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990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990A
KR20190097990A KR1020180018088A KR20180018088A KR20190097990A KR 20190097990 A KR20190097990 A KR 20190097990A KR 1020180018088 A KR1020180018088 A KR 1020180018088A KR 20180018088 A KR20180018088 A KR 20180018088A KR 20190097990 A KR20190097990 A KR 2019009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irror assembly
projector
main body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948B1 (ko
Inventor
김상균
이은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948B1/ko
Priority to US16/969,932 priority patent/US11281086B2/en
Priority to DE112018006872.2T priority patent/DE112018006872T5/de
Priority to PCT/KR2018/005982 priority patent/WO2019160197A1/ko
Publication of KR2019009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프로젝터가 개시된다. 프로젝터는, 상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면을 향해 이미지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커버와 상기 상면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반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프로젝션 스크린이나 그와 비슷한 흰색의 평평한 표면 위에 이미지나 영상을 확대해서 보여주기 위한 장치이다. 프로젝터는 다수의 청중에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화면을 외부로 투영하는 소형 프로젝터에 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젝터의 광원으로, 백색광을 방출하는 램프, LED 광원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를 구비하는 커버와 본체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를 반전시키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미러의 반사각도가 변하더라도, 직사각형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커버와 본체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미러 어셈블리가 커버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상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면을 향해 이미지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커버와 상기 상면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반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변; 그리고, 상기 제1 변과 대향하는 제2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과 대향하고, 상기 제2 변에 인접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광출력부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하면에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에 대응되는 금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축과 대향하는 일변을 구비하고, 상기 일변은,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광출력부가 출력하는 이미지를 반사시킬 수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일변과 상기 커버가 멀어지면, 상기 일변과 상기 커버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전축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변에 인접하고, 곡면을 구비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 상기 제3 변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3 변에 인접하며, 시소운동하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변에 인접하며, 상기 곡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변에 인접하며, 상기 커버와 상기 미러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푸쉬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곡면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상승하고, 상기 푸쉬로드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푸쉬로드가 하강하면, 상기 미러 어셈블리와 상기 커버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로드는,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인접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슬라이더는 상승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러를 구비하는 커버와 본체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를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미러의 반사각도가 변하더라도, 직사각형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와 본체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미러 어셈블리가 커버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참조 번호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나머지 도면에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상측, 하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제3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높이, 길이, 너비, 폭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혼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1을 참조하면, 프로젝터(300)의 길이와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DR1), +x축 방향, -x축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우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좌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터(300)의 폭과 평행한 방향을 제3 방향(DR3), +z축 방향, -z축 방향, 전방향 또는 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전방 또는 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후방향 또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터(300)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DR2), +y축 방향, -y축 방향,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상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좌우 방향(LR)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고, 상하 방향(UD)은 제2 방향(DR2)과 평행할 수 있다. 