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574A - 방향 표시용 러버콘 - Google Patents

방향 표시용 러버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574A
KR20190100574A KR1020180020279A KR20180020279A KR20190100574A KR 20190100574 A KR20190100574 A KR 20190100574A KR 1020180020279 A KR1020180020279 A KR 1020180020279A KR 20180020279 A KR20180020279 A KR 20180020279A KR 20190100574 A KR20190100574 A KR 20190100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ne
rubber
con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574A/ko
Publication of KR2019010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진행을 유도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도로에 임시로 설치하는 러버 콘(Rubber cone)에 관한 것으로, 러버 콘의 전도를 방지하는 한편 러버 콘의 측면으로 방향 유도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러버 콘에서 불빛으로 유도하는 방향 표시용 러버 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러버 콘에 있어서, 몸체의 측면으로 < 또는 >자 형태의 방향표시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표시판을 결합시키되 측방향으로 2-3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러버 콘의 상측에는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착탈시키게 하는 한편 스위치가 구비된 콘트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러버 콘의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판의 저면에는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판을 내삽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향 표시용 러버 콘{Rubber cone for indication}
본 발명은 차량 진행을 유도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도로에 임시로 설치하는 러버 콘(Rubber cone)에 관한 것으로, 러버 콘의 전도를 방지하는 한편 러버 콘의 측면으로 방향 유도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러버 콘에서 불빛으로 유도하는 방향 표시용 러버 콘에 관한 것이다.
공사 현장이나 도로에는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유도하거나 보행자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러버 콘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진입을 방지하거나 진행 방향을 유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러버 콘은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를 위한 원인이 제거된 후에는 간단히 회수한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재사용하게 되고, 운반과 이동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쉬우면서 제작비용이 적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러버 콘(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되는 고무 재질의 몸체(2)를 구비하고, 몸체(2)의 외측에는 사선으로 노랑과 검정색의 표시부(3)를 다단으로 표시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한편 경고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있으나, 기존의 러버콘(1)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만 되어 있을 뿐이어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것인지 방향을 확인할 수 없음은 물론 야간에는 시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부에 전등을 밝히거나 러버 콘의 상부에 전등을 별도로 설치하거나 러버 콘을 잇는 전선을 설치한 후 여러 개의 전등을 매달아 주고 있다.
이러한 러버 콘은 내장된 전등이나 꼿아주는 전등을 이용하여 야간에 불을 밝힘으로써 시인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진행 방향을 표시해주지 못하여 정확한 방향으로의 유도에 한계가 있고, 도로에 설치된 경우에는 차량이 지나가는 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쉽게 쓰러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문헌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42755호(2001.08.02. 등록) [문헌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42768호(2001.08.02. 등록) [문헌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41854호(2008.09.05. 등록)
본 발명은 도로나 공사현장에 임시로 설치되어 진입 규제나 안내 유도를 하게되는 러버 콘을 전등을 밝혀 야간 시인을 높이기는 하지만 진행 방향을 확인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차량이 일으키는 바람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러버 콘의 저면으로 도로에 밀착되는 부드러운 고무 재질의 밀착판을 고정하여 아스팔트에 밀착이 이루어져 넘어짐을 방지하는 한편 러버 콘의 측면으로 방향 표시가 이루어진 표시판을 설치하여 방향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진행 방향이 순차적으로 점멸되게 하면서 방향표시 방향은 전후면이 모두 동일 방향을 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러버 콘에 있어서, 몸체의 측면으로 < 또는 >자 형태의 방향표시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표시판을 결합시키되 측방향으로 2-3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러버 콘의 상측에는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착탈시키게 하는 한편 스위치가 구비된 콘트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러버 콘의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판의 저면에는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판을 내삽시켜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러버 콘을 바닥에 놓으면 밀착판이 바닥과 밀착되어 러버 콘이 차량이 일으키는 바람에 의하여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표시판의 방향표시는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으로 진행 방향을 표시시키되 방향 표시는 진행 방향으로 순차적인 점멸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러버 콘의 몸체 측면으로 결합되는 표시판에는 < 또는 > 형태의 방향표시를 발광다이오드로 하되 한쪽으로 2-3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방향표시는 진행 방향으로 순차적인 점멸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러버 콘의 전후면에는 동일 방향으로 방향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표시판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방향표시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구성과 건전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작동을 선택하는 구성 등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착판은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로 제작되는 것으로, 러버 콘의 바닥판 저면에 결합홈을 형성한 후 상기 결합홈에 밀착판을 끼운 다음 나사 등을 이용하여 빠지지 않게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밀착판은 부드러움으로 인하여 아스팔트나 시멘트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하여 러버 콘이 쓰러지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본 발명은 러버 콘의 전후면에 방향표시가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 표시판을 결합시킨 후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방향 표시의 순차적인 점등으로 주행이나 진행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야간에도 시인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러버 콘의 전후면으로 동일 방향의 방향 표시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러버 콘을 위치 이동시키더라도 동일 방향으로 방향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한편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저면으로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밀착판을 고정시킴으로써 러버 콘이 차량이 진행할 때 일으키는 바람에 의하여 쓰러지지 않고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러버 콘 사시도
