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348A -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 Google Patents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348A
KR20190097348A KR1020180016630A KR20180016630A KR20190097348A KR 20190097348 A KR20190097348 A KR 20190097348A KR 1020180016630 A KR1020180016630 A KR 1020180016630A KR 20180016630 A KR20180016630 A KR 20180016630A KR 20190097348 A KR20190097348 A KR 20190097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needle
filler
drug
auxiliary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설주
Original Assignee
이치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학 filed Critical 이치학
Priority to KR102018001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348A/ko
Publication of KR2019009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61M5/3291Shafts with additional lateral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4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7Needles arranged coax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2005/1787Syringes for sequential delivery of fluids, e.g. first medicament and then flushing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필러(FILLER)을 주입한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효소를 주입하되, 그 경로에서 효소가 주입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주사기와 주사바늘이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는 보조 바늘, 보조 바늘의 측면에 보조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약물 배출부 및 주사기를 향하는 보조 바늘의 한쪽에 보조 바늘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A SYRINGE THAT CAN CHANGE THE LOCATION OF DRUG INJEC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필러(FILLER)을 주입한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효소를 주입하되, 그 경로에서 효소가 주입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성형시술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피부 주름을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필러(FILLER)를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필러(FILLER)를 주입하기 위한 주사기는 끝이 뾰족한 통상의 주사바늘이 사용되어 왔다. 필러(FILLER)를 이용한 성형시술은 필러(FILLER)가 주입되어야 하는 위치에서 혈관을 피하여 주사바늘을 찔러서 필러(FILLER)를 주입한다. 하지만 통상의 주사기는 주사 바늘이 뾰족하여 인체의 혈관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도 1참조)에는 주사바늘의 끝이 뭉툭하게 막혀있 되, 그 주사바늘 끝의 측면에 필러(FILLER)가 배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주사바늘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 개시된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주사기는 주사바늘의 끝 단이 혈관을 압박할 때에 그 주사바늘의 끝 단이 혈관의 표면을 따라서 휘어지거나 혈관이 밀리게 된다. 즉, 도 1에 개시된 종래의 주사기는 주사바늘이 혈관을 뚫을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인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끝이 뾰족한 주사바늘 또는 끝이 뭉툭한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주사기 모두 도 1에 개시된 도면에서처럼 상황에 따라서 주사 바늘이 혈관을 뚫을 수 있고, 뚫린 혈관으로 필러(FILLER)가 혈관 내에 주입될 수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때, 성형시술자는 필러(FILLER)를 주입하던 주사기를 인체에서 빼낸 후,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를 찌른 위치로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가 담긴 주사기를 다시 찌른 후에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를 주입하여 혈관을 막고 있는 필러(FILLER)가 분해되도록 해야 한다. 혈관에 주입된 필러(FILLER)는 각종 부작용의 원인이 된다. 즉, 필러(FILLER)에 의해서 혈관이 막히고, 막힌 혈관에 의해서 피부의 괴사와 실명을 들 수 있다.(“필러 부작용 : 괴사 실명”, 저자 고익수, 출판사 일조각 참조) 즉, 필러(FILLER)에 의해서 막힌 혈관과 관련된 인체의 각 조직 또는 장기들이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하지만, 필러(FILLER)가 유입된 혈관의 정확한 위치를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 함에 따라 문제가 발생한 혈관에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를 단시간에 주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필러(FILLER)가 주입된 혈관의 위치로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가 담긴 주사기의 주사바늘이 단시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과제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가 개시(disclosure)된다.
