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996A -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996A
KR20190104996A KR1020197018064A KR20197018064A KR20190104996A KR 20190104996 A KR20190104996 A KR 20190104996A KR 1020197018064 A KR1020197018064 A KR 1020197018064A KR 20197018064 A KR20197018064 A KR 20197018064A KR 20190104996 A KR20190104996 A KR 2019010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nsor
recycling
separ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아킴 오스칼슨
미카엘 리델
미카엘 닐슨
Original Assignee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오비탈 시스템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9010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5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househol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30Relating to industrial water supply, e.g. used for cooling
    • Y02A20/30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을 위해 의도된 센서 시스템으로서, 상기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은 물 처리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시스템은 물 처리 유닛의 물 처리 공급원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제1 센서 타입(1)을 포함하며, 센서 시스템은 수질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센서 시스템(2)을 포함하고, 양 제1 센서 타입(1)과 제2 센서 타입(2)은 시스템(10)에서의 물의 재활용 또는 시스템(10)으로부터의 물의 분리의 선택 결정에 대하여 시스템(10)의 제어 시스템(4)으로 입력을 제공하는 센서 시스템(10)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
본 발명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종래 시스템이 존재한다. 하나는 WO2013/095278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화 및 물의 재활용이나 물의 폐기를 허용하는 재순환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장치가 재순환 루프 및 프리 필터와 나노 필터를 갖는 필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사용된 센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품질 센서와 수질 센서를 포함한다. 나아가, WO2015/094107에는 정화 및 물의 재활용이나 물의 폐기를 허용하는 하이브리드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하이브리드 장치는 재순환 루프, 필터 시스템 및 다중 전도도 센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시스템은 NL1039131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샤워기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서 시스템은 UV 센서나 전도도 센서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센서 시스템은 시스템이 재활용 또는 분리 모드로 갈 때 이루어지는 선택 결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앞서 언급된 목적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해 의도된 센서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은 물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시스템은 물 처리 유닛의 물 처리 공급원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제1 센서 타입을 포함하며, 센서 시스템은 수질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센서 타입을 포함하고, 양 제1 센서 타입과 제2 센서 타입은 시스템에서의 물의 재활용 또는 시스템으로부터의 물의 분리의 선택 결정에 대하여 물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으로 입력을 제공한다.
"제어 시스템으로 입력을 제공한다"는 표현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센서 타입에 의해 감지된 파라미터(들)의 수치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에서 물의 재활용이나 물의 분리의 선택 결정의 최적의 제어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예컨대 샤워기,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이다. 제어 시스템은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오늘날 시중에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타입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센서 타입은 수질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는 수질 측정치로 변환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아래 개시된 한 예는 전도도인데, 그밖에 다른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더욱이, 제1 센서 타입은 물 처리 유닛의 물 처리 공급원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가 물 처리 유닛이 의도된 바와 같이 기능하는지 및/또는 처리가 이러한 단계에서 의도된 수질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강력한지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센서 타입은 수질이 설정 최저 수준보다 높아 물이 재순환되어야 하는지 또는 수질이 너무 낮아 물이 분리되어야 하는지의 선택 단계와 관련하여 제어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그 센서 측정 지점에서 수질과 관련하여 제어 시스템으로 입력, 즉 "수치"를 제공한다. 도 1과 2에 나타난 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택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의 배수구에서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는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도 2는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의도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물 처리 공급원은 광 유닛이고 제1 센서 타입은 광센서이다. 이 경우, 다른 형태의 광이 처리 매체이다. 광 유닛은 LED 유닛, UV LED 유닛 또는 종래 UV 유닛일 수 있다. 나아가, 광의 파장과 색상은 물의 처리가 오염물로부터 정화하는 것을 최적화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광 유닛은 UV 유닛, 예컨대 UV 램프이고, 제1 센서 타입은 UV 센서이다. 나아가, 처리 유닛은 온수기와 물 처리 장치의 조합일 수 있으며, 센서는 적어도 UV 처리의 기능의 표시를 제공하는 UV 센서이다. 만약 광이 UV 센서에 도달하면, 이는 광이 물 처리 유닛 내부에 수용된 유동 공간을 침투하였다는 표시이다. UV 램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석영 유리와 같이 유리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 보호 커버에 의해 둘러싸여, UV 램프를 오염하지 않도록 한다. 석영 유리와 단일 용기의 내벽 사이의 공간은 처리될 물을 보관한다.
UV 광은 가능한 효과적으로 모든 공간을 침투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UV 램프와 석영 유리는 오염물과 부착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투명 보호 커버의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광 유닛은 투명 보호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 UV 램프이며 양 UV 램프와 투명 보호 커버는 단일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물 공간을 침투하는 광의 표시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제1 센서 타입은 다른 피스의 정보, 파라미터 또는 응답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하나는 혼탁도인데, 이는 그 측정 지점에서 수질에 관한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그밖에 다른 타입의 센서도 보완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 혼탁도 센서(또는 UV/혼탁도 센서의 조합), IR 센서 또는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센서가 있다.
