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51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517A
KR20190101517A KR1020180021158A KR20180021158A KR20190101517A KR 20190101517 A KR20190101517 A KR 20190101517A KR 1020180021158 A KR1020180021158 A KR 1020180021158A KR 20180021158 A KR20180021158 A KR 20180021158A KR 20190101517 A KR20190101517 A KR 2019010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nsing
connection
sensing electrodes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179B1 (ko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179B1/ko
Priority to US16/268,577 priority patent/US10761665B2/en
Priority to CN201910132489.0A priority patent/CN110187788A/zh
Publication of KR2019010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58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감지부에서의 감지 전극들 간의 단락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기판 상에 위치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터치 감지부는, 기판 상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기판 상에,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 기판과 제 1 감지 전극들 사이, 기판과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절연막; 기판과 절연막 사이에 배치되며, 절연막의 콘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에 연결된 연결 전극; 및 연결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위치하며, 연결 전극 및 제 1 감지 전극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감지부에서의 감지 전극들 간의 단락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0002] crystal display,LCD),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의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FPD)는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전기 광학 활성층(electro-optical active layer)이 배치된 표시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터치하면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터치 되었는지 여부 및 그 터치 위치 등의 터치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및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감지부에서의 감지 전극들 간의 단락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사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절연막;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막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절연막의 콘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에 연결된 연결 전극; 및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전극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 전극은 플로팅(floating) 전극이다.
상기 더미 전극의 단부는 상기 연결 전극의 단부와 마주본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은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그 다른 하나의 단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그 다른 하나의 단부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요철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연결 전극에 인접한다.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홀 내에 위치한다.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한다.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과 중첩하지 않는다.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더미 전극은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더미 전극들을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감지 라인이 위치한다.
상기 연결 전극은 서로 인접한 제 1 감지 전극 및 두 개의 제 2 감지 전극들과 중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사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절연막;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막 사이에 배치되며,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절연막의 제 1 콘택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절연막의 제 2 콘택홀을 통해 연결된 연결 전극; 및 상기 제 1 콘택홀에 연결된 제 3 콘택홀과 상기 제 2 콘택홀에 연결된 제 4 콘택홀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며,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을 갖는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사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절연막;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막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절연막의 콘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에 연결된 연결 전극;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과 동일 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전극과 교차하며,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 전극은 플로팅(floating) 전극이다.
상기 더미 전극의 단부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단부와 마주본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은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그 다른 하나의 단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그 다른 하나의 단부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요철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플로팅 상태의 더미 전극에 의해, 연결 전극과 제 1 감지 전극 간의 교차 지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 간의 단락 불량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제 1 감지 전극과 제 2 감지 전극이 연결 전극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단락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둘째, 더미 전극은 연결 전극에 근접하여 그 연결 전극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하므로 그 더미 전극은 연결 전극의 일부인 것으로 시감된다. 따라서, 시인성 문제 없이 연결 전극과 제 1 감지 전극 간의 단락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셋째, 제 1 콘택홀 및 제 2 콘택홀과 접촉하는 연결 전극의 면적에 거의 변화가 없어 연결 전극과 제 2 감지 전극들 간의 접촉 저항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넷째, 더미 전극 및 연결 전극의 단부들이 라운드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가지므로 커패시터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그 단부들의 크랙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 1 감지 전극, 제 2 감지 전극, 연결 전극 및 더미 전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B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4의 B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4의 B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2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3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4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5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6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7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8은 도 17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20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중첩"은 평면도에서 볼 때 중첩을 의미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0), 터치 감지부(2000) 및 커버 글래스(30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는 실질적으로 마름모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소(PX)는 사각 형태, 및 삼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소(PX)들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화소(PX)들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 원청색(cyan) 화소, 원적색(magenta) 화소, 원황색(yellow) 화소, 및 백색(white)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0)는 표시 패널(10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0)이 전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경우, 이 표시 패널(1000)은 기판(도 5의 131) 및 그 기판(131) 상의 봉지층(도 5의 133)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때 터치 감지부(2000)는 그 표시 패널(1000)의 봉지층(13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2000)는 그 표시 패널(1000)의 봉지층(133)과 커버 글래스(30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133)은 유리 및 투명한 소재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투명 절연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봉지층(133)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터치 감지부(2000)는 표시 패널(1000) 내부, 예를 들어 기판(131)과 봉지층(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감지부(2000)는 표시 패널(1000)의 상부 또는 그 표시 패널(10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터치 감지부(2000)는 그 표시 패널(1000)의 기판(13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감지부(201)들 및 복수의 제 2 감지부(202)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감지부(201)들은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열된다. 이때, 각 제 1 감지부(201)는 제 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갖는다.
