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915B1 -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915B1
KR102405915B1 KR1020210090178A KR20210090178A KR102405915B1 KR 102405915 B1 KR102405915 B1 KR 102405915B1 KR 1020210090178 A KR1020210090178 A KR 1020210090178A KR 20210090178 A KR20210090178 A KR 20210090178A KR 102405915 B1 KR102405915 B1 KR 10240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ube
injection tube
injec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해석
Original Assignee
오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해석 filed Critical 오해석
Priority to KR102021009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93Flashback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7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e.g. vein location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injection site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2Incorporating self-aspirating means, e.g. to provide flash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025/0166Sensors, electrod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a target zone, e.g. image guided or magnetically gui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3Using a bio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침선이 형성되고 필러 성분이 유동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 일측에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주입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입관이 피부조직 내에 혈관을 향하는 경우 상기 주입관 보다 먼저 상기 혈관을 침범하여 혈관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공이 구비된 검출관; 및 상기 주입관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을 지지하여 주사기 루어 팁과 체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NEEDLE FOR DETECTING BLOOD BACKFLOW AND FILLER SYRINGE USING THE SAME TO PREVENT INTRAVASCULAR FILLER INJECTION}
본 발명은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하조직층에 필러를 주입 시에 필러 주사기의 끝이 혈관 내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필러가 혈관 내 주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인체 피하 조직 내에 조직의 양이 부족하여 미용적인 목적으로 이를 채워야 할 때 인체의 조직을 대체하여 채워 주는 방법으로 필러 주사 요법이 도입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필러 성분은 매우 다양하나 현재 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cross-linked hyaluronic acids)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필러 시술은 수술적 치료와 비교하여 피부를 절개하지 않으며 최소침습적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흉터가 남지 않으며 부작용이 적고, 시술이 빠르고 간편하며 효과적이기 때문에 최근 시술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다만 필러 시술 시에 주사 바늘을 시술 부위의 피하조직 내에 삽입하여 주사하게 되는데 이때 바늘의 끝이 혈관내에 존재하게 되면 필러가 혈관 내에 주사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 경우 혈관을 따라 역류하는 필러에 의해 실명, 뇌졸증, 폐색전증, 피부괴사 등의 심각하며 되돌릴 수 없는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필러 시술 시 시술자가 필러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시술 부위에 삽입한 상태로 플런저를 후퇴하여 혈액 또는 체액이 흡인되는 것을 확인하는 흡인(aspiration) 방식으로 혈관 침투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주사기 끝을 한 위치에 고정한 채로 플런저를 후퇴하기 어려우며, 주사 바늘 내강에 필러가 차 있는 경우에는 필러 자체가 가진 높은 점성과 응집성으로 인해 플런저를 후퇴하여 흡인하는 압력으로는 필러가 이동하지 못해 흡인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가능 하더라도 느리게 이동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어 결국 혈관 침투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
결국 시술과정에서 의료인이 필러로 인한 혈관 막힘을 완벽하게 예방할 방법이 특별히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이로 인해 염증과 같은 부작용뿐만 아니라 피부괴사, 심지어는 실명이나 뇌손상 같은 매우 중증의 합병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필러의 혈관 내 주입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개발이 시급하다.
국내특허 제10-1680657호는 필러 시술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주사기 형태의 필러 시술용 도구에 있어서 피부조직에 안전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선단이 만곡된 면으로 폐쇄된 모세관체를 포함하며, 피부 조직에 니들이 삽입 시 함께 함입되어 피하에 일정기간 잔존하는 매선을 포함하여 필러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나, 결국 피부 내에 필러 성분 이외에 매선과 같은 이물질이 함께 삽입되기 때문에 이 물질에 의한 염증 반응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매선이 혈관을 침범할 우려도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조직 내에 필러 성분을 주사하는 경우 주사 바늘의 침선이 혈관에 침투되는 경우 이를 즉시로 확인하여 보다 안전한 위치에 주사 바늘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러 시술의 안전성과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필러의 혈관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포함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필러성분을 피부 조직에 주입할 수 있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은 일단에 침선이 형성되고 필러 성분이 유동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 일측에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주입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입관이 피부조직 내에 혈관을 향하는 경우 상기 주입관 보다 먼저 상기 혈관을 침범하여 혈관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공이 구비된 검출관; 및
상기 주입관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을 지지하여 주사기 루어 팁과 체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주입관은 침선의 일부에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주입관과 상기 검출관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1]
D1 > D2
여기서, D1은 상기 주입관의 직경이고, D2는 상기 검출관의 직경이다.