더욱이, 물 처리 유닛은 광 처리 유닛과 다른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센서 타입은 전도도 센서이다. 한 적절한 예는 EC(Electrical Conductivity) 센서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센서 타입은 선택 센서, 즉 제어 시스템으로 파라미터에 관한 수치를 제공하는 센서로서 기능하는데, 상기 파라미터는 그보다 낮으면 물이 분리되지 않고 재순환되는 한계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센서 타입은 이러한 작동에서 제2 센서 타입을 보완한다. 이는 제1 센서가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선택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어 시스템으로 파라미터에 관한 수치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은 알고리즘(들)과 전체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제1 센서 타입으로부터의 기여가 있고 선택 결정과 관련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 센서 시스템이나 제어 시스템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센서 타입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의 배수구에 위치한다. 이는 도 1과 2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위치는 시스템에 제2 측정 지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제1 센서 타입에 대한 위치와 동일하지 않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시스템은 제3 센서 타입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센서 타입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의 배수구의 수위 센서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센서 타입은 시스템에서의 물의 재활용 또는 시스템으로부터의 물의 분리의 선택 결정에 대하여 제어 시스템으로 입력을 제공한다. 이는 이러한 센서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제어 시스템에 대해 동일한 종류의 기술적 기여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위 센서는 시스템의 바닥 배수구의 수위를 측정한다(도 1과 2의 샤워기 예시 참조). 이러한 수위는 예컨대 샤워기의 사용 프로필에 기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입력이나 수치는 제어 시스템이 선택 결정을 할 때 고려하는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예로서, 누군가 긴 머리를 감고 있을 때, 물의 유동은 먼저 감소했다가 활발하게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유동 프로필은 사용자가 머리를 감고 있으며, 샴푸나 컨디셔너가 배수구로 내려가고 있다는 표시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선택 결정이 이루어질 때 제어 시스템이 고려할 수 있는 입력이다.
또한 제3 센서의 이러한 구성은 그 센서의 이차적 사용이다. 이러한 센서의 주요 목적은 수위가 너무 낮을 때 공기가 시스템으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동일한 이중 기능성은 이러한 센서가 우선 UV 램프와 이를 둘러싸는 유리를 제어하기 때문에 (또는 실제로 광이 센서에 도달하기 때문에) UV 센서가 제1 센서 타입으로서 유효하며 수질이 이차적 파라미터로서 유효하다. 양 경우 이들 센서는 제어 시스템에서 선택 결정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제어 시스템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하여 제2 타입의 센서를 보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시스템은 물 처리 유닛의 물 처리 공급원, 예컨대 UV 공급원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센서 타입, 수질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센서 타입 및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배수구의 수위 센서인 제3 센서 타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센서 시스템은 아래 특성으로서,
- UV 공급원의 경우 UV 투여량을 측정하는 것과 같이, 물 처리 효과의 지표인 물 처리 공급원의 기능성을 측정하는 것;
- (실시간으로) 물이 시스템에서 재순환될지 아니면 분리될지의 주요 지표일 수 있는 수질을 측정하는 것; 및
- 예컨대 공기가 시스템에 도입되지 않도록, 유동 조절에 대한 입력을 제공하는 재순환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갖는데, 이러한 특성은 제어 시스템과 관계된다.
다만 본 발명은 제2 센서 및/또는 제3 센서로부터 정보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에 관한 응답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타입 센서는 혼탁도 센서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 특정 형태의 측정치나 표시는 그 센서로부터 제어 시스템의 기록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자체의 설정에 기반하여, 더럽거나 오염된 물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수위 센서인 제3 센서 타입은 수위의 증가 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특정 사용자 패턴, 예컨대 샴푸나 컨디셔너 사용을 나타내며, 이에 오염된 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수질에 관한 응답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센서 타입은 실제로 제1 센서 타입일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센서 타입은 실제로 하나의 동일한 센서, 예컨대 혼탁도 센서로 작용하는 UV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 타입과 제2 센서 타입은 하나의 동일한 단일 센서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은 이러한 센서를 몇몇 포함할 수도 있고 설명된 제1, 제2 및 제3 타입에 따른 임의의 타입의 그밖에 다른 센서와 조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 시스템은 모든 센서 타입에 대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동이나 응답 거동을 학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학습 센서 시스템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
더욱이, 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문맥에서 "배수구"라는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이라는 단어는 하수로 유도하는 지점을 의미하되, 실제로 하수 그 자체는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배수구에 이웃하게 배치된 재순환 탱크와 같은 유닛을 포함한다. 이 경우 분리 지점은 하수로 유도하는 배수구와 재순환 탱크 사이의 접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경우 제3 센서 타입은 재순환 탱크를 위한 수위 센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시스템, 물 처리 유닛,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필터 시스템은 시스템의 배수구에 배치된 러프 필터(rough filter) 및 후속 중간/미세 필터(mid/fine filter) 유닛을 포함한다.