도 2는 기존 러버 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러버 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러버 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러버 콘 일부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러버 콘을 도로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러버 콘을 이동시키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러버 콘으로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의 평면도
본 발명은 러버 콘에 관한 것으로, 러버 콘의 전후면에 표시판을 측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결합시키되 상기 표시판에는 < 또는 > 형태의 방향표시가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러버콘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판에는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밀착판이 끼워져 고정되게 함으로써, 러버 콘을 설치할 때 바닥에 밀착판이 밀착되면서 세워지기 때문에 러버 콘이 쓰러지는 경우를 없애게 되고, 또한, 방향표시가 순착적으로 점멸되면서 방향을 지시하기 때문에 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한편 진행이나 주행 방향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방향표시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표시판을 러버 콘의 측면에 고정시키되 표시판의 돌출되지 않고도 받침턱에 의해 표시판이 받쳐지게 한 후 표시판과 받침턱을 나사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표시판은 러버 콘의 전후면에 측방향으로 2-3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방향 표시는 진행 방향에 따라 순차적인 점멸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차량이나 보행자의 진행 방향을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향표시는 러버 콘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하되 동일 방향을 향하게 설치함으로서, 진행 방향이 같을 때 좌우로 이동시켜 설치하여도 동일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밀착판은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로 제작되는 것으로, 바닥판에 형성된 결합홈에 밀착판을 끼우되 상기 밀착판이 바닥판의 저면으로 일부 돌출되게 함으로써 러버 콘을 바닥에 놓았을 때 밀착판이 바닥에 밀착되면서 러버 콘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측으로 바닥판(1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체(12)가 원뿔 형태를 갖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러버 콘(10)에 방향표시(31)가 형성된 표시판(30)과 바닥 밀착을 위한 밀착판(20)을 설치함으로써, 야간 시인성을 높이는 동시에 주행이나 이동 방향의 확인이 용이하고, 바람에 의해서는 밀착판(20)의 밀착으로 러버 콘(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러버 콘(10)은 몸체(12)의 측면으로 공간(13)을 형성하여 표시판(30)이 돌출되지 않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표시판(30)은 몸체(12)에 형성된 받침턱(14)에 받쳐지도록 하고, 상기 표시판(30)에는 < 또는 >자 형태의 방향표시(31)를 발광다이오드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몸체(12)에는 공간(13)을 형성하되 상기 공간(13)의 외측으로 받침턱(14)을 형성하여 표시판(30)이 받침턱(14)에 받쳐져 나사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판(30)은 받침턱(14)과 나사 등을 이용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러한 표시판(30)은 전면과 후면에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2-3개를 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러버 콘(10)을 정면에서 보거나 배면에서 볼 때 2-3개의 방향표시(31)가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방향표시(31)는 전후면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방향으로만 형성되게 함으로써, 러버 콘(10)의 위치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보행 방향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표시판(30)의 발광다이오드에는 건전지 전원이 공급되는 한편 콘트롤러에 의해 공급주기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러버 콘(10)의 상측을 막아준 상태로 건전지를 착탈시키거나 스위치를 설치하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발광다이오드에 건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과 발광다이오드의 점멸 및 순차 점등은 당 업계의 주지 관용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건전지를 끼우고,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이 표시판(30)의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어 방향표시(31)가 점등하게 되고, 콘트롤러에서는 상기 방향표시(31)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방향표시(31)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방향표시(31)가 >의 형상을 갖고 3개의 방향표시(31)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가장 좌측의 방향표시가 점멸된 후 중간의 방향표시가 점멸되고, 가장 우측의 방향표시가 점멸하게 되는 등 순차적인 점멸로 방향표시(31)에 의한 주행방향이나 진행 방향의 인식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러버 콘(10)의 전후면에 각각 표시판(30)을 설치하여 방향표시(31)가 형성되게 하되 전후면의 방향표시(31)는 동일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도 6과 같이 차량이 이동할 때 진행 방향을 표시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러버 콘(10)을 수평 이동시켜 도 8과 같이 차량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때에도 러버 콘(10)에 표시된 방향표시(31)가 정확한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러버 콘(10)의 하측에 넓게 형성되는 바닥판(11)에는 저면 쪽으로 결합홈(21)을 형성한 후 상기 결합홈(21)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지는 밀착판(20)을 끼운 후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상기 밀착판(20)은 바닥판(11)보다 저면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러버 콘(10)이 놓일 때 밀착판(20)이 바닥에 밀착되면서 놓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밀착판(20)은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에 놓였을 때 바닥에 밀착된 채로 러버 콘(10)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바닥판(11)이 바닥에 닿을 때보다 고정력이 높아서 차량이 지나갈 때의 바람에도 러버 콘(10)이 쓰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러버 콘(10)은 어디에 세워 놓더라도 바닥이 단단한 상태에서는 밀착판(20)이 바닥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서 러버 콘(10)이 쓰러지지 않고, 또한, 방향표시(31)를 이용한 주행이나 진행 방향의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야간에 헷갈리지 않고 진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전후면으로 동일 방향을 가르키는 방향표시(31)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러버 콘(10)의 위치를 이동시켜 진행 방향을 바뀌어도 방향표시(31)에 의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10 : 러버 콘 11 : 바닥판
12 : 몸체 13 : 공간
14 : 받침턱 20 : 밀착판
21 : 결합홈 30 : 표시판
31 : 방향표시

