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806A - 이식기 - Google Patents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806A
KR20190097806A KR1020180017665A KR20180017665A KR20190097806A KR 20190097806 A KR20190097806 A KR 20190097806A KR 1020180017665 A KR1020180017665 A KR 1020180017665A KR 20180017665 A KR20180017665 A KR 20180017665A KR 20190097806 A KR20190097806 A KR 2019009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pper
transplanting
gear
miss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506B1 (ko
Inventor
권행주
강영선
임승진
김대천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한 이식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 이식기는, 다수의 기어가 내장된 미션케이스와,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이식컵(302)을 구비하는 이식컵 어셈블리(300), 상기 이식컵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받아서 지중에 이식하기 위한 호퍼(210), 그리고 상기 미션케이스의 출력을 상기 호퍼의 승하강 왕복운동으로 변환함과 같이 이식컵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기구(2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미션케이스(100)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출력기어(114)와 상기 출력기어와 맞물여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112)의 적어도 일측은 편심상태로 설치하여, 이식컵의 상사점 부근에서 가장 낮은 속도를 가지도록 출력기어와 전달기어가 맞물리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식컵 어셈블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이식컵라쳇에, 이식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멈춤공을 성형하고, 이식기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에는 상기 멈춤공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스틸볼을 지지통에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이식기{Transplanting device}
본 발명은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묘종을 지중에 심기 위한 호퍼가 이식컵의 직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장 낮은 속도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심고자 하는 묘종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진행되게 하며, 아울러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한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이식기는, 씨앗을 발아시켜 일정한 크기까지 재배한 후, 실제 재배지에서 이러한 묘종을 옮겨 심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4-0090050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식기가 제안된 바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는 이러한 선행 문헌의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도 인용하게 될 것이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도 종래 기술과의 대비를 위하여 인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선행 문헌에 의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이식기의 프레임(F)에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기구(L)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링크기구(L)의 단부에는 호퍼(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퍼(H)는, 이식컵(C)에서 묘종을 받아서, 지중에 이식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식컵(C)으로의 묘종의 공급은, 묘종지지판(12)에 있는 묘종을 작업자가 상기 이식컵(C)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행된다.
여기서 링크기구(L)는 호퍼(H)를 승하강 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호퍼(H)를 승하강시키면서 호퍼(H)의 상사점에서는 상기 이식컵(C)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호퍼(H)의 내부에 공급받아서, 하방으로 이동한 후 호퍼(H)의 하사점에서는 지중으로 묘종을 이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링크기구(L)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링크기구(L)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현재 널리 적용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리고 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이식컵(C)의 저면에는 컵회전자(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컵회전자(103)는 중심축(103b)을 통하여 컵프레임(102)과 연결되어 있어서, 컵회전자(10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컵프레임(102)이 회전하게 되면서 이식컵(C)이 연동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컵회전자(103)에는, 이식컵(C)의 갯수에 대응하는 캠홈(10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홈(103a)은 일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면이 형성됨으로써, 래치(95)의 동작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그리고 제4링크(64)의 상단부(64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딩링크(96)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딩링크(96)의 타단부는 래치(95)와 연결핀(95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95)의 내측단부에는 걸림부재(95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부재(95a)는, 그 단부가 상기 컵회전자(103)에 밀착되도록,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95s)에 의하여 걸림부재(95a)의 단부가 컵회전자(103)으로 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4링크(64)의 상단부(64a)가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하고, 이러한 상단부(64a)의 전후 방향 왕복 운동은 피딩링크(96)의 왕복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피딩링크(96)의 왕복 이동은, 상기 래치(95)가 지지점(95c)를 중심으로 하는 반복 원호 운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래치(95)의 반복되는 원호 운동은 걸림부재(95a)의 운동으로 이어지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재(95a)의 단부는 컵회전자(103)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95)에 연결된 걸림부재(95a)가 움직이게 되면, 그 단부가 상술한 캠홈(103a)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컵회전자(103)를 일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기구(L)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묘종을 받아서 지중에 이식하는 이식컵의 구성 및 동작 등도 널리 알려진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링크를 이용하는 경우, 회전 동력을 링크의 다양한 관절 운동으로 변경시켜 호퍼가 묘종을 심을 수 있는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링크기구(L)의 일부에는 링크끼리의 인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기구(L)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의 기어 중에서 일부 원호에 치형이 성형되어 있지 않는 간헐기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간헐기어 및 스프링의 사용에 의하여, 이식기의 전체적인 동작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기계적 구성요소 사이에서도 상당한 충격 및 피로 하중이 축적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지적된다.
