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218A -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 Google Patents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218A
KR20190101218A KR1020180021285A KR20180021285A KR20190101218A KR 20190101218 A KR20190101218 A KR 20190101218A KR 1020180021285 A KR1020180021285 A KR 1020180021285A KR 20180021285 A KR20180021285 A KR 20180021285A KR 20190101218 A KR20190101218 A KR 2019010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capacitance
parasitic capacitance
capacitive sens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958B1 (ko
Inventor
송청담
Original Assignee
송청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청담 filed Critical 송청담
Priority to KR102018002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5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05Safety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e.g. increasing reliability, fail-safe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 구조의 공간을 확장하지 않고도 센서부의 하부 측의 기생용량을 줄이는 정전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부의 면적을 확장하지 않고도 실드부와 센서부의 사이에 낮은 임피던스로 동일 위상의 신호를 인가하여 외관상 변화없이 기생용량을 줄일 수 있는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정전센서부와 실드 판 사이의 공간에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를 추가하고, 이 용량 캔슬 플레이트에 의해 기생용량을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량 캔슬 플레이트에는 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정전센서부와 검출콘덴서의 일단에 공통 접속되며,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는 Vcc로 접속되고, 상기 정전센서부의 상부에는 유전체가 부착된 것이다. 또한 트랜지스터 대신에 MOSFET를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센서부(11)와 실드 판(12) 사이에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를 부가하고, 용량 캔슬 플레이트(13)에 정전센서부와 동일 위상의 신호를 낮은 임피던스로 인가하여, 센서부의 면적을 확장하지 않고도 실드 판의 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생용량을 감소시켜 검출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의 상부에 유전체를 부착할 경우 상부의 유전체에 의해 검출 정전용량(Cd)이 증가하고,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CAPACITIVE SENSOR HAVING PARASITIC CAPACITANCE CANCEL CIRCUIT }
본 발명은 소자 구조의 공간을 확장하지 않고도 센서부의 하부 측의 기생용량을 줄이는 정전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드부와 센서부의 사이에 낮은 임피던스로 동일 위상의 신호를 인가하여 외관상 변화없이 기생용량을 줄일 수 있는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전용량변화를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하거나 압력이나 수위 혹은 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이 많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종래의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는 방법, 콘덴서의 충방전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 발진회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 센서는 센서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압력이나 물질 등의 물리적 입력신호가 없어도 일정 정전용량 값을 가지는 기생정전용량(parasitic capacitance)이 나타난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이나 접촉 수단이 접촉되면 제1 및 제2 센서 패턴층 및 금속 배선을 통하여 구동 회로 측으로 접촉 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접촉 위치를 검출한다. 그런데 복수의 센서 패드는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센서 패드 간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기생 정전용량이 존재할 수 밖에 없고, 기생 정전용량은 터치 발생 여부 검출에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B1)에 등록번호 10-1220936호로 공고된 "기생정전용량을 가지는 정전용량형 센서의 정전용량 측정회로"는 정전용량형 센서를 구비하여 센싱된 센싱 정전용량과 기생정전용량을 함께 출력하는 센싱부와, 보상용 커패시터와 반전증폭기를 구비하여 기생정전용량에 대응되는 보상 정전용량을 출력하는 보상부와, 센싱부의 출력신호와 보상부의 출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고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하 증폭부를 구비하여 기생정전용량을 가지는 정전용량형 센서의 경우에도 센싱의 어려움 없이 정확한 센싱이 가능하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B1)에 등록번호 10-1453026호로 공고된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는 복수 개의 센서 패드 중 터치 여부 검출 대상이 되는 특정 센서 패드와 인접한 다른 센서 패드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시키는 감쇄부를 포함하되, 감쇄부는 특정 센서 패드의 검출 시기에 특정 센서 패드의 출력단 전압을 특정 센서 패드의 신호 배선과 인접한 신호 배선을 가진 다른 센서 패드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정전 용량 센서는 센싱부와 실드부의 구조나 재료의 오차로 인한 기생용량의 편차를 감안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센서부와 실드판 사이의 거리가 짧아 유전율을 떨어뜨릴 수 없고, 이에 따라 기생 용량에 대한 실드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센서부의 면적을 확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나 재료의 오차로 인한 기생용량의 편차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센싱부의 일률적인 제조가 필요하지만, 이 경우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드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센싱부의 면적을 확장하는 것은 소형화 추세에 역행하는 단점이 있다.
