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877A - 뇌실포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뇌실포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877A
KR20190099877A KR1020180019900A KR20180019900A KR20190099877A KR 20190099877 A KR20190099877 A KR 20190099877A KR 1020180019900 A KR1020180019900 A KR 1020180019900A KR 20180019900 A KR20180019900 A KR 20180019900A KR 20190099877 A KR20190099877 A KR 2019009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assembly
ventricular port
drug
guide
ventri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996B1 (ko
Inventor
송인금
송준호
송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1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996B1/ko
Priority to PCT/KR2018/002228 priority patent/WO2019164033A1/ko
Publication of KR2019009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7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im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7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implantation
    • A61M2005/1428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implantation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2039/0205Access sites for injecting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bones or teeth, e.g. through the sku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61Means for anchoring port to the body, or ports having a special shape or being made of a specific material to allow easy implantation/integration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having a particular valve, seal or sept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8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protectors, caps or cov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87Skull, cran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두개골에 이식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약물을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뇌실포트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두개골에 장착되어 체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뇌실포트 조립체로서, 상기 약물을 주사하기 위한 니들이 삽입되는 멤브레인 부재; 상기 멤브레인 부재의 상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상부 본체; 상기 맴브레인 부재가 수용하되고 상기 상부 본체와 끼워맞춤되는 상단부와, 상기 니들에서 주사된 상기 약물이 임시 저장되는 약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약물 저장부에 연통된 배출관이 구비된 하단부로 이루어진 하부 본체; 및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외부를 덮은 형태로 장착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리브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뇌실포트 조립체{Ventricular Port Assembly}
본 발명은 뇌실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골에 이식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약물을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뇌실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는, 오랜 기간 동안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약물 투여가 상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한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는 환자의 신체 내부에 이식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약물을 약물배출관을 통해 원하는 부위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장시간에 걸쳐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약물 투여가 상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환자로는 예를 들어 암환자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암환자는 치료를 위한 항암제의 주기적 투여 이외에도 전체 암환자의 절반 정도는 통증을 줄이기 위한 진통제의 투여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암환자 또는 여타의 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필수적인 질병을 앓고 있는 중증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이며,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감염이나 오염의 가능성이 적고 환자가 큰 불편 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는 주로 약물배출관을 통해 동맥 혹은 정맥에 직접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주입 받은 약물을 혈관 내부로 직접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그 외에 암환자, 특히 뇌종양 환자의 항암 약물 치료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는 뇌종양 환자의 항암 약물 치료를 위해 환자의 머리에 시술 시 두개골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술이 복잡하고 시술 후 이식부 돌출이 외형적으로 두드러지게 드러나게 되어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뇌실질 또는 뇌실 내 약물 주입을 위한 기술(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522982호)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저장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두피 하에서의 촉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상반구의 막(membrane)의 재질이 약하여 반복적인 약물 주입시 두피 밑으로 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13-150812호(공개일: 2013.8.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두개골에 이식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약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뇌실포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환자의 두개골에 장착되어 체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뇌실포트 조립체로서, 상기 약물을 주사기하기 위한 니들이 삽입되는 멤브레인 부재; 상기 멤브레인 부재의 상면 테두리를 지지하는 상부 본체; 상기 맴브레인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상부 본체와 끼워맞춤되는 상단부와, 상기 니들에서 주사된 상기 약물이 임시 저장되는 약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약물 저장부에서 연통된 배출관이 하방으로 형성된 하단부로 이루어진 하부 본체; 및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외부를 덮은 형태로 장착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리브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뇌실 포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의 하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두개골 내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배출관의 연결부분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상기 고정리브 상에는 스타일렛의 도입을 위한 가이드 부재가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하방으로 상기 안착공에 삽입되는 고정포스트가 형성된 가이드 베이스, 상기 가이드 베이스의 중앙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스타일렛이 도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다수의 파지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파지단은 상기 기둥부의 수직방향에 대해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관에는 보호캡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캡의 중간영역에는 파지를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의 바닥에는 일정면적의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자가 용이하게 뇌실포트를 두개골에 이식할 수 있으며, 맴브레인 부재를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 조립체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사용에 따른 약물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타일렛을 도입하는 경우 가이드 부재를 통해 직진도를 확보할 수 있어 시술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에 보호 캡이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에 보호 캡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에 스타일렛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의 약물 주입이 수직방향일 경우의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의 약물 주입이 사선 방향일 경우의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가이드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실포트 조립체의 뇌실 포트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뇌실 포트는 케이싱(10), 멤브레인 부재(20), 상부 본체(30), 하부 본체(4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부 본체(30)와 하부 본체(40)는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본체(30)는 상단이 직각으로 구부려진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 본체(30)의 구부려진 상단은 멤브레인 부재(2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 본체(30)는 멤브레인 부재(20)가 뇌실 포트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하부 본체(40)는 상부로는 상부 본체(30)가 끼워맞춤되는 상단부(40b)와 이 상단부(40b)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내부에 약물 저장부(16)가 형성된 하단부(40a)로 구성된다. 하부 본체(40)도 상부 본체(30)와 같이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본체(40)의 상단부(40b)의 외주면에는 체결돌기(44)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본체(30)에는 이 체결돌기(44)와 대응되는 체결홈(34)이 형성되어 이들 체결돌기(44)와 체결홈(34)이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상부 본체(30)와 하부 본체(40)가 서로 체결된다.
