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520A -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 Google Patents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520A
KR20190102520A KR1020180022989A KR20180022989A KR20190102520A KR 20190102520 A KR20190102520 A KR 20190102520A KR 1020180022989 A KR1020180022989 A KR 1020180022989A KR 20180022989 A KR20180022989 A KR 20180022989A KR 20190102520 A KR20190102520 A KR 20190102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storage
cold
temperature
evaporato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문진
Original Assignee
인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문진 filed Critical 인문진
Priority to KR102018002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2520A/ko
Priority to CN201810315690.8A priority patent/CN110195953A/zh
Publication of KR2019010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9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ve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 accumulators
    • B60H1/005Regenerative cooling means, e.g. cold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작은 셀로 만들어진 냉동장치를 냉동차량의 냉동실의 내부 천장에 설치하고, 작은 셀로 만들어진 다수개의 냉동플레이트인 증발기들과, 증발기들과 함께 냉순환통로에 설치된 제상히터에 의해 증발기들에 형성된 성애를 제거하여 발생된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드레인판을 구비하고,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토출구에 설치된 개폐수단과, 토출구의 개폐수단과 연계된 배출수단의 송풍팬으로 증발모듈에 발생된 냉을 냉동차량의 축냉탑에 구비된 냉동실의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하도록 축냉모듈화장치를 구성하여서, 심야에 값싼 전력 혹은 일반 전기로 증발모듈을 구비한 축냉모듈화장치를 가동하여 축냉모듈인 상기 증발기에 냉을 축척시키고, 증발기에 축냉된 냉을 축냉탑에 적재된 제품의 필요 온도에 따라 온도조절기에 연동시켜 온도에 따라 송풍팬을 제어하여 상온, 냉장, 냉동 온도를 맞추어 사용하며, 증발기 사이의 통로에 끼인 성애를 제상히터로 녹여 에너지효율을 증대하도록 한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Temperature-adjustable modular apparatus of cold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작은 셀로 만들어진 냉동장치를 냉동차량의 냉동실의 내부 천장에 설치하고,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토출구에 설치된 개폐수단과, 토출구의 개폐수단과 연계된 배출수단의 송풍팬으로 증발모듈에 발생된 냉을 냉동차량의 축냉탑에 구비된 냉동실의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하도록 축냉모듈화장치를 구성하여서, 심야에 값싼 전력 혹은 일반 전기로 증발모듈을 구비한 축냉모듈화장치를 가동하여 축냉모듈인 상기 증발기에 냉을 축척시키고. 증발기에 축냉된 냉을 축냉탑에 적재된 제품의 필요 온도와 온도조절기에 연동시켜 온도에 따라 송풍팬을 제어하여 상온, 냉장, 냉동 온도를 맞추어 사용하며, 증발기에 설치된 제상히터를 가동하여 증발기와 증발기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에 끼인 성애를 녹여서 냉순환이 잘 되도록 하여 증발모듈의 냉기발생효율을 높이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차량은 유통과정에서 신선함을 요구하거나 냉동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식음료 또는 냉동 저장식품 등을 운송하는 특수한 차량으로, 이러한 냉동차량에는 냉동실이 구비되고, 또한 냉동차량에는 냉동실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시키는 냉동장치가 구비된다.
한편, 계절에 상관없이 이제 냉장과 냉동은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해 있으며, 특히 신선도를 유지해야하는 식품과 관련해서는 더욱 상품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보관할 수 있는 냉동차량이 필요하다. 국민소득증대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구하는 웰빙바람이 불면서 신선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치가 커지고 있으며, 또한 통신, 홈쇼핑의 발달과 식품운송 물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 각종 식품의 변질파동을 겪으면서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물류수송업체들은 변질되기 쉬운 냉동,냉장제품을 운송 중에도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온도관리를 할수 있는 저비용,고효율이 가능한 냉동차량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국내산업발전 및 국민소득향상에 따라 환경오염 및 에너지 소비량이 크게 증가해 에너지의 해외의전도를 낮추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 및 이용촉진법을 제정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전력 수요관리 목적으로 심야전기 사용에 대한 지원 육성이다.