4. 상기 3 구체예에서, 상기 주입관은 25G 또는 27G이고, 상기 검출관은 34G이상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유출공은 원주가 타원이 되도록 면취될 수 있다.
6. 상기 5구체예에서, 상기 유출공 끝단 부위에 접하는 상기 주입관 외주면에 혈액 마커가 구비될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탈착 가능한 검출관을 포함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은 일단에 침선이 형성되고 필러 성분이 유동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에 체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주입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침선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주입관 외주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고리가 구비되며, 혈관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공이 구비된 검출관; 및
상기 주입관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을 지지하여 주사기 루어 팁과 체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8. 상기 7 구체예에서, 상기 유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이동하며 연성을 가지는 튜브; 및 상기 튜브 일단에 연결되며, 주사기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변화시키는 배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9. 상기 7 또는 8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침선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며, 고정판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판이 상기 침선과 같은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10. 상기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체결고리는 일부가 개방되며 상기 주입관이 유입될 수 있는 삽입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러 시술용 주사기는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일단에 루어 팁이 구비되어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에 체결되며, 내부에 필러 성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루멘; 및
상기 루멘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은 필러 시술 시 주사바늘의 침선이 혈관을 침범하여 혈액이 역류되는 경우 이를 즉시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필러 성분이 혈관 내로 주입되지 않도록 주사바늘의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러 시술의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은 혈관 침범시 혈액의 유출만으로 혈관 침투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필러 시술의 안전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은 검출관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필러 시술용 주사기 전체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혈관 침입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별도의 혈액 이송 구성 및 감지 장치 없이 혈액의 흐름에 따른 물리적 효과만으로 주사바늘의 혈관 침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필러 시술의 편의성 또한 크게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에 혈액 펌프용 배럴이 추가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피부조직 침투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혈관 침투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에 혈액 펌프용 배럴이 추가되는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은 주입관(100), 검출관(200) 및 커넥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관(100)은 일단에 침선(Bevel; 110)이 형성되고 필러 성분(530)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침선(110)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관(100)은 피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관(100)은 침선(110)의 일부에 단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111)에 상기 검출관(200)이 면접되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입관(100)의 일측에 상기 검출관(200)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침선(110)의 일부가 상기 검출관(200)과 면접하여 날카로운 선단부가 일부분 잘린 단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주입관(100)은 상기 단부(11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주입관(100)의 단부(111)만으로는 조직 및 혈관을 침투하기 어려워지며 상기 검출관(200)이 이어져 배치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검출관(200)의 선단부(210)가 상기 주입관(100) 보다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검출관(200)의 직경이 상기 주입관(100)의 직경보다 작아서 검출관(200)의 침선(211) 부분이 일부 잘린 상기 주입관(100) 침선의 선단부를 대신하게 되며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은 피부조직을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침습할 수 있다.
상기 검출관(200)은 선단부(210)의 날카로운 침선(211)이 형성되어 먼저 피부조직을 침습하기 때문에 상기 주입관(100)이 보다 용이하게 목표로 하는 피부조직의 위치까지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입관(100)은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을 통하여 필러 성분(530)이 유동하며, 가압에 따라 상기 주입관(100)이 위치된 피부조직 내부로 상기 필러 성분(5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필러 성분(530)은 히알루론산(HA)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히알루론산은 점성과 응집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주입관(100)은 필러 성분(530)으로 인하여 폐쇄되기 때문에 상기 주입관(100)이 피부조직 내에 혈관을 침투하는 경우에도 상기 주입관(100) 내부로 혈액 또는 체액이 역류되어 유출되기 매우 어렵다.
상기 검출관(200)은 상기 주입관(100) 일측에 배치되며, 선단부(210)가 상기 주입관(1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검출관(200)이 상기 주입관(100) 일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주입관(100)이 침투되는 피부조직 위치에 상기 검출관(200) 또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관(200)은 중공으로 선단부(210)에 침선(211)이 형성되며, 상기 검출관(200)의 침선(211)은 상기 주입관(100)의 침선(110)의 배치 방향과 일치하여 동일한 사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선단부(210)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주입관(100)이 피부조직 내에서 혈관을 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주입관(100) 보다 먼저 상기 선단부(210)가 피부조직 내의 혈관을 침범할 수 있다.
상기 검출관(200)의 선단부(210)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침선(211)이 구비되며, 상기 침선은(211)은 상기 주입관(100)의 침선(110)보다 직경이 작고 침선(211)이 상기 주입관(100)의 일부가 잘린 침선(110)의 날카로운 선단부를 대신하기 때문에 상기 검출관(200)은 피부조직에 용이하게 침습하고 상기 주입관(100)은 상기 검출관(200)이 침습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따로 조직을 침습하지 않아 안전하고 검출의 효과가 증대되며, 이를 통해 상기 검출관(200) 전방의 혈관을 침투하는 경우 가장 먼저 효과적으로 혈액 역류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검출관(200)이 혈관에 침투되는 경우 혈관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혈액 또는 체액이 상기 검출관(200) 내부 중공을 따라 빠르게 유동한다.
