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583A - 안과 검사용 기구 - Google Patents

안과 검사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583A
KR20190103583A KR1020180024154A KR20180024154A KR20190103583A KR 20190103583 A KR20190103583 A KR 20190103583A KR 1020180024154 A KR1020180024154 A KR 1020180024154A KR 20180024154 A KR20180024154 A KR 20180024154A KR 20190103583 A KR20190103583 A KR 2019010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r
slide
cube
length scale
optome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511B1 (ko
Inventor
김학준
홍세민
전인철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문건은 조절근점 및 폭주근점뿐만 아니라, 교정시력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안과 검사용 기구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기구는, 길이눈금과 상기 길이눈금에 따른 디옵터가 표시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파츠; 상기 슬라이더 파츠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측에 도형이 표시된 큐브; 및, 상기 측정자의 가장자리에 탈부착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검안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과 검사용 기구{APPARATUS FOR OPHTHALMOLOGY INSPECTION}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은, 안과 검사(조절근점검사, 폭주근점검사 등)용 기구(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1615호는, 일정간격마다 폭주근점 및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단위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기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측정자에 표기된 단위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부가 구비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서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폭주력을 측정하기 위한 주시막대가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시력표;로 구성되어, 조절근점(한 눈으로 피사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 및 폭주근점(눈모음근점 : 두 눈으로 피사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9960호는, 교정시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안경테를 개시한다.
KR 10-1141615 B1 (2012.05.17. 공고) KR 20-1996-0009960 U (1996.04.12. 공개)
조절근점 및 폭주근점뿐만 아니라, 원점굴절도, 교정시력 등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안과 검사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기구는, 길이눈금과 상기 길이눈금에 따른 디옵터가 표시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파츠; 상기 슬라이더 파츠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측에 도형이 표시된 큐브; 및, 상기 측정자의 가장자리에 탈부착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검안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큐브는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슬라이드 파츠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프레임은, 내측에 검안렌즈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호선 형태의 보디부와, 상부가 상기 보디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측정자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레그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기구는, 상부에 상기 레그부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는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측정자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프레임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기구는, 슬라이드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탈부착 가능한 용두; 및, 상기 슬라이드 파츠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스크루와 결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일부 양태(Aspect)에 불과하며, 다른 양태나 특징들은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이용하면, 전기와 값비싼 정밀 검안 장치가 없더라도, 피검사자 스스로 본인의 조절근점 및 폭주근점을 측정할 수 있고, 렌즈프레임과 검안렌즈를 이용하여, 원점굴절도, 교정시력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기구는, 정밀 검안 장치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은 산간지역, 도서지역, 난민캠프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측정자(1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의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 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측정자(11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는 측정자(110), 슬라이드 파츠(120), 큐브(130) 및 렌즈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측정자(1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측정자(110)의 표면에는 길이눈금(112) 및 길이눈금(112)에 따른 디옵터(114)[Diopter : 안경의 굴절도]가 표시된다.