각 제 1 감지부(201)는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211)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 1 감지부(201)는 제 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211)들을 포함한다. 그 어느 하나의 제 1 감지부(201)에 포함된 제 1 감지 전극(211)들을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그 어느 하나의 제 1 감지부(201)의 제 1 감지 전극(211)들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어느 하나의 제 1 감지부(201)에 포함된 제 1 감지 전극(211)들은 제 1 전송 라인(231)을 통해 제 1 패드 전극(24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그 제 1 감지 전극(211)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제 1 감지 전극(211)은 제 1 전송 라인(231)을 통해 제 1 패드 전극(241)에 연결될 수 있다. 그 최외곽의 제 1 감지 전극(211), 제 1 전송 라인(231) 및 제 1 패드 전극(241)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어느 하나의 제 1 감지부(201)에 포함된 제 1 감지 전극(211)과 다른 하나의 제 1 감지부(201)에 포함된 제 1 감지 전극(211)은 서로 다른 제 1 전송 라인에 연결된다. 각 제 1 전송 라인(231)은 서로 다른 제 1 패드 전극(241)에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제 1 감지 전극(211)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감지 전극(211)은 사각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감지 전극(211)은, 예를 들어, 화소(PX)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감지 전극(211)은 티타늄(Ti),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크롬(Cr) 및 니켈(Ni)과 같은 저저항 금속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감지 전극(211)은 수직으로 적층된 3개의 층들(예를 들어, 제 1, 제 2 및 제 3 층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때, 제 1 층 및 제 3 층은 각각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 1 층과 제 3 층 사이의 제 2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과 제 3 층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층의 두께는 제 1 층(또는 제 3 층)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제 1 감지 전극(211)은 금속 또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 아연(ZnO), CNT(carbon nanotube), 및 그래핀(graph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감지부(202)들은 제 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다. 이때, 각 제 2 감지부(202)는 제 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갖는다. 제 2 방향(D2)은 제 1 방향(D1)과 교차한다.
각 제 2 감지부(202)는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212)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 2 감지부(202)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212)들을 포함한다. 그 어느 하나의 제 2 감지부(202)에 포함된 제 2 감지 전극(212)들을 연결 전극(15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전극(150)은 제 2 방향(D2)으로 인접한 두 개의 제 2 연결 전극(150)들을 서로 연결한다.
연결 전극(150)은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제 2 감지 전극(212)들과 다른 층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제 2 감지 전극(212)들은 동일한 물질로 동일 층 상에 위치하는 반면, 연결 전극(150)은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제 2 감지 전극(212)들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어느 하나의 제 2 감지부(202)에 포함된 제 2 감지 전극(212)들은 제 2 전송 라인(232)을 통해 제 2 패드 전극(24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그 제 2 감지 전극(212)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2 전송 라인(232)을 통해 제 2 패드 전극(242)에 연결될 수 있다. 그 최외곽의 제 2 감지 전극(212), 제 2 전송 라인(232) 및 제 2 패드 전극(242)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어느 하나의 제 2 감지부(202)에 포함된 제 2 감지 전극(212)과 다른 하나의 제 2 감지부(202)에 포함된 제 2 감지 전극(212)은 서로 다른 제 2 전송 라인(232)에 연결된다. 각 제 2 전송 라인(232)은 서로 다른 제 2 패드 전극(242)에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제 2 감지 전극(212)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감지 전극(212)은 사각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감지 전극(212)은, 예를 들어, 화소(PX)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감지 전극(212)은 전술된 제 1 감지 전극(21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감지 전극(212) 역시 티타늄(Ti),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크롬(Cr) 및 니켈(N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감지 전극(212)은 전술된 제 1 감지 전극(21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감지 전극(212)은 수직으로 적층된 3개의 층들(예를 들어, 제 1, 제 2 및 제 3 층)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때, 제 1 층 및 제 3 층은 각각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 1 층과 제 3 층 사이의 제 2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감지 전극(211) 및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3 방향(D3)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제 3 방향(D3)은 제 1 방향(D1) 및 제 2 방향(D2)과 교차한다.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제 2 감지 전극(212)들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바, 구분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제 1 감지 전극(211)의 내부와 제 2 감지 전극(212)의 내부는 서로 다른 패턴으로 채워졌다.
제 1 감지 전극들(211) 및 제 2 감지 전극들(212)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형성한다. 여기서 터치는 물체가 터치 패널에 접촉(contact)하는 경우(접촉 터치)뿐만 아니라, 근접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hovering) 경우(비접촉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감지 전극(211)은 제 1 패드(241)를 통해 표시 패널(1000)의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2 패드(242)를 통해 그 구동부에 연결된다. 구동부는 제 2 감지 전극(212)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 1 감지 전극(211)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와 반대로, 구동부는 제 1 감지 전극(211)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 2 감지 전극(212)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커버 글래스(3000)는 터치 감지부(20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3000)는 유리(glass), 사파이어(sapphire), 다이아몬드(diamon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PC)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먼저, 도 3의 상측의 점선 및 도 3의 상측의 가장자리(일점 쇄선)에 의해 둘러싸인 3개의 영역들을 왼쪽부터 차례로 제 1 영역(a1),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도 3의 하측의 점선 및 도 3의 하측의 가장자리(일점 쇄선)에 의해 둘러싸인 3개의 영역들을 왼쪽부터 차례로 제 4 영역(a4), 제 5 영역(a5) 및 제 6 영역(a6)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 제 1 내지 제 6 영역들(a1 내지 a6)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 7 영역(a7)으로 정의한다.
