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592A -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592A
KR20120031592A KR1020100093059A KR20100093059A KR20120031592A KR 20120031592 A KR20120031592 A KR 20120031592A KR 1020100093059 A KR1020100093059 A KR 1020100093059A KR 20100093059 A KR20100093059 A KR 20100093059A KR 20120031592 A KR20120031592 A KR 20120031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unit
slider
force
nea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615B1 (ko
Inventor
조학영
Original Assignee
조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학영 filed Critical 조학영
Priority to KR1020100093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9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accommo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자에 눈의 시력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절력과 폭주 근점에 대한 시력 상태를 표기함과 아울러 연령대별 시력상태를 표기하고, 측정자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된 시력표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조절력을 폭주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표를 표기한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는,
일정간격마다 각각 폭주 근점 및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단위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기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측정자에 표기된 단위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부가 구비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서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폭주력을 측정하기 위한 주시막대가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시력표;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측정자에 조절력과 폭주 근점 상태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가 이루어져 손쉽게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시력표가 설치되고,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조절력 및 폭주 근점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accomodation range and nearpoint of convergence}
본 발명은 시력 측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의 촛점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에 있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또한 시력 상태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눈의 정확한 시력검사와 안경처방을 위해서는 눈의 조절력과 폭주 근점(輻輳近點)을 측정하여야 하는데, 조절력이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볼 때 촛점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디옵터(diopter)의 단위를 사용한다.
또한 폭주 근점은 두 눈으로 보는 물체가 뇌에서 하나로 인식될 수 있도록 두 눈의 근육을 이용하여 촛점을 한 곳으로 모아주는 능력을 의미하며, cm의 단위로 측정하게 된다.
종래의 폭주 근점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다란 막대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폭주 근점의 측정단위가 표시된 측정자(100)와, 측정자(100)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면에는 횡방향으로 끼움홈(111)이 형성된 슬라이더(110)와, 끼움홈(111)에 끼워지는 종이로 된 시력표(12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절력 측정용 시력표(120)를 슬라이더(110)의 끼음홈(111)에 끼운 후 측정자(100)의 한쪽을 측정하고자 하는 눈 아래 부위에 밀착시킨 다음 슬라이더(1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시력표(120)의 글씨나 문양이 선명하게 보이는 위치의 단위를 확인한다.
또한, 폭주 근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폭주 근점 측정용 시력표(120)를 슬라이더(110)에 장착하여 코 부위에 밀착시킨 다음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게 된다.
확인된 조절력 또는 폭주 근점 단위는 별도의 조절력 또는 폭주 근점 조견표를 참조하여 조절력과 폭주 근점 상태를 판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 구성은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할 때마다 각각 분리된 별도의 조절력 측정용 또는 폭주 근점용 시력표(120)를 매번 교체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우며, 또한 측정자(100)에는 측정 단위만 표기되어 있어서 별도의 조견표를 참조하여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판단하여야 하므로 큰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측정자에 눈의 시력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절력과 폭주 근점에 대한 시력 상태를 표기함과 아울러 연령대별 시력상태를 표기하고, 측정자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된 시력표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조절력을 폭주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표를 표기한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는,
일정간격마다 각각 폭주 근점 및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단위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기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측정자에 표기된 단위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부가 구비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서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폭주력을 측정하기 위한 주시막대가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시력표;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측정자에 조절력과 폭주 근점 상태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가 이루어져 손쉽게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시력표가 설치되고,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조절력 및 폭주 근점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폭주 근점 측정장치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도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도.
도 4는 시력표의 후면을 보인 도.
도 5는 측정자의 표시부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분해하여 보인 도이고, 도 3은 결합도로서, 길고 납작한 자형태로서 측정자(2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정자(200)는 측면에 폭주 근점을 측정하기 위한 cm 단위가 표기되며, 또한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디옵터 단위가 표기된 표시부(201)를 갖는다.