또한, 측정자(110)에는 길이눈금(112)에 따른 '폭주과다', '정상', '폭주부족'을 나타내는 막대로 이루어진 제1 막대부(116)와, 길이눈금(112)에 따른 연령대별 폭주기준을 나타내는 막대로 이루어진 제2 막대부(118)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슬라이드 파츠(120)는 측정자(110)에 구비되고, 외력을 가하면, 측정자(110)의 길이방향(길이눈금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 파츠(120)는 길이눈금(112)을 지시하는 가늠자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파츠(110) 상부 일측에는, 피검사자가 엄지와 검지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큐브(130)는 슬라이드 파츠(120)의 상부에 구비된다. 큐브(130)의 외측에는 도형(132)이 표시된다. 도형(132)은 시력표, 폭주근점을 측정할 수 있는 막대 형태의 시표 등일 수 있다.
큐브(130)의 측면마다 각각 다른 도형(13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큐브(130)의 하부와 슬라이드 파츠(120)의 상부는, 회전축(미도시)을 매개로 결합(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피검사자는 측정 목적에 따라 큐브(130)를 회전시켜, 큐브(130)의 어느 한 측면에 표시된 도형(132a)을 선택할 수 있다.
렌즈프레임(140)은 측정자(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렌즈프레임(140)은 하나 이상의 검안렌즈(TR)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즉, 렌즈프레임(140)에는 복수 개의 검안렌즈(TR)가 길이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렌즈프레임(140)은, 내측에 검안렌즈(TR)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홈(142a)이 형성된 호선 형태의 보디부(142)와, 상부가 보디부(142)에 연결되고, 하부에 측정자(110)의 일부분(모서리 등)을 수용하는 홈(144a)이 형성된 레그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를 이용한, 원점굴절도, 조절근점 및 폭주근점 등의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원점굴절도 측정
1. 슬라이드 파츠(120)를 측정자(110)의 길이눈금(112) 10cm 지점에 위치시킨다.
2. 렌즈프레임(140)에 +10D의 검안렌즈(TR)를 장착한다.
3. 측정자(110)를 피검사자의 볼 전방에 위치시켜, 검안렌즈(TR)가 눈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4. 반대쪽 눈을 감고, 큐브(130)에 표시된 상[도형(132)]을 바로 본다.
5. 비정시안의 피검사자의 경우, 눈앞 10cm 가 아닌 다른 지점에서 원점이 맺힌다. 이때, 슬라이드 파츠(120)를 서서히 이동시켜, 피검사자의 원점굴절도 및 굴절이상도를 알아낸다.
조절근점 측정
1. 측정자(110)에서 렌즈프레임(140)을 제거한 뒤, 측정자(110)를 피검사자의 볼(단안측정) 또는 코(양안측정) 중 어느 하나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2. 큐브(130)에 표시된 상[도형(132)]이 흐리게 보일 때까지, 눈앞으로 슬라이드 파츠(120)를 이동시킨다.
3. 반복적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확인한다.
폭주근점 측정
1. 측정자(110)에서 렌즈프레임(140)을 제거한 뒤, 측정자(110)를 피검사자의 코 전방에 위치시킨다.
2. 큐브(130)에 표시된 상[도형(132)]이 두 개로 보일 때까지, 슬라이드 파츠(120)를 서서히 이동시킨다.
3. 반복적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확인한다.
콘택트렌즈 착용 후 잔여 굴절력 측정
1. 콘택트렌즈 착용 후, 위 방법으로 원점굴절도, 조절근점, 폭주근점을 측정하여, 기존 굴절력 값에 가감한다.
교정시력 및 난시 측정
1. 렌즈프레임(140)에 +10D의 검안렌즈(TR)와 교정시력 측정용 검안렌즈 또는 난시 측정용 검안렌즈 장착하여, 교정시력 또는 난시를 측정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의 변형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는 상부에 레그부(144)에 형성된 홈(144a)과 결합되는 2개의 돌기(15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측정자(11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154)이 형성된 프레임브릿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브릿지(150)를 이용하면, 양안 교정시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는 기어박스(160), 용두(170) 및 너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60)는 기어(미도시)와 슬라이드 스크루(162)를 포함하고, 측정자(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기어박스(160)의 하부에는 피검사자가 엄지와 검지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용두(170)는 기어박스(160)의 폭 방향 양측에 탈부착 가능하고, 용두(170)를 기어박스(160)에 장착한 후,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스크루(162)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너트(180)는 슬라이드 파츠(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슬라이드 스크루(162)와 결합된다. 즉, 용두(170)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드 파츠(120)가 측정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운동하게 된다.
피검사자가 슬라이드 파츠(120)를 손으로 직접 조작할 경우, 안기능 검사시 피검사자의 시야를 분산시킬 우려가 있고, 슬라이드 파츠(120)의 미세 조작이 어렵다. 이에 비하여, 기어박스(160), 용두(170) 및 너트(180)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파츠(120)를 간접 조작할 경우, 피검사자의 양손이 측정자(110)의 하부에 위치됨으로, 안기능 검사시 피검사자의 시야가 분산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드 파츠(120)의 미세 조작이 가능해 진다.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 100')를 이용하면, 전기와 값비싼 정밀 검안 장치가 없더라도, 피검사자 스스로 본인의 조절근점 및 폭주근점을 측정할 수 있고, 렌즈프레임(140)과 검안렌즈(TR)를 이용하여, 원점굴절도, 교정시력 등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 100')는, 정밀 검안 장치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은 산간지역, 도서지역, 난민캠프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기구(100, 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 : 기구
110 : 측정자
112 : 길이눈금
114 : 디옵터
116 : 제1 막대부
118 : 제2 막대부
120 : 슬라이드 파츠
130 : 큐브
132 : 도형
140 : 렌즈프레임
142 : 보디부
142a : 홈
144 : 레그부
144a : 홈
150 : 프레임브릿지
152 : 돌기
154 : 홈
160 : 기어박스
162 : 슬라이드 스크루
170 : 용두
180 : 너트
190, 190' : 파지구
--
TR : 검안렌즈