인접한 두 개의 제 2 감지 전극(212)들 중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1 영역(a1),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에 위치하며,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4 영역(a4), 제 5 영역(a5) 및 제 6 영역(a6)에 위치한다.
인접한 두 개의 제 1 감지 전극(211)들은 제 7 영역(a7)에 위치한다. 이 인접한 두 개의 제 1 감지 전극(211)들의 가장자리는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바, 이 연결된 부분을 연결부(280)로 정의할 때, 이 연결부(280)는 제 1 방향(D1)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 전극(150)들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이 연결부(280)는 제 2 방향(D2)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 2 감지 전극(212)들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연결부(280)는 인접한 두 개의 연결 전극(150)들 및 인접한 두 개의 제 2 감지 전극(212)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한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280)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연결 전극(150)은 제 2 영역(a2), 제 7 영역(a7) 및 제 5 영역(a5)에 위치한다.
더미 전극(480)은 제 7 영역(a7)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은 제 7 영역(a7)에서 제 2 방향(D2)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 2 감지 전극(212)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3의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제 2 감지 전극(212)들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바, 구분의 편의를 위해 도 3의 제 1 감지 전극(211)의 내부와 제 2 감지 전극(212)의 내부는 서로 다른 패턴으로 채워졌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지 전극(211)은 매쉬(mesh; 또는 그물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감지 전극(211)은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61)들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감지 전극(211)은 복수의 제 1 감지 라인(211a)들 및 이 제 1 감지 라인(211a)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감지 라인(21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감지 라인(211a)들은 서로 평행하며, 제 2 감지 라인(211b)들은 서로 평행하다. 각 제 1 감지 라인(211a)은 제 3 방향(D3)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지며, 각 제 2 감지 라인(211b)은 제 4 방향(D4)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제 1 감지 라인(211a)들 및 제 2 감지 라인(211b)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그 제 1 감지 전극(211)의 홀(61)에 해당한다.
제 2 감지 전극(212)은 매쉬(mesh; 또는 그물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2 감지 전극(212)은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62)들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3 감지 라인(212a)들 및 이 제 3 감지 라인(212a)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4 감지 라인(21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감지 라인(212a)들은 서로 평행하며, 제 4 감지 라인(212b)들은 서로 평행하다.
각 제 3 감지 라인(212a)은 제 3 방향(D3)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지며, 각 제 4 감지 라인(212b)은 제 4 방향(D4)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제 3 감지 라인(212a)들 및 제 4 감지 라인(212b)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그 제 2 감지 전극(212)의 홀(62)에 해당한다.
화소(PX)들은 제 1 감지 전극(211)의 홀(61) 및 제 2 감지 전극(212)의 홀(6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홀(61 또는 62)의 크기는 그 내부의 화소의 크기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들 중 청색 화소(B)는 가장 큰 크기를 가지며, 녹색 화소(G)는 가장 작은 크기를 갖는 바, 청색 화소(B)가 위치한 홀(이하, 제 1 홀)은 녹색 화소(G)가 위치한 홀(이하, 제 2 홀)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한편, 적색 화소(R)는 녹색 화소(G)보다 크고 청색 화소(B)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바, 이 적색 화소(R)가 위치한 홀은 제 2 홀보다 더 크고 제 1 홀보다 더 작다.
전술된 화소(PX)의 크기는,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00)일 경우, 발광층의 크기 또는 발광 영역의 크기일 수 있다. 발광 영역은 그 표시 패널(1000)에 포함된 차광층(또는 화소 정의막)의 개구부에 의해 정의된 영역을 의미한다.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제 2 감지 전극(212)들은 표시 패널(1000)의 차광층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내지 제 4 감지 라인들(211a, 211b, 212a, 212b)은 그 차광층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150)들 및 더미 전극(480)들도 차광층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통해 제 1 감지 전극(211), 제 2 감지 전극(212),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제 1 감지 전극(211), 제 2 감지 전극(212),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연결 전극(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전극(150)은 제 1 연결 라인(1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 3 연결 라인(153) 및 제 2 연결 라인(15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 4 연결 라인(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전극(150)은 제 1 연결 라인(1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 5 연결 라인(155) 및 제 2 연결 라인(152)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 6 연결 라인(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제 1 내지 제 6 연결 라인(151 내지 156)들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 1 연결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은, 예를 들어, 각각 C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연결 라인(151)과 제 2 연결 라인(152)은 이들의 연결부를 지나가며 제 1 방향(D1)에 평행한 가상의 라인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제 2 연결 라인(152)은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1 연결 라인(151)으로부터 제 4 방향(D4)으로 연장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한편, 제 3 연결 라인(153)과 제 1 연결 라인(151)은 서로 다른 제 1 콘택홀(CNT1)들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4 연결 라인(154)은 제 2 연결 라인(152)으로부터 제 3 방향(D3)으로 연장된다. 제 4 연결 라인(154)은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3 연결 라인(153)과 제 4 연결 라인(154)은 전술된 가상의 라인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제 4 연결 라인(154)과 제 2 연결 라인(152)은 서로 다른 제 2 콘택홀(CNT2)들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5 연결 라인(155)은 제 1 연결 라인(151)으로부터 제 4 방향(D4)의 역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6 연결 라인(156)은 제 2 연결 라인(152)으로부터 제 3 방향(D3)의 역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5 연결 라인(155)과 제 6 연결 라인(156)은 전술된 가상의 라인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5 연결 라인(155)과 제 6 연결 라인(156)은 서로 연결된다.
