4수액의 부피가 1mL라고 할 때에, 본 발명의 구리는 양이온인 구리이온을 기준으로 70 ㎍/mL 내지 90 ㎍/mL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수액 제제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구리이온은 260 ㎍/L 내지 335 ㎍/L, 바람직하게는 264 ㎍/L 내지 334 μg/L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수액에 포함되는 망간은 황산망간수화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제4수액의 부피가 1mL라고 할 때에, 본 발명의 망간은 양이온인 망간이온을 기준으로 10 ㎍/mL 내지 30 ㎍/mL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수액 제제의 부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망간이온은 65 ㎍/L 내지 85 ㎍/L, 바람직하게는 66 ㎍/L 내지 84 μg/L 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4실에 포함되는 제4수액은 우선하여 제2수액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수액에 포함된 유리 아미노산의 작용기 중 하나인 카르복시 음이온 또한 상기 제4수액에 포함된 미량원소와 배위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아미노산의 체내 흡수에 수반하여 제4수액에 포함된 미량원소 또한 흡수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제2수액에 포함된 전해질 중 초산염 형태의 전해질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 본원발명의 제4수액은 최소한 제2수액이 이미 혼합되어 있는 혼합액과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액 제제의 사용태양>
본 발명의 수액 제제는 다수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수액 내지 제3수액은 상기 수액 제제의 사용 직전에 일부 또는 전부의 분리가 해제되고, 제1수액 내지 제3수액이 모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수액과 제2수액을 우선하여 혼합한 후에, 본 발명의 수액 제제의 사용 직전에 제3수액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혈액의 pH를 고려하였을 때, 제1수액 내지 제4수액을 모두 혼합한 수액의 pH는 7.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액 제제에 포함되는 제4실은 상기 제2실과만 분리가 해제되어 우선적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4수액이 우선하여 제2수액과 혼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수액이 제2수액과 혼합된 후에, 순차적으로 제4실, 제3실과의 분리를 해제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가령 제4수액이 제1수액과 우선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금속양이온이 환원당의 에피머화(Epimerization) 반응에 촉매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높은 산화력을 가지는 환원당의 카르보닐 기에 의하여, 전이금속의 양이온이 추가로 산화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4수액과 제1수액을 우선하여 혼합하는 것은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수액 내지 제4수액이 모두 혼합된 혼합액의 총 열량은 300 내지 1500 kcal/L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 내지 1200 kcal/L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열량은 환자의 특성, 수액 제제의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가령, 중심정맥용 수액은 약 1100 Kcal, 말초정맥용 수액은 약 800 Kcal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및 평가예}
이하, 첨부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가 청구하는 바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시예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본 발명을 특정 개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실시예>
1. 말초정맥용 수액(실시예 1)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춘 말초정맥용 수액을 조제하였다. 제1수액은 주사용수에 포도당일수화물, 염산을 완전히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제2수액은 주사용수에 아미노산 및 전해질을 완전히 용해시켜 얻었으며, 아세트산 무수물 첨가하여 pH를 조절하였다. 제3수액은 두 개의 조제탱크에 각각 수상과 유상을 조제한 후 유화기를 이용하여 수상과 유상을 유화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수상조제는 주사용수에 글리세린, 올레인산나트륨을 완전히 용해시키고, 유상조제는 정제대두유, 중쇄트리글리세라이드, 정제올리브유, 정제어유, 토코페롤, 난황인지질을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에르고칼시페롤과 레티놀팔미테이트를 첨가한 후, 2차 유화하여 진행하였다. 제4수액은 주사용수에 아셀렌산, 염화크롬수화물, 황산구리수화물, 황산망간수화물을 완전히 용해 시키고 초산, 보존제(벤질알코올)를 첨가하였으며, 황산으로 pH를 조절하였다. 하기 [표 1]의 '혼합 1L' 열의 함량비는 최종적으로 제1수액 내지 제4수액을 혼합한 혼합액을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함량비를 나타낸다.