그리고 이식기의 경우, 묘종을 담고 있는 이식컵에서 재배지에 심는 호퍼로의 정확한 묘종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임은 말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정확한 묘종의 전달은 이식컵의 동작시 움직이는 영역 및 멈춤 동작 등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동작 소음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식기를 제공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식컵에서 호퍼로 정확한 묘종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이식기는, 다수의 기어가 내장된 미션케이스와,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이식컵을 구비하는 이식컵 어셈블리, 상기 이식컵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받아서 지중에 이식하기 위한 호퍼, 그리고 상기 미션케이스의 출력을 상기 호퍼의 승하강 왕복운동으로 변환함과 같이 이식컵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미션케이스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와 맞물여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의 적어도 일측은 편심상태로 설치하고, 이식컵의 상사점 부근에서 가장 낮은 속도를 가지도록 출력기어와 전달기어가 맞물리도록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식컵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이식컵 지지부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에 이식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멈춤공을 성형하고, 이식기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에는 상기 멈춤공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스틸볼을 지지통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판상의 부재는, 상기 링크기구에 의하여 회전축을 일정 구간씩 회전시키기 위하여 외주연에 라쳇홈이 성형된 이식컵라쳇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묘종을 지중에 심기 위한 호퍼가 이식컵의 직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장 낮은 속도를 가지도록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고자 하는 묘종의 전달이 가장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미션케이스 내부의 기어에 간헐 기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이식컵 라쳇에 성형된 멈춤공 및 멈춤공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스틸볼을 이용하여, 이식컵이 정해진 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퍼와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이식기 자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식컵 라쳇에 성형된 멈춤공 및 멈춤공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스틸볼을 이용하여, 이식컵이 호퍼 직상부에 멈춤 상태를 최대한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식컵에서 호퍼로 정확한 묘종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식기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이식기의 링크기구 부분의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이식컵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이식컵 및 링크기구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식기의 미션케이스 및 링크기구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이식기의 미션케이스 및 링크기구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이식기의 이식컵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이식기의 이식컵의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기초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위에서 언급한 선행 문헌의 도면이지만,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비교 설명 또는 기술적 배경의 설명에도 사용될 것이다.