한편 하부 본체(40)의 상단부(40b)의 내부에는 멤브레인 부재(20)가 수용된다. 또한 하부 본체(40)의 하단부(40a)에는 일정 공간의 약물 저장부(16)가 형성된다. 이때 약물 저장부(16)의 하부로는 배출관(41)이 연통되고, 배출관(41)의 내부에는 약물 저장부(16)로 부터 약물을 배출하도록 배출유로(41h)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유로(41h)의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홈(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홈(43)은 스타일렛의 도입시 안내홈(43)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배출유로(41h)로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케이싱(10)은 상부 본체(30)와 하부 본체(40)의 외부 대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이나 폴리술(polysulfone), 에폭시(epoxy)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고정리브(11)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리브(11)는 다수의 가이드 안착공(15a,15b,15c)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안착공(15a,15b,15c)은 스타일렛의 도입시 직진도를 확보하는 가이드 부재(60; 도 7)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에서는 가이드 장착공(15a,15b,15c)이 3개소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하부측에는 다수개의 장착탭(12)이 형성된다. 이 장착탭(12)은 두개골에 뇌실포트를 장착할 때 고정을 위한 고정요소로서 기능한다. 즉 두개골 천공시에 이 케이싱(10)의 장착탭(12)에 대응되는 형태로 천공하여 뇌실포트를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피 아래의 조직에 스트랩(strap)이나 의료용 금속 스크류를 통해 고정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뇌실포트를 두개골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뇌실포트의 하부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캡(50)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보관중에 뇌실포트의 배출관(4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리콘 재질의 보호캡(50)이 배출관(41)에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캡(5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관(41)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장착영역(52)이 형성되고, 이 장착영역(52)이 배출관(41)이 끼워지게 되어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보호캡(50)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파지부(51)가 형성되고, 보호캡(50)의 하부면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평탄면(53)이 형성된다. 이 평탄면(53)은 뇌실포트의 저장이나 보관시 세워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해 세워지기 충분한 크기로 평탄면(5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캡(50)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고무나 다른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뇌실 포트(100)에는 스타일렛(70; stylet)이 삽입된다. 이때 스타일렛(70)는 수직방향으로 직진도를 갖도록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타일렛(70)의 수직방향 삽입을 위해 뇌실 포트(100) 상에는 가이드 부재(6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60)는 가이드 베이스(63) 상에 파지부(61)가 형성되고, 가이드 베이스(63)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고정 포스트(62a,62b,62c)가 형성된다. 이 고정 포스트(62a,62b,62c)들은 뇌실 포트(100)의 가이드 안착공(15a,15b,15c; 도 4 참조)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고정 포스트(62a,62b,62c)은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어 가이드 안착공(15a,15b,15c)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강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가이드 부재(6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이드 부재(60)는 가이드 베이스(63)를 기준으로 상부로는 일정높이로 기둥부(61a)가 형성되고 가이드 베이스(63)의 하부에는 다수의 고정 포스트(62a,62b,62c)가 형성된다. 이때 기둥부(61a)에는 일정간격마다 파지단(61b)이 형성되는데, 이 파지단(61b)은 도 11과 같이 중김으로 갈수록 그 폭(길이)가 좁아져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손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둥부(61a)의 상단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도입영역(64)이 형성된다. 이때 도입영역(64)은 둘레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렛(70)의 삽입시 용이하게 중앙의 가이드공(65)으로 유되되어 삽입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니들(200)의 투입각도에 따른 약물의 유속 및 유체흐름을 가상한 시물레이션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뇌실 포트(100)는 니들(200)이 멤브레인 부재(20)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약물의 유류흐름의 원활도가 다르게 된다. 즉 도 8과 같이 니들(200)이 수직으로 멤브레인 부재(20)에 주사된 경우에는 약물은 약물 저장부(16)를 통해 원활하게 투입되어 배출관(14)을 통해 투여가 가능하다.
