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751A -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51A
KR20190103751A KR1020180024556A KR20180024556A KR20190103751A KR 20190103751 A KR20190103751 A KR 20190103751A KR 1020180024556 A KR1020180024556 A KR 1020180024556A KR 20180024556 A KR20180024556 A KR 20180024556A KR 20190103751 A KR20190103751 A KR 20190103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water cosmetic
peg
polyglyce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508B1 (ko
Inventor
백병열
정희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2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508B1/ko
Priority to PCT/KR2019/002383 priority patent/WO2019168351A1/ko
Priority to CN201980011866.3A priority patent/CN111712225B/zh
Publication of KR2019010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수성-개질 에톡시화 우레탄(HEUR) 타입의 폴리머를 포함하여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10~60중량%)의 오일을 함유하면서도, 점증제 대신 HEUR 타입의 폴리머로 점증하여 고함량의 오일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오일이 효과적으로 안정화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과 산뜻한 발림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OIL IN 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TABILIZED HIGH OIL CONTENT}
본 발명은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HEUR(Hydrophobically-modified Ethoxylated Urethane) 타입의 폴리머를 포함하여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다양한 종류와 제형이 상품화되고 있고, 특히 고점성의 유화형 크림팩 성상을 갖고 있는 화장료들은 일반적으로 물을 함유하면서, 고함량의 오일을 분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인위적으로 점도 조절제를 사용하여 원하는 점성과 제형을 만들게 된다.
내상에 일정량의 오일을 분산 혹은 봉입하는 기술들은 수중유형(oil-in-water)의 에멀젼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보통 액상의 형태로 만들어지며, 점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점도 조절제를 첨가하여야만 원하는 점성을 가지는 성상을 얻을 수 있다. 내상에 오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관점에서 보면, 유화형 크림의 성상을 가지는 화장료에 사용된 오일함량은 적게는 1중량%에서 많게는 30중량% 정도로 배합된 제형들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특수한 기능을 가지는 클렌징크림, 마사지크림 제형에서는 20중량%에서 50중량% 정도의 많은 양의 오일을 내포하고 있으나, 이들의 조성을 살펴보면 반드시 크림의 점도를 지탱해주는 점도 조절제인 지방산왁스, 지방알코올류, 폴리머형 점도 조절제가 함유되어 있다.
오일을 다량 함유하는 화장료는 오일클렌저, 천연식물성 오일을 그대로 피부에 사용하는 앰플농축액 등이 있는데, 이들은 오일들이 내상에 존재하지 않고, 연속상에 존재하는 형태들로서, 내상에 고함량의 오일이 분산되는 제형이 아니다.
이러한 기존의 내상에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수중유형 나노에멀젼의 경우, 상기와 같이 점도 조절제를 적용하게 되는데, 이때 오일 입자의 사이즈가 커지면서 수중유형 나노에멀젼의 특유한 반투명 외관과 산뜻한 텍스쳐를 읽어버리게 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76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88868호
본 발명은 기존의 점도 조절제 대신 소수성-개질 에톡시화 우레탄 (Hydrophobically-modified Ethoxylated Urethane; HEUR) 타입의 폴리머(이하, 'HEUR 타입의 폴리머'로 약칭)를 포함하여,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수중유형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오일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나노에멀젼 특유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과 산뜻한 발림성을 유지한 오일 고함유 수중유형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젤(oil gel); 및 HEUR 타입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10~60중량%)의 오일을 함유하면서도, 점증제 대신 HEUR 타입의 폴리머로 점증하여 고함량의 오일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오일이 효과적으로 안정화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과 산뜻한 발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1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투명감 및 외관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의 명칭은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미국화장품협회(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서 발행한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에 등재된 INCI(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Name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해당 명칭이 INCI Name 중 존재하지 않으면,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제정한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하며,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화합물의 명칭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중유(Oil in Water, O/W)형은 연속상은 수상이고, 분산상은 유상인 에멀젼 제형을 의미하며, "오일 성분"은, 물에 녹지 않으면서, 기름, 용제 따위에 녹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젤크림 형태의 조성물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점증제 대신 Hydrophobically-modified Ethoxylated Urethane(HEUR) 타입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조성물 내 고함량의 오일이 효과적으로 안정화되면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외관과 산뜻한 발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젤(oil gel); 및 HEUR 타입의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상기 오일젤은 상기 오일 성분을 고함량으로, 특히 오일젤 총 중량에 대하여 10~6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며, 이에 의하여 수분감뿐만 아니라 오일 성분 고유의 특성인 보습력과 윤기를 제공한다. 