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216A -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핸들 - Google Patents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216A
KR20190103216A KR1020197020958A KR20197020958A KR20190103216A KR 20190103216 A KR20190103216 A KR 20190103216A KR 1020197020958 A KR1020197020958 A KR 1020197020958A KR 20197020958 A KR20197020958 A KR 20197020958A KR 20190103216 A KR20190103216 A KR 2019010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nector
cartridge
axis
elastic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나기오티스 코페라스
디미트리오스 에티미아디스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9010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면도기(1)용 핸들(2)은 상기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핸들 몸체(2A); 상기 길이방향 축(L)에 수직인 회전 축(Z)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 몸체(2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핸들(2)에 카트리지(3)를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600); 및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의 상기 길이방향 축(L)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탄성 설부(7)를 포함하는 것이 개발되었다. 상기 탄성 설부(7)는 제1 단부(7A) 및 제2 단부(7B)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설부(7)의 상기 제1 단부(7A)는 상기 핸들 몸체(2A)에 고정 부착되거나 상기 핸들 몸체와 일체형이다. 상기 커넥터(600)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단부(7B)는 제1 극단 회전 위치 또는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휘어져서, 상기 휘어진 탄성 설부는 상기 커넥터(600)를 상기 휴지 위치로 바이어싱시킨다. 상기 커넥터(600)는 카트리지 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 단부에 대향하는 설부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카트리지 단부는 상기 카트리지(3)와 맞물리도록 적응된다. 상기 탄성 설부(7)는 커넥터 평면(XY)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탄성 시트의 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핸들
아래에 제시된 본 발명의 개념은 2개의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습식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선회 축을 중심으로 카트리지의 선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적응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면도 핸들 시스템을 포함하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EP2508309A는, 카트리지 및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에 평행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블레이드 에지(blade edge)의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면도기를 개시한다.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최단 거리는 약 8㎜ 내지 약 18㎜일 수 있다.
회전 가능한 부분은 단일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는, 베이스 및 보유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보유 시스템의 일부는 세장형 스템(elongated stem) 및 수직 바(vertical bar)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꼬리부(cantilever tail)이다. 상기 회전 가능한 부분은 프레임 내에서 회전하도록 적응된다. 포드(pod)의 수직 바는 한 쌍의 오프셋 벽에 의해 느슨하게 보유되고, 상기 오프셋 벽은 상기 포드의 수직 바와 간섭하며 상기 수직 막대를 비틀어서 상기 세장형 스템이 휘어지게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개념은, 제1 선회 축과 제2 선회 축 사이의 최단 거리가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선회 축과 제2 선회 축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가요성 꼬리부를 사용한다는 아이디어를 개발한다.
2개의 선회 축이 서로 가까이 위치되거나 심지어 교차하는 이러한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에 편안한 면도 및 부드러운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개별 부품들에 상이한 접근 및 상이한 배열을 요구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관찰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으로 면도 효과를 더욱더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실시예가 연구되고 개발되었다.
2개의 선회 축이 서로 가까이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시스템에서 면도기의 시스템에 부드럽고 신뢰성 있는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유리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면도기용 핸들로서, 핸들 파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핸들 몸체; 상기 핸들에 카트리지를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상기 핸들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그리고 제1 극단 회전 위치와 제2 극단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상기 커넥터; 및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의 상기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탄성 설부(elastic tongue)를 포함하는, 상기 핸들을 규정한다. 상기 탄성 설부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핸들 몸체에 고정 부착되거나 상기 핸들 몸체와 일체형이다. 상기 커넥터가 제1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휘어지고, 상기 커넥터가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휘어져서, 휘어진 탄성 설부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휴지 위치를 향해 바이어싱 (bias)시킨다. 상기 커넥터는 카트리지 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 단부에 대향하는 설부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카트리지 단부는 상기 카트리지와 맞물리도록 적응된다. 상기 탄성 설부는 탄성 시트(elastic sheet) 형태를 갖고, 상기 시트는 상기 커넥터 평면과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상기 핸들 몸체와 일체형으로 (또는 핸들 몸체에 고정 부착된) 상기 탄성 설부는 면도 동안 양호한 안정성 및 신뢰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즉, 탄성 설부의 휘어짐 동안 최대로 이동하는 부분)는 회전 축으로부터 너무 멀리 가지 않는 것이 또한 보장된다. - 전술한 배경 기술과 유사하게 - 상기 탄성 설부가 커넥터 파트(connector part)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 설부의 선단(tip)이 상기 회전 축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지는 경우, 전체 시스템은 면도 동작에 너무 민감하게 된다. 감도가 너무 높으면 사용자가 최소한으로 움직여도 면도 상태가 조정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구성은 회전하는 파트들에 균형 잡힌 파라미터를 제공하여, 작은 힘의 인가에 너무 민감하지 않고 우수한 정밀도를 보장한다.
시트 형태의 탄성 설부는 몇 가지 장점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 설부가 가장 최적의 형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시트 형태의 탄성 설부는 탄성 변형 동안 안정적이어서, 커넥터가 회전될 때 커넥터의 움직임을 충분히 부드럽게 유지한다. 또한, 이러한 탄성 설부는 (예를 들어, 스프링과는 달리) 모든 부분에서 탄성적으로 균일하고, 또한 커넥터가 제어 가능하고, 예측 가능하며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데에 기여한다. 또한, 이러한 시트형 탄성 설부는 사용 동안 그 형상이 용이하게 왜곡되지 않아서, 탄성 설부가 잘못 변형되는 일이 회피된다.
마지막으로, 커넥터가 평면(planar)인 (즉, 커넥터 평면에서 연장되는) 경우, 탄성 설부도 또한 동일한 커넥터 평면에서 연장되어, 전체 움직임이 2차원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정확성 및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장하는데 유리하다.
유리한 실시예는 다음의 추가적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커넥터 평면에서 연장된다;
- 상기 회전 축은 상기 커넥터 평면에 수직이다; 상기 커넥터가 연장되는 동일한 평면에서 상기 커넥터가 회전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상기 커넥터의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움직임이 달성되는 것을 더욱더 보장한다;
-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커넥터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취해진 단면에서 난형 형상(oval shape)을 가져서,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는 난형 부분의 형태이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설부 단부는 상기 커넥터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취해진 단면에서 오목한 형상을 갖는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 상기 탄성 시트의 두께는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감소된다;
-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의 두께 사이의 비율은 1:1 내지 2:1이다;
-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장축(major axis)과, 상기 커넥터 평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단축(minor axis)을 갖는 타원형 형태를 갖는다;
-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1 단부의 두께와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난형 부분의 두께 사이의 비율은 0.6:1 내지 0.9:1이고, 상기 난형 부분에 이웃한 상기 탄성 설부 부분의 두께와 상기 난형 부분의 두께 사이의 비율은 0.4:1 내지 0.6:1이다;
- 상기 커넥터의 상기 설부 부분의 리세스는 U 형상의 형태이다.