이러한 표시부(201)를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길이방향을 향해 cm단위가 표기되고, 하측으로는 디옵터 단위가 길이방향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각 단위의 범위에 대응하여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나타내는 표기사항 즉, '조절,폭주과다', '폭주근점'이 표기되며, 또한 조절력과 폭주 근점에 상태에 따른 렌즈의 종류(예를 들면 기능성 렌즈, 누진 렌즈 등)가 표기된다.
또한, 단위의 범위에 따라 시력의 연령별 참고치(10대, 20대, 30대, 40대,...)이 표기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10)의 지시부(214,214')가 지시하는 위치에서의 조절력, 폭주 근점, 측정된 시력의 연령대, 처방할 렌즈 종류 등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측정자(200)의 후방에는 슬라이더(2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202)가 형성되며, 전방은 코 부위에 접촉할 때 정확한 단위 측정(즉, 거리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203)를 가진다.
슬라이더(210)는 측정자(200)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서, 사각의 직육면체 몸체(211)로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에는 측정자(200)의 표시부(201)가 노출되도록 관통된 노출공(213)이 형성되고, 노출공(213)의 종방향 양측벽에는 측정자(200)가 관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공(212,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측정자(200)가 삽입공(212,212')을 통해 슬라이더(210)에 끼워지면, 슬라이더(210)의 위치에 따라 노출공(213)을 통해 표시부(201)의 특정부위가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노출공(213)의 상부 가운데 부분과 하부 가운데 부분에는 뾰족한 형태의 지시부(214,214')가 형성되어 표시부(201)의 특정 단위 위치를 지시하게 되며, 슬라이더(210)의 하부면에는 손으로 슬라이더(2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편(21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10)의 상부면으로는 시력표(220)를 장착하기 위한 시력표 장착부(216)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시력표 장착부(216)는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그 돌출된 부위에 홈부(218)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218)는 시력표(220)가 측정자(200)에 직교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슬라이더(21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218)의 바닥부에는 시력표(2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217)이 형성된다.
시력표(220)는 전면부에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221)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도 4와 같이 폭주 근점을 측정하기 위한 주시 막대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부착되어 있으며, 그 주시 막대에는 촛점부(224)가 마킹되어 폭주 근점 측정시 촛점이 맞춰지도록 한다.
또한 시력표(220)의 하측에는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스프링(226)이 장착된 볼트(225)가 관통 삽입되어 시력표 장착부(216)의 볼트공(217)에 체결된다.
이때, 볼트(223)는 관통공(222)에서 볼트 체결이 되지 않고 단순히 관통된 상태이고, 스프링(226)의 구경은 관통공(222)보다 커서 관통공(222)의 상부면에 걸쳐진 상태이며, 볼트(225)의 머리부분과 관통공(222)의 상부면 사이에는 어느정도 간격이 유지된다.
따라서, 시력표(220)는 스프링(224)의 탄성에 의해서 시력표 장착부(216)에 측정자(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며, 시력표(220)의 방향을 180°회전시키는 경우 시력표(220)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린 다음 회전시켜 놓으면 스프링(226)의 탄성력에 의해 홈부(218)로 시력표(220)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시력표(220)의 전면과 후면을 손쉽게 방향 전환하여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조절력 측정시 경사부(203)가 형성된 측정자(200)의 전방부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눈의 아래 방향에 맞댄 다음 슬라이더(210)를 손으로 이동시켜 시력표(220)의 표시부(221)가 정확히 보이는 위치에서 지시부(214,214')가 지시하는 디옵터의 단위를 확인함으로써 조절력의 상태를 곧바로 알 수 있다.