그러나 현재의 축냉탑은 자연대류식 냉각시스템으로 냉동차량 축냉탑의 상단과 전면에 증발기인 냉판을 장착하고 도 1a와 도 1b를 참고사진에서와 같이 축냉탑의 냉동실의 내부위에서 내려오는 냉의 대류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냉동용으로는 적합하나 온도를 조절하여 적재 상품별 온도를 맞추기는 불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주로 냉동제품 아이스크림, 냉동육, 동결생선 등 동결 제품 영하 -18℃ 이하에서 보관 및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현재의 냉동차량의 축냉탑에 설치된 축냉시스템은 냉동차량이 주차하는 시간인 심야시간에 7~8시간 축냉(냉동기를 가동하여 냉을 저장하고) 낮시간대는 냉동차량이 운행하여 냉을 방출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자연대류식 냉동차량의 축냉탑은 저온의 온도를 유지하는데는 좋으나, 냉동품(-20℃이하 보관품)가 냉장품(0~+5℃)의 제품에 적절하게 온도조절을 할수가 없고, 또 성애가 많이 끼어 제거작업을 하려면 적재상품을 내리고 하루 12시간 이상 냉동차의 축냉탑의 문을 개방하여 자연적으로 녹이고 있고 축냉탑의 성애를 제거하고 난 다음에 냉을 충전하는 시간도 평소의 2배인 약 20시간이상을 충전해야 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작은 셀로 만들어진 냉동장치를 냉동차량의 냉동실의 내부 천장에 설치하고, 작은 셀로 만들어진 다수개의 냉동플레이트인 증발기들과, 증발기들과 함께 냉순환통로에 설치된 제상히터에 의해 증발기들에 형성된 성애를 제거하여 발생된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드레인판이 있고,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토출구에 설치된 개폐수단과, 토출구의 개폐수단과 연계된 배출수단의 송풍팬으로 증발모듈에 발생된 냉을 냉동차량의 축냉탑에 구비된 냉동실의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하도록 축냉모듈화장치를 구성하여서, 심야에 값싼 전력 혹은 일반 전기로 증발모듈을 구비한 축냉모듈화장치를 가동하여 축냉모듈인 상기 증발기에 냉을 축척시키고. 증발기에 축냉된 냉을 축냉탑에 적재된 제품의 필요 온도에 따라 온도조절기에 연동시켜 온도에 따라 송풍팬을 제어하여 상온, 냉장, 냉동 온도를 맞추어 사용하며, 증발기 사이의 통로에 끼인 성애를 제상히터로 녹여 에너지효율을 증대하도록 한 새로운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냉동차량(10)의 축냉탑(10a)에 형성된 냉동실(10b)의 내부상부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21)를 갖는 함체(22)로 형성되며, 상기 함체(22)의 좌측에 유입구(23)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22)의 우측에 토출구(24)가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설치공간부(21)에 다수개로 설치되는 증발기(31)와, 냉순환통로(40a)를 구비한 증발모듈(30)과;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설치된 제상히터(defrost heater)(40)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에 설치된 개폐수단(50)과; 상기 설치공간부(21)와, 상기 토출구(24)와 연통되어 설치된 배출수단(60)과;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증발모듈(30)에 순환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증발모듈(30)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24)를 통해 상기 배출수단(60)으로 상기 냉동실(10b)의 상부에서 하부로 냉기를 배출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의 전방에 설치된 연결구(a1)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m)와,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연결구(b1)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연결구(b1)의 후방에 설치된 개폐판(b)과, 상기 연결구(a)와 상기 전방연결구(b1)에 힌지(h)가 관통결합되고, 상기 개폐판(b)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연결구(b2)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연결구(b2)는 상기 모터(m)에 구비된 상기 구동축(m1)이 관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함체(22)의 상기 토출구(24)와 연통되게 유입공(61)이 형성된 배출하우징(62)과, 상기 배출하우징(62)의 하부설치된 배출공(63)과, 상기 배출공(63)에 송풍팬(6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31)들과 상기 제상히터(40)들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판(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의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에 배수공(40b)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방열공(40c)이 형성된 히터케이싱(4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작은 셀로 만들어진 냉동장치를 냉동차량의 냉동실의 내부 천장에 설치하여 냉동장치의 증발모듈에 발생된 냉기가 토출구를 통해 냉동실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되도록 하고 필요온도에 따라 송풍팬을 선택 가동하여 냉동실 내부의 냉동 및 냉장의 효율을 높이고, 제상히터(defrost heater)를 증발기에 더 구비하여 증발기에 형성되는 성애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재축적시간을 단축시켜 증발모듈의 냉기발생효율을 높이며 냉동실의 온도를 사용물품(상온, 냉동, 냉장) 및 계절에 따라 구분해서 적절하게 조절하고, 값싼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냉을 축적하였다가 차량운행시 차량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송풍팬을 가동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상히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상히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는 프레임(20)과, 증발모듈(30)과, 제상히터(40)와, 개폐수단(50)과, 배출수단(6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량(10)의 축냉탑(10a)의 내부에 형성된 냉동실(10b)은 주지된 바와 같이 값싼 심야전기를 이용하여 냉을 축적하였다가 차량운행 시 엔진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축적된 냉으로 냉동실(10b)의 필요한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동차량(10)의 상기 축냉탑(10a)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콘덴싱유닛(80)이 구비되고, 이러한 상기 콘덴싱유닛(80)은 후술되는 상기 증발기모듈(30)과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20)은 냉동차량(10)의 축냉탑(10a)에 형성된 댕동실(10b)의 내부상부천장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공간부(21)를 갖는 함체(22)로 형성되어 구성되다.