오일 성분이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오일 성분의 보습력과 윤기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낮아 젤의 보형성을 구현할 수 없고, 60중량% 초과이면 제형의 장기 안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수분감이 줄어들어 사용감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일 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중유형으로 제형화되며, 특히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젤크림 형태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젤은 오일 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고압유화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는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친수부가 커 효과적으로 계면막을 패킹할 수 있으며,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9 ~ 19로 높아 입도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낮춰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는 메칠 글루코사이드, 스테아릭애씨드의 모노에스터 및 디에스터의 혼합물로 오일 입자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1종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오일 입자를 더 작게 장기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로는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젤은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및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상기 오일젤은 상기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상기 오일 성분 1중량부에 대하여 0.10~0.2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200nm 이하의 유용성 성분 입자가 형성되지 않아 조성물이 현탁하게 되거나 점도가 낮아 일반 에멀젼과 사용감이 차별화되지 않으며, 0.2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높아 경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크림과 같은 성상을 나타내고 질감이 단단하여 사용감이 마스킹되므로, 원하는 제형의 물성을 얻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1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또는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중 1종 이상을 0.01~0.40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01~0.34중량부의 양으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1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를 0.01~0.17중량부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를 0.01~0.17중량부의 양으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1중량부에 대하여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를 0.01~0.17중량부,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를 0.01~0.17중량부의 양으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으로는 녹는점이 30℃ 이상이며, 실온에서 고체 상태인 지방, 왁스, 고급알코올, 고급지방산, 하이드로카본 등을 포함하는 고체상 성분; 또는 오일, 에스터, 에테르, 하이드로카본 등을 포함하는 액체상 성분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상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쉐어버터, 망고씨 버터 및 카카오씨 버터 등의 지방;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카멜리아시넨시스리프 추출물, 호호바, 썬플라워씨드, 카르나우바왁스, 칸델릴라왁스 및 밀납 등의 왁스;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 등의 고급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지방산; 및 세레신 등의 하이드로카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체상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메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녹차씨오일, 생강오일, 인삼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동백오일 등의 천연 오일;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메칠헵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등의 에스터; 디카프릴릴에테르 등의 에테르;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트리실록산 및 메칠트리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 및 스쿠알란 등의 하이드로카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HEUR 타입의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ceth 20 Ester),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PEG-150/DECYL ALCOHOL/SMDI COPOLYMER) 또는 스테아레스-100/PEG-136/HDI 코폴리머(STEARETH-100/PEG-136/HDI CO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및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때,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상기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및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는 1:1 내지 1:7의 중량비(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로 혼합될 수 있다.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에 대한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의 비가 1:1 미만인 경우에는, 흐름성이 좋지 않아 떠짐성, 펴발림성이 저하되어 젤크림 제형으로서 사용감이 저하된다. 또한,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에 대한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의 비가 1:7 초과인 경우에는, 탄력감 및 수분감이 떨어져 사용감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화장료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올, 에탄올, 추출물, 기능성 효능 성분, 색소, 향, 중화제, 방부제 등의 보조 성분을 적정량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수중유형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오일젤의 조성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표 1 및 표 2의 성분 함량 단위: 중량%).
순번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 7
1 오일젤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3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0.08 0.12 - - - - 0.16 - 0.03
4 PEG-150/DECYL ALCOHOL/SMDI COPOLYMER 0.50 0.46 - - - - 0.15 0.90 0.55
5 Carbomer - - 0.20 - - - - - -
6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 - - 0.20 - - - - -
7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 - - - 0.20 - - - -
8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 - - - - 0.20 - - -
9 중화제 1.05 0.96 0.14 - 0.14 - 0.35 1.75 0.39
순번 성분명 오일젤
1 정제수 To 100
2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3.20
3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0.40
4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0.20
5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천연 오일 또는 실리콘계 오일 등의 오일 성분 혼합물 25.00
6 방부제 0.20
7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8 폴리올  8.10
9 에탄올 5.00
10 향료 0.17
<제조방법>
1) 상기 표 2의 1~10 원료를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2) 상기 단계 1)의 에멀젼을 탈기한 뒤 M-110EH-30 Microfluidizer® Processor(Microfluidics社)를 이용하여 1000bar에서 3Cycle 이상 압력을 가하여 오일젤을 제조하였다.