- 한 쌍의 날개부(wing)가 상기 리세스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그리고 서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대칭이고, 각각의 날개부는 평면을 규정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각각의 평면은 V-형상의 배열을 형성한다;
-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각각의 평면은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 축과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룬다.
- 상기 핸들 몸체는 한 쌍의 정지부(stop)를 포함하고, 각각의 정지부는 상기 탄성 설부가 상기 제1 극단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적응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전술한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로서, 상기 면도기는, 블레이드 에지를 갖고 블레이드 에지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상기 면도기를 규정한다.
상기 면도기는 유리하게는 다음의 추가적인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회전 축과 선회 축은 서로 직각이다;
- 상기 회전 축과 상기 선회 축은 서로 교차한다;
- 상기 회전 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절삭 에지(cutting edge)와 교차한다;
-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블레이드 에지 축에 평행한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면도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면도기에 포함된 부품들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커넥터의 상부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2의 커넥터의 하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위 하우징이 없는 커넥터의 상면도;
도 5는 카트리지에 연결된 카트리지에 인접한 핸들 몸체 부분의 측단면도;
도 6A는 회전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커넥터 및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회전된 위치에 있는 커넥터 및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커넥터의 탄성 설부 및 설부 단부(tongue end) 상의 리세스의 상세도; 및
도 8은 도 5의 핸들 몸체의 전방 사시도; 및
도 9는 본 특허 출원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인 면도 평면(S)을 규정하는 도면.
상기 형식화된 일반적인 발명의 아이디어를 갖는 주요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전술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예시적인 면도기(1)의 개요를 도시한다. 면도기(1)는 핸들(2) 및 카트리지(3)를 포함한다. 핸들 몸체(2)는 핸들 파지 부분, 및 이 핸들을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3)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핸들 파지 부분은 세장형일 수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핸들(2)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핸들(2)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핸들(2)은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카트리지(3)는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고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카트리지(3)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1)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블레이드는 절삭 에지(32)를 갖는다. 절삭 에지(들)는, 카트리지(3)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핸들(2)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블레이드 에지 축(B)을 따라 연장된다.
카트리지(3)는 블레이드 에지 축(B)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회 축(P)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적응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선회 축(P)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회 축(P)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은 도 1에서 화살표(F')로 도시된 방향으로 가능하다. 카트리지(3)는 회전 축(Z)을 중심으로 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회전 축(Z)은 선회 축(P)에 수직일 수 있다. 카트리지(3)가 회전 축(Z)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은 도 1에서 화살표(F)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방향으로 가능하다.
카트리지(3)는 사용자의 피부가 절삭 에지(들)(32)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의 피부를 신장시키도록 적응된 가드(guard)(33) 및/또는 사용자의 모발이 절삭된 후에 피부를 처리하도록 적응된 캡(cap)(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드(33) 및 캡(34)은 피부와 맞물리는 표면을 형성한다. 가드(33)의 상부 표면과 캡(34)의 상부 표면은 면도 평면(S)을 규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준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면도 평면(S)은 절삭 에지(32)가 위치되는 카트리지(3)의 전방 측의 윤곽으로 완전히 규정된다. 보다 명시적으로, 면도 평면(S)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정될 수 있는데, 즉 면도 평면(S)은 가드(33)의 표면과 캡(34)의 표면에 접선하는 평면이다. 따라서, 면도 평면(S)은 가드(33) 또는 캡(34) 중 어느 하나와 교차하는 것이 아니라, 그 표면의 정확히 한 지점에서 가드(33)와 캡(34) 둘 모두와 접촉한다.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1)는 면도 평면(S) 위에, 면도 평면에 또는 면도 평면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노출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31)의 노출은 면도 평면(S)으로부터 블레이드(31)의 절삭 에지(32)까지 측정된 거리와 같다.
카트리지(3)는 카트리지(3)가 선회 축(P)을 중심으로 선회할 때마다 카트리지(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적응된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ans)(650)과 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cam surface)(36)을 포함할 수 있다. 선회 축(X)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둥근 돌기(projection) 형태의 쉘 베어링(shell bearing)(38)과, 이 쉘 베어링(38)과 맞물리도록 적응된 대응하는 둥근 후크(hook)(37)의 조합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돌출하는 핀(pin) 및 대응하는 개구의 조합과 같은 대안적인 수단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카트리지(3)는 2개의 별개의 파트가 서로 부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카트리지(3)는 하우징(39)과 백킹 구조물(back structure)(3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9)과 백킹 구조물(35) 사이의 부착은 스냅 끼워 맞춤, 리벳 결합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우징(39)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1)를 유지할 수 있고, 가드(33) 및/또는 캡(34)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38) 또는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이 백킹 구조물(35) 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백킹 구조물(35)에는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36)이 제공될 수 있다. 백킹 구조물(35)은 핸들(2)과 맞물리도록 적응된다.
카트리지(3)와 핸들(2) 사이의 맞물림의 상세는 도 2에서 볼 수 있다. 백킹 구조물(35)과 핸들(2) 사이에 이러한 맞물림을 위한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핸들(2)과 백킹 구조물(35) 사이에는 중간 부품(40)이 위치된다. 중간 부품(40)은 백킹 구조물(35)의 후크(37)와 맞물리는 쉘 베어링(38)을 포함하여 선회 축(P)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3)와 중간 부품(40) 사이의 상대 위치가 변하는 동안, 카트리지(3)의 백킹 구조물(35)과 하우징(39) 사이의 위치는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중간 부품(40)과 카트리지(3)는 서로에 대해 선회한다.
중간 부품(40)은 중간 부품(40)과 핸들(2) 사이에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2)의 상보적인 파트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애퍼처(receiving aperture)(4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애퍼처(41) 내에는, 수용 애퍼처(41)의 각 측에 하나씩 2개의 구멍(hole)(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핸들(2)에 형성된 대응하는 돌기는 수용 애퍼처(41) 내의 구멍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핸들(2)과 중간 부품(40)이 서로 잠겨지고, 중간 부품(40)에 대해 핸들(2)이 상호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연결의 더 상세한 내용은 도 3 및 이하의 대응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2는 핸들(2)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다. 핸들(2)은 핸들 몸체(2A), 커버(4), 버튼(5) 및 커넥터(600)를 포함한다. 커버(4)는 상방으로부터 (예를 들어, 스냅 끼워 맞춤 또는 리벳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을 통해) 핸들 몸체(2A)에 부착된다. 커버(4)는 핸들 몸체(2A)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커버(4)는 핸들 몸체(2A)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커버(4)는 버튼(5)의 하위 파트(lower part)가 삽입되는 개구(4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버튼(5)의 하위 파트는 개구(4A)에 수용되는 돌기(5A)를 포함하고, 돌기(5A)는 핸들 몸체(2A)의 중공 부분(20) 내로 돌출할 수 있다.