상기 설치공간부(21)에는 후술되는 증발모듈(3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함체(22)의 좌측에 유입구(2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23)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함체(22)의 우측에 토출구(2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증발모듈(30)은 상기 설치공간부(21)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설치공간부(21)에 설치되는 상기 증발모듈(30)은 다수개로 설치되는 증발기(31)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31)들의 가외둘레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가외둘레와 및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의 사이에 냉순환통로(40a)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31)는 상기 설치공간부(21)의 내부에 적정간격으로 두고 다수로 구획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31)에 축냉된 냉을 상기 축냉탑(10a)에 적재된 제품의 필요 온도에 따라 상기 축냉탑(10a)에 구비된 온도조절기(90)에 의해 연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도조절기센서(90)에 의해 조절된 온도에 따라 적절히 후술되는 상기 배출수단(60)의 상기 송풍팬(64)을 제어하여 상기 냉동실(10b)의 내부의 온도를 상온, 냉장, 냉동 온도를 맞추어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도조절기센서(90)는 상기 축냉탑(10a)에 구비된 제어부(100)와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상히터(defrost heater)(40)는 상기 증발모듈(30)에 다수개로 설치된 상기 냉순환통로(40a)로 구성된다.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증발모듈(30)의 상기 증발기(31)에 각각 배치된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상히터(40)는 전기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낀 성애와 증발기(31)에 낀 성애를 강제로 편리하게 제거한다.
이때, 상기 제상히터(40)는 평상시에는 가동시키지 않고 제상작업을 수행할 때만 가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제상히터(40)는 외부 전기(AC)에 의해 가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상히터(40)들로 상기 증발모듈(30)의 성애를 제거하여 상기 증발모듈(30)의 냉기발생효율을 한층 더 높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31)에 끼인 성애는 주기적으로 12기간 내지 24시간에 1회씩 충전하기 전 제상작업을 한다. AC380V로 주간 타이머에 의하여 작동되어 성애를 녹이고 드레인시킨후 상기 증발모듈(30)을 충전하여 다음에 사용하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상히터(40)를 사용하여 강제 제상하면 제상시간이 약 20~30분 정도로 짧게 소요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상 후 냉 재축적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31)들과 상기 제상히터(40)들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판(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판(70)은 상기 증발기(31)들에 형성된 성애를 상기 제상히터(40)들로 녹여서 발생된 물을 받아서 다수개의 배수공(미도시)을 통해 드레인판(70)에 떨어져 상기 드레인판(70)에 4개의 배수공(미도시)에 호스가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하부에 배수공(40b)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방열공(40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하부에 배수공(40b)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방열공(40c)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증발기(31)들로 상기 냉순환통로(40a)에 -20℃이하로 냉동 후 상기 제상히터(40)로 제상시 상기 방열공(40c)들을 통해 제상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개폐수단(50)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의 전방에 설치된 연결구(a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m)로 구성된다.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연결구(b1)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연결구(b1)의 후방에 설치된 개폐판(b)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a)와 상기 전방연결구(b1)에 힌지(h)가 관통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b)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연결구(b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후방연결구(b2)는 상기 모터(m)에 구비된 상기 구동축(m1)이 관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후방연결구(b2)에 형성된 결합공(b3)과, 상기 결합공(b3)에 상기 구동축(m1)이 삽입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와 상기 결합공(b3)의 내측둘레에는 각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가 상기 결합공(b3)의 내측둘레에서 공회전 안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m)의 구동으로 상기 모터(m)의 상기 구동축(m1)과 연결된 상기 후방연결구(b2)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후방연결구(b2)를 갖는 상기 개폐판(b)이 상기 전방연결구(b1)가 상기 힌지(h)를 의지하여 구동하게 된다.
