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015A - 이식형 약물 주입기 - Google Patents

이식형 약물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015A
KR20170072015A KR1020150180332A KR20150180332A KR20170072015A KR 20170072015 A KR20170072015 A KR 20170072015A KR 1020150180332 A KR1020150180332 A KR 1020150180332A KR 20150180332 A KR20150180332 A KR 20150180332A KR 20170072015 A KR20170072015 A KR 2017007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portion
casing
upper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480B1 (ko
Inventor
이해광
박순용
임희수
서상완
송명호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to KR102015018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4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Q50/2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07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introduc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07Communication with implanted devices, e.g. extern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을 주입관을 통해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상부 용기부; 상기 상부 용기부의 하부로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약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하부로 연장된 주입 포트가 형성된 하부 용기부; 상기 상부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일정 두께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용기부의 둘레와 밀폐되도록 설치된 약물 주입 격막; 상기 상부 용기부의 외주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된 상부 케이싱;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로 체결되고 상기 하부 용기부를 감싸도록 장착된 하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 위치되며 선단에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용기부의 둘레를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안테나부로 구성된 RFID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식형 약물 주입기{Implantable Drug Infusion Device}
본 발명은 이식형 약물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을 주입관을 통해 체내로 투여할 수 있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기(예를 들어 'chemoport')는 장기간 연속적으로나 간헐적인 약물 투여가 상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질환을 갖는 환자를 위해 개발된 장치이다. 이러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기는 환자의 신체 내부에 이식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약물을 약물 배출관을 통해 원하는 부위로 투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장기간에 걸쳐 연속적으로나 또는 간헐적인 약물 투여가 상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질환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서 암질환이 있다. 이러한 암 환자의 경우에는 치료를 위해 항암제의 주기적 투여 이외에도 전체 암환자의 50% 정도는 통증을 줄이기 위한 진통제의 투여가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암환자 또는 여타의 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중증 환자에게 적용될 수있도록 종래에는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외부로 직접노출되지 않고 표피 아래에 이식되는 것으로, 감염이나 오염을 방지하고, 투입부위의 피부손상을 방지하면서 약물 투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장치는 주로 약물 투여관을 통해 동맥 또는 정맥에 직접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받은 약물을 혈관 내부로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특히 암환자 중에서도 뇌종양 환자의 항암 약물 치료를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병력, 진료기록, 특이사항 등)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료 시스템이 일반 의료기관에 적용되고 있다.
이는 개인의 단말기 등을 통해 병력정보를 의료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환자가 응급상태에 처했을 때, 환자의 병력과 특이사항을 담당 의료기관의 의료시스템상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가 가능하고, 별도의 진료기록지를 환자가 챙길 필요없이 이에 대한 데이터를 해당 진료 시스템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05610호(2014.06.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체내에 이식되어 약물을 체내로 투여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에 있어서, 통신 칩(예를 들어, IC 칩)을 통해 생체정보 및 진료 내역 등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간편하게 전송하여 해당 의료 시스템상에서 즉각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이식형 약물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약물 저장부와 약물 주입 격막이 각각 마련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를 덮도록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 위치되며, 선단에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안테나부로 구성된 RFID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식형 약물 주입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상부 용기부, 및 상기 상부 용기부의 하부로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상기 약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하부로 연장된 주입 포트가 형성된 하부 용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약물 주입 격막은, 상기 상부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일정 두께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용기부의 둘레와 