주사기(100)와 주사바늘(110)이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는 보조 바늘(200), 보조 바늘(200)의 측면에 보조 바늘(20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약물 배출부(300) 및 주사기(100)를 향하는 보조 바늘(200)의 한쪽에 보조 바늘(20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00)와 주사기(100) 사이에 마련되어 주사바늘(110)이 보조 바늘(200)에서 빠지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더 포함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상기 이동부(500)는 고정부(400)의 주사기(100)를 향하는 한쪽에 경사지게 돌출된 이동 지지부(510) 및 고정부(400)를 마주하는 주사기(100)의 한쪽에 이동 지지부(510)의 경사면에 접하는 이동 대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고정부(400)의 주사기(100)를 향하는 한쪽에 주사기(100)의 표면을 감싸도록 하되, 내면에 나사골이 마련된 이동 지지부(510) 및 이동 지지부(510)에 삽입되는 주사기(100)의 표면에 나사골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마련된 이동 대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 배출부(300)는 하나 이상의 구멍(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보조 바늘(200)을 통해서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를 찌른 위치와 방향, 각도로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가 담긴 또 다른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을 유도함으로써, 단시간에 필러(FILLER)가 주입된 위치로 분해 효소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시술자가 고정부(400)를 잡은 상태에서 분해 효소가 담긴 주사기를 서서히 빼내는 과정을 통해서 주사바늘(110)의 깊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바, 필러(FILLER)가 주입된 혈관의 위치로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가 담긴 주사기의 주사바늘(110)을 단시간에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필러(FILLER)가 주입된 혈관에 위치한 배출부(300)를 통해서 분해 효소를 직접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이동부(500)를 통해서 주사기(100)를 보조 바늘(200)로부터 안정적으로 빼낼 수 있는바, 분해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깊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떨림을 억제하여 주사바늘의 위치가 미세하게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이동부(500)의 지지부(510)와 이동 대응부(520)를 통해서 시술자가 분해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주사바늘(110)의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바, 필러(FILLER)가 주입된 혈관으로 더욱 정확하게 분해 효소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주사기를 사용한 시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일 실시 예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이동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주사기를 사용한 시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일 실시 예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이동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한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주사기(100)와 보조 바늘(200), 약물 배출부(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00)와 주사기(100) 사이에 이동부(5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이동 지지부(510) 및 이동 대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 배출부(300)는 하나 이상의 구멍(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크게 주사기(100)와 보조 바늘(200), 약물 배출부(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일례로, 주사기(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끝이 뾰족한 주사바늘(110)을 사용하거나 끝이 뭉툭한 주사바늘(11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와 분해 효소가 담긴 또 다른 주사기(200)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례로, 보조 바늘(200)은 주사바늘(110)이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보조 바늘(20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바늘(200)의 내부 지름은 적어도 주사바늘(110)의 외부 지름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보조 바늘(200)은 주사바늘(110)이 삽입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다. 보조 바늘(200)은 주사바늘(110)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그 주사바늘(110)의 끝 단이 보조 바늘(200)의 끝 단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바늘(200)은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과 함께 인체의 피부를 뚫고 통상 진피층까지 위치하게 된다. 보조 바늘(200)은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를 빼내어 주사바늘(110)이 보조 바늘(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더라도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경로를 유지시킨다. 보조 바늘(200)은 분해 효소가 담긴 또 다른 주사기(100)가 삽입될 경우에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을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이 위치했던 경로 그대로 위치하도록 유도한다. 즉,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를 찌른 위치와 그 주사기(100)를 찌른 위치에서부터 필러(FILLER)가 주입된 진피층 또는 혈관의 위치까지의 방향 및 각도로 또 다른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을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보조 바늘(200)의 길이는 주사바늘(110)의 길이보다 더 길어도 무관할 것이다.
일례로, 약물 배출부(300)는 보조 바늘(200)의 측면에 보조 바늘(20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약물 배출부(300)는 보조 바늘(200)의 측면에 그 보조 바늘(200)의 양 끝 단으로 이어지는 틈(310)을 포함할 수 있다. 틈(310)은 필러(FILLER) 또는 효소 등의 약액이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끝 단이 보조 바늘(200)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약액이 보조 바늘(200)의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 또는 도 5에서처럼 약물 배출부(300)는 인체의 피부조직에 삽입된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깊이가 필러(FILLER)를 주입한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깊이보다 더 얕더라도 효소가 보조 바늘(200)의 측면을 통해서 진피층 또는 혈관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한편, 약물 배출부(300)는 틈(310)을 대신하여 장공 또는 하나 이상의 구멍(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400)는 주사기(100)를 향하는 보조 바늘(200)의 한쪽에 보조 바늘(20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보조 바늘(200)이 인체의 피부를 뚫고 삽입될 때에 인체의 피부에 걸려서 더 깊이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400)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어서 보조 바늘(20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시술자에 의해서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에 보조 바늘(200)을 삽입되고 주사바늘(110)의 끝 단이 보조 바늘(200)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시술자에 의해서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가 환자의 피부조직으로 주사바늘(220)이 삽입되고 진피층에 필러(FILLER)가 주입된다. 필러(FILLER)가 혈관에 주입되는 증상이 발현될 경우, 시술자는 고정부(400)를 한 손으로 잡은 후, 다른 한 손으로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를 보조 바늘(20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보조 바늘(200)은 필러(FILLER)가 주입되던 상태의 주사바늘(110)이 피부에 찌른 위치와 그 위치에서부터 필러(FILLER)가 주입된 진피층의 위치까지의 주사바늘(110)의 방향 및 주사바늘(110)의 각도까지 동일하게 유지한다. 시술자가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가 담긴 또 다른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을 보조 바늘(200) 내부로 삽입한 후, 필러(FILLER)가 주입된 위치의 진피층에 효소를 주입한다. 이렇게 주입된 효소는 진피층에 주입된 필러(FILLER)에 직접 주입됨으로써 필러(FILLER)를 단시간에 분해할 수 있다.