수액 성분 MG-APCB 1호(실시예 1)의 성분/부피(mL) MG-APCB 1호
656(제1수액)
380(제2수액)
170(제3수액)
4(제4수액)
1210ml
788(제1수액)
456(제2수액)
204(제3수액)
6(제4수액)
1454ml
1036(제1수액)
600(제2수액)
268(제3수액)
8(제4수액)
1912ml
혼합 1L 기준
제1수액 당(g) 포도당 일수화물 (g) 94 113 148 78
포도당 (kcal) 376 452 592 312
첨가제 1N 염산(pH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2수액 아미노산 L-류신 (g) 2.8 3.4 4.4 2.3
L-이소류신(g) 1.9 2.3 3.0 1.6
L-발린(g) 2.4 2.9 3.8 2.0
L-리신(g) 2.5 3.0 3.9 2.1
L-트레오닌(g) 1.7 2.0 2.6 1.4
L-트리프토판(g) 0.8 1.0 1.3 1.0
L-메티오닌(g) 1.6 1.9 2.5 1.3
L-페닐알라닌(g) 1.9 2.3 3.0 1.6
L-티로신(g) 0.15 0.18 0.24 0.1
L-아르기닌(g) 4.6 5.5 7.3 3.8
L-히스티딘(g) 1.1 1.3 1.7 0.9
L-알라닌(g) 5.3 6.4 8.4 4.0
L-프롤린(g) 4.2 5.0 6.6 3.5
L-세린(g) 2.5 3.0 3.9 2.1
글리신(g) 4.2 5.0 6.6 3.0
타우린(g) 0.38 0.46 0.60 0.3
전해질 염화칼슘수화물(g) 0.281 0.337 0.444 0.2
글리세로인산나트륨 1.588 1.906 2.507 1.0
황산마그네슘칠수화물 0.939 1.127 1.483 0.8
염화칼륨 1.702 2.042 2.687 1.4
아세트산나트륨삼수화물 2.136 2.563 3.373 2.0
황산아연칠수화물 0.009 0.011 0.014 0.0074
첨가제 아세트산무수물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3수액 지질 Lipid(g) 34 41 54 28.1
Lipid (kcal) 68 82 108 56.2
Lipid Source & w/w % fish/olive/MCT/soybean
15/25/30/30 %
비타민 비타민A (I.U) 175312.5 210375.0 276375.0 144886.4
비타민A (μg) 96421.9 115706.3 152006.3 79687.5
에르고칼시페롤(μg) 26520.0 31824.0 41808.0 21917.4
알파토코페롤(mg) 531.3 637.5 837.5 439.0
첨가제 수산화나트륨
(pH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4수액 미량원소 아셀렌산(μg) 32.7 49.05 65.4 27.025
염화크롬수화물(μg) 41.0 61.5 82.0 33.884
황산구리수화물(mg) 1.256 1.884 2.512 1.038
황산망간수화물(mg) 0.204 0.306 0.408 0.1686
첨가제 벤질알코올 3.600 5.400 7.200 2.975
초산(킬레이션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황산(pH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 중심정맥용 수액(실시예 2)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춘 말초정맥용 수액을 조제하였다. 제1수액은 주사용수에 포도당일수화물, 염산을 완전히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제2수액은 주사용수에 아미노산 및 전해질을 완전히 용해시켜 얻었으며, 아세트산 무수물 첨가하여 pH를 조절하였다. 제3수액은 두 개의 조제탱크에 각각 수상과 유상을 조제한 후 유화기를 이용하여 수상과 유상을 유화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수상조제는 주사용수에 글리세린, 올레인산나트륨을 완전히 용해시키고, 유상조제는 정제대두유, 중쇄트리글리세라이드, 정제올리브유, 정제어유, 토코페롤, 난황인지질을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에르고칼시페롤과 레티놀팔미테이트를 첨가한 후, 2차 유화하여 진행하였다. 제4수액은 주사용수에 아셀렌산, 염화크롬수화물, 황산구리수화물, 황산망간수화물을 완전히 용해 시키고 초산, 보존제(벤질알코올)를 첨가하였으며, 황산으로 pH를 조절하였다. 하기 [표 2]의 '혼합 1L' 열의 함량비는 최종적으로 제1수액 내지 제4수액을 혼합한 혼합액을 1L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함량비를 나타낸다.