밀폐되도록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상부 용기부의 외주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된 상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로 체결되고 상기 하부 용기부를 감싸도록 장착된 하부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권취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 둘레면 또는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되는 것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을 덮기 충분한 폭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용기부의 둘레면에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직방향으로 단절된 단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의 외주면의 전체에는 차폐물질이 도포되거나, 상기 안테나부의 외주면에 차폐부재가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체내에 이식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의 내부에 마련된 통신 칩(예를 들어, IC 칩)을 통해 생체정보 및 진료 내역 등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간편하게 전송하여 해당 의료 시스템상에서 즉각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약물 주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약물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약물 주입기의 RFID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약물 주입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약물 주입기의 RFID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약물 주입기는, 상부 용기부(21), 하부 용기부(22), 약물 주입 격막(30), 상부 케이싱(11), 하부 케이싱(12), 및 RFID 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부 용기부(21)와 하부 용기부(22)는 티타늄과 같이 내식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용기부(21)와 하부 용기부(22)는 걸림턱(23)이 걸림홈(도면부호 미부여)에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부 용기부(21)에는 약물 주입 격막(30)을 수용하도록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용기부(22)는 내측에 약물을 저장하기 위한 약물 저장부(90)가 형성된다. 이때 하부 용기부(22)의 바닥면에는 주입 포트(50)가 형성되어 약물 저장부(90)로부터 약물이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약물 주입 격막(30)은 약물 주입시 주사 바늘이 삽입되는 매체로서 일정두께를 가지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 용기부(22)에 약물이 주입되어 수용된 약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약물 주입 격막(30)은 상부 용기부(21)의 내측 둘레면에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부 용기부(21)와 하부 용기부(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싱(11)과 하부 케이싱(12)은 장착턱(12)과 장착홈(도면번호 미부여)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싱(21)과 하부 케이싱(22)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부용기부(21)의 외측 둘레면과 상부 케이싱(11)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는 RFID 부재(4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FID 부재(40)는 선단에 IC 칩(41)이 장착되고 상부 용기부(2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안테나부(43)가 형성된다.
여기서, RFID 부재(40)는 극소형 칩(예를 들어, IC 칩)에 진료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시 수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테나부(41)의 구조적 형상 및 기능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RFID 부재(40)의 안테나부(41)는 상부 용기부(21)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권취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RFID 부재(40)는 상부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에 본딩(접착)되는 것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RFID 부재(40)는 상부 케이싱(11)의 내측면에 본딩(접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안테나부(43)는, 상부 용기부(21)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형태로 권취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43)를 코일형태로 권취함으로써 데이터 수신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부(43)는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직방향으로 단절된 단절부(42)를 포함하여 상부 용기부(21)의 둘레면에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RFID 부재(40)의 수신률을 향상을 위해 차폐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부재는 알루미늄이나 페라이트 재질의 원통형 부재가 RFID 부재(40)의 안테나부(43)를 감싸도록 배치되거나, 상부 케이싱(11)의 내측면에 도포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약물 주입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RFID 부재(40)의 구성(특히 안테나부의 구성)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RFID 부재(4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부 용기부(21)에 외측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접착(본딩)없이도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RFID 부재(40)의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단절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차폐부재의 내부에 안테나부(43)가 수용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환자의 체내에 이식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의 내부에 마련된 통신 칩(예를 들어, IC 칩)을 통해 생체정보 및 진료 내역 등에 대한 의료 데이터를 간편하게 수신하여 해당 의료 시스템상에서 즉각 확인할 수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 상부 케이싱
12: 하부 케이싱
13: 장착턱
21: 상부 용기부
22: 하부 용기부
23: 걸림턱
30: 약물 주입 격막
40: 약물 저장부
50: 주입 포트