폭주 근점 측정시에는 시력표(220)를 180°회전시킨 다음 측정자(200)의 경사부(203)를 코 부위에 맞댄 후 슬라이더(210)를 이동시키면서 주시막대(223)의 촛점부(224)가 맞춰지도록 하며, 그 위치에서 지시부(214,214')가 지시하는 거리를 확인하여 폭주 근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200 : 측정자 201 : 표시부
202 : 스토퍼 203 : 경사부
210 : 슬라이더 211 ; 몸체
212 : 삽입공 213 : 노출공
214 : 지시부 215 : 위치조절편
216 : 시력표 장착부 217 : 볼트공
218 : 홈부 220 : 시력표
221 : 표시부 222 ; 관통공
223 : 주시막대 224 : 촛점부
225 : 볼트 226 : 스프링

Claims (3)

  1. 일정간격마다 각각 폭주 근점 및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단위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기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측정자에 표기된 단위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부가 구비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서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폭주력을 측정하기 위한 주시막대가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시력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에는 길이방향으로 폭주 근점을 측정하기 위한 단위가 cm단위로 표기되고, 표기된 cm단위의 특정 범위에는 조절력과 폭주력의 정도에 대한 참고정보가 표기되며, 측정자의 길이방향으로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디옵터 단위가 표기됨과 아울러 폭주 근점과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각 단위에 대한 연령대별 참고정보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는 시력표가 측정자와 직교하도록 홈형태의 시력표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력표의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스프링이 장착된 볼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되어 시력표 장착부에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어 상기 시력표가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KR1020100093059A 2010-09-27 2010-09-27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KR10114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59A KR101141615B1 (ko) 2010-09-27 2010-09-27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59A KR101141615B1 (ko) 2010-09-27 2010-09-27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592A true KR20120031592A (ko) 2012-04-04
KR101141615B1 KR101141615B1 (ko) 2012-05-17

Family

ID=4613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059A KR101141615B1 (ko) 2010-09-27 2010-09-27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6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52B1 (ko) * 2015-04-22 2016-09-30 이희재 다기능 검안 자
KR20190103583A (ko) * 2018-02-28 2019-09-05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과 검사용 기구
WO2021182737A1 (ko) * 2020-03-09 2021-09-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안 진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246Y2 (ko) 1981-05-18 1986-10-21
JP2801298B2 (ja) * 1989-10-20 1998-09-21 株式会社トプコン 自覚式検査装置
KR101067762B1 (ko) * 2008-11-24 2011-09-28 (주)다비치안경체인 한국식 검안방법용 예비검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852B1 (ko) * 2015-04-22 2016-09-30 이희재 다기능 검안 자
KR20190103583A (ko) * 2018-02-28 2019-09-05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과 검사용 기구
WO2021182737A1 (ko) * 2020-03-09 2021-09-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안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615B1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0672A1 (zh) 一种手持视力检测装置及视力检测方法
CN203987981U (zh) 一种瞳距测量仪
KR101141615B1 (ko) 조절력 및 폭주 근점 측정 장치
US20240057871A1 (en) Jugular venous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US20070157483A1 (en) Monocular PD ruler
US6132045A (en) Eyeglass frame fitting apparatus, kit and method
JP2015029527A5 (ko)
US8066373B2 (en) Multifocal measurement device
CN101584573A (zh) 瞳孔距离、视线距离测量装置
US4190331A (en) Ophthalmic measuring instrument with angle measuring means
US3115713A (en) Pupillometer
CA3112241A1 (en) Jugular venous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KR102042511B1 (ko) 안과 검사용 기구
CN203263362U (zh) 一种新型眼科检查装置
CN201790796U (zh) 一种瞳距仪
KR100960524B1 (ko) 검안 장치
JP3004879U (ja) 調節輻輳近点計
ES2430600A1 (es) Sistema para la medida de la heteroforia
KR101661852B1 (ko) 다기능 검안 자
CN219736221U (zh) 一种镜眼距精确测量仪
CN217118425U (zh) 脊柱侧弯旋转角度测量装置
CN203000897U (zh) 眼镜式瞳距测量器
CN202497131U (zh) 头套式优势眼测定器
CN220898684U (zh) 睑裂测量器
CN208851460U (zh) 一种瞳孔光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