핸들 몸체(2A) 내 중공 부분(20)은 핸들(2)의 연결 부분에 제공되는데, 즉 카트리지(3)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중공 부분(20)의 하부에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플랫폼(21)이 형성된다. 중공 부분(20)은 실질적으로 핸들(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설부(7)를 포함한다. 플랫폼(21)은 카트리지(3)로부터 가장 먼 측인 원위 측; 카트리지(3)에 더 가까운 측인 근위 측; 및 원위 측과 근위 측 사이에 놓여 있는 중간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플랫폼(21)의 원위 측에는 부착 부분(9)이 돌출되어 있다. 플랫폼의 중간 영역에는 2개의 정지부(8)가 위치된다. 핸들 몸체(2A)의 각 측에는 하나의 정지부(8)가 위치된다. 정지부(8)는 탄성 설부(7)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각각의 정지부(8)는 탄성 설부(7)에 대해 핸들 몸체(2A)의 양측에 위치된다. 플랫폼(21)의 근위 측에는 함몰부(10)가 있다. 함몰부(10)는 원형 섹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이 원은 회전 축(Z)에 중심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커넥터(600)는 함몰부(10) 내에서 안내된다. 그 결과, 핸들 몸체(2A)에 대해 커넥터(600)가 회전 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커넥터(60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커넥터(60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고, 일반적으로 커넥터 평면(XY)에서 연장된다. 커넥터(600)는 회전 축(Z)을 중심으로 커넥터 평면(XY) 내에서 회전하도록 적응된다. 회전 축(Z)은 커넥터 평면(XY)에 수직이다.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은 실질적으로 커넥터 평면(XY) 내에 놓인다. 따라서, 회전 축(Z)은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에도 수직이다. 커넥터 평면(XY)은 편평한 플랫폼(21)이 연장되는 평면과 평행하다. 선회 축(P)이 커넥터 평면(XY) 내에 있거나, 또는 선회 축(P)이 커넥터 평면(XY)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600)는 커넥터 평면(XY)과 회전 축(Z)에 의해 규정된 평면(YZ)을 따라 대칭이다. 커넥터(600)는 또한 길이방향 축(L)과 회전 축(Z)에 의해 규정된 평면(LZ)에 대해서도 대칭이다.
커넥터(600)는 카트리지 단부(600B)와 설부 단부(600A)로 분할될 수 있지만, 두 단부는 단일 재료 부재에 속한다. 커넥터(600)의 카트리지 단부(600B)는 카트리지 단부(600B)가 수용 애퍼처(41)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간 부품(40)의 수용 애퍼처(4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커넥터(600)는 상부 파트(top part)(610), 하부 파트(bottom part)(610), 이 상부 파트(610)와 하부 파트(620) 사이에 끼여 있는 슬라이더(slider)(630), 및 이 상부 파트(601)와 하부 파트(620) 사이에 또한 위치된 한 쌍의 라커(locker)(640)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파트는 모두 평면(YZ)에 대해 대칭이다. 상부 파트(610)는 한 쌍의 측방 구획(flank section)(613)과 한 쌍의 몸체 구획(614)을 포함한다. 몸체 구획(614)은 상부 파트(610)의 중심을 형성하고 측방 구획(613)은 각각의 개별 몸체 구획(614)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된다. 측방 구획(613)은 또한 카트리지(3)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측방 구획의 형상은 둥글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볼 때, 카트리지(3)를 향하는 측방 구획(613) 측은 회전 축에 중심을 갖는 원의 일부 형상을 갖는다. 카트리지(3)와 대향하는 측방 구획(613) 측도 또한 회전 축에 중심을 갖는 원의 일부 형상을 갖는다.
상부 파트(610)는 2개의 측부 채널(side channel)(611) 및 중심 채널(612)을 더 포함한다. 중심 채널(612)은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된다. 측부 채널(611)들은 중심 채널(61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 및 길이방향 축(L)과 수직이고 길이방향 축을 향해 연장되는 통로를 각각 포함한다. 측부 채널(611)은 일반적으로 P형 문자 형상(또는 P형 문자가 거울 반사된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측부 채널(611)은 중심 채널(612)에 대해 상부 파트(610)의 양측에 위치된다. 커넥터(600)의 설부 단부(600A)는 리세스(615)를 포함한다. 상부 단부(610)의 하부 측에는, 상부 파트(610)의 하부 표면을 따라 분포된 4개의 돌출부(protrusion)(616A, 616B)가 있다. 4개의 돌출부(616A, 616B)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돌출부(616B)는 설부 단부(600A)에 위치되고, 2개의 돌출부(616A)는 카트리지 단부(600B)에 위치되며, 각각의 쌍은 중심 채널(612)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돌출부(616A, 616B)는 하부 파트(620)에 제공된 상보적인 특징부에 의해 수용되어, 상부 파트(610)와 하부 파트(620) 사이에 연결을 형성한다. 이 기능이 수행되는 한, 돌출부(616A, 616B)의 수는 변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는 비교적 임의로 분포될 수 있다.