더미 전극(48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은 제 1 연결 라인(15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51)의 일측 단부(11)는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와 마주보며, 그 제 1 연결 라인(151)의 타측 단부(12)는 그 더미 전극(480)의 타측 단부(22)와 마주본다.
또한, 더미 전극(480)은 제 2 연결 라인(152)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더미 전극(4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방향(D4)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전극(48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지 전극(211)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은 제 1 감지 전극(211)의 제 1 감지 라인(211a)과 중첩한다. 다시 말하여, 더미 전극(480)은 제 1 감지 라인(211a)과 교차한다.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 간의 마주보는 단부들은, 예를 들어, 인접한 제 1 감지 전극(211)과 제 2 감지 전극(2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 간의 마주보는 단부들(21, 11)은 제 1 감지 전극(211)의 제 1 감지 라인(211a)과 제 2 감지 전극(212)의 제 3 감지 라인(21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 간의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21, 11)은 서로 인접한 제 1 감지 라인(211a)과 제 3 감지 라인(22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 간의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22, 12)은, 예를 들어, 제 1 감지 전극(211)의 홀(6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적인 관점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은 동일 층 상에 위치한다.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은 표시 패널(1000)의 기판(13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은 그 기판(131) 상의 봉지층(13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은 봉지층(133)과 제 1 절연막(4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전극(150)은 한 개의 제 1 감지 전극(211) 및 인접한 2개의 제 2 감지 전극(212)들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150)의 일측은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하며, 그 연결 전극(150)의 타측은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하며, 그리고 그 연결 전극(150)의 중심부는 제 1 감지 전극(211)과 중첩한다.
연결 전극(150)은 인접한 두 개의 제 2 감지 전극(212)들을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150)의 일측은 제 1 절연막(441)의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그 연결 전극(150)의 타측은 그 제 1 절연막(441)의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150)의 일측은 네 개의 제 1 콘택홀(CNT1)들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그 연결 전극(150)의 타측은 네 개의 제 2 콘택홀(CNT2)들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될 수 있다.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 및 제 1 감지 전극(211)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더미 전극(480)은 제 2 감지 전극(212)들에도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은 플로팅(floating)상태이거나 또는 그러한 상태를 갖는 플로팅 전극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들, 제 1 감지 전극(211)들 및 제 2 감지 전극(212)들을 포함한 어떤 신호 라인들에도 연결되지 않는 고립된 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하여, 더미 전극(480)은 표시 장치의 어떠한 신호 라인에도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여기서, 신호 라인은 어떠한 신호 공급원으로부터 신호를 직접 공급받는 라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라인을 통해 그 신호 공급원으로부터의 신호를 간접적으로 공급받는 라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통해 그 신호 공급원으로부터의 신호를 간접적으로 공급받는 라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그 신호 공급원으로부터의 신호를 간접적으로 공급받는 라인을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플로팅 상태의 더미 전극(480)에 의해,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교차 지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단락(short)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감지 전극(211)과 제 2 감지 전극(212)이 연결 전극(1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단락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에 근접하여 그 연결 전극(150)의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하므로 그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의 일부인 것으로 시감된다. 따라서, 시인성 문제 없이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단락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더미 전극(480)에 의해 연결 전극(150)들의 단부들(11, 12)이 서로 연결되지 않지만, 제 1 콘택홀(CNT1) 및 제 2 콘택홀(CNT2)과 접촉하는 연결 전극(150)의 면적에 거의 변화가 없어 연결 전극(150)과 제 2 감지 전극(212)들 간의 접촉 저항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수직적인 관점에서, 제 1 절연막(441)은 연결 전극(150), 더미 전극(480) 및 봉지층(133) 상에 위치한다. 제 1 절연막(441)은 이를 관통하는 제 1 콘택홀(CNT1) 및 제 2 콘택홀(CNT2)을 갖는다.