프로젝터(300)는 본체(200)와 커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메인바디(200), 바디(200), 메인어셈블리(200) 또는 어셈블리(200)라고 칭할 수 있다. 커버(100)는 서브바디(100), 바디(100), 서브어셈블리(100) 또는 어셈블리(100)라고 칭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터(300')는 미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142')는 커버(100')에 체결될 수 있다. 미러(142')는 커버(100')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는 미러(142')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미러(142')는 본체(2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200)는 커버(210) 및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210)는 플레이트(210) 또는 어퍼 플레이트(210)라고 칭할 수 있다. 하우징(220)은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210)는 하우징(22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210)는 홀(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 내부의 프로젝트 유닛(451, 도 18 참조)은 광을 출력할 수 있고, 프로젝트 유닛(451)으로부터 출력된 광은 홀(211)을 통과할 수 있다. 돌기(213, 214)는 홀(212)에 인접할 수 있다. 돌기(213, 214)는 캠(213, 214)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돌기(213, 214)는 곡면(CS)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아우터 커버(110)와 힌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110)는 커버(110), 하우징(110) 또는 플레이트(110)라고 칭할 수 있다. 힌지(120)는 힌지 어셈블리(120)라고 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아우터 커버(110), 바디(130), 미러 어셈블리(140) 및 힌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30)는 커버(130)라고 칭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미러(140)라고 칭할 수 있다. 바디(130)는 힌지(120) 및 아우터 커버(110)에 체결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미러(142) 및 바디(14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완충부재(131a, 131b, 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31a, 131b, 131c)는 커버(100)가 본체(200)를 덮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러(142', 142)는 본체(200', 200)와 각도 alpha를 이룰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길이 L1을 가질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각도 alpha를 이루는 경우, 미러(142')는 본체(2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모두 반사시키지 못할 수 있다. 미러(142')가 길이 L2 만큼 연장된다면, 미러(142')는 본체(2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모두 반사시킬 수 있다. 이 때, 본체(2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모두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142')의 최소 길이는 L4일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길이 L1을 가질 수 있다. 커버(100)와 미러 어셈블리(140)가 각도 alpha를 이루는 경우, 커버(100)와 본체(200)는 각도 beta를 이룰 수 있다. 각도 beta는 각도 alpha보다 작을 수 있다. 커버(100)와 미러(142)가 각도 alpha를 이루는 경우, 미러(142)는 본체(2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모두 반사시킬 수 있다. 이 때, 본체(2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모두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142)의 최소 길이는 L3일 수 있다. 도 6의 (a)와 도 6의 (b)를 대비하면, 길이 L3는 길이 L4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미러(142')가 커버(100')와 일체를 형성하는 경우, 미러(142)가 커버(10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커버(100') 또는 미러(142')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도 6의 (b)의 경우와 같이, 미러(142)가 커버(10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프로젝터(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100)는 힌지(1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100)가 열리면, 커버(21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커버(100)가 열리면,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210)와 접촉할 수 있다. 프로젝트 유닛(451)이 방출한 광은 홀(211)을 통과한 후, 미러(142)에서 반사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100)는 도 7의 경우보다 많이 열릴 수 있다. 프로젝트 유닛(451)이 방출한 광은 홀(211)을 통과한 후 미러(142)에서 반사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젝트 유닛(451)이 방출한 광은 미러(142)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도 7의 경우와 비교할 때, 반전된 이미지를 방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480, 도 23참조)는 프로젝트 유닛(451)의 출력을 반전시킬 수 있고, 프로젝트 유닛(451)이 출력한 광은 도 7과 같이 정방향의 이미지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젝터(300)는 벽(WL1, WL2)과 천장(CE)으로 이루어진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젝터(300)는 벽(WL1)으로 이미지(IW1)를 투사할 수 있다. 바닥으로부터 이미지(IW1)의 높이는 사용자(600)가 정면을 바라보는 높이일 수 있다. 벽(WL1)은 스크린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젝터(300)는 도 9의 경우에 비해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프로젝터(300)는 도 9의 경우에 비해, 이미지(IW2)를 높게 투사할 수 있다. 이미지(IW2)는 벽(WL1)과 천장(CE)의 경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600)의 시선은 정면보다 위를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600)는 의자(610)에 기댈 수 있고, 시선이 위쪽으로 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젝터(300)는 도 10의 경우에 비해,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는 90도 일 수 있다. 프로젝터(300)는 천장(CE)으로 이미지(IC)를 투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600)는 천장(CE)을 바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600)는 바닥에 누워서 천장(CE)을 바라볼 수 있다. 이미지(IC)는 이미지(IW1, IW2)로부터 반전되지 않을 수 있다. 