상부 파트(610)와 유사하게 하부 파트(620)는 한 쌍의 측방 구획(623) 및 한 쌍의 몸체 구획(624)을 더 포함한다. 핸들(2)이 상부로부터 (회전 축(Z)의 방향에서) 볼 때 상부 파트(610)의 측방 구획(613) 및 몸체 구획(614)은 하부 파트(620)의 측방 구획(623) 및 몸체 구획(624)과 오버랩된다. 상부 파트(610)와 유사하게 하부 파트(620)는 또한 설부 단부(600A)에 리세스(625)를 구비하고, 하부 파트(620)의 리세스(625)는 상부로부터 (회전 축(Z) 방향에서) 볼 때 상부 파트(610)의 리세스(615)와 오버랩된다. 하부 파트(620)는 상부 부분(610)의 하부에 제공된 돌출부(616A, 616B)를 수용하기 위한 튜브 세트(622A 및 622B)를 더 포함한다. 튜브(622A, 622B) 및 돌출부(616A, 616B)는 상부 파트(610)를 하부 파트(620)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접 또는 접착과 같은 다른 부착 수단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616A, 616B)도 튜브(622A, 622B)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파트(620)는 카트리지 단부(600B)의 바로 선단에 한 쌍의 전방 면(front face)(6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면(621)은 하부 파트(6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설부 단부(600A)에서 하부 파트(620)로부터 하방으로 공동(626)이 연장된다. 공동(626)은 포켓의 형태를 갖고, 공동(626)이 커넥터(600)의 일부이지만 공동은 일반적으로 커넥터 평면(XY) 아래에 위치된다. 공동(626)은 핸들 몸체(2A)의 함몰부(10)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함몰부(10) 내에서 공동(626)이 활주하면 핸들 몸체(2A)에 대해 커넥터(600)가 회전 운동을 한다. 하부 파트(620)는 공동(626)의 베이스로부터 카트리지 단부(600B)를 향해 연장되는 중심 홈(groove)(6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 홈(628)은 커넥터(600)의 일부인 푸셔(pusher)(650)를 안내하도록 적응된다. 하부 파트(620)의 카트리지 단부(600B)에 있는 중심 홈(628)에 나란히 2개의 벽(628A)이 위치된다. 중심 홈(628)을 따라 연장되는 각각의 측에는 하나의 벽(628A)이 있다. 벽(628B)은 하부 파트(6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측방 구획(623)에 위치된 측부 홈(629)이 있을 수 있다. 측부 홈(629)은 길이방향 축(L)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이 측부 홈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630)의 일부 부분을 안내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푸셔(650)는 캠 종동 구획(651), 리브(rib)(652), 및 스프링(650A)을 위한 개구(653)를 포함할 수 있다. 캠 종동 구획(651)은 카트리지(3)의 적어도 하나의 캠 표면(36)과 협력한다. 카트리지(3)가 선회 축(P)을 중심으로 선회될 때, 캠 표면(들)(36)은 푸셔(650)를 가압하여 중심 홈(628) 내에서 핸들(2)의 내측을 향하여 활주하게 한다. 그 결과, 스프링(650A)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푸셔(650A)를 다시 초기 위치로 바이어싱시키는 복귀력을 발생하여, 이에 의해 카트리지(3)를 중립 위치로 압박한다. 푸셔(650)의 리브(652)는 상부 파트(610)의 중심 채널(612)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중심 홈 내에서 푸셔(65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리브(652)는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높이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리브(652)는 하나의 하위 부분 및 하나의 더 높은 부분을 포함하는 계단형일 수 있다.
슬라이더(630)는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활주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슬라이더(630)는 상부 파트(610)와 하부 파트(620)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더(630)는 슬라이더 몸체(634), 한 쌍의 외측 아암(631) 및 한 쌍의 내측 아암(63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아암(631)은 하부 파트의 측부 홈(629) 내에서 안내된다. 외측 아암(631)의 형상은 외측 아암이 커넥터(600)의 상부 파트(610) 및 하부 파트(620)의 측방 부분(613, 623)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측 아암(631)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더 몸체(634)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나서 - 외측 아암(631)의 단부를 향해 - 핸들의 길이방향(L)과 평행하게 전방으로 카트리지(3)를 향해 연장된다. 내측 아암(632)은 외측 아암(631)의 중간에서부터 길이 방향(L)과 평행하게 카트리지(3)를 향해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몸체(634)로부터 가장 먼 파트인 외측 아암(631)의 단부는 내측 아암(632)과 평행하다. 내측 아암은 상부 파트(610)의 측부 채널(611) 내에서 안내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방향 축(L)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부 채널(611)의 통로 내에서 안내된다. 슬라이더(630)는 또한 외측 아암(63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부(6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636)는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리브 형태일 수 있다. 안내부(636)는 슬라이더가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에 보유되도록 하부 파트(620)의 하부 채널(627)에 수용되도록 적응된다. 특히, 슬라이더(630)는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슬라이더(630)는 슬라이더 몸체(63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위 연장부(6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위 연장부(633)는 상부 파트(610)의 중심 채널(612)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슬라이더(630)는 상부 파트(610)에 의해 지지되고,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몸체(634)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하위 연장부(6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위 연장부(635)는 하부 파트(620)의 공동(626)에 수용되어 안내된다. 하위 연장부(635)는 스프링(650A)과 접하여 기능적으로 협력한다. 스프링(650A)은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653)의 내부 면과 하위 연장부(635) 사이에 위치된다. 슬라이더(630)가 카트리지(3)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650A)은 수축되고 푸셔(650)를 가압하여 카트리지(3)의 캠 표면(들)(36)에 푸시력을 가하도록 압박한다.
도 4는 라커(640)가 커넥터(600)의 카트리지 단부(600B)에 위치된 것을 도시한다. 라커(640)는 하부 파트(620)의 전방 면(621)과 정렬될 수 있다. 라커(640)는 길이방향 축(L)에 수직으로 활주하도록 적응된다. 라커의 하부 측에는 적절한 쌍의 홈과 같은, 하부 파트(620)의 상보적인 특징부에 끼워지도록 적응될 수 있는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라커(640)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라커(640)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X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라커(640)는 상부 파트(610)의 측부 채널(611) 내에서 더 안내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라커(640)는 길이방향 축(L)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부 채널의 통로 내에서 안내된다. 각각의 라커(640)는 축(X)을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핀(642)을 포함한다. 핀(642)은 수용 애퍼처 내에 위치된 중간 부품(40)의 각각의 구멍(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수용되도록 적응된다. 라커(640)의 핀(642)이 수용 애퍼처(41)의 구멍에 맞물리면, 중간 부품(40)(및 그리하여 또한 카트리지(3))이 핸들(2)과 맞물린다. 핀(642)은 하부 파트(620)의 전방 면(621)과 정렬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핀(642)은 전방 면(621)을 따라 활주한다.
라커(640)는 능선부(ridge)(643)를 더 포함한다. 초기에 능선부(643)의 일 단부는 대응하는 내부 아암(632)의 대응하는 단부와 접촉한다. 내부 아암(632)과 접촉하는 지점으로부터, 능선부(643)는 핸들(2)의 길이방향 축(L)과 각도를 이루도록 전방으로 및 측방으로 연장된다. 능선부(643)와 길이방향 축(L) 사이의 각도는 15° 내지 4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 또는 40°일 수 있다. 슬라이더(630)가 카트리지(3)를 향해 전방으로 활주될 때, 내측 아암(631)의 단부는 능선부(643)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의해 라커(640)를 가압하여 서로를 향해 (즉, 푸셔(650)를 향한 방향으로) 활주하게 한다. 일단 라커(640)가 서로를 향해 활주하게 가압되면, 핀(642)은 수용 애퍼처(41)의 구멍(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핸들(2)은 중간 부품(40)으로부터 (및 그리하여 또한 카트리지(3)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라커(640)는 라커 스프링(645)을 위한 개구(6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라커 스프링(645)은 중심 홈(628)을 따라 연장되는 각각의 벽(628A)과 개구(644)의 내부 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라커(640)가 내측 아암(632)에 의해 서로를 향해 가압되면, 라커 스프링(645)이 압축되고, 이에 의해 복귀력이 발생하여, 라커(640)를 다시 초기 위치로 압박한다. 또한, 라커 스프링(645)의 바이어싱 힘은 라커(640)를 통해 슬라이더(630)에 가해진다. 따라서 슬라이더(630)는 또한 라커 스프링(645)에 의해 초기 위치로 부분적으로 압박된다. 슬라이더(63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650A)은 또한 수축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630)를 다시 초기 위치로 가압한다. 따라서, 스프링(650A)은 2개의 기능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스프링은 선회된 카트리지(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바이어싱 힘을 발생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은 슬라이더(630)가 전방으로 활주된 후에 슬라이더(63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바이어싱 힘을 또한 발생시킨다.