나아가 효소의 주입으로부터 필러(FILLER)가 혈관에 주입됨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완화되지 않을 때에는 도 4 또는 도 5에서처럼 시술자가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를 보조 바늘(200)로부터 서서히 빼내면서 효소를 주입한다. 이때 효소가 주입되는 깊이는 서서히 얕아진다. 즉, 주사바늘(110) 및 보조 바늘(200)이 혈관을 뚫은 상태에서 필러(FILLER)가 주입된 상태일 때에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끝 단이 혈관을 관통하고 있는 보조 바늘(200)을 따라서 서서히 혈관 쪽으로 이동된다. 효소가 주사바늘(110)로부터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사바늘(110)의 끝 단이 혈관에 위치할 경우, 주사바늘(110)로부터 배출된 효소는 약액 배출관(300)을 통해서 혈관 내로 주입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보조 바늘(200)을 통해서 필러(FILLER)가 담긴 주사기(100)를 찌른 위치와 방향, 각도로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가 담긴 또 다른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을 유도함으로써, 단시간에 필러(FILLER)가 주입된 위치로 분해 효소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시술자가 고정부(400)를 잡은 상태에서 분해 효소가 담긴 주사기를 서서히 빼내는 과정을 통해서 주사바늘(110)의 깊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바, 필러(FILLER)가 주입된 혈관의 위치로 필러(FILLER)를 분해하는 효소가 담긴 주사기의 주사바늘(110)을 단시간에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필러(FILLER)가 주입된 혈관에 위치한 배출부(300)를 통해서 분해 효소를 직접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고정부(400)와 주사기(100) 사이에 마련되어 주사바늘(110)이 보조 바늘(200)에서 빠지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이동부(500)는 이동 지지부(510) 및 이동 대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이동 지지부(510)는 고정부(400)의 주사기(100)를 향하는 한쪽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이동 지지부(510)은 경사면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동 지지부(510)는 주사기(10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동지지부(510)은 직선의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 대응부(520)는 고정부(400)를 마주하는 주사기(100)의 한쪽에 이동 지지부(510)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 대응부(520)는 이동 지지부(510)의 경사 면에 접하도록 돌출된다. 이동 대응부(520)는 주사기(100)가 주사바늘(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에 이동 지지부(510)의 경사면을 따라서 회전된다. 이동 대응부(520)는 주사기(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주사기(100)를 주사바늘(100)을 향해서 직선 이동되도록 하거나, 그 반대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필러(FILLER)가 혈관에 주입되었을 때에 시술자가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끝 단을 혈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주사기(100)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이동부(500)에 의해서 그 주사기(100)를 보조 바늘(200)에서 빼낼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효소가 배출되도록 주사기에 힘을 가하면서 보조 바늘(200)로부터 주사기를 빼내야 하는 바, 주사기(100)를 가압하는 방향과 주사기(100)를 빼내야 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여서 시술자의 미세한 떨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부(500)는 손가락으로 주사기(100)를 가압하면서 손목을 비트는 것만으로 주사기(100)를 빼낼 수 있다.