Claims (8)

  1. 내부에 약물 저장부와 약물 주입 격막이 각각 마련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를 덮도록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케이싱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 위치되며,선단에 IC 칩이 장착되고 상기 용기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안테나부로 구성된 RFID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상부 용기부, 및
    상기 상부 용기부의 하부로 장착되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상기 약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된 주입 포트가 형성된 하부 용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격막은, 상기 상부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일정 두께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용기부의 둘레와 밀폐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상부 용기부의 외주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된 상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로 체결되고 상기 하부 용기부를 감싸도록 장착된 하부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권취된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 둘레면 또는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되는 것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을 덮기 충분한 폭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부의 외측 둘레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용기부의 둘레면에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직방향으로 단절된 단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의 외주면의 전체에는 차폐물질이 도포되거나,
    상기 안테나부의 외주면에 차폐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약물 주입기.
KR1020150180332A 2015-12-16 2015-12-16 이식형 약물 주입기 KR102522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32A KR102522480B1 (ko) 2015-12-16 2015-12-16 이식형 약물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32A KR102522480B1 (ko) 2015-12-16 2015-12-16 이식형 약물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15A true KR20170072015A (ko) 2017-06-26
KR102522480B1 KR102522480B1 (ko) 2023-04-28

Family

ID=5928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332A KR102522480B1 (ko) 2015-12-16 2015-12-16 이식형 약물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4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09A1 (ko) * 2017-04-05 2018-10-11 주식회사 솔메이트 생체 삽입형 의료기기에 장착되는 알에프아이디 통신 장치
KR20190099877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뇌실포트 조립체
WO2020242032A1 (ko) * 2019-05-28 2020-1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사산을 이용한 체결 구조를 가진 뇌실 내 약물 주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95A (ko) * 2009-06-29 2011-01-06 국립암센터 약물 주입 포트
EP2337595B1 (en) * 2008-08-19 2012-07-04 Mallinckrodt LLC Power injector syringe clamp assembly with rfid antenna
JP5063592B2 (ja) * 2006-04-05 2012-10-31 株式会社根本杏林堂 薬液注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3592B2 (ja) * 2006-04-05 2012-10-31 株式会社根本杏林堂 薬液注入システム
EP2337595B1 (en) * 2008-08-19 2012-07-04 Mallinckrodt LLC Power injector syringe clamp assembly with rfid antenna
KR20110000795A (ko) * 2009-06-29 2011-01-06 국립암센터 약물 주입 포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09A1 (ko) * 2017-04-05 2018-10-11 주식회사 솔메이트 생체 삽입형 의료기기에 장착되는 알에프아이디 통신 장치
KR20190099877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뇌실포트 조립체
WO2020242032A1 (ko) * 2019-05-28 2020-1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사산을 이용한 체결 구조를 가진 뇌실 내 약물 주입 장치
KR20200136579A (ko) * 2019-05-28 2020-12-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사산을 이용한 체결 구조를 가진 뇌실 내 약물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480B1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9019A1 (en) Medical Device Cap for Drug Transfer Assembly
CN105073164B (zh) 用于医疗注入装置的流体筒
US11890112B2 (en) Skull-mounted drug and pressure sensor
ES2911529T3 (es) Dispositivo de suministro
ES2387446T3 (es) Cabezal de aguja de pluma que tiene el área de contacto aumentada
ES1295696U (es) Capuchón de aguja habilitado para etiquetas RFID
JP2005516684A (ja) マイクロ注入装置
KR20070114721A (ko) 게이트웨이 시스템
US10898679B2 (en) Over-the-needle catheter insert
US10022094B2 (en) X-ray discernable marker for power injectable vascular access port
KR102522480B1 (ko) 이식형 약물 주입기
KR101405610B1 (ko) 두개골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
KR101641432B1 (ko) 무통 주사기
US11229778B2 (en) Optimized intrathecal drug delivery
KR20170072028A (ko) 이식형 약물 주입 포트
CN114401757A (zh) 用于增加鞘内药物分散的植入式系统
KR20150128008A (ko) 의료용 카테터
RU2595013C2 (ru) Раз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US20170361026A1 (en) Syringe cover for Obscuring a Patient's Observation of Needle Insertions
KR20130039785A (ko) 두부용 세포치료제 및 약물 주입장치
KR102248722B1 (ko) 나사산을 이용한 체결 구조를 가진 뇌실 내 약물 주입 장치
KR20190099877A (ko) 뇌실포트 조립체
US20240173472A1 (en) Devices for inserting transcutaneous cannulas for patch pumps
US20220143381A1 (en) Port protector and cover system and method of use
RU187682U1 (ru) Нако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кожного введения раствора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