이 상기 후방연결구(b2)에 관통결합하고,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가 상기 후방연결구(b2)에 형성된 결합공(b3)의 내측둘레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힌지(h)가 구동되어 상기 후방연결구(b2)와 연결된 상기 개폐판(b)이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토출구(24)와 연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함체(22)의 상기 토출구(24)와 연통되게 유입공(61)이 형성된 배출하우징(6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하우징(62)의 하부설치된 배출공(6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공(63)에 송풍팬(6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설치공간부(21)에 설치된 상기 증발모듈(30)의 상기 증발기(31)에서 냉이 발생하면,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유입구(23)에 설치된 상기 개폐수단(50)을 개방하여 상기 냉동실(10a)의 공기를 상기 프레임(10)에 공급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토출구(24)의 상기 개폐수단(50)을 개방하여 상기 증발모듈(30)에서 발생된 냉을 상기 프레임(10)의 우측에 설치된 상기 배출수단(60)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을 공급받은 상기 배출수단(60)인 상기 배출하우징(62)의 내부에 공급된 냉을 상기 배출하우징(62)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63)에 설치된 상기 송풍팬(64)을 가동하여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상기 증발모듈(30)에서 발생된 냉을 상기 배출하우징(62)과 상기 배출공(63)을 통해 상기 냉동실(10b)의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증발모듈(30)에 순환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증발모듈(30)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24)를 통해 상기 배출수단(60)으로 상기 냉동실(10b)의 상부에서 하부로 냉기를 배출순환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작은 셀로 만들어진 냉동장치를 냉동차량의 상기 냉동실(10b)의 내부 천장에 설치하고, 작은 셀로 만들어진 다수개의 냉동플레이트인 상기 증발기(31)들과, 상기 증발기(31)들과 함께 냉순환통로를 갖는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상히터(40)에 의해 상기 증발기(31)들에 형성된 성애를 제거하여 발생된 녹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상기 드레인판(70)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측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에 설치된 상기 개폐수단(50)과, 상기 토출구(24)의 상기 개폐수단(50)과 연계된 상기 배출수단(60)의 상기 송풍팬(64)으로 상기 증발모듈(30)에 발생된 냉을 냉동차량의 축냉탑에 구비된 상기 냉동실(10b)의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하도록 축냉모듈화장치를 구성하여 심야에 값싼 전력 혹은 일반 전기로 증발모듈을 구비한 축냉모듈화장치를 가동하여 축냉모듈인 상기 증발기(31)에 냉을 축척시키고, 상기 증발기(31)에 축냉된 냉을 축냉탑에 적재된 제품의 필요 온도에 따라 온도조절기에 연동시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64)을 제어하여 상온, 냉장, 냉동 온도를 맞추어 사용하며, 상기 증발기(31) 사이의 통로에 끼인 성애를 제상히터로 녹여 에너지효율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냉동차량 10a : 축냉탑
10b : 냉동실 20 : 프레임
21 : 설치공간부 22 : 함체
23 : 유입구 24 : 토출구
30 : 증발모듈 31 : 증발기
40 : 제상히터(defrost heater) 40a : 공기순환통로
40b : 배수공 40c : 방열공
50 : 개폐수단 60 : 배출수단
61 : 유입공 62 : 배출하우징
63 : 배출공 64 : 송풍팬
a : 연결구 b : 개폐판
b1 : 전방연결구 h : 힌지
m : 모터 m1 : 구동축

Claims (5)

  1. 냉동차량(10)의 축냉탑(10a)에 형성된 냉동실(10b)의 내부상부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부(21)를 갖는 함체(22)로 형성되며, 상기 함체(22)의 좌측에 유입구(23)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22)의 우측에 토출구(24)가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설치공간부(21)에 다수개로 설치되는 증발기(31)와, 냉순환통로(40a)를 구비한 증발모듈(30)과;
    상기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설치된 제상히터(40)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에 설치된 개폐수단(50)과;
    상기 설치공간부(21)와, 상기 토출구(24)와 연통되어 설치된 배출수단(60)과;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증발모듈(30)에 순환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증발모듈(30)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24)를 통해 상기 배출수단(60)으로 상기 냉동실(10b)의 상부에서 하부로 냉기를 배출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축냉탑의 축냉 모듈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의 전방에 설치된 연결구(a1)와, 상기 유입구(23)와 상기 토출구(24)의 후방에 설치된 모터(m)와,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연결구(b1)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연결구(b1)의 후방에 설치된 개폐판(b)과, 상기 연결구(a)와 상기 전방연결구(b1)에 힌지(h)가 관통결합되고, 상기 개폐판(b)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연결구(b2)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연결구(b2)는 상기 모터(m)에 구비된 상기 구동축(m1)이 관통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축냉탑의 축냉모듈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함체(22)의 상기 토출구(24)와 연통되게 유입공(61)이 형성된 배출하우징(62)과, 상기 배출하우징(62)의 하부설치된 배출공(63)과, 상기 배출공(63)에 송풍팬(6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축냉탑의 축냉모듈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1)들과 상기 제상히터(40)들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판(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탑의 축냉모듈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히터(40)는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의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에 배수공(40b)과, 양측면에 다수개의 방열공(40c)이 형성된 냉순환통로(4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탑의 축냉모듈화장치.
