러프 필터 유닛은 프리필터로 간주될 수 있다(도 2 참조). 러프 필터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 메시 필터이다. 나아가, 중간/미세 필터 유닛은 메인 필터로 간주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들 필터는 여과 프로필을 최적화하도록 상호 작용하여, 러프 필터 유닛은 큰 입자, 예컨대 70 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입자와 머리카락 및 그밖에 오염물을 여과하고, 중간/미세 필터 유닛은 작은 입자, 박테리아 등을 흡수하도록 보장한다.
나아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은 온수기와 물 처리 유닛의 조합으로 마련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이 나타나 있는데,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10)은 물 처리 유닛(40), 배수구(5) 및 펌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시스템(10)은 샤워기로, 노즐이 제공된다. 노즐은 핸드헬드 샤워기 유닛으로 보완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시스템(10)은 물 처리 유닛(40)의 물 처리 공급원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제1 센서 타입(1)을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센서 시스템은 수질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센서 타입(2)을 포함하는데, 이는 이 경우 배수구(5)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배수구는 제3 센서 타입(3)을 구비하는데, 이는 이 경우 수위 센서이다.
도 2는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다른 샤워기 시스템(10)을 나타내는데,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경우 시스템(10)은 물 처리 유닛(40), 적절하게는 온수기와 물 처리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는데, 이는 이 경우 UV 공급원을 포함하며, 이는 제1 센서 타입(1)(이 경우 UV 센서)에 연결된다. 더욱이, 시스템(10)은 프리필터(70)(탈착 가능 메시 필터)와 중간/미세 필터인 메인 필터(80)를 포함하는 필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나아가, 펌프, 제어 시스템(4), 노즐(및/또는 핸드헬드 샤워기) 및 배관이 시스템(10)에 배열된다. 배수구 유닛(5)에서, 제2 센서 타입(2)(메인 "선택 센서") 및 수위 센서인 제3 센서 타입(3)이 제공된다. 양 센서(2, 3)는 제어 시스템(4)에 연결된다.

Claims (11)

  1.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을 위해 의도된 센서 시스템으로서, 상기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은 물 처리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시스템은 물 처리 유닛의 물 처리 공급원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제1 센서 타입(1)을 포함하며, 센서 시스템은 수질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센서 시스템(2)을 포함하고, 양 제1 센서 타입(1)과 제2 센서 타입(2)은 시스템(10)에서의 물의 재활용 또는 시스템(10)으로부터의 물의 분리의 선택 결정에 대하여 시스템(10)의 제어 시스템(4)으로 입력을 제공하는 센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물 처리 공급원은 광 유닛이고, 제1 센서 타입(1)은 광센서인 센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광 유닛은 UV 램프이고, 제1 센서 타입(1)은 UV 센서인 센서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센서 타입(1)은 혼탁도 센서, IR 센서 또는 FTIR 센서인 센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센서 타입(2)은 전도성 센서인 센서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센서 타입(1)과 제2 센서 타입(2)은 하나의 동일한 단일 센서로 제공되는 센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센서 타입(2)은 물 처리 유닛(40)을 포함하는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의 배수구(5)에 배치되는 센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의 배수구의 수위 센서인 제3 센서 타입(3)을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제3 센서 타입(3)은 시스템(10)에서의 물의 재활용 또는 시스템(10)으로부터의 물의 분리의 선택 결정에 대하여 제어 시스템(4)으로 입력을 제공하는 센서 시스템.
  10.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시스템(10)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센서 시스템, 물 처리 유닛(40) 및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필터 시스템은 시스템(10)의 배수구에 배치되는 러프 필터 유닛(70) 및 후속 중간/미세 필터 유닛(80)을 포함하는 시스템(10).
  11. 제10항에 있어서,
    처리 유닛(40)은 온수기와 물 처리 유닛의 조합으로 마련되는 시스템(10).