수액 성분 MG-APCB 2호(실시예 2)의 성분/부피(mL) MG-APCB 2호
298(제1수액)
500(제2수액)
188(제3수액)
4(제4수액)
990ml
446(제1수액)
750(제2수액)
281(제3수액)
6(제4수액)
1483ml
595(제1수액)
1000(제2수액)
375(제3수액)
8(제4수액)
1978ml
혼합 1L 기준
제1수액 당(g) 포도당 일수화물(g) 138 206 275 139
포도당 (kcal) 552 824 1100 556
첨가제 1N 염산(pH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2수액 아미노산 L-류신 (g) 3.7 5.6 7.4 3.7
L-이소류신(g) 2.5 3.8 5.0 3.0
L-발린(g) 3.1 4.7 6.2 3.1
L-리신(g) 3.3 5.0 6.6 3.0
L-트레오닌(g) 2.2 3.3 4.4 2.2
L-트리프토판(g) 1.0 1.5 2.0 1.0
L-메티오닌(g) 2.2 3.3 4.4 2.2
L-페닐알라닌(g) 2.6 3.9 5.2 3.0
L-티로신(g) 0.20 0.30 0.40 0.2
L-아르기닌(g) 6.0 9.0 12.0 6.0
L-히스티딘(g) 1.5 2.3 3.0 1.5
L-알라닌(g) 7.0 10.5 14.0 7.0
L-프롤린(g) 5.6 8.4 11.2 5.7
L-세린(g) 3.2 4.8 6.4 3.0
글리신(g) 5.5 8.3 11.0 5.6
타우린(g) 0.50 0.75 1.00 1.0
전해질 염화칼슘수화물(g) 0.370 0.555 0.740 0.4
글리세로인산나트륨 2.090 3.135 4.180 2.0
황산마그네슘칠수화물 1.235 1.853 2.470 1.2
염화칼륨 2.240 3.360 4.480 2.0
아세트산나트륨삼수화물 2.810 4.215 5.620 2.8
황산아연칠수화물 0.012 0.018 0.024 0.012
첨가제 아세트산무수물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3수액 지질 Lipid(g) 38 56 75 38.4
Lipid (kcal) 76 112 150 76.8
Lipid Source & w/w % fish/olive/MCT/soybean
15/25/30/30 %
비타민 비타민A (I.U) 193875.0 289781.3 386718.8 195833.3
비타민A (μg) 106631.3 159379.7 212695.3 107708.3
에르고칼시페롤(μg) 29328.0 43836.0 58500.0 29624.2
알파토코페롤(mg) 587.5 878.1 1171.9 593.4
첨가제 수산화나트륨
(pH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4수액 미량원소 아셀렌산(μg) 32.7 49.05 65.4 33.030
염화크롬수화물(μg) 41.0 61.5 82.0 41.414
황산구리수화물(mg) 1.256 1.884 2.512 1.268
황산망간수화물(mg) 0.204 0.306 0.408 0.206
첨가제 벤질알코올 3.600 5.400 7.200 9.000
초산(킬레이션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황산(pH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용매 주사용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평가예>
1. 지용성 비타민의 함량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제3수액에 포함된 비타민 A, 비타민 D, 및 비타민 E의 함량 변화를 HPLC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제3수액의 제조당일부터 한달 동안 각각 세 번씩 측정을 수행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하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지용성 비타민을 지질과 함께 보관함으로써 지용성 비타민의 보관기간을 30일 이상으로 현격히 증가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xperiment No Vit.D Area[mAU*s] Vit.E
Area[mAU*s]
Vit.A
Area[mAU*s]
Day 0 1 129.35228 706.1734 1701.13538
2 131.67841 701.31616 1651.32324
3 134.11253 720.27582 1700.45483
Average 131.7144067 709.2551267 1684.304483
변화율(%) 0% 0% 0%
Day 1 1 130.38805 687.81476 1667.14978
2 137.73224 710.07434 1687.94312
3 132.23691 676.81293 1601.34631
Average 133.4524000 691.5673433 1652.146403
변화율(%) -1.3% 2.5% 1.9%
Day 2 1 131.77098 679.75287 1652.38611
2 135.00908 691.03687 1680.01855
3 137.02156 706.95642 1665.78174
Average 134.6005400 692.5820533 1666.062133
변화율(%) -2.2% 2.4% 1.1%
Day 5 1 135.63927 692.15546 1642.05884
2 135.63664 698.97321 1667.09534
3 134.37506 701.10498 1666.79443
Average 135.2169900 697.4112167 1658.649537
변화율(%) -2.7% 1.7% 1.5%
Day 7 1 141.70337 707.20038 1697.27051
2 135.52202 708.35944 1639.39978
3 135.52153 704.19568 1605.29602
Average 137.5823067 706.5851667 1647.322103
변화율(%) -4.5% 0.4% 2.2%
Day 14 1 139.87201 708.67206 1736.90906
2 138.88245 710.16138 1633.46582
3 144.23886 706.67297 1617.59851
Average 140.99777 708.5021366 1662.65779
변화율(%) -7.0% 0.1% 1.3%
Day 21 1 141.08258 724.40839 1603.99121
2 141.31183 732.47382 1600.84766
3 141.25124 738.11432 1668.52795
Average 141.2152167 731.66551 1624.455607
변화율(%) -7.2% -3.2% 3.6%
Day 28 1 139.06625 703.35718 1607.68738
2 133.60512 687.74109 1568.37451
3 139.13759 709.47339 1629.10632
Average 137.2696533 700.1905533 1601.722737
변화율(%) -4.2% 1.3% 4.9%
Day 30 1 131.31564 660.5802 1531.9447
2 133.83614 678.74792 1579.96619
3 138.88356 695.10858 1612.95605
Average 134.6784467 678.1455667 1574.955647
변화율(%) -2.3% 4.4% 6.5%

Claims (6)

  1. 상호간에 분리된 다수실을 포함하는 수액 제제로서,
    제1실에는 환원당이 포함된 제1수액이 충전되고,
    제2실에는 아미노산 및 전해질이 포함된 제2수액이 충전되고,
    제3실에는 지질 및 지용성 비타민이 포함된 제3수액이 충전되고,