KR 10-1453026 B1 KR 10-1220936 B1
일반적으로 정전센서에서 원치 않는 후면의 정전용량 검출을 차폐하기 위해서 센서부의 후면으로 도전성 재질의 실드(shield) 판을 사용하는데, 구조적으로 실드 판과 센서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 유전율을 낮출 수 없어 기생용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실드 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센서부의 면적을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센서부와 실드 판 사이의 공간을 넓히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소형화를 요구하는 현재의 소자 기술 추세에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부 소자 구조의 공간을 확장하지 않으면서도 센서부와 실드 판 사이에 센서부와 동일 위상의 신호를 낮은 임피던스로 인가하여 외관상 변화없이 기생용량을 줄일 수 있는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정전센서부와 실드 판 사이의 공간에 도전성 재질의 용량 캔슬(cancel) 플레이트를 추가하고, 이 용량 캔슬 플레이트에 의해 기생용량을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량 캔슬 플레이트에는 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정전센서부와 검출콘덴서의 일단에 공통 접속되며,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는 Vcc로 접속되고, 상기 정전센서부의 상부에는 유전체가 부착된 것이다.
또한 트랜지스터 대신에 MOSFET를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센서부와 실드 판 사이에 도전성 재질의 용량 캔슬 플레이트를 부가하고, 용량 캔슬 플레이트에 정전센서부와 동일 위상의 신호를 낮은 임피던스로 인가하여 실드 판의 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생용량을 감소시켜 검출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의 상부에 유전체를 부착할 경우 상부의 유전체에 의해 검출 정전용량(Cd)이 증가하고,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센서회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유전체를 부가한 경우의 등가 회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센서회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유전체를 부가한 경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정전센서부(11)와 도전성 재질의 실드 판(12) 사이의 거리와 실드 판(12)의 크기와 유전체(15)에 의해 용량(Cx)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센서부(11)와 실드 판(12) 사이에 도전성 재질의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를 부가하여 센서부의 하부측 용량(Ca)을 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전센서부(11)와 용량 캔슬 플레이트(13) 사이에 등가 용량(Ca)이 형성되고, 용량 캔슬 플레이트(13)와 실드 판(12) 사이에 등가 용량(Cx)이 형성된다.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는 NPN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측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정전센서부(11)와 검출콘덴서(C1)의 일단에 공통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랙터는 Vcc로 접속되어 있다.
검출콘덴서(C1)의 일단은 접지(GND)로 접속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정전류원(21)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 공통 접속점에 정전센서부(11)의 감지전극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콘덴서(C1)의 양단에는 병렬로 제2 스위치(SW2)가 접속되어 있다.
기준콘덴서(C1)의 일단은 접지(GND)로 접속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정전류원(22)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기준콘덴서(C1)의 양단에는 병렬로 제1 스위치(SW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센서부(11)의 상부에 유전체(14)를 부착할 경우, 검출 측의 정전용량(Cd)이 증가되어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센서는 정전센서부(11)의 하단과 마주하는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를 두고, 다시 그 용량 캔슬 플레이트(13)에 센서와 동일 위상의 신호를 인가하여 기생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는 예를 들어 임피던스가 낮은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정전센서부(11)의 하부 용량(Ca)이 작아지고, 상부의 검출용량(Cd)이 주체가 되기 때문에 검출감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정전센서의 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트랜지스터를 MOFET로 바꾸어도 동일한 개선을 얻을 수 있다.