상기 주입관(100)은 필러 성분(53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관(200) 먼저 혈관에 도달하기 때문에 혈관에서 유동하는 혈액 또는 체액이 상기 주입관(100) 아닌 상기 검출관(200)을 따라서 매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검출관(200)은 타단에 유출공(23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출공(230)은 상기 검출관(200)이 상기 혈관을 침범하여 혈관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검출관(2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입관(100)과 상기 검출관(200)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학식 1]
D1 > D2
여기서, D1은 상기 주입관(100)의 직경이고, D2는 상기 검출관(200)의 직경이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주입관(100)과 검출관(200)의 직경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검출관(200)이 피부조직 내 혈관으로 침투되는 경우 혈관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혈관 내부의 유체가 효과적으로 상기 검출관(20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주입관(100)과 상기 검출관(200)이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에는 검출관(200)의 직경이 더 작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검출관(200)을 통하여 혈액 내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검출관(200)의 직경이 상기 주입관(100)의 직경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관(200)이 배치되는 피부조직이나 혈관을 불필요하게 손상시키게 되며 직경이 큰 바늘로 조직을 침투하게 되면 혈액 또는 체액이 대부분의 경우 나오게 되므로 검출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입관(100)은 25G 또는 27G이고, 상기 검출관(200)은 34G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G는 주사바늘의 치수 단위(Gauge)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관(100)과 검출관(200)의 직경(Diameter)를 의미한다.
상기 주입관(100)이 25G(바깥쪽 지름:0.5mm) 또는 27G(바깥쪽 지름:0.4mm)인 경우 상기 주입관(100)이 피부 아래 피부조직 내에 필러 성분(530)을 효과적으로 유입시켜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검출관(200)은 34G(바깥쪽 지름 0.16mm이하) 이상으로 선택하여 상기 검출관(200)이 상기 주입관(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관(100)이 25G 또는 27G인 경우에는 상기 종류의 주사바늘이 필러 시술에 가장 다수로 사용되지 때문에 필러 시술 시 주사기 및 필러 성분(530)에 대한 적응성과 범용성이 높으며, 상기 검출관(200)이 34G이상으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검출관(200)이 상기 주입관(100)의 직경 대비 충분하게 작아서 혈관을 침범하는 경우에도 혈관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혈관 내의 유체를 효과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출공(230)은 원주가 타원이 되도록 면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출공(230)은 일단이 상기 주입관(100)의 외주면과 수직을 이루지 않으며, 단면이 타원이 되도록 면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관(200)이 피부조직 내의 혈관을 침범하는 경우 혈관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상기 유출공(230)을 통해서 배출될 때 상기 유출공(230) 주위에서 표면장력이 감소되어 상기 유출공(230) 외부로 상기 유체가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출공(230) 끝단 부위에 접하는 상기 주입관(100) 외주면에 혈액 마커(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혈액 마커(120)는 혈액 또는 혈관에서 배출되는 혈액을 포함하는 체액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미량의 혈액이 유출되어 상기 혈액 마커 상에 분산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루미놀(luminol) 반응 시약이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마커(120) 루미놀을 포함하는 경우 간단한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유출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검출관(200)의 일단에 유출공(230)이 타원으로 형성되어 유출되는 검출관(200)을 따라 유출되는 혈액 또는 체액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유출공(230)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혈액 마커가 유출공(230) 끝단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혈관에서 매우 소량의 혈액 또는 체액이 유출되는 경우에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주입관(100)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100)을 지지하여 주사기 루어 팁과 체결된다.
상기 커넥터(300)가 구비되어 상기 주입관(100)이 배럴을 포함하는 주사기와 주사기 루어 팁을 통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주입관(100)에 체결가능한 분리형 검출관(200)이 구비된 검출용 주사바늘에 관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은 주입관(100), 검출관(400) 및 커넥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관(100)은 일단에 침선(110)이 형성되고 필러 성분(530)이 유동한다.
상기 검출관(400)은 상기 주입관(100)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10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관(400)은 선단부(410)가 상기 주입관(10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단부(410)에는 상기 침선(110)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관(400)에 상기 고정부(42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입관(100)의 침선(110)의 일단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침선(110)의 일부를 덮는 형태의 판(Plate)으로 구비되며, 상기 침선(110)과 