    상기 제1수액 내지 제3수액은 상기 수액 제제의 사용 직전에 일부 또는 전부의 분리가 해제되고, 제1수액 내지 제3수액이 모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액은 농도가 143,000 mg/L 내지 462,000 mg/L 사이인 포도당 일수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액은 농도가 5,100 mg/L인 L-페닐알라닌, 3,000 mg/L인 L-히스티딘, 5,000 mg/L인 L-이소류신, 6,600 mg/L인 L-리신, 7,400 mg/L인 L-류신, 4,300 mg/L인 L-메티오닌, 4,400 mg/L인 L-트레오닌, 6,200 mg/L인 L-발린, 및 2,000 mg/L인 L-트립토판, 14,000 mg/L인 L-알라닌, 12,000 mg/L인 L-아르기닌, 11,000 mg/L인 글리신, 11,200 mg/L인 L-프롤린, 6,500 mg/L인 L-세린, 400 mg/L인 L-티로신, 1,000 mg/L인 타우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3수액은 농도가 20,000 mg/L 내지 40,000 mg/L 사이인 어유, 농도가 40,000 mg/L 내지 60,000 mg/L 사이인 올리브유, 농도가 50,000 mg/L 내지 70,000 mg/L 사이인 중쇄지방산유(MCT), 농도가 50,000 mg/L 내지 70,000 mg/L 사이인 대두유, 농도가 600 mg/L인 비타민 A, 농도가 150 mg/L인 비타민 D, 및 농도가 3,100 mg/L인 비타민 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제제는 제1실 내지 제3실과 분리된 제4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실에는 미량원소가 포함된 제4수액이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량원소는 3.0 ㎍/mL 내지 7.0 ㎍/mL 사이인 셀레늄이온, 1.0 ㎍/mL 내지 3.0 ㎍/mL 사이인 크로뮴이온, 70 μg/mL 내지 90 mg/mL 사이인 구리이온, 10 ㎍/mL 내지 30 ㎍/mL, 사이인 망간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실에는 카르복시산 화합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4수액의 pH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4실은 상기 제2실과만 분리가 해제되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제제.
KR1020180026187A 2018-03-06 2018-03-06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 KR20190105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187A KR20190105737A (ko) 2018-03-06 2018-03-06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187A KR20190105737A (ko) 2018-03-06 2018-03-06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37A true KR20190105737A (ko) 2019-09-18

Family

ID=6807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187A KR20190105737A (ko) 2018-03-06 2018-03-06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7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278A1 (en) 2019-12-17 2021-06-23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ilization of selenite in a nutritional solution by dissolved oxygen
US20220378077A1 (en) * 2021-05-25 2022-12-01 Baxter International Inc. Ready-To-Use Parenteral Nutrition Formulation
WO2022251810A1 (en) 2021-05-25 2022-12-01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with selective dissolved gas con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737A (en) 1979-08-22 1981-03-31 Baxter Travenol Lab Blood filter for white corpus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737A (en) 1979-08-22 1981-03-31 Baxter Travenol Lab Blood filter for white corpus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278A1 (en) 2019-12-17 2021-06-23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ilization of selenite in a nutritional solution by dissolved oxygen
WO2021122923A1 (en) 2019-12-17 2021-06-24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ilization of selenite in a nutritional solution by dissolved oxygen
US20220378077A1 (en) * 2021-05-25 2022-12-01 Baxter International Inc. Ready-To-Use Parenteral Nutrition Formulation
WO2022251106A1 (en) * 2021-05-25 2022-12-01 Baxter International Inc. Ready-to-use parenteral nutrition formulation
WO2022251810A1 (en) 2021-05-25 2022-12-01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with selective dissolved gas content
US11944586B2 (en) 2021-05-25 2024-04-02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with selective dissolved gas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8681A (en) Infusion preparation and two compartment container containing the preparation
EP0747033B1 (en) Transfusion liquid-containing holder and prepared transfusion liquid
JP6002980B2 (ja) 輸液製剤
KR20190105737A (ko) 지용성 비타민 및 미량원소가 배합된 수액 제제
JPH06312923A (ja) 末梢静脈投与用栄養輸液
JP3771644B2 (ja) 末梢静脈投与用輸液
KR102443962B1 (ko) 3-챔버백 수액 제제
JP3364932B2 (ja) 輸液入り容器
JP3456536B2 (ja) 輸液製剤
US11890372B2 (en) Transfusion preparation
JP7188961B2 (ja) 鉄含有輸液剤
RU2429822C1 (ru) Перитонеальный диализат
JP2024020624A (ja) 輸液製品
JP2001328934A (ja) 末梢静脈栄養輸液製剤
AU2015268572A1 (en) Infusion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