제 1 절연막(441)은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 상에만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절연막(441)은 전술된 차광층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절연막(441)은 기판(131)의 전면(全面)과 중첩하도록 연결 전극(150) 및 더미 전극(48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적인 관점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지 전극(211) 및 제 2 감지 전극(212)은 동일 층 상에 위치한다. 제 1 감지 전극(211) 및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1 절연막(44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 1 감지 전극(211) 및 제 2 감지 전극(212)은 제 1 절연막(441)과 제 2 절연막(4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지 전극(211)과 제 2 감지 전극(212)의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커패시터(Ch; 즉, 수평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감지 전극(211)과 표시 패널(1000)의 공통 전극(132) 사이에 커패시터(Cv; 즉, 수직 커패시터)가 형성되고, 제 2 감지 전극(212)과 그 공통 전극 사이에 커패시터(즉, 수직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이 수평 커패시터(Ch) 및 수직 커패시터(Cv)의 용량 변화를 근거로 터치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공통 전극(132)은, 예를 들어,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공통 전극(132)은 기판(131)과 봉지층(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 공통 전극(132)은 발광층과 봉지층(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적인 관점에서, 제 2 절연막(442)은 제 1 감지 전극(211), 제 2 감지 전극(212) 및 제 1 절연막(441) 상에 위치한다.
제 2 절연막(442)은 제 1 감지 전극(211) 및 제 2 감지 전극(212) 상에만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절연막(442)은 전술된 차광층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절연막(442)은 기판(131)의 전면(全面)과 중첩하도록 제 1 감지 전극(211), 제 2 감지 전극(212) 및 제 1 절연막(44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좌측에 위치한 두 개의 더미 전극(480)들 중 위 쪽의 더미 전극(11과 12 사이의 더미 전극)을 제 1 더미 전극으로 정의하고, 그 아래의 더미 전극(즉, 전술된 가상의 라인에 대하여 제 1 더미 전극과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더미 전극)을 제 2 더미 전극으로 정의하고, 네 개의 제 1 콘택홀(CNT1)들 중 제 1 더미 전극에 인접한 하나의 콘택홀(즉, 도 4에서 CNT1로 지시된 콘택홀)을 제 3 콘택홀로 정의하고, 네 개의 제 2 콘택홀(CNT2)들 중 제 2 더미 전극에 인접한 하나의 콘택홀(즉, 도 4에서 CNT2로 지시된 콘택홀)을 제 4 콘택홀로 정의할 때, 제 1 더미 전극과 제 2 더미 전극은 제 3 콘택홀과 제 4 콘택홀 사이의 연결 경로 상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여, 더미 전극은 제 3 콘택홀과 제 4 콘택홀 사이의 경로 상에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예를 들어, 점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연결 전극의 일부분(15a)가 제거될 경우, 그 경로 상에 세 개의 더미 전극들이 배치된다. 다시 말하여, 제 3 콘택홀과 제 4 콘택홀 사이의 경로 상에 세 개의 더미 전극들이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예를 들어, 점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세 개의 더미 전극들을 포함하는 더미 전극은 L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콘택홀(CNT1)과 제 2 콘택홀(CNT2)을 연결하는 경로 상의 연결 전극 부분도 L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B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단부들(21, 11)은 각각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마주보는 단부들(21, 11)은 서로 평행하다. 이 단부들(21, 11)은, 예를 들어, 제 3 방향(D3)에 평행하다.
한편,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22, 12)도 각각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와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 간의 거리는 그 더미 전극(480)의 타측 단부(22)와 그 연결 전극(150)의 타측 단부(21) 간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B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단부들(21, 11)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단부들(21, 11)은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더미 전극(480)의 단부(21) 및 연결 전극(150)의 단부(11)의 크랙(crack)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22, 12)도 도 8과 같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B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단부들(21, 11)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그 다른 하나의 단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다른 하나의 단부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는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는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전극(48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교차 지점에 위치한 제 1 절연막(441) 부분(도 6의 666)이 손상되어 더미 전극(480)과 제 1 감지 전극(211)이 단락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더미 전극(480)은 더 이상 플로팅 전극이 아닌 신호 라인으로 기능한다. 다시 말하여, 더미 전극(480)은 제 1 감지 전극(211)으로서 기능한다. 이때,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21, 11) 사이에 수평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는 바, 더미 전극(480) 및 연결 전극(150)의 단부들이 도 9와 같은 형상을 가질 경우 그 수평 커패시터의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수평 커패시터의 용량 증가는 터치 감지부(2000)의 감도 향상에 기여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22, 12)도 도 9와 같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B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단부들(21, 11)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더미 전극(480)의 요부는 연결 전극(150)의 철부와 마주보며, 더미 전극(480)의 철부는 연결 전극(150)의 요부와 마주본다.
더미 전극(480) 및 연결 전극(150)의 단부들(21, 11)이 도 10과 같은 형상을 가질 경우, 더미 전극(48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단락시 그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 간의 수평 커패시터의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22, 12)도 도 10과 같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더미 전극(480)은 제 1 감지 전극(211)의 제 1 연결 라인(151)과 교차하지 않는다. 더미 전극(480)은 서로 인접한 제 1 연결 라인(151)들 사이에 위치한다.