천장(CE)에 투사된 이미지(IC)는 벽(W1)에 투사된 이미지(IW1, IW2)가 벽(W1)을 따라 천장(CE)으로 이동한 형태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힌지(120)는 축(122) 및 결합부(121, 1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1)는 본체(200)에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123)는 축(122)에 형성될 수 있다. 축(122)이 회전할 때, 결합부(121)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버(124)는 축(122)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124)는 축(122)에 체결될 수 있고, 축(12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커버(124)는 결합부(1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124)는 축(122)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버(124)는 결합부(123)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바디(130)는 힌지(120)와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S1)는 연결부재(134)를 관통할 수 있고, 결합부(123)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S2)는 연결부재(134)를 관통할 수 있고, 바디(130)에 체결될 수 있다. 바디(130)는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개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31)는 사각형상일 수 있다. 결합부(132, 133)는 개구부(13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130)는 함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34)는 함몰부(135)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미러 어셈블리(140)는 축(147)을 가질 수 있다. 축(147)은 회전축(A1)일 수 있다. 키(144)는 축(147)과 결합할 수 있다. 키(144)는 축(147)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프링(145)은 축(147)과 결합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스프링(145)으로 인해, 제4 방향(DR4)으로 복원력을 받을 수 있다. 제4 방향(DR4)은 회전축(A1)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스토퍼(146)는 바디(130)와 체결될 수 있다. 스토퍼(146)는 키(144)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146)는 미러 어셈블리(140)를 바디(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토퍼(146)는 미러 어셈블리(1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홈(148)은 미러 어셈블리(1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43)는 미러 어셈블리(14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재(143)는 금속부재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링크(150)는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링크(150)는 개구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50b)는 사각형상일 수 있다. 제1파트(151a, 151b), 제2 파트(152a, 152b), 제3 파트(153a, 153b), 제4 파트(154a, 154b) 및 제5 파트(155)는 링크(15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156)는 제1 파트(151a, 151b)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156)는 제5 파트(155)와 대향할 수 있다. 제5 파트(155)는 푸쉬로드(155)라고 칭할 수 있다. 링크(150)는 제1 파트(151a, 151b) 사이에 홀(150a)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157a, 157b)는 제1 파트(151a, 151b)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157a)는 슬라이더(157a) 또는 슬라이드(157a)라고 칭할 수 있다. 제3 파트(153a, 153b)는 바디(130)와 체결되기 위한 홀(158a, 15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153a, 153b)는 링크(150) 회전의 중심일 수 있다. 제1파트(151a, 151b), 제2 파트(152a, 152b) 및 제3 파트(153a, 153b)를 통칭하여 레버(151a, 152a, 153a / 151b, 152b, 153b)라고 칭할 수 있다. 레버(151a, 152a, 153a / 151b, 152b, 153b)는 시소운동할 수 있다. 제1 파트(151a, 151b)와 제2 파트(152a, 152b)는 제3 파트(153a, 153b)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스크류(S)는 연결부재(159a, 159b)를 관통할 수 있고, 결합부(132, 133)에 체결될 수 있다. 링크(150)는 제3 파트(153a, 153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링크(150)는 스크류(S)와 연결부재(159a, 159b)에 의해 바디(130)에 고정 또는 구속될 수 있다. 스크류(S)와 연결부재(159a, 159b)는 링크(15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5 파트(155)는 홈(148)에 안착될 수 있다. 연결부재(134)와 함몰부(135)는 홀(150a)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134)와 함몰부(135)는 제1 파트(151a, 15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의 일부는 개구부(150b)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160)는 바디(130)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160)는 아우터 커버(160)라고 칭할 수 있다. 커버(160)는 바디(130)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돌기(213, 157a)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 돌기(213, 157a)는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돌기(157a)는 곡면(CS)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탄성부(156)는 커버(160)에 접촉될 수 있다. 탄성부(156)는 링크(150)에 -y축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160)는 내측면에 결합부재(161)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재(161)는 금속부재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결합부재(161, 143)는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결합부재(161, 143)에 의해 커버(160)에 결합될 수 있다. 키(144)는 돌기(144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44a)는 스토퍼(146)에 걸릴 수 있다. 스토퍼(146)는 키(144)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1을 이룰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60)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각도 theta 1은 0도 이상의 각도일 수 있다. 미러(142)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A를 이룰 수 있다. 각도 theta 1과 각도 theta A는 같은 값일 수 있다. 돌기(213, 157a)는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커버(100)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2를 이룰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60)와 분리될 수 있다. 