KR1020180022989A 2018-02-26 2018-02-26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KR20190102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989A KR20190102520A (ko) 2018-02-26 2018-02-26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CN201810315690.8A CN110195953A (zh) 2018-02-26 2018-04-10 可调节温度的压缩冷却式冷冻车的压缩冷却模块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989A KR20190102520A (ko) 2018-02-26 2018-02-26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09A Division KR20200010538A (ko) 2020-01-20 2020-01-20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20A true KR20190102520A (ko) 2019-09-04

Family

ID=6775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989A KR20190102520A (ko) 2018-02-26 2018-02-26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02520A (ko)
CN (1) CN1101959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87A1 (ko) 2019-08-21 2021-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992B1 (ko) * 2000-03-24 2002-08-17 진성냉기산업주식회사 축냉식 증발기
JP2009068814A (ja) * 2007-09-18 2009-04-02 Denso Corp 冷凍車用冷凍装置
CN201757548U (zh) * 2010-04-08 2011-03-09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翅片式蒸发器及其电冰箱
CN202193019U (zh) * 2011-08-30 2012-04-18 郑州凯雪冷气设备有限公司 一种高性能冷藏车
US9688181B2 (en) * 2013-06-18 2017-06-27 Thermo King Corporation Control method for a hybrid refrigeration system
CN103712401A (zh) * 2013-12-26 2014-04-09 合肥晶弘三菱电机家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化霜系统及设置该化霜系统的冰箱
JP6366618B2 (ja) * 2016-01-25 2018-08-01 株式会社デンソーエアクール 冷却装置
CN206930017U (zh) * 2017-05-17 2018-01-26 上海通用富士冷机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蒸发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87A1 (ko) 2019-08-21 2021-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5953A (zh)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91566B (zh) 一种用于风冷冰箱的控制方法
JP5571044B2 (ja) 冷蔵庫
US20090113910A1 (en) Vacuum system for refrigerator truck
CN104956168A (zh) 遮蔽装置及包括该遮蔽装置的冰箱
US20190299751A1 (en) Dual compressor transportation refrigeration unit
CN105241159B (zh) 一种用于无霜冰箱的壁龛式除霜装置
US5339644A (en) Defrost system for refrigeration apparatus
KR101371362B1 (ko) 멀티냉각방식 열교환기 일체형 p.c.m 축냉조
KR101029014B1 (ko) 냉동차량용 축냉탑
KR20190102520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KR20200010538A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축냉식 냉동차량의 축냉모듈화장치
CN1126927C (zh) 冰箱
KR101209482B1 (ko) 축냉시스템을 가진 냉동쇼케이스
CN206572822U (zh) 一种冷库用蓄冷保鲜装置
JP2019039586A (ja) 冷蔵庫
JPH07174451A (ja) 冷凍冷蔵庫
KR101316714B1 (ko) P.c.m 축냉식 저온저장고
KR20130100489A (ko) 다수의 브라인(brine)순환 열교환(Heat Exchange) 코일(Coil)을 활용한 공기순환 냉각방식 P.C.M 축냉 시스템
KR102439937B1 (ko) 냉동탑차용 샌드위치 축냉 패널 냉동기
KR101775274B1 (ko) 절전형 저온저장고
JP2004057347A (ja) 冷却システムの制御装置
CN218348942U (zh) 冰箱
CN218001910U (zh) 蓄冷装置及冰箱
CN103597302A (zh) 冰箱
JPH08285440A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