Claims (2)

  1. 러버 콘(10)의 몸체(12) 측면으로 < 또는 >자 형태를 갖는 방향표시(31)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표시판(30)을 결합시키되 측방향으로 2-3개를 연속하여 결합하고,
    상기 러버 콘(10)의 상측에는 방향표시(31)의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착탈시키는 한편 스위치가 구비되고 방향표시(31)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콘트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러버 콘(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바닥판(11)의 저면에는 결합홈(21)을 형성시켜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밀착판(20)이 내삽되게 고정시키되 상기 밀착판(20)은 바닥판(11)보다 저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표시용 러버 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판(31)은 러버 콘(10)의 몸체(12)에 형성된 공간(13)에 끼워져 받침턱(14)에 받쳐진 채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표시판(30)에는 < 또는 > 형태의 방향표시(31)를 발광다이오드로 형성하되 한쪽으로 2-3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방향표시(31)는 러버 콘(10)의 전후면에 동일 방향을 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표시용 러버 콘.
KR1020180020279A 2018-02-21 2018-02-21 방향 표시용 러버콘 KR20190100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279A KR20190100574A (ko) 2018-02-21 2018-02-21 방향 표시용 러버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279A KR20190100574A (ko) 2018-02-21 2018-02-21 방향 표시용 러버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574A true KR20190100574A (ko) 2019-08-29

Family

ID=6777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279A KR20190100574A (ko) 2018-02-21 2018-02-21 방향 표시용 러버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5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5703A (zh) * 2020-12-15 2021-03-30 浙江师范大学 一种防止交通锥在强风时倾倒影响车辆行驶的环保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55Y1 (ko) 2001-02-09 2001-09-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라바콘
KR200242768Y1 (ko) 2001-02-27 2001-09-28 최선용 오뚜기 라바콘
KR200441854Y1 (ko) 2007-06-13 2008-09-11 조형래 전도방지용 라바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55Y1 (ko) 2001-02-09 2001-09-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라바콘
KR200242768Y1 (ko) 2001-02-27 2001-09-28 최선용 오뚜기 라바콘
KR200441854Y1 (ko) 2007-06-13 2008-09-11 조형래 전도방지용 라바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5703A (zh) * 2020-12-15 2021-03-30 浙江师范大学 一种防止交通锥在强风时倾倒影响车辆行驶的环保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672Y1 (ko) 도로표지판 장치
KR100939477B1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JP2012062718A (ja) 有機el照明を用いた横断歩道
KR20190100574A (ko) 방향 표시용 러버콘
KR200416774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KR100995337B1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200425808Y1 (ko) 다기능복합신호등
KR20130128831A (ko)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50075737A (ko) 신호식별이 용이한 신호등
JP2019090176A (ja) 路面案内灯装置
KR101489438B1 (ko) 표지판을 이용한 교차로의 스마트 제어 시스템
KR102045758B1 (ko) 광섬유 신호장치
JP3185192U (ja) 横断表示装置
KR200373641Y1 (ko) 횡단보도 정지선 조명설비장치
KR200397503Y1 (ko) 차량용 사인보드
KR100939536B1 (ko) 차선 표시구
KR200379180Y1 (ko) 스탠드형 도로용 표지판
KR200352005Y1 (ko) 횡단보도 표시 및 보행자 안전 유도등
KR102575783B1 (ko) 차량 사인 유도등
CN215164865U (zh) 一种地面交通标线发光指示装置
CN209412724U (zh) 针对夜间驾驶条件的改进的运料道路引导装置
JP6101413B2 (ja) 道路標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