더미 전극(480)과 연결 전극(150)의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는 제 1 감지 라인(211a)이 위치한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와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 사이에 제 1 감지 라인(211a)이 위치하며, 더미 전극(480)의 타측 단부(22)와 연결 전극(150)의 타측 단부(12) 사이에는 다른 제 1 감지 라인(211a)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3 내지 도 10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2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더미 전극(480)은 인접한 두 개의 제 1 감지 라인(211a)들 중 어느 하나와 교차하고 다른 하나와 교차하지 않는다.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와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 사이에는 제 1 감지 라인(211a)이 위치하며, 더미 전극(480)의 타측 단부(22)와 연결 전극(150)의 타측 단부(12) 사이에는 제 1 감지 라인(211a)이 위치하지 않는다.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와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 간의 거리는 더미 전극(480)의 타측 단부(22)와 연결 전극(150)의 타측 단부(12) 간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2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3 및 도 10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3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80)은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더미 전극(480)은 인접한 두 개의 제 1 감지 라인(211a)들 중 어느 하나와 교차하고 다른 하나와 교차하지 않는다.
더미 전극(480)의 타측 단부(22)와 연결 전극(150)의 타측 단부(12) 사이에는 제 1 감지 라인(211a)이 위치하며,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와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 사이에는 제 1 감지 라인(211a)이 위치하지 않는다.
더미 전극(480)의 타측 단부(22)와 연결 전극(150)의 타측 단부(12) 간의 거리는 더미 전극(480)의 일측 단부(21)와 연결 전극(150)의 일측 단부(11) 간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3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3 및 도 10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4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11, 12)에 더미 전극(480)이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여, 서로 분리된 복수의 더미 전극(480)들이 그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미 전극(480)은 서로 분리된 제 1 더미 전극(481) 및 제 2 더미 전극(48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두 개의 제 1 감지 라인(211a)들 중 하나의 제 1 감지 라인(211a)은 제 1 더미 전극(480)과 교차하며, 다른 하나의 제 1 감지 라인(211a)은 제 2 더미 전극(480)과 교차한다.
도 14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3 및 도 10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5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 사이에 더미 전극(480)이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여, 서로 분리된 복수의 더미 전극(480)들이 그 단부들(11, 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미 전극(480)은 서로 분리된 제 1 더미 전극(481), 제 2 더미 전극(482) 및 제 3 더미 전극(483)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두 개의 제 1 감지 라인(211a)들 중 하나의 제 1 감지 라인(211a)은 제 1 더미 전극(481)과 교차하며, 다른 하나의 제 1 감지 라인(211a)은 제 3 더미 전극(483)과 교차한다.
제 2 더미 전극(482)은 제 1 더미 전극(481)과 제 3 더미 전극(483)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더미 전극(482)은 제 1 더미 전극(481) 또는 제 3 더미 전극(48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15에는 세 개의 더미 전극(480)들이 하나의 예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그 단부들(11, 12) 사이에는 세 개보다 더 많은 수의 더미 전극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5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3 및 도 10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6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6의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은 도 4의 연결 전극(15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11, 12)보다 연결부(280)의 중심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도 16의 더미 전극(480)은 도 4의 더미 전극(480)보다 그 연결부(280)의 중심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16의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도 3 및 도 10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7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고, 도 18은 도 17의 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150)은 제 1 연결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 전극(150)은 제 3 연결 라인(153), 제 4 연결 라인(154), 제 5 연결 라인(155) 및 제 6 연결 라인(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연결 라인(156)들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L자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제 1 감지 전극(211) 및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212)들과 중첩한다. 제 1 연결 라인(151)의 일측은 제 1 절연막(441)의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그 제 1 연결 라인(151)의 타측은 제 1 절연막(441)의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L자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제 1 감지 전극(211) 및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212)들과 중첩한다. 제 2 연결 라인(152)의 일측은 제 1 절연막(441)의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그 제 2 연결 라인(152)의 타측은 제 1 절연막(441)의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1 연결 라인(151)과 제 2 연결 라인(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1 연결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에 연결된다.
제 4 연결 라인(154)은 제 1 연결 라인(151)과 제 2 연결 라인(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4 연결 라인(154)은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4 연결 라인(154)은 제 1 연결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에 연결된다.
제 5 연결 라인(155)은 제 1 연결 라인(151)과 제 2 연결 라인(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5 연결 라인(155)은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5 연결 라인(155)은 제 1 연결 라인(151), 제 2 연결 라인(152) 및 제 4 연결 라인(154)에 연결된다.
제 6 연결 라인(156)은 제 1 연결 라인(151)과 제 2 연결 라인(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6 연결 라인(156)은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6 연결 라인(156)은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한다. 제 6 연결 라인(156)은 제 1 연결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에 연결된다.
더미 전극(490)은 제 1 감지 전극(21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31, 32)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 1 감지 전극(211)은 제 1 감지 라인(211a)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31, 32) 사이에 위치한다.