각도 theta 2은 0도 이상의 각도일 수 있다. 돌기(213)는 돌기(157a)를 밀어 올릴 수 있다. 돌기(157a)가 상승하면, 링크(150)는 제3 파트(153a, 153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부는 링크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5 파트(155)는 미러 어셈블리(140)를 아래로 누를 수 있고, 제5 파트(155)와 홈(148)은 분리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자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210)에 접촉될 수 있고, 커버(210)에 의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스프링(145)이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140)는 서서히 회전할 수 있다. 미러(142)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B를 이룰 수 있다. 각도 theta B는 각도 theta 2보다 클 수 있다. 각도 theta B는 각도 theta A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커버(100)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3를 이룰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60)와 분리될 수 있다. 각도 theta 3는 각도 theta 2보다 클 수 있다. 돌기(213, 157a)는 떨어질 수 있다. 탄성부(156)는 링크(15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링크(150)는 복원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5 파트(155)는 커버(160)에 접촉하거나 커버(160)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자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210)에 접촉될 수 있고, 커버(210)에 의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스프링(145)이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140)는 서서히 회전할 수 있다. 미러(142)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C를 이룰 수 있다. 각도 theta C는 theta 3보다 클 수 있다. 각도 theta C는 각도 theta B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4를 이룰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자중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커버(160)와 가까워질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와 커버(160)가 가까워지면, 결합부재(161, 143)는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미러 어셈블리(140)는 결합부재(161, 143)에 의해 커버(160)에 결합될 수 있다. 돌기(213, 157a)는 떨어질 수 있다. 제5 파트(155)는 홈(148)에 안착될 수 있다. 각도 theta 4는 각도 theta 3보다 클 수 있다. 스프링(145)이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140)는 서서히 회전할 수 있다. 미러(142)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D를 이룰 수 있다. 각도 theta D는 theta 4와 같은 값일 수 있다. 각도 theta D는 각도 theta C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0도인 경우, 커버(100)는 본체(200)를 완전히 덮은 상태일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점차 증가하면서, 캠(213)과 슬라이더(157a)는 서로 접촉될 수 있고, 캠(213)은 슬라이더(157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캠(213)이 슬라이더(157a)를 상승시킴으로써,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00)와 분리될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지면서, 캠(213)과 슬라이더(157a)는 분리될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지면서, 미러 어셈블리(140)는 자중에 의해 커버(100)와 점차 가까워질 수 있고,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00)와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점차 감소하면서, 캠(213)과 슬라이더(157a)는 서로 접촉될 수 있고, 캠(213)은 슬라이더(157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캠(213)이 슬라이더(157a)를 상승시킴으로써,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00)와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0도가 되면, 미러 어셈블리(140)는 커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프로젝터(300)는 통신부(410), 입력부(420), 센싱부(440), 출력부(450), 인터페이스부(460), 메모리(470), 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프로젝터(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프로젝터(3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410)는 프로젝터(3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프로젝터(300)와 다른 프로젝터 사이, 또는 프로젝터(300)와 외부서버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프로젝터(3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따른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40)는 프로젝터(3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40)는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센서(442, angular rate senseor or angular sensor or angl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센서(442)는 거울을 이용하여 광의 반사량을 측정하는 센서, 편광판을 이용하여 광량을 측정하는 편광식 센서, 정전용량식 각도 센서(electrostatic angle sensor) 또는 회전변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일 수 있다. 센싱부(440)는 변위센서(441, position sensor or displacement sensor or distan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40)는 광센서(443, photosensor, photo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443)는 광검출센서(443)라고 칭할 수 있다. 센싱부(440)는 근접센서(444, proxim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프로젝터(3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로젝트부(451), 음향 출력부(452), 광 출력부(4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트부(451)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젝트부(451)는 광출력부(451)라고 칭할 수 있다. 