3) 별도의 용기에서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폴리머를 수상에 2중량% 농도로 분산한 뒤 약 70℃로 가온하고 호모믹서로 혼합하여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2중량%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단계 2)의 오일젤에 단계 3)의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2중량% 수용액과 폴리올을 첨가한 뒤 호모믹서를 통해 혼합하였다.
5)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를 첨가한 뒤 호모믹서로 혼합하였다.
6)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를 중화하여 점증하고 최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물성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물성을 오일 성분의 입도, 조성물의 투명감 및 외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입도는 Malvern Zen 3600 Zentasi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입도(nm) 투명감 및 외관
실시예 1 141.8 투명감 있는 젤크림
실시예 2 145.2 투명감 있는 젤크림
비교예 1 392.2 흰색 크림
비교예 2 195.5 흰색 크림
비교예 3 310 흰색 크림
비교예 4 193.4 흰색 크림
비교예 5 130 투명감 있는 젤크림
비교예 6 127.7 투명감 있는 젤크림
비교예 7 138.2 투명감 있는 젤크림
상기 표 3 및 도 1의 결과로부터, HEUR 타입의 폴리머가 아닌 기존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오일 입자의 입도가 증가하여 탁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HEUR 타입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비교예 5 내지 7의 경우 투명감 있는 젤크림 형태로 제형화 되어 원하는 물성은 갖추지만, 하기 시험예 2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비교예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HEUR 타입의 폴리머의 혼합비를 벗어난 경우로서, 그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오일 입자의 입도가 작은 상태로 안정화되어 투명감 있는 젤크림 형태로 제형화 되고, 하기 시험예 2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그 사용감 또한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시험예 2> 사용감 평가 시험
상기 시험예 1에서 투명감 있는 젤크림의 형태로 제형화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5 내지 7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10인의 피험자의 피부에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5 내지 7의 조성물을 도포한 후, 떠짐성, 펴발림성(발림 용이성) 및 끈적임의 항목에 대하여 9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평가점수] 1점/---: 가장 나쁨, 9점/+++: 가장 좋음).
  떠짐성 펴발림성 끈적임 총 사용감
실시예1 7 7 6 +++
실시예2 6 6 7 +++
비교예5 3 2 8 +
비교예6 4 5 1 --
비교예7 5 5 3 -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에 따른 두 종류의 HEUR 타입의 폴리머를 모두 포함하지만,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폴리머에 대한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의 비율이 1:1 미만인 비교예 5의 경우, 떠짐성, 펴발림성이 좋지 않아 젤크림 제형으로서 사용감이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두 종류의 HEUR 타입의 폴리머 중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만을 함유하거나,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폴리머에 대비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를 1:7의 비율을 초과하여 과량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6 및 7의 경우, 끈적임이 심하여 사용감이 매우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본원 발명에 따른 두 종류의 HEUR 타입의 폴리머를 1:1 내지 1:7의 배합비로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떠짐성, 펴발림성 및 끈적임의 모든 항목에서 사용감이 크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3> 제형 안정도 비교 시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을 시간 경과에 따른 조성물의 분리 정도로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15℃, 5℃, 30℃, 45℃ 또는 60℃의 온도로 세팅된 항온기에서 4주 동안 보관하고, 매주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이때, -15℃에 보관한 화장료 조성물은 매 1주마다 상온에서 해동하여 안정도를 관찰한 뒤 다시 냉동보관 하였다. 관찰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온도
-15℃ 5℃ 30℃ 45℃ 60℃
실시예 1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실시예 2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비교예 1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1주차 분리
비교예 2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2주차 분리
비교예 3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1주차 분리
비교예 4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2주차 분리
비교예 5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비교예 6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비교예 7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4주 안정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HEUR 타입의 폴리머가 아닌 기존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각각 60℃의 고온에서 조성물이 분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어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HEUR 타입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5 내지 7의 경우, 보관 온도에 관계 없이 4주의 기간 동안 제형 안정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 종류의 HEUR 타입의 폴리머를 1:1 내지 1:7의 배합비로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오일 입자의 입도가 작은 상태로 안정화되어 투명감 있는 젤크림 형태로 제형화 되고, 보관 온도에 관계 없이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사용감 또한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 및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젤(oil gel); 및 소수성-개질 에톡시화 우레탄(Hydrophobically-modified Ethoxylated Urethane; HEUR) 타입의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는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및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는 상기 오일 성분 1중량부에 대하여 0.10~0.2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은 상기 오일젤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6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은 쉐어버터, 망고씨 버터 및 카카오씨 버터를 포함하는 지방;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카멜리아시넨시스리프 추출물, 호호바, 썬플라워씨드, 카르나우바왁스, 칸델릴라왁스 및 밀납을 포함하는 왁스;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을 포함하는 고급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고급지방산; 세레신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 메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녹차씨오일, 생강 오일, 인삼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동백오일을 포함하는 천연 