더미 전극(490)은 제 3 방향(D3)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전극(490)은 연결 전극(150)과 교차한다. 예를 들어, 더미 전극(480)은 그 연결 전극(150)의 제 1 감지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전극(490)은 제 1 감지 전극(211)과 동일 층 상에 위치한다. 더미 전극(490)은 제 1 감지 전극(21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전극(490)은 제 1 감지 전극(211)들, 제 2 감지 전극(212)들 및 연결 전극(150)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즉, 더미 전극(490)은 전술된 바와 같은 플로팅 상태이거나 또는 그러한 상태를 갖는 플로팅 전극일 수 있다.
더미 전극(490)과 제 1 감지 전극(21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41, 31 또는 42, 32)은 전술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전극(490)과 연결 전극(150) 간의 교차 지점에 위치한 제 1 절연막(441) 부분이 손상되어 더미 전극(490)과 연결 전극(150)이 단락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더미 전극(490)은 더 이상 플로팅 전극이 아닌 신호 라인으로 기능한다. 다시 말하여, 더미 전극(490)은 연결 전극(150)으로서 기능한다. 이때, 더미 전극(490)과 제 1 감지 전극(21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수평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는 바, 더미 전극(490) 및 제 1 감지 전극(211)의 단부들이 도 9 또는 10과 같은 형상을 가질 경우 그 수평 커패시터의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수평 커패시터의 용량 증가는 터치 감지부(2000)의 감도 향상에 기여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미 전극(490)은 인접한 제 1 연결 라인(151) 및 제 2 연결 라인(152) 중 어느 하나와 교차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미 전극(490)은 인접한 제 1 연결 라인(151)과 제 2 연결 라인(152)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미 전극(490)은 제 1 감지 전극(21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31, 32) 사이에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그 단부들(31, 32) 사이에 서로 분리된 복수의 더미 전극(490)들이 플로팅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150)은 제 1 절연막(441)의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그 제 1 절연막(441)의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연결 전극(150)은 제 1 연결 라인(151), 제 2 연결 라인(152) 및 제 3 연결 라인(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L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제 1 감지 전극(211) 및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212)들과 중첩한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제 1 연결 라인(1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L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한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1 연결 라인(1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L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도 19의 연결 전극(150)은 다른 실시예의 연결 전극(15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은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도 19의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교차 지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단락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시인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17의 제 1 연결 라인(151)에 대응되는 도 19의 부분에 제 1 감지 라인(211a) 및 제 2 감지 라인(211b)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은 도 2의 A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150)은 제 1 절연막(441)의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그 제 1 절연막(441)의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연결 전극(150)은 제 1 연결 라인(151), 제 2 연결 라인(152) 및 제 3 연결 라인(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L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제 1 감지 전극(211) 및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212)들과 중첩한다. 제 1 연결 라인(151)은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되며,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제 1 연결 라인(1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L자 형상 또는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한다. 제 2 연결 라인(152)은 제 1 콘택홀(CNT1)을 통해 상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1 연결 라인(1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L자 형상 또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과 중첩한다. 제 3 연결 라인(153)은 제 2 콘택홀(CNT2)을 통해 하측의 제 2 감지 전극(212)에 연결된다.
도 20의 연결 전극(150)은 다른 실시예의 연결 전극(15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은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도 20의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교차 지점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전극(150)과 제 1 감지 전극(211) 간의 단락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시인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17의 제 1 연결 라인(151)에 대응되는 도 20의 부분에 제 1 감지 라인(211a) 및 제 2 감지 라인(211b)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11: 제 1 감지 전극 212: 제 2 감지 전극
480: 더미 전극 211a: 제 1 감지 라인
211b: 제 2 감지 라인 212a: 제 3 감지 라인
212b: 제 4 감지 라인 CNT1: 제 1 콘택홀
CNT2: 제 2 콘택홀 150: 연결 전극
151: 제 1 연결 라인 152: 제 2 연결 라인
153: 제 3 연결 라인 154: 제 4 연결 라인
155: 제 5 연결 라인 156: 제 6 연결 라인
11, 12, 21, 22: 단부 61, 62: 홀
280: 연결부 D1-D4: 제 1 내지 제 4 방향

Claims (28)

  1.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사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절연막;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막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절연막의 콘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에 연결된 연결 전극; 및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전극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플로팅(floating) 전극인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의 단부는 상기 연결 전극의 단부와 마주보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은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그 다른 하나의 단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그 다른 하나의 단부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요철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연결 전극에 인접한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위치한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에 위치한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한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단부들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홀 내에 위치한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과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더미 전극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들 사이에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감지 라인이 위치한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은 서로 인접한 제 1 감지 전극 및 두 개의 제 2 감지 전극들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1.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사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절연막;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막 사이에 배치되며,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절연막의 제 1 콘택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절연막의 제 2 콘택홀을 통해 연결된 연결 전극; 및