도 5에는 링크기구(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미션케이스(100)와, 링크기구(200)의 동작에 의하여 지중으로 묘종을 이식하는 호퍼(2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선행 문헌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퍼(2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링크기구(200) 자체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200)의 운동에 의하여, 호퍼(210)가 열고 닫히는 것 자체도 공지된 기술이고,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선행 특허 문헌 등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식기의 미션케이스(100)의 출력축(122)에 의하여, 크랭크(120)가 회전하면서 링크기구(200)를 구동시키고, 링크기구(200)의 구동에 의하여 호퍼(210)가 상사점 및 하사점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주행하는 이식기에서의 호퍼(210)의 이동 궤적도 도 5에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a)는 호퍼(210)의 상사점 상태이고, 순차적으로 (b)를 거쳐 하사점 상태인 (c)의 상태로 변환한 후, (d)의 상태로 이르게 된다. 이러한 (a) 에서 (d) 상태로의 변화는, 기본적으로 미션케이스(100)의 출력축(122)의 회전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서 미션케이스(10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엔진 등과 같은 구동원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미션케이스의 내부에는, 감속기어(110)와, 상기 감속기어(110)와 맞물린 전달기어(112), 그리고 상기 전달기어(1120)와 맞물리고 링크기구(200)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기어(1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기어(114)에 결합된 크랭크(120)는 출력기어(114)의 중심인 출력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링크기구(200) 중에서 처음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1링크(210)는 크랭크(120)의 외측단부에 핀 결합되어 있어서, 크랭크(120)를 따라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을 시작으로 링크기구(200)를 구성하는 모든 링크가 연동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링크기구(200)의 외측에 설치된 호퍼(210)는 링크기구(200)의 운동에 따라서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반복되는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호퍼(210)가 상사점에 도착한 상태인 (a)에서, 호퍼(210)는 어느 하나의 이식컵(302)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이식컵(302)의 하부가 열리면서 묘종이 호퍼(210)의 열린 상부로 떨어지게 된다. 호퍼(210)의 상하 왕복 운동은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특허 문헌에 공개되어 있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호퍼(210)이 상승 및 하강시 속도는 정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호퍼(210)가 이식컵(302)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정확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호퍼(210)의 상사점 부근에서의 속도를 가장 늦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여기서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기구(200)의 이동 속도는 미션케이스(100)의 출력축(122)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즉, 호퍼(210)의 특정 위치에서의 승하강 속도는, 출력축(122)의 특정 지점에서의 회전 각속도와 관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호퍼(210)가 상사점 부근에 위치할 때, 출력축(122)의 회전 속도를 낮게 제어할 수 있으면, 호퍼(210)가 상사점 부근에서 가장 천천히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고 있으며, 속도 제어를 위하여 출력축(122)과 관계 있는 기어를 편심 상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출력축(122)의 속도를 제어하고자 하고 있다.
미션케이스(100) 내부를 보면, 출력축(122)의 회전 속도는, 출력기어(114)와 전달기어(112)임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달기어(112)의 대기어부(112a)는 감속기어(110)와 맞물리기 때문에 큰 관계가 없고, 전달기어(112)의 소기어부(112b)와 출력기어(114)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이들이 출력축(122)의 회전 속도와 가장 높은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달기어(112)의 소기어부(112b)와 출력기어(114)를 편심된 상태로 맞물리도록 설계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소기어부(112b)와 출력기어(114)의 적어도 일측이 편심된 상태로 회전 운동을 하거나, 소기어부(112b)와 출력기어(114) 양자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측이 편심된 상태로 되면, 양측 기어의 축간 거리에 따라서 회전 속도도 상이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소기어부(112b)의 중심축과 출력기어(114)의 출력축(122) 사이의 거리가 짧은 구간에서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고, 소기어부(112b)의 중심축과 출력기어(114)의 출력축(122)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122)의 일회전은, 링크기구(200) 및 호퍼(210)의 일 행정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호퍼(210)가 상사점 부근에 있을 때, 즉 이식컵(302)의 직하부에 있을 때, 출력축(122)의 회전 속도를 가장 느리게 설정함으로써, 이식컵(302)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가장 확실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도록 설계하고 있다. 