11: 정전센서부 12: 실드 판
13: 용량 캔슬 플레이트 14,15: 유전체
21,22: 정전류원 C1: 검출콘덴서
C2: 기준콘덴서 SW1,SW2: 스위치
Q1: 트랜지스터 R1: 임피던스

Claims (4)

  1. 정전센서부(11)와 실드 판(12) 사이에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를 부가하고, 상기 용량 캔슬 플레이트(13)에 정전센서부와 동일 위상의 신호를 낮은 임피던스를 통해 인가하여 기생용량을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생용량 제거회로는
    용량 캔슬 플레이트(13)가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측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정전센서부와 검출콘덴서의 일단에 공통 접속되며, 트랜지스터의 콜랙터는 Vcc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캔슬 플레이트(13)는
    도전성의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센서부의 상부에는 유전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KR1020180021285A 2018-02-22 2018-02-22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KR10202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85A KR102022958B1 (ko) 2018-02-22 2018-02-22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85A KR102022958B1 (ko) 2018-02-22 2018-02-22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218A true KR20190101218A (ko) 2019-08-30
KR102022958B1 KR102022958B1 (ko) 2019-09-19

Family

ID=6777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285A KR102022958B1 (ko) 2018-02-22 2018-02-22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97A1 (ko) * 2019-11-18 2021-05-27 송청담 센서용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검출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609A (ja) * 1999-09-30 2001-04-13 Pentel Corp 寄生信号除去式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4511924A (ja) * 2000-02-23 2004-04-15 フアエ アイゼンバーン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誘導近接センサの故障確率の監視および予測のための装置
JP2008157920A (ja) * 2006-11-29 2008-07-10 Aisin Seiki Co Ltd 静電容量検出装置
KR20080114724A (ko) * 2006-02-10 2008-12-31 밀리켄 앤드 캄파니 가요성 용량성 센싱 그리드 및 가요성 용량성 센서
JP4578980B2 (ja) * 2002-12-25 2010-11-10 株式会社エーシーティー・エルエスアイ 静電容量検出型近接センサ
KR101220936B1 (ko) 2011-06-27 2013-02-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생정전용량을 가지는 정전용량형 센서의 정전용량 측정회로
KR101453026B1 (ko) 2012-06-04 2014-11-03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
KR101795530B1 (ko) * 2009-12-11 2017-11-10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저머니 게엠베하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손으로 움켜잡음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609A (ja) * 1999-09-30 2001-04-13 Pentel Corp 寄生信号除去式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4511924A (ja) * 2000-02-23 2004-04-15 フアエ アイゼンバーン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誘導近接センサの故障確率の監視および予測のための装置
JP4578980B2 (ja) * 2002-12-25 2010-11-10 株式会社エーシーティー・エルエスアイ 静電容量検出型近接センサ
KR20080114724A (ko) * 2006-02-10 2008-12-31 밀리켄 앤드 캄파니 가요성 용량성 센싱 그리드 및 가요성 용량성 센서
JP2008157920A (ja) * 2006-11-29 2008-07-10 Aisin Seiki Co Ltd 静電容量検出装置
KR101795530B1 (ko) * 2009-12-11 2017-11-10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저머니 게엠베하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손으로 움켜잡음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220936B1 (ko) 2011-06-27 2013-02-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생정전용량을 가지는 정전용량형 센서의 정전용량 측정회로
KR101453026B1 (ko) 2012-06-04 2014-11-03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기생 정전용량을 감쇄하는 터치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97A1 (ko) * 2019-11-18 2021-05-27 송청담 센서용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958B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5038B2 (en) Detection of a conductive object during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a touch-sensing device
JP5340421B2 (ja) 静電容量式近接セン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353133B1 (ko) 정전용량형 센서, 정전용량형 센서부품 및 물체탑재체와그 장치
JP6632163B2 (ja) 指紋センサ用の信号処理回路及び方法
US8269118B2 (en) Touch panel
JPWO2009044920A1 (ja)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および近接検知方法
US2019000463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apacitive sensor
JP4198306B2 (ja) 静電容量型センサ、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液晶表示素子製造装置
TW201111759A (en) Force sensor with compressible electrode
US7755614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and motion detection method
KR102022958B1 (ko) 기생용량 제거회로를 포함한 정전센서
JP5315529B2 (ja)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近接検知方法および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の電極構造
US20090051656A1 (en) Capacitance/voltage converting circuit,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electronic device, and capacitance/voltage converting method
JP7170150B2 (ja) 静電容量検出装置及び静電容量検出方法
TWI503757B (zh) 指紋感測器
JP2001035327A (ja)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
US11698697B2 (en) Multichannel capacitive sensor device
JP4872989B2 (ja) 静電容量型センサ部品、物体搭載体、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液晶表示素子製造装置
JPS6074014A (ja) 座標検出パネルの駆動装置
US10121046B2 (en) Dermatoglyph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identifying method thereof
US20230349730A1 (en) Capacitive sensor device with drift compensation
WO2022087974A1 (zh) 电容检测电路、触控芯片和电容检测电路的参数调整方法
WO2017079912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TWI414148B (zh) 物體近接偵測器及物體位置偵測器
CN112000249A (zh) 电容检测电路、触控芯片和电容检测电路的参数调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