프로젝트부(451)로부터 출력된 광은 스크린에 맺힐 수 있고,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부(451)로부터 출력된 광은 직접 스크린에 투사되거나, 미러(142)에서 반사된 후 스크린에 투사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452)는 프로젝터(3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광 출력부(454)는 프로젝터(3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빛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300)가 전원이 공급되고 작동하지 않는 대기상태인 경우, 광 출력부(454)는 파란색 빛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젝터(300)가 작동 중인 경우, 광 출력부(454)는 초록색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60)는 프로젝터(3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4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3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60)는 외부 디바이스(500)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70)는 프로젝터(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470)는 프로젝터(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젝터(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젝터(3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프로젝터(3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470)에 저장되고, 프로젝터(3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480)에 의하여 프로젝터(3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프로젝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4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컨트롤러(480)라고 칭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메모리(4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8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프로젝터(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프로젝터(3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4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젝터(3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3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4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5를 이룰 수 있다. 미러(142)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E를 이룰 수 있다. 프로젝트부(451)로부터 y축과 평행하게 미러(142)로 입사된 광은 미러(142)에서 반사되어, z축과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theta E는 45도 일 수 있고, 각도 theta 5는 33.6도일 수 있다. 미러(142)에서 반사된 광은 스크린에 맺힐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6를 이룰 수 있다. 미러(142)는 본체(200)와 각도 theta F를 이룰 수 있다. 각도 theta 6는 각도 theta 5 보다 클 수 있다. 각도 theta F는 각도 theta E보다 클 수 있다. 프로젝트부(451)로부터 y축과 평행하게 미러(142)로 입사된 광은 미러(142)에서 반사될 수 있고, z축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theta F는 53도 일 수 있고, 각도 theta 6는 39도일 수 있다. 미러(142)에서 반사된 광은 스크린에 맺힐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아닌 사각형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에 맺힌 이미지는 사다리꼴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일 수 있다. 각도 theta'은 투사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theta'은 16도일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어부(480)는 본체(200)와 커버(100)가 이루는 각도 theta를 획득할 수 있다(S1910). 각도 theta는 각도센서(442)가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각도 theta가 각도 B보다 크고 각도 C보다 작은지 비교할 수 있다(S1930). 각도 B 및 각도 C 값은 메모리(4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각도 theta가 각도 B보다 크고 각도 C보다 작은 경우,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950). 키스톤 보정(Keystone Correction)은 프로젝트 투사각이나 투사거리에 따라 화면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왜곡되는 현상을 사각형으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이 수행되는 경우, 메모리(470)는 각도 theta에 따른 보정량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각도 theta가 각도 B보다 작거나 각도 C보다 큰 경우, 키스톤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1970). 프로젝트부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S1990).
도 27을 참조하면, 제1 이미지(I1) 및 제2 이미지(I2)는 프로젝터(300)으로부터 투사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1 이미지(I1)는 사다리꼴로 왜곡된 이미지일 수 있다. 프로젝터(300)는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이미지(I2)는 키스톤 보정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2 이미지(I2)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각도 A 이상인 경우, 프로젝트부(451)가 출력하는 광은 커버(100)와 만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부(451)가 출력하는 광이 커버(100)와 만나지 않는 경우, 천정에 투사되는 경우일 수 있다. 프로젝트부(451)가 출력하는 광이 미러(142)에서 반사되는 경우와 대비하면, 프로젝트부(451)가 출력한 광이 미러(142)에서 반사된 후 형성하는 이미지와 프로젝트부(451)가 출력한 광이 미러(142)를 만나지 않고 형성하는 이미지는 서로 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80)는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가 각도 A 이상인 경우, 프로젝트부(451)가 반전된 출력을 하도록 프로젝트부(4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각도 A를 임계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A는 약 78.4도 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어부(480)는 본체(200)와 커버(100)가 이루는 각도 theta를 획득할 수 있다(S2310). 각도 theta는 각도센서(442)가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각도 theta가 각도 A보다 큰지 비교할 수 있다(S2330). 각도 A 값은 메모리(4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각도 theta가 각도 A보다 큰 경우, 프로젝트부(451)가 반전된 출력을 하도록 프로젝트부(451)를 제어할 수 있다(S2350). 제어부(480)는 각도 theta가 각도 A보다 작은 경우, 프로젝트부(451)의 출력을 반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S2370). 프로젝트부(451)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S2390).