오일;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메칠헵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터; 디카프릴릴에테르를 포함하는 에테르;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트리실록산 및 메칠트리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 및 스쿠알란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EUR 타입의 폴리머는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및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EG-240/HDI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세스 20 에스터 및 PEG-150/데실 알코올/SMDI 코폴리머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1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젤크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24556A 2018-02-28 2018-02-28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6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56A KR102563508B1 (ko) 2018-02-28 2018-02-28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CT/KR2019/002383 WO2019168351A1 (ko) 2018-02-28 2019-02-27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201980011866.3A CN111712225B (zh) 2018-02-28 2019-02-27 稳定高含量的油的水包油型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56A KR102563508B1 (ko) 2018-02-28 2018-02-28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51A true KR20190103751A (ko) 2019-09-05
KR102563508B1 KR102563508B1 (ko) 2023-08-07

Family

ID=6780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556A KR102563508B1 (ko) 2018-02-28 2018-02-28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63508B1 (ko)
CN (1) CN111712225B (ko)
WO (1) WO20191683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08A (ko) 2019-10-28 2021-05-07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7863B1 (fr) * 2020-12-21 2024-01-19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e silicone aminée, une silicone non aminée et un polymère associatif non ionique, et procédé de traitement cosmétiqu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7202A1 (en) * 2006-12-21 2010-02-25 Henkel Ag & Co.Kgaa Hair-Conditioning Agents Containing Selected Cationic Polymers and Water-Soluble Silicones
KR20110107982A (ko) * 2010-03-26 2011-10-05 (주)디에취 에스 코리아 자외선 차단을 위한 휴대용 액체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6843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JP2016088868A (ja)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 資生堂 弾力ジェル状組成物
KR20160117111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7608B1 (ko) 2015-08-25 2016-12-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습식미세화된 귤류박 또는 오렌지류박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이의 적층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55173C (en) * 2006-06-12 2013-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lotioned wipe product comprising an anti-stick agent and a performance enhancing agent
JP5384788B2 (ja) * 2006-12-08 2014-01-08 花王株式会社 乳化化粧料
KR101845967B1 (ko) * 2010-10-26 2018-04-06 (주)아모레퍼시픽 소수성 형상 기억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분산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FR2976579B1 (fr) * 2011-06-14 2013-07-05 Coatex Sas Epaississants non ioniques associatifs contenant des alkyls cyclohexylols, formulations les contenant et leurs utilisati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7202A1 (en) * 2006-12-21 2010-02-25 Henkel Ag & Co.Kgaa Hair-Conditioning Agents Containing Selected Cationic Polymers and Water-Soluble Silicones
KR20110107982A (ko) * 2010-03-26 2011-10-05 (주)디에취 에스 코리아 자외선 차단을 위한 휴대용 액체티슈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8868A (ja)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 資生堂 弾力ジェル状組成物
KR20170078688A (ko) * 2014-10-31 2017-07-0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탄력 젤리상 조성물
KR20160056843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7111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7608B1 (ko) 2015-08-25 2016-12-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습식미세화된 귤류박 또는 오렌지류박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이의 적층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08A (ko) 2019-10-28 2021-05-07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12225A (zh) 2020-09-25
WO2019168351A1 (ko) 2019-09-06
CN111712225B (zh) 2023-04-11
KR102563508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US11318074B2 (en) Oil-in-water form cosmetic composition
JP2015117209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3508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44638B1 (ko) 모발 화장료
FR3045351A1 (ko)
KR20220044256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26209B1 (ko) 액정 에멀전 기반의 저점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8173112B2 (en) Emulsified composition for hair
FR3045333A1 (ko)
KR102673707B1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612A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77421B1 (ko) 비타민c를 안정적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1531B1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US10555885B2 (en) Low viscous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natural emulsifying agent
KR102556558B1 (ko) 자가 유화 유도제 및 자가 유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EP3582746B1 (en) Cosmetic lotion
WO2021110733A1 (en) A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and a method for improving sensory characteristics
KR20220057361A (ko) 병풀 정량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220947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22000422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