도 5는 핸들이 버튼(5)을 구비하고 이 버튼은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활주 가능한 것을 도시한다. 버튼은 커버(4) 상에 위치된다. 버튼(5)은 핸들 몸체(2A) 내 커버의 개구(4A)를 통해 돌출하는 돌기(5A)를 포함한다. 돌기(5A)는 슬라이더(630)의 상위 연장부(633)와 접한다. 사용자가 면도 카트리지(3)를 교체하기로 결정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화살표(A) 방향으로 버튼(5)을 전방으로 활주시킬 수 있다. 버튼(5)이 전방으로 활주될 때, 슬라이더(630)도 전방으로 활주한다. 라커(640)는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이에 의해 핀(642)을 수용 애퍼처(41)의 구멍으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킨다. 따라서, 커넥터(600)는 중간 부품(4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3)는 핸들(2)로부터 분리된다.
대안적으로, 중간 부품(40) 및 커넥터(600)는 단일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3)는 교체 가능하지 않고, 핸들(2)과 카트리지(3) 사이의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부품(40)과 커넥터(600) 사이의) 연결을 잠금 해제하는 것과 관련된 특징부는 생략된다. 그리하여, 버튼(5), 개구(4A), 슬라이더(630) 및 라커(640)가 생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넥터(600), 중간 부품(40) 및 카트리지(3)는 회전 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적응된다. 회전 축(Z)을 중심으로 커넥터(600)가 회전하는 것은 공동(626)이 함몰부(10) 내에 위치되고 나서 공동(626)이 함몰부(10)의 둥근 벽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중간 부품(40)은 수용 애퍼처(41) 내에 위치된 구멍과 라커(640)에 의해 커넥터(600)와 맞물려서, 커넥터(600)의 회전은 중간 부품(40)에 동시 회전을 일으킨다. 중간 부품(40)은 카트리지(3)에 부착된다(하우징(39)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존재한다면 백킹 구조물(35)에 부착된다). 그리하여, 중간 부품(40)이 회전 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카트리지(3)도 또한 회전한다. 중간 부품(40)과 카트리지(3) 사이의 연결은 다른 축인 선회 축(P)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 축(Z)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3)와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Z)은 블레이드(31)의 절삭 에지(32)에 의해 규정된 절삭 평면과 교차할 수 있다. 절삭 평면은 복수의 절삭 에지(32)에 접선하는 평면인데, 즉 절삭 평면은 카트리지(3)에 존재하는 각각의 절삭 에지(32)와 접촉하는 하나의 지점을 갖는다. 회전 축(Z)은 또한 절삭 에지(32) 중 하나와 직접 교차할 수 있다. 회전 축(Z)과 최근위 절삭 에지(32)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회전 축(Z)은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축(Z)은 커넥터 평면(XY)에 수직이다. 회전 축(Z)과 선회 축(P)은 공통 평면(ZP)에 놓이도록 서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축(Z)과 선회 축(P)은 바람직하게는 면도 평면(S)에서 직접 교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구성, 즉 회전 축(Z)과 선회 축(P)이 교차하는 지점이 면도 평면(S) 위에 또는 아래에 위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선회 축(P)은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평면(XY)에 평행하고, 예를 들어, 선회 축은 커넥터 평면(XY)에 놓일 수 있다. 선회 축(P)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3)와 교차한다. 선회 축(P)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1)의 절삭 에지(32)의 블레이드 에지 축(B)에 평행할 수 있다. 선회 축(P)은 절삭 평면 내에 놓일 수 있고,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선회 축(P)은 (면도기(1)가 조립되고 카트리지(3)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블레이드 에지 축(B)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A는 휴지 위치에 있는 커넥터(600)를 도시한다.
커넥터(600)는 화살표(F)로 표시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휴지 위치에서, 측방 구획(613, 623)은 실질적으로 중공 부분(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즉 핸들 몸체(2A)에 의해 아래로부터 덮이고, 커버(4)에 의해 위로부터 덮일 수 있다. 커넥터(600)가 회전 축(Z)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대응하는 측방 구획(613, 623)은 중공 부분(20) 밖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커넥터(600)의 회전 동안, 측방 구획(613, 623)은 (도 6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핸들(2)의 커넥터 부분의 단부에 위치된 핸들 몸체(2A)의 에지를 따라 활주한다.
도 6B는 회전된 위치에 있는 커넥터(600)를 도시한다. 커넥터(600)는 길이방향 축(L)에 대해 회전 각도(R)만큼 회전된다. 커넥터(600)는 일반적으로 제1 극단 회전 위치와 제2 극단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제1 극단 회전 위치와 제2 극단 회전 위치 각각에서, 대응하는 몸체 구획(614, 624)은 핸들 몸체의 측벽 중 하나와 접하여, 커넥터(6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커넥터(600)가 제1 극단 회전 위치 또는 제2 극단 회전 위치 중 하나를 향해 회전될 때, 탄성 설부(7)는 휘어진다. 탄성 설부(7)가 휘어지면 복귀 토크력을 발생시켜 커넥터(600)를 다시 그 휴지 위치로 압박한다. 커넥터(600)가 좌측으로 회전될 때, 탄성 설부(7)도 또한 좌측으로 휘어진다. 커넥터(600)가 우측으로 회전될 때, 탄성 설부(7)도 또한 우측으로 휘어진다. 탄성 설부(7)가 휘어지는 것은 탄성 설부가 너무 많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정지부(8)에 의해 규정된 범위 내에서만 허용된다.