Claims (5)

  1. 길이눈금과 상기 길이눈금에 따른 디옵터가 표시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파츠(PARTS);
    상기 슬라이더 파츠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측에 도형이 표시된 큐브; 및,
    상기 측정자의 가장자리에 탈부착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검안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프레임;을 포함하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는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슬라이드 파츠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프레임은,
    내측에 검안렌즈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호선 형태의 보디부와,
    상부가 상기 보디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상기 측정자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레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레그부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는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측정자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프레임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탈부착 가능한 용두; 및,
    상기 슬라이드 파츠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스크루와 결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기구.
KR1020180024154A 2018-02-28 2018-02-28 안과 검사용 기구 KR10204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154A KR102042511B1 (ko) 2018-02-28 2018-02-28 안과 검사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154A KR102042511B1 (ko) 2018-02-28 2018-02-28 안과 검사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583A true KR20190103583A (ko) 2019-09-05
KR102042511B1 KR102042511B1 (ko) 2019-11-27

Family

ID=6794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154A KR102042511B1 (ko) 2018-02-28 2018-02-28 안과 검사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737A1 (ko) * 2020-03-09 2021-09-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안 진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879U (ja) * 1994-06-01 1994-11-29 株式会社三城 調節輻輳近点計
KR960009960U (ko) 1994-09-16 1996-04-12 김홍노 시력측정용 검안테
KR20120031592A (ko) * 2010-09-27 2012-04-04 조학영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KR101737266B1 (ko) * 2016-02-29 2017-05-18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조절반응량 검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879B2 (ja) * 1994-09-28 2000-01-31 川崎製鉄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浴への侵入鋼帯の温度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879U (ja) * 1994-06-01 1994-11-29 株式会社三城 調節輻輳近点計
KR960009960U (ko) 1994-09-16 1996-04-12 김홍노 시력측정용 검안테
KR20120031592A (ko) * 2010-09-27 2012-04-04 조학영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KR101141615B1 (ko) 2010-09-27 2012-05-17 조학영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KR101737266B1 (ko) * 2016-02-29 2017-05-18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조절반응량 검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737A1 (ko) * 2020-03-09 2021-09-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안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11B1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645A (en) Refractometer for measuring spherical refractive errors
WO2015070672A1 (zh) 一种手持视力检测装置及视力检测方法
US465388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arameters required when mounting ophthalmic lenses upon a spectacles frame
US7996997B2 (en) Spectacle measuring tool
US56917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vertical and horizontal pupillary decentration
KR102042511B1 (ko) 안과 검사용 기구
US20220206291A1 (en) Vision inspection and correction method, together with the system apparatus thereof
JP3240242B2 (ja) アイポイント測定具
KR100667026B1 (ko) 폭주근점 측정장치
US7341350B1 (en) Method for evaluating and measuring accommodation amplitude and range and a device for employing same
US96752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reening a state of ophthalmic fatigue of an individual
JPH04253836A (ja) 眼科測定装置
US564021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pupillary height
JP3114819B2 (ja) 眼科用測定装置
TWI772793B (zh) 視覺焦距檢測輔助裝置,及使用該檢測輔助裝置之自覺式瞳孔間距量測裝置
JP2567642B2 (ja) 瞳孔間距離計
US3115713A (en) Pupillometer
KR101661852B1 (ko) 다기능 검안 자
KR100960524B1 (ko) 검안 장치
CN219895703U (zh) 连续变焦验光光学系统和便携式主观验光仪
JPS59156323A (ja) 眼の近点距離測定装置
CN219048435U (zh) 一种基于眼科裂隙灯的三棱镜试镜装置
JP2000157494A (ja) 検眼具
CN117838031A (zh) 一种用于测量斜视合并屈光不正患者的三棱镜装置及方法
JP2627553B2 (ja) 瞳孔間距離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