    상기 제 1 콘택홀에 연결된 제 3 콘택홀과 상기 제 2 콘택홀에 연결된 제 4 콘택홀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며, 비연속적인 라인 형상을 갖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기판 상에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서로 직접 연결된 복수의 제 1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 2 감지 전극들;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사이,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절연막;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막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절연막의 콘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 2 감지 전극들에 연결된 연결 전극;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과 동일 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전극과 교차하며, 상기 제 1 감지 전극들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은 플로팅(floating) 전극인 표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의 단부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단부와 마주보는 표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은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그 다른 하나의 단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 형상을 가지며, 그 다른 하나의 단부는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과 상기 연결 전극의 마주보는 단부들이 요철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0180021158A 2018-02-22 2018-02-22 표시 장치 KR10263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58A KR102632179B1 (ko) 2018-02-22 2018-02-22 표시 장치
US16/268,577 US10761665B2 (en) 2018-02-22 2019-02-06 Display device
CN201910132489.0A CN110187788A (zh) 2018-02-22 2019-02-22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58A KR102632179B1 (ko) 2018-02-22 2018-02-22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17A true KR20190101517A (ko) 2019-09-02
KR102632179B1 KR102632179B1 (ko) 2024-02-01

Family

ID=6761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58A KR102632179B1 (ko) 2018-02-22 2018-02-2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61665B2 (ko)
KR (1) KR102632179B1 (ko)
CN (1) CN1101877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2958B2 (en) 2020-05-27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455067B2 (en) 2019-12-31 2022-09-27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US12004404B2 (en) 2022-03-15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500A (ko) 2019-01-02 2020-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US11216140B2 (en) 2019-04-16 2022-01-04 Elo Touch Solutions, Inc. PCAP touchscreens with varying ITO dicing patterns
CN112540691A (zh) * 2019-09-20 2021-03-2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触控结构
CN110989859B (zh) * 2019-11-19 2023-08-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111158516B (zh) * 2019-12-04 2021-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基板以及触控屏
KR20210070457A (ko) * 2019-12-04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WO2021146842A1 (zh) 2020-01-20 2021-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装置
US11226709B2 (en) * 2020-03-13 2022-01-1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substrate and touch screen
WO2021196082A1 (zh) * 2020-04-01 2021-10-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触控显示面板及电子装置
JP2023528704A (ja) 2020-04-01 2023-07-06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構造、タッチ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電子装置
WO2021196076A1 (zh) 2020-04-01 2021-10-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触控显示面板及电子装置
WO2021227390A1 (zh) 2020-05-15 2021-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显示装置
KR20220037014A (ko) * 2020-09-16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253427B (zh) 2020-09-21 2023-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及触控显示面板、电子装置
JP2024520966A (ja) * 2021-05-31 2024-05-28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20230124144A (ko) * 2022-02-17 2023-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676A (ja) * 2008-11-26 2010-06-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10065260A (ko) * 2009-12-09 201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77961A (ko) * 2014-12-24 2016-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83B1 (ko) 2011-12-16 2014-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3044B1 (ko) 2012-04-19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836232B1 (ko) 2013-10-22 2018-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376977B1 (ko) 2015-01-12 2022-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415044B1 (ko) 2015-12-11 2022-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표시 장치
KR102429122B1 (ko) * 2015-12-31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36878B1 (ko) * 2016-01-26 2023-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1650B1 (ko) * 2016-07-26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79025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349699B1 (ko) * 2017-05-31 2022-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676A (ja) * 2008-11-26 2010-06-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10065260A (ko) * 2009-12-09 201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77961A (ko) * 2014-12-24 2016-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5067B2 (en) 2019-12-31 2022-09-27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US11755167B2 (en) 2019-12-31 2023-09-12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US11402958B2 (en) 2020-05-27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2004404B2 (en) 2022-03-15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61665B2 (en) 2020-09-01
CN110187788A (zh) 2019-08-30
US20190258338A1 (en) 2019-08-22
KR102632179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179B1 (ko) 표시 장치
JP7023904B2 (ja) タッチセンサを含む表示装置
US20200034595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00333918A1 (en) Flexible touch display panel
EP2848990B1 (en) A liquid crystal lens grating having touch-control for a three dimensional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104793783B (zh) 触摸窗
CN101441538B (zh) 触控式装置的结构与触控式显示面板
KR10169161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9671638B2 (en) High-accuracy in-cell touch panel structure of narrow border
US11726624B2 (en) Touchscreen
CN103970335A (zh) 触摸屏面板
KR102232774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092106B2 (en) Touch panel
US11294519B2 (en) Touch panel
KR2014013177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7532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발광 표시장치
JP6131123B2 (ja)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KR101615056B1 (ko) 입력 장치
JP5871530B2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20220103080A (ko)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07019A1 (ja) 検出装置及び表示装置
TWM491878U (zh) 以透明感應電極連接金屬走線的觸控顯示結構
US10921916B2 (en) Display device
KR20140016624A (ko) 터치스크린 장치
JP6338548B2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