탄성 설부(7)에 의해 발생된 복귀 토크는 0 N·㎜ 내지 30 N·㎜, 바람직하게는 10 N·㎜ 내지 30 N·㎜,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 N·㎜ 내지 25 N·㎜이다. 탄성 설부(7)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 토크는 커넥터(600)가 어느 쪽으로 회전하면서 증가한다. 복귀 토크의 증가는 커넥터(600)의 회전 각도(R)에 선형적으로 또는 비선형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1도당 복귀 토크의 증가는 0.5 N·㎜ 내지 2 N·㎜, 바람직하게는 0.67 N·㎜ 내지 2 N·㎜,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 N·㎜ 내지 1.67 N·㎜일 수 있다.
이전 단락에서 규정된 복귀 토크의 값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된다. 카트리지(3)는 선회 축(X)을 중심으로 완전히 선회된 위치로 선회되고, 여기서 카트리지는 전체 측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 절삭 에지(32)가 위치된 카트리지(3)의 전방 표면 지점에 테스트 힘(E)이 인가된다. 힘(E)이 가해지는 지점은 실질적으로 면도 평면(S)에 놓인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힘(E)은 면도 평면(S)에 수직으로 가해진다. 테스트 힘(E)은 카트리지(3)의 대칭 평면에 대해 선택된 거리(M)에서 인가되며, 이 대칭 평면은 도 6A에서 평면(LZ)과 동일하다. 테스트 힘(E) 때문에, 커넥터(600)는 실제 회전 각도(R)만큼 회전된다.
테스트 힘(E)이 인가되는 지점과 평면(LZ) 사이의 거리(M)는 모멘트 아암(moment arm)에 대응한다. 모멘트 아암(M)의 값에 테스트 힘(E)의 값을 곱함으로써 커넥터(600)가 실제 회전 각도(R)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특정 상황에 대해 탄성 설부(7)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 토크의 값을 얻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회전 각도(R)에 대해 복귀 토크의 값이 측정될 수 있다.
도 7은 탄성 설부가 제1 단부(7A) 및 제2 단부(7B)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탄성 설부(7)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부착 부분(9)은 탄성 설부(7)의 제1 단부(7A)를 핸들 몸체(2A)에 고정시킨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탄성 설부(7)는 핸들 몸체(2A)의 일체형 파트일 수 있다. 탄성 설부(7)의 제2 단부(7B)는 정지부(8)에 의해 규정된 경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설부(7)의 제2 단부(7B)는 커넥터(600)가 제1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제1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하여 휘어지고, 탄성 설부(7)의 제2 단부(7B)는 커넥터(600)가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하여 휘어져서, 이에 따라 휘어진 탄성 설부(7)는 커넥터(600)를 휴지 위치로 바이어싱시킨다. 제2 단부(7B)는 리세스(615, 625) 내에 삽입된다.
휘어지지 않을 때, 탄성 설부(7)는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된다. 탄성 설부(7)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설부는 스프링(예를 들어, 헬리컬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다. 탄성 설부(7)는 측면에서 본 탄성 설부를 도시하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탄성 시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시트는 평면(ZY)에서 연장될 수 있다. 탄성 시트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Y 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긴 변은 길이방향 축(L)에 평행하고, (Z 축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짧은 변은 길이방향 축(L)에 수직이다. Z-축을 따른 탄성 설부(7)의 치수는 2.5㎜ 내지 3.5㎜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일 수 있다. Y 축을 따른 탄성 설부(7)의 치수는 18㎜ 내지 25㎜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9㎜, 21㎜ 또는 23㎜일 수 있다. 탄성 시트 형태의 탄성 설부는 X 축을 따라 취해진 치수에 대응하는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설부(7)의 평균 두께는 0.6㎜ 내지 0.8㎜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7㎜일 수 있다.
탄성 설부의 제2 단부(7B)는 임의의 형상, 바람직하게는 난형 부분(oval portion)(7C)을 포함할 수 있다. 난형 부분(7C)은 커넥터 평면(XY)과 평행한 평면에서 취해진 단면에서 난형 형상을 갖는다. 난형 부분(7C)은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주축과, 커넥터 평면(XY)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부축을 갖는 타원형 형태일 수 있다.
제1 단부(7B)에서의 탄성 설부(7)의 두께(T)는 제2 단부(7B)에서의 탄성 설부(7)의 두께(T)보다 더 클 수 있다. 두께(T)는 제1 단부(7A)로부터 제2 단부(7B)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이는 탄성 설부의 특별한 파트를 형성하는 난형 부분(7C)을 제외하고는 그러하다). 탄성 설부(7)의 제1 단부(7A)의 두께(T)와 탄성 설부(7)의 제2 단부(7B) 사이의 비율은 1:1 내지 2: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5:1일 수 있다. 난형 부분(7C)을 고려하지 않고 탄성 설부(7)의 제1 단부의 두께와 탄성 설부(7)의 난형 부분의 최대 두께(T) 사이의 비율은 0.6:1 내지 0.9: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75:1일 수 있다. 난형 부분(7C)에 이웃한 탄성 설부(7)의 제2 단부(7B) 부분의 두께(T)와 난형 부분의 최대 두께 사이의 비율은 0.4:1 내지 0.6: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5:1일 수 있다.
리세스(615, 625)는 탄성 설부(7)의 제2 단부(7B)와 리세스(615, 625)의 내측 표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단부(7B)는 리세스(615, 625)에 고정식으로 끼워지지 않는다. 리세스(615, 625), 보다 구체적으로, 리세스의 내측 표면은 커넥터 평면(XY)과 평행한 평면에서 취해진 단면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615, 625)는 U 형상의 형태일 수 있다. 한 쌍의 날개부(615A, 625A)는 리세스(615, 625)의 각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서로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날개부(615A, 625A)는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대칭이며, 각각의 날개부는 평면 표면(W)을 규정하는데, 여기서 한 쌍의 날개부(615A, 625A)의 각각의 평면 표면(W)은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에 대해 대칭인 V-형상의 배열을 형성한다. 한 쌍의 날개부(615A, 625A)의 각각의 평면 표면(W)은 핸들(2)의 길이방향 축(L)과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는데, 예를 들어, 이 각도는 40° 또는 50°일 수 있다.