도 30을 참조하면, 미러 어셈블리(140)는 제1 광센서(44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센서(443b)는 미러 어셈블리(140) 또는 커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광센서(443a)는 돌출부(213)와 가까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광센서(443b)는 미러 어셈블리(140)의 회전축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광센서(443a) 또는 제2 광센서(443b)는 본체(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제1 광센서(443a)는 광을 감지하고, 제2 광센서(443b)는 광을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광센서(443a) 또는 제2 광센서(44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광을 감지하는 경우, 미러 어셈블리(140)는 본체(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커버(100)와 본체(20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제1 광센서(443a) 및 제2 광센서(443b)는 광을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광센서(443a) 및 제2 광센서(443b)가 광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미러 어셈블리(140)는 본체(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지 않을 수 있고, 프로젝터(300)는 천장을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프로젝트부(451)의 출력을 반전시킬 수 있고, 천장에 투사되는 이미지는 도 3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에 대비할 때, 반전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어부(480)는 제1 광센서(443a)가 광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10). 제1 광센서(443a)가 광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480)는 프로젝트부(451)의 출력을 반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S3270). 제1 광센서(443a)가 광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80)는 제2 광센서(443b)가 광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30). 제2 광센서(443b)가 광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480)는 프로젝트부(451)의 출력을 반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S3250). 제2 광센서(443b)가 광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80)는 프로젝트부(451)의 출력을 반전시킬 수 있다(S3250). 프로젝트부(451)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S3290).
도 33을 참조하면, 근접센서(444)는 본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444)는 커버(100)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444)는 근접센서(444)로부터 커버(100)까지의 거리가 K값 미만인 경우, 커버(100)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444)가 커버(100)를 감지하는 경우, 미러 어셈블리(140)는 본체(200)로부터 투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근접센서(444)가 커버(10)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미러 어셈블리(140)는 본체(200)로부터 투사되는 광을 반사시키지 않을 수 있고, 프로젝터(300)는 광 출력을 반전시킬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근접센서(444)가 근접센서(444)로부터 커버(100)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근접센서(444)가 감지한 거리가 K보다 작은지 비교할 수 있다(S3410). K 값은 메모리(4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감지된 거리가 K 값 이상인 경우, 프로젝트부(451)가 반전된 출력을 하도록 프로젝트부(451)를 제어할 수 있다(S3450). 제어부(480)는 감지된 거리가 K값보다 작은 경우, 프로젝트부(451)의 출력을 반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S3430). 프로젝트부(451)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S3470).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 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상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면을 향해 이미지를 출력하는 광출력부;
    상기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본체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커버와 상기 상면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반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변; 그리고,
    상기 제1 변과 대향하는 제2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과 대향하고, 상기 제2 변에 인접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광출력부와 마주하는 프로젝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하면에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에 대응되는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축과 대향하는 일변을 구비하고,
    상기 일변은,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프로젝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광출력부가 출력하는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프로젝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일변과 상기 커버가 멀어지면, 상기 일변과 상기 커버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전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변에 인접하고, 곡면을 구비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
    상기 제3 변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3 변에 인접하며, 시소운동하는 레버;
    상기 레버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변에 인접하며, 상기 곡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변에 인접하며, 상기 커버와 상기 미러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곡면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상승하고, 상기 푸쉬로드는 하강하는 프로젝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가 하강하면,
    상기 미러 어셈블리와 상기 커버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는 프로젝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로드는,
    상기 홈에 수용되는 프로젝터.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접촉하는 프로젝터.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인접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슬라이더는 상승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일측에 위치하는 프로젝터.