반면, 도 9와 같이 니들(200)이 경사진 상태로 주사된 경우에는 약물의 흐름시에는 와류가 발생하여 유속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200)을 멤브레인 부재(20)의 수직방향으로 꽂는 것이 약물 투입에 대한 충분한 유속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뇌실 포트는 별도의 의료용 나사나 스트랩 없이 시술자가 용이하게 두개골에 장착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부재(20)를 상부 본체(30)와 하부 본체(40)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에도 약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타일렛(70)의 사용시에 뇌실 포트(100)에 가이드 부재(60)를 설치하여 직진도를 확보할 수 있어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뇌실 포트(100)의 보관시 이물질이 배출관(41)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캡(50)을 배출관(41)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싱
12: 장착탭
15a,15b,15c: 가이드 안착공
20: 멤브레인
30: 상부 본체
40: 하부 본체
50: 보호캡
60: 가이드 부재
61: 파지부
61a: 기둥부
61b: 파지단
62a,62b, 62c: 고정 포스트
63: 가이드 베이스
65: 가이드공
70: 스타일렛
100: 뇌실 포트
200: 니들

Claims (8)

  1. 환자의 두개골에 장착되어 체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뇌실포트 조립체로서,
    상기 약물을 주사하기 위한 니들이 삽입되는 멤브레인 부재;
    상기 멤브레인 부재의 상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상부 본체;
    상기 맴브레인 부재가 수용하되고 상기 상부 본체와 끼워맞춤되는 상단부와, 상기 니들에서 주사된 상기 약물이 임시 저장되는 약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약물 저장부에 연통된 배출관이 구비된 하단부로 이루어진 하부 본체; 및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외부를 덮은 형태로 장착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리브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두개골의 내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배출관의 연결부분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고정리브 상에는 스타일렛(stylet)의 도입을 위한 가이드 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하방으로 상기 가이드 안착공에 삽입되는 고정포스트가 형성된 가이드 베이스,
    상기 가이드 베이스의 중앙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스타일렛이 도입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파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지단은 상기 기둥부의 수직방향에 대해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관에는 보호캡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캡의 중간영역에는 파지를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의 바닥은 일정면적의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실 포트 조립체.
KR1020180019900A 2018-02-20 2018-02-20 뇌실포트 조립체 KR10250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00A KR102501996B1 (ko) 2018-02-20 2018-02-20 뇌실포트 조립체
PCT/KR2018/002228 WO2019164033A1 (ko) 2018-02-20 2018-02-23 뇌실포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00A KR102501996B1 (ko) 2018-02-20 2018-02-20 뇌실포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77A true KR20190099877A (ko) 2019-08-28
KR102501996B1 KR102501996B1 (ko) 2023-02-22

Family

ID=6768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00A KR102501996B1 (ko) 2018-02-20 2018-02-20 뇌실포트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1996B1 (ko)
WO (1) WO2019164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7075A1 (en) * 2019-12-05 2023-11-02 Amgen Inc. Flow restrictor for drug deliver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95A (ko) * 2009-06-29 2011-01-06 국립암센터 약물 주입 포트
KR20140137308A (ko) * 2013-05-22 2014-12-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뇌내 약물 주입장치와 뇌내 약물 주입장치 설치용 조립체, 그리고 뇌질환 치료 약물의 뇌내 투여방법
KR20170072015A (ko) * 2015-12-16 2017-06-26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이식형 약물 주입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2182B1 (en) * 1998-09-03 2002-11-19 Surgical Navigation Technologies, Inc. Anchoring system for a brain lead
KR101405610B1 (ko) * 2013-10-08 2014-06-13 국립암센터 두개골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
KR20160096405A (ko) * 2015-02-05 2016-08-16 김주영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95A (ko) * 2009-06-29 2011-01-06 국립암센터 약물 주입 포트
KR20140137308A (ko) * 2013-05-22 2014-12-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뇌내 약물 주입장치와 뇌내 약물 주입장치 설치용 조립체, 그리고 뇌질환 치료 약물의 뇌내 투여방법
KR20170072015A (ko) * 2015-12-16 2017-06-26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이식형 약물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4033A1 (ko) 2019-08-29
KR102501996B1 (ko)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526B1 (ko) 약물 주입 포트
JP3531069B2 (ja) 薬剤ポンプ及び皮下埋設した装置の隔膜へのアクセス限定装置
ES2832513T3 (es) Aparato neurológico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acceso percutáneo
US20050027234A1 (en) Surgical implant and method of accessing cerebrospinal fluid
US8197447B2 (en) Flexible IV site protector
ES2387446T3 (es) Cabezal de aguja de pluma que tiene el área de contacto aumentada
JP4573830B2 (ja) 患者の身体へのカテーテルの固定用装置
KR101405610B1 (ko) 두개골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
JP2010540201A (ja) 脳神経外科手術用キャップ
US20120095440A1 (en) Injection port system for intra-marrow injection/infusion
KR20190049183A (ko) 뇌내 약물 주입 장치 및 뇌내 약물 주입 방법
KR102501996B1 (ko) 뇌실포트 조립체
KR101587015B1 (ko) 카테터 고정구
WO2006007629A1 (en) Vertical cannula
US92781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nvection-enhanced delivery device
US11504516B2 (en) Port catheter
KR102099511B1 (ko) 피부고정형 피하주사액 주입키트
KR102248722B1 (ko) 나사산을 이용한 체결 구조를 가진 뇌실 내 약물 주입 장치
CN2482424Y (zh) 埋入式腹腔给药装置
CN219645838U (zh) 一种磁性定位腹腔化疗装置
US20130103006A1 (en) Mesh protection system
JP2908503B2 (ja) 薬液注入ポート
RU2463087C2 (ru) Инъекционная площадка для впрыскива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EP0424387B1 (en) Intramedullary catheter
US20170000996A1 (en) Brain Por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