Claims (15)

  1. 면도기용 핸들(2)로서,
    핸들 파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2)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핸들 몸체(2A);
    상기 핸들(2)에 카트리지(3)를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600)로서, 상기 커넥터(600)는 휴지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의 상기 길이방향 축(L)에 수직인 회전 축(Z)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 몸체(2A)에 대해 제1 극단 회전 위치와 제2 극단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는, 상기 커넥터(600); 및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의 상기 길이방향 축(L)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탄성 설부(elastic tongue)(7)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설부(7)는 제1 단부(7A) 및 제2 단부(7B)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설부(7)의 상기 제1 단부(7A)는 상기 핸들 몸체(2A)에 고정 부착되거나 상기 핸들 몸체와 일체형이고, 상기 커넥터(600)가 상기 제1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상기 탄성 설부(7)의 상기 제2 단부(7B)는 상기 제1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휘어지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회전할 때 상기 탄성 설부(7)의 상기 제2 단부(7B)는 상기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향해 휘어져서, 상기 휘어진 탄성 설부는 상기 커넥터(600)를 상기 휴지 위치를 향해 바이어싱시키고,
    상기 커넥터(600)는 카트리지 단부, 및 상기 카트리지 단부에 대향하는 설부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카트리지 단부는 상기 카트리지(3)와 맞물리도록 적응되고,
    상기 탄성 설부(7)는 탄성 시트(elastic sheet) 형태를 갖고,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커넥터 평면(XY)과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핸들의 상기 길이방향 축(L)과 평행한 커넥터 평면(XY)에서 연장되는, 핸들(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Z)은 상기 커넥터 평면(XY)에 수직인, 핸들(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0)의 상기 설부 단부는 상기 커넥터 평면(XY)과 평행한 평면에서 취해진 단면에서 둥근 형상을 갖는 리세스(recess)(615, 625)를 포함하는, 핸들(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의 두께는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1 단부(7A)로부터 상기 탄성 설부의 상기 제2 단부(7B)를 향해 감소하는, 핸들(2).
  6.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부(wing)(615A, 625A)가 상기 리세스(615, 625)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그리고 서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615A, 625A)는 상기 핸들(2)의 상기 길이방향 축(L)을 따라 대칭이고,
    각각의 날개부(615A, 625A)는 평면 표면(W)을 규정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615A, 625A)의 상기 평면 표면(W)은 상기 핸들(2)의 상기 길이방향 축(L)에 대해 대칭인 V-형상의 배열을 형성하는, 핸들(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615A, 625A)의 각각의 평면 표면(W)은 상기 핸들의 상기 길이방향 축(L)과 30° 내지 60°의 각도를 형성하는, 핸들(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몸체(2A)는 한 쌍의 정지부(8)를 포함하되, 각각의 정지부(8)는 상기 탄성 설부(7)가 상기 제1 극단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2 극단 회전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적응된, 핸들(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설부(7)는, 휘어질 때, 0 N·㎜ 내지 30 N·㎜의 복귀 토크를 발생시키는, 핸들(2).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0)의 회전 각도(R)가 증가할 때, 상기 탄성 설부(7)는 증가하는 복귀 토크를 발생시키고, 1회전당 상기 복귀 토크의 증가는 0.5 N·㎜ 내지 2 N·㎜인, 핸들(2).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1)로서,
    블레이드 에지(32)를 갖고 블레이드 에지 축(B)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1)를 구비하는 카트리지(3)를 더 포함하는, 면도기(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Z)과 선회 축(P)은 서로 수직인, 면도기(1).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Z)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1)의 적어도 하나의 절삭 에지(32)와 교차하는, 면도기(1).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3)는 상기 블레이드 에지 축(B)에 평행한 선회 축(P)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면도기(1).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Z)과 선회 축(P)은 서로 교차하는, 면도기(1).
KR1020197020958A 2017-01-17 2018-01-10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핸들 KR20190103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1799.8A EP3348364B1 (en) 2017-01-17 2017-01-17 A handle for a shaver enabling rotational movement of a cartridge
EP17151799.8 2017-01-17
PCT/EP2018/050595 WO2018134104A1 (en) 2017-01-17 2018-01-10 A handle for a shaver enabling rotational movement of a cart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216A true KR20190103216A (ko) 2019-09-04

Family

ID=5783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958A KR20190103216A (ko) 2017-01-17 2018-01-10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핸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97110B2 (ko)
EP (1) EP3348364B1 (ko)
JP (1) JP2020505096A (ko)
KR (1) KR20190103216A (ko)
CN (1) CN110234475B (ko)
MX (1) MX2019008400A (ko)
RU (1) RU2753231C2 (ko)
WO (1) WO20181341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119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
KR20220155098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08B1 (ko) * 2015-11-20 2017-02-0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EP3348364B1 (en) 2017-01-17 2020-04-15 BIC-Violex S.A. A handle for a shaver enabling rotational movement of a cartridge
EP3348363B1 (en) * 2017-01-17 2019-07-24 BIC-Violex S.A. A shaving handle system for holding a cartridge pivotable about two axes
RU2757043C2 (ru) 2017-01-17 2021-10-11 Бик-Виолекс Са Соединит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картриджей для влажного бритья, выполненных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орота вокруг двух осей
US11351687B2 (en) * 2017-11-28 2022-06-07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handle
US11607820B2 (en) 2018-03-30 2023-03-21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BR112020020132A2 (pt) * 2018-03-30 2021-01-05 The Gillette Company Llc Empunhadura de aparelho de barbear ou depilar com membros móveis
CN111867795B (zh) 2018-03-30 2022-03-18 吉列有限责任公司 剃刀柄部
WO2019191178A1 (en) 2018-03-30 2019-10-03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movable members
JP2021517043A (ja) 2018-03-30 2021-07-15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枢動部分を有するかみそりハンドル
EP3546156B1 (en) 2018-03-30 2021-03-10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EP3774235A1 (en) 2018-03-30 2021-02-17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handle with a pivoting portion
JP7104167B2 (ja) * 2018-03-30 2022-07-20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皮膚相互連結部材を含む剃毛かみそりシステム
USD874061S1 (en) 2018-03-30 2020-01-28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cartridge
EP3623121B1 (en) 2018-09-14 2022-02-16 BIC-Violex S.A.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EP3666479B1 (en) * 2018-12-14 2024-01-24 BIC Violex Single Member S.A. Blade assembly attachment mechanism and modular razor assembly
KR102231870B1 (ko) * 2019-07-08 2021-03-25 주식회사 도루코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EP3842196B1 (en) * 2019-12-23 2023-09-13 BIC Violex Single Member S.A. Coupl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9792A (en) * 1935-06-01 1938-06-07 Theodore W Foster & Bro Co Razor with adjustable handle