즉, 적어도 어느 하나가 편심 상태로 설계되는 전달기어(112)의 소기어부(112b)와 출력기어(114) 사이의 축간 거리는, 호퍼(210)가 상사점에 위치할 때 가장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출력축(122)이 회전 속도가 가장 느릴 때, 호퍼(210)가 이식컵(302)에 가장 근접한 상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점에서 출력축(122)의 회전이 가장 느리기 때문에, 호퍼(210)가 상사점 부근에서의 이동 속도가 가장 느리게 되는 것이다. 호퍼(210)의 이동 속도가 상사점 부근에서 가장 느리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식컵(302)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가장 정확하게 받을 수 있다는 이식기의 신뢰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다음에는 도 7을 참고하면서 이식컵(302)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식할 묘종을 담고 있는 이식컵(302)의 다수 개(예를 들면 10개)가 모여서 하나의 어셈블리(300)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식컵 어셈블리(300)는 10개의 이식컵(302)을 지지하는 이식컵 지지부(30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직립한 회전축(310)은 이식컵 지지부(304) 및 이식컵(302)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10)에는 이식컵라쳇(320)이 연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식컵라쳇(320)은 상수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도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링크기구(200)를 구성하는 하나의 링크에서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식컵라쳇(320)의 외주연에 성형된 라쳇홈(324)을 이용하여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일부 링크에서 전달되는 동력으로 일정 구간(이식컵의 갯수에 대응하는 구간)씩 이식컵라쳇(3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식컵 어셈블리(300)가 이식컵라쳇(320)에 의하여 일정 구간씩(이식컵의 갯수에 대응하는 구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식컵라쳇(320)에는, 이식컵(30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멈춤공(32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식컵라쳇(320)의 하부에는, 이식기의 고정물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350)을 통하여 탄성스토퍼(3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토퍼(342)는 상기 멈춤공(322)에 탄성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지지통(344)과 상기 지지통(344)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틸볼(342),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지지통(344)의 내부에서 스틸볼(342)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식컵라쳇(320)과 스틸볼(342)를 약간 이격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스틸볼(342)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멈춤공(322)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 결합은, 이식컵라쳇(320)이 회전하는 힘이 스프링에 의하여 멈춤공(322)에 결합된 스틸볼(342)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해제된다. 즉, 스틸볼(342)이 그 하부의 스프링에 의하여 멈춤공(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식컵라쳇(320)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회전력이 일정 이상으로 작용하게 되면, 스틸볼(342)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이식컵라쳇(320)과의 탄성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이식컵라쳇(320)은 또 일정 구간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틸볼(342)과 멈춤공(322)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기능으로, 멈춤공(322)은 이식컵(302)의 갯수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를 가지고 있는 스틸볼(342)은 정해진 위치에서 멈춤공(322)에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이식컵(302)이 정해진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스틸볼(342) 및 멈춤공(322)에 의하여, 각각의 이식컵(302)은 정해진 구간만 회전하여 정확하게 멈추며, 이렇게 멈춤 상태에서 하부에 있는 호퍼(210)로 묘종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식컵(302)의 저면을 개폐하는 커버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널리 공지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두 번째 기능으로, 이식컵(302)이 그 하부에 있는 호퍼(210)에 대하여 멈춤 상태를 지연시킬 수 있는 기능을 들 수 있다. 