KR1020180018088A 2018-02-13 2018-02-13 프로젝터 KR10246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88A KR102466948B1 (ko) 2018-02-13 2018-02-13 프로젝터
US16/969,932 US11281086B2 (en) 2018-02-13 2018-05-25 Projector
DE112018006872.2T DE112018006872T5 (de) 2018-02-13 2018-05-25 Projektor
PCT/KR2018/005982 WO2019160197A1 (ko) 2018-02-13 2018-05-25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88A KR102466948B1 (ko) 2018-02-13 2018-02-13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90A true KR20190097990A (ko) 2019-08-21
KR102466948B1 KR102466948B1 (ko) 2022-11-14

Family

ID=6761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88A KR102466948B1 (ko) 2018-02-13 2018-02-13 프로젝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81086B2 (ko)
KR (1) KR102466948B1 (ko)
DE (1) DE112018006872T5 (ko)
WO (1) WO20191601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2763A (ja) * 1985-04-30 1986-11-1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3842A (en) * 1990-02-13 1991-07-23 Tam Kam T Episcopic projector
SG70586A1 (en) * 1996-02-21 2000-02-22 Samsung Aerospace Ind Video overhead display system
US6190015B1 (en) * 1999-08-05 2001-02-20 Mustek Systems, Inc. Liquid crystal display projector with a lens shading device capable shading and positioning lens
US6450650B1 (en) * 2000-09-07 2002-09-17 Yu Ta Tu Projector with image source from objects
KR100413799B1 (ko) * 2001-10-09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동 미러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터
CA2425673A1 (en) * 2002-04-15 2003-10-15 Kurt Hoffmeister Portable light projector unit
KR20070021206A (ko) * 2004-05-18 2007-02-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프로젝터
CN1954599A (zh) * 2004-05-18 2007-04-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投影仪
JP4406837B2 (ja) * 2004-11-10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駆動装置および方法
DE602006015388D1 (de) * 2005-05-09 2010-08-26 Lg Electronics Inc Optisches System eines tragbaren Projektors und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damit
JP2010181442A (ja) * 2009-02-03 2010-08-19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CN101859058A (zh) * 2009-04-08 2010-10-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携式投影装置
KR20110097384A (ko) * 2010-02-25 2011-08-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로젝터
JP5549459B2 (ja) * 2010-07-23 2014-07-16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15037137A1 (ja) * 2013-09-13 2015-03-1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2763A (ja) * 1985-04-30 1986-11-1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1086B2 (en) 2022-03-22
KR102466948B1 (ko) 2022-11-14
WO2019160197A1 (ko) 2019-08-22
US20210011368A1 (en) 2021-01-14
DE112018006872T5 (de)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2593B2 (en) Folding-typ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optical transferring member for transferring light to transparent member from projector
JP5195877B2 (ja) 電力供給監視装置、画像処理装置
KR102534712B1 (ko) 지문 센서를 구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20060289760A1 (en) Using same optics to image, illuminate, and project
US7081612B1 (en) Light proj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ptical mouse
KR20210101462A (ko)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492990B (zh) 一种实现触摸输入关联的系统、方法以及器件
JP5002319B2 (ja) 投写型表示装置
TW201518996A (zh) 投影系統管理器
KR10266469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50109261A1 (en) Projection apparatus
TW201913181A (zh) 光學基站
WO2017212601A1 (ja) 光測距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映像投写装置
KR102582961B1 (ko)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JP4238290B2 (ja) センサ
KR102466948B1 (ko) 프로젝터
US20040246232A1 (en) Optic mouse
JP6690551B2 (ja) 投射型表示装置
US20120235955A1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KR10265593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광원 출력 제어방법
CN107463059B (zh) 投影系统及其光幕产生装置
CN107111354B (zh) 非故意触摸拒绝
WO2020228740A1 (zh) 终端设备
US20050001818A1 (en) Optic mouse
KR2021011276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