GB1460732A (en) * 1973-03-01 1977-01-06 Gillette Co Safety razor
US3950848A (en) 1974-03-18 1976-04-20 Michael Goldstein Safety razor
US3950849A (en) 1974-07-23 1976-04-20 The Gillette Company Razor with rotatably mounted shaving unit
US3964160A (en) 1975-04-02 1976-06-22 Garron Gordon Safety razor with an angularly adjustable head
US4152828A (en) 1978-03-29 1979-05-08 Lund Lloyd W Razor having variable angle and tilt of its blade
JPS596675B2 (ja) 1980-10-20 1984-02-14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安全かみそり
US4403414A (en) 1981-04-09 1983-09-13 Warner-Lambert Company Socket device for a pivotal razor
GB2116470B (en) 1982-03-12 1985-09-25 Gillette Co Safety razors
US4879811A (en) 1987-10-01 1989-11-14 Cooney Daniel J Safety razor
DE8903182U1 (ko) * 1989-03-15 1989-05-03 Wilkinson Sword Gmbh, 5650 Solingen, De
AR244587A1 (es) 1989-11-17 1993-11-30 Warner Lambert Co Conjunto afeitador de seguridad movible angularmente
JPH0422388A (ja) 1990-05-18 1992-01-27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US5050301A (en) 1990-09-19 1991-09-24 The Gillette Company Razor assembly
GB9208098D0 (en) 1992-04-13 1992-05-27 Gillette Co Razor with movable cartridge
US5953824A (en) 1997-09-23 1999-09-21 Warner-Lambert Company Razors providing pivoting and swivelling razor head support
US6615498B1 (en) 2000-03-13 2003-09-09 Warner-Lambert Company Flexible member for a shaving razor
US7200942B2 (en) * 2001-03-28 2007-04-1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afety razor with pivot point shift from center to guard-bar under applied load
US7137205B2 (en) 2002-10-01 2006-11-21 The Gillette Company Linkage mechanism providing a virtual pivot axis for razor apparatus with pivotal head
JP3972903B2 (ja) 2003-12-26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CN100591492C (zh) 2004-09-07 2010-02-24 比克维奥莱克斯公司 剃刀手柄和包括该手柄的剃刀
US7526869B2 (en) 2006-06-08 2009-05-0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Razor handle
US7461458B2 (en) 2006-06-14 2008-12-09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Wet shaving razor
US8205344B2 (en) * 2008-08-20 2012-06-26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 having pivotable blade unit
GB2463035A (en) * 2008-08-29 2010-03-03 James Bartholomew Philpotts Manual shaving razor with damping elastic elements
CN102202840B (zh) 2008-10-01 2014-10-29 比克-维尔莱克 可拆卸地与刀架连接的剃须刀手柄以及包括该手柄的剃须刀
CN102574287B (zh) 2009-07-31 2014-12-10 比克-维尔莱克 湿型剃须刀
US20110247217A1 (en) 2010-04-12 2011-10-13 Robert Harold Johnson Shaving cartridge having a front pivoting hood with a biasing member
US8898909B2 (en) 2010-08-25 2014-12-02 Spectrum Brands, Inc. Electric shaver
US8745882B2 (en) * 2010-09-29 2014-06-10 The Gillette Company Flexible and separable portion of a razor handle
US8745883B2 (en) * 2010-09-29 2014-06-10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EP2508309B1 (en) 2011-04-05 2016-08-03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US20130081290A1 (en) 2011-10-03 2013-04-04 Matthew Frank Murgida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KR102009179B1 (ko) 2012-12-21 2019-08-09 빅-비올렉스 에스아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를 가지는 면도기와 이러한 면도기를 위한 카트리지와 헤드 및 핸들 조립체
DE102013213881A1 (de) * 2013-07-16 2015-01-22 Beiersdorf Ag Rasierer mit freier Beweglichkeit des Rasierkopfes
ES2660443T3 (es) 2014-01-31 2018-03-22 Feintechnik Gmbh Eisfeld Maquinilla de afeitar con un mango y una unidad de corte giratoria
US11148310B2 (en) 2014-03-24 2021-10-19 Flexhandle, L.L.C.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EP3481606B1 (en) 2016-07-06 2023-04-05 BIC Violex Single Member S.A. Shaving component, shaving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993931B1 (en) 2016-11-23 2018-06-12 Personal Care Marketing And Research, Inc. Razor docking and pivot
EP3348364B1 (en) 2017-01-17 2020-04-15 BIC-Violex S.A. A handle for a shaver enabling rotational movement of a cartridge
EP3348363B1 (en) 2017-01-17 2019-07-24 BIC-Violex S.A. A shaving handle system for holding a cartridge pivotable about two axes
RU2757043C2 (ru) * 2017-01-17 2021-10-11 Бик-Виолекс Са Соединит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картриджей для влажного бритья, выполненных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орота вокруг двух осей
KR101887119B1 (ko) 2017-11-21 2018-08-09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CN109807949B (zh) 2017-11-21 2021-05-25 株式会社多乐可 剃须刀组装体
KR101894213B1 (ko) 2017-11-21 2018-09-04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조립체
EP3647003B1 (en) 2018-10-31 2022-03-09 Bic Violex S.A. Razor handle with suspension and pivot device
US11161263B2 (en) 2019-08-22 2021-11-02 Harry's, Inc. Razor cartridge connection and hand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119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
KR20220155098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4104A1 (en) 2018-07-26
US20200039098A1 (en) 2020-02-06
MX2019008400A (es) 2019-09-16
BR112019014565A2 (pt) 2020-02-18
RU2753231C2 (ru) 2021-08-12
EP3348364B1 (en) 2020-04-15
US11597110B2 (en) 2023-03-07
JP2020505096A (ja) 2020-02-20
EP3348364A1 (en) 2018-07-18
CN110234475B (zh) 2022-06-03
CN110234475A (zh) 2019-09-13
RU2019118225A3 (ko) 2021-06-07
RU2019118225A (ru)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3216A (ko)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핸들
JP5735113B2 (ja) 回転可能な部分を有するカミソリのハンドル
EP2474396B1 (en) Razor cartridge
JP3875207B2 (ja) 安全カミソリカートリッジ
US9032627B2 (en) Shaving blade unit and shaver having such a blade unit
EP2621690B1 (en) Flexible and separable portion of a razor handle
US4345374A (en) Razor with means to adjust blade geometry
KR20190103218A (ko)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습식 면도 카트리지용으로 구성된 커넥터
KR20190103217A (ko)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카트리지를 유지하기 위한 면도 핸들 시스템
US20190263011A1 (en) Shaving blade cartridge and a shaver comprising such shaving blade cartridge
EP3481606B1 (en) Shaving component, shaving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RU2693970C2 (ru) Кассета с лезвиями для бритья и бритв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кассету с лезвиями для бритья
KR20200131214A (ko)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
US5784785A (en) Folding longitudinal razor
US20170106549A1 (en) Shaving blade cartridge and a shaver comprising such shaving blade cartridge
US6430814B1 (en) Flexy razor using finger-assisted bending
US5715606A (en) Razor blade
ES2959456T3 (es) Mango de maquinilla de afeitar y conjunto de maquinilla de afeitar que usa el mismo
US20240083051A1 (en) Razor heads, kits, razors & methods comprising the same
BR112019014565B1 (pt) Cabo para um aparelho de barbear e aparelho de barbear
JPH03141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