KR1020197018064A 2016-11-25 2017-11-22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 KR20190104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51552 2016-11-25
SE1651552-0 2016-11-25
PCT/SE2017/051158 WO2018097789A1 (en) 2016-11-25 2017-11-22 Sensor system for a system allowing for purification and recycling of water or separation of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96A true KR20190104996A (ko) 2019-09-11

Family

ID=6219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064A KR20190104996A (ko) 2016-11-25 2017-11-22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00385285A1 (ko)
EP (1) EP3544930B1 (ko)
JP (1) JP2019536622A (ko)
KR (1) KR20190104996A (ko)
CN (2) CN115043448B (ko)
AU (1) AU2017366310A1 (ko)
CA (1) CA3040837A1 (ko)
DK (1) DK3544930T3 (ko)
ES (1) ES2925013T3 (ko)
PL (1) PL3544930T3 (ko)
WO (1) WO2018097789A1 (ko)
ZA (1) ZA201903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5847A4 (en) * 2018-02-23 2021-11-10 Orbital Systems AB DEVICE INTENDED FOR RECYCLING WATER OR RELEASING WATER NOT SUITABLE FOR RECYCLING
WO2020226561A1 (en) * 2019-05-08 2020-11-12 Orbital Systems Ab A method involving measuring of water quality and/or detection of one or more substances in a water flow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1668A1 (de) * 1994-06-23 1996-01-11 Grohe Kg Ha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iederverwendung von Grauwasser
SE526093C2 (sv) * 2002-11-22 2005-07-05 Dometic Ab System för vätskeförsörjning
GB2384238B (en) * 2003-02-22 2003-12-03 Stephen Neville Crof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device for sterilising a fluid
AU2003902382A0 (en) * 2003-05-16 2003-06-05 Baker, Chester Water recycle system
FR2896792B1 (fr) * 2006-01-27 2008-07-18 Millipore Corp Systeme et procede de purification d'eau
CN101579198B (zh) * 2009-02-23 2011-06-29 陈雨彤 节水淋浴循环装置
CN201635128U (zh) * 2009-12-14 2010-11-17 陈蜀乔 动态水分离循环节水装置
US9956512B2 (en) * 2011-12-23 2018-05-01 Orbital Systems Ab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and recycling shower water
DK3084086T3 (da) * 2013-12-20 2021-06-14 Orbital Systems Ab Reguleringsfremgangsmåde til hybridvandindretninger som indbefatter rensning, cirkulering og/eller separation
DK3084085T3 (da) * 2013-12-20 2021-06-14 Orbital Systems Ab En hybridvandindretning
WO2016076784A1 (en) * 2014-11-14 2016-05-19 Orbital Systems Ab An apparatus and handheld shower unit thereof for water supply and sanitary purposes, e.g. for allowing purification and either recycling of water or discarding of water
US11452951B2 (en) * 2016-11-25 2022-09-27 Orbital Systems Ab Disposable filter unit for a system allowing for purification and recycling of water or separation of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43448A (zh) 2022-09-13
US20200385285A1 (en) 2020-12-10
EP3544930A4 (en) 2020-07-22
CN110023247A (zh) 2019-07-16
AU2017366310A1 (en) 2019-07-04
DK3544930T3 (da) 2022-08-08
WO2018097789A1 (en) 2018-05-31
CN115043448B (zh) 2023-04-07
ES2925013T3 (es) 2022-10-13
EP3544930A1 (en) 2019-10-02
PL3544930T3 (pl) 2022-11-14
ZA201903762B (en) 2020-12-23
EP3544930B1 (en) 2022-05-18
JP2019536622A (ja) 2019-12-19
CA3040837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4085B1 (en) A water hybrid device
JP3230751B2 (ja) 濁度の測定
KR20190104996A (ko) 물의 정화와 재활용 또는 물의 분리를 허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센서 시스템
US20170275802A1 (en) Washing machine having reminding function for preventing clothing from fading and method
US10173912B2 (en) Water quality detection, separation and recycl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96638A (ko) 정화, 순환 및/또는 분리를 포함하는 물 하이브리드 장치를 위한 조절 방법
CN103492323A (zh) 灰水划分和处理
CN109708751A (zh) 光敏传感器检测修正方法、装置及空调器
RU2472717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 процессом очистки воды с непрерывным контролем ее качества в различных точках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схемы
US20210047202A1 (en) A water recirculation device allowing for purification and recycling of water or multiple separation
WO2019164436A1 (en) A device intended for recycling of water or discarding of water not suitable to recycle
CN104862922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1985781B1 (ko) 필터 장치
KR20220113068A (ko) 딥 러닝을 통한 조류 대응 수처리 공정의 최적화 방법
US202203254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home appliance water use
US20230227332A1 (en) Water treatment pitcher
CN116964009A (zh) 净化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35643B1 (ko) 정수기
KR20220122182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232354A (ja) 浄水器
JP2022552332A (ja) サステナビリティ資源管理システム
Meisch Evaluation of a Magnetic Ion Exchange Resin for the Removal of Disinfeection By-Product Precursors: A Pilot Plant Study
KR20230018924A (ko) 정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7275840A (ja) 循環温浴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