즉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스틸볼(342)은 비록 아주 짧은 시간일지라도, 스틸볼(342)가 멈춤공(320)에 결합된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때까지 이식컵(302)이 호퍼(210)의 직상부에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식컵라쳇(320)이 링크기구(200)에서 최초 힘을 받을 때부터 비록 짧지만 일정한 시간 동안은 이식컵라쳇(320)은 움직이지 않고 있다가, 스틸볼(342)이 멈춤공(322)과의 결합이 해제되어야만 이식컵라쳇(320)이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더 이식컵(302)과 호퍼(210)를 일치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이식컵라쳇(320)에 멈춤공(322)이 성형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이식컵라쳇(320)은 종래와 같이 이식컵 어셈블리(300)를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고, 별도의 판을 회전축(310)에 설치하여 멈춤공을 성형하는 구성도 충분히 구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정리하면, 전달기어(112)와 출력기어(114)를 편심 상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사점 부근에서 호퍼(210)의 속도를 최저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순간에 이식컵차쳇(320) 및 스틸볼(342)을 이용하여 이식컵(302)의 회전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이식컵과 호퍼의 일치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주제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다른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0 ..... 미션케이싱
110 ..... 감속기어
112 ..... 전달기어
112a ..... 대기어부
112b ...,, 소기어부
114 ..... 출력기어
122 ..... 출력축
120 ..... 크랭크
200 ..... 링크기구
210 ..... 호퍼
300 ..... 이식컵 어셈블리
302 ..... 이식컵
304 ..... 이식컵 지지부
320 .... 이식컵라쳇
322 ..... 멈춤공
342 ..... 스틸볼
344 ..... 지지통
350 ..... 브라켓

Claims (3)

  1. 다수의 기어가 내장된 미션케이스와, 원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이식컵을 구비하는 이식컵 어셈블리, 상기 이식컵에서 떨어지는 묘종을 받아서 지중에 이식하기 위한 호퍼, 그리고 상기 미션케이스의 출력을 상기 호퍼의 승하강 왕복운동으로 변환함과 같이 이식컵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기구를 구비하는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와 맞물여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의 적어도 일측은 편심상태로 설치하여, 이식컵의 상사점 부근에서 가장 낮은 속도를 가지도록 출력기어와 전달기어가 맞물리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컵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이식컵 지지부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에 이식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멈춤공을 성형하고, 이식기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에는 상기 멈춤공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스틸볼을 지지통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이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부재는, 상기 링크기구에 의하여 회전축을 일정 구간씩 회전시키기 위하여 외주연에 라쳇홈이 성형된 이식컵라쳇으로 구성되는 이식기.

KR1020180017665A 2018-02-13 2018-02-13 이식기 KR10206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65A KR102067506B1 (ko) 2018-02-13 2018-02-13 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65A KR102067506B1 (ko) 2018-02-13 2018-02-13 이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806A true KR20190097806A (ko) 2019-08-21
KR102067506B1 KR102067506B1 (ko) 2020-01-17

Family

ID=6780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665A KR102067506B1 (ko) 2018-02-13 2018-02-13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123A (ja) * 1998-05-19 1999-11-24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03219712A (ja) * 2002-01-29 2003-08-05 Kubota Corp 田植機
JP2012165652A (ja) * 2011-02-09 2012-09-06 Iseki & Co Ltd 植付装置
KR20140083161A (ko) * 2012-12-24 2014-07-04 김춘남 양파 정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123A (ja) * 1998-05-19 1999-11-24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03219712A (ja) * 2002-01-29 2003-08-05 Kubota Corp 田植機
JP2012165652A (ja) * 2011-02-09 2012-09-06 Iseki & Co Ltd 植付装置
KR20140083161A (ko) * 2012-12-24 2014-07-04 김춘남 양파 정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506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5562A1 (en) Small hand-guided self-propelled garlic planter
CN102630415A (zh) 栽种装置
KR101982338B1 (ko) 모종이식기의 강제식부장치
KR102067506B1 (ko) 이식기
KR101838723B1 (ko) 이식기용 호퍼 구동장치
KR20160009809A (ko) 다목적 이식기
JP5533719B2 (ja) 植付装置
KR20160009810A (ko) 다목적 이식기
KR101982339B1 (ko) 모종 이식기용 호퍼구동장치
KR100307388B1 (ko) 양파의 이식방법 및 장치
JP6870503B2 (ja) 移植機
CN104412760B (zh) 秧苗插植装置
JP2004016176A (ja) 野菜移植機及び野菜移植機における苗供給方法
KR101824184B1 (ko) 반자동 채소 이식기의 식부컵 조작유닛
JP2004008155A (ja) 野菜移植機
KR101617077B1 (ko) 모종 이식기
KR20200051878A (ko) 이식기의 동력전달장치
CN109729791A (zh) 一种用于侧向插秧的插秧机
JP4542879B2 (ja) 移植機
KR100414455B1 (ko) 홀수줄 이식형 모종 이식기
KR20050111393A (ko) 야채 이식기
JP2925854B2 (ja) 移植装置
KR101675636B1 (ko) 양파 이식기의 이식컵 개폐장치
JP2900470B2 (ja) 移植機
JPS63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