더욱이, 시술자가 주사기(100)를 보조 바늘(200)로부터 직선으로 빼내는 것보다 주사기(100)를 회전시켜 직선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미세하게 주사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 예에서의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이동부(500)를 통해서 주사기(100)를 보조 바늘(200)로부터 안정적으로 빼낼 수 있는바, 분해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의 주사바늘(110)의 깊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떨림을 억제하여 주사바늘의 위치가 미세하게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는 이동부(500)의 지지부(510)와 이동 대응부(520)를 통해서 시술자가 분해 효소가 담긴 주사기(10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주사바늘(110)의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 필러(FILLER)가 주입된 혈관으로 더욱 정확하게 분해 효소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한 다른 일례에 따른 이동 지지부(510)는 고정부(400)의 주사기(100)를 향하는 한쪽에 주사기(100)의 표면을 감싸도록 하되, 내면에 나사골이 마련될 수 있고, 이동 대응부(520)는 이동 이동 지지부(510)에 삽입되는 주사기(100)의 표면에 나사골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부(500)는 또 다른 일례(미 도시)로, 정교한 구동이 가능한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서보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이 주사기(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나사결합하고, 회전축의 끝 단이 고정부(400)에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500)는 서버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나사 결합된 주사기(100)가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주사바늘(110)을 향하거나 그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주사기
110 : 주사바늘
200 : 보조 바늘
300 : 약물 배출부
320 : 구멍
400 : 고정부
500 : 이동부
510 : 이동 지지부
520 : 이동 대응부

Claims (5)

  1. 주사기;
    주사바늘이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는 보조 바늘;
    보조 바늘의 측면에 보조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약물 배출부; 및
    주사기를 향하는 보조 바늘의 한쪽에 보조 바늘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된 고정부;
    를 포함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와 주사기 사이에 마련되어 주사바늘이 보조 바늘에서 빠지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부는
    고정부의 주사기를 향하는 한쪽에 경사지게 돌출되게 마련된 이동 지지부; 및
    고정부를 마주하는 주사기의 한쪽에 이동 지지부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마련된 이동 대응부;
    를 포함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4. 제2항에 있어서,
    이동부는
    고정부의 주사기를 향하는 한쪽에 주사기의 표면을 감싸도록 마련하되, 내면에 나사골이 마련된 이동 지지부; 및
    이동 지지부에 삽입되는 주사기의 표면에 마련하되, 나사골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마련된 이동 대응부;
    를 포함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 배출부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KR1020180016630A 2018-02-12 2018-02-12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KR20190097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30A KR20190097348A (ko) 2018-02-12 2018-02-12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30A KR20190097348A (ko) 2018-02-12 2018-02-12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48A true KR20190097348A (ko) 2019-08-21

Family

ID=6780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630A KR20190097348A (ko) 2018-02-12 2018-02-12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3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76B1 (ko) * 2020-05-08 2020-06-24 오해석 필러용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필러주입방법
KR102228499B1 (ko) * 2021-01-28 2021-03-16 (주)스피덴트 의료용 레진 배출이 가능한 실린지
KR102405915B1 (ko) * 2021-07-09 2022-06-08 오해석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KR102524999B1 (ko) * 2022-10-18 2023-04-24 이상진 복합 주사 바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76B1 (ko) * 2020-05-08 2020-06-24 오해석 필러용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필러주입방법
WO2021225216A1 (ko) * 2020-05-08 2021-11-11 Oh Hae Seok 필러용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필러주입방법
KR102228499B1 (ko) * 2021-01-28 2021-03-16 (주)스피덴트 의료용 레진 배출이 가능한 실린지
WO2022163942A1 (ko) * 2021-01-28 2022-08-04 (주)스피덴트 의료용 레진 배출이 가능한 실린지
KR102405915B1 (ko) * 2021-07-09 2022-06-08 오해석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KR102524999B1 (ko) * 2022-10-18 2023-04-24 이상진 복합 주사 바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7348A (ko)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US10238815B2 (en) Puncture assisting device and puncture device set
EP3020430B1 (en) Cannula for catgut-embedding therapy
RU2014131467A (ru) Неповреждающая канюля
JP3261450B2 (ja) カニューレ導入装置
US11097068B2 (en) Safety needle with deformable cannula for injector pen
KR100936051B1 (ko) 범용 카테터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AU2019302139B2 (en) Injection instrument set
KR101502555B1 (ko)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EP2514452B1 (en) Needle device
KR200386227Y1 (ko) 의료용 캐뉼라
CN211883978U (zh) 一种精准进针的神经阻滞针
WO2010026644A1 (ja) 医療用無痛注射針
JP2012020042A (ja) 皮下注射針
US20220001114A1 (en) Medical bevel needle
JP5532892B2 (ja) 針装置
WO2022071080A1 (ja) 医療器具
KR200395070Y1 (ko) 하이드로리포크라시아 시술용 바늘
US20220203045A1 (en) Hollow needle and pivotable hub system
CN109589159B (zh) 穿刺针及其穿刺装置
CN203252675U (zh) 浅静脉血管扎破针
CN104771209A (zh) 特种针灸v型内窥治疗器
KR200357603Y1 (ko) 메조테라피용 니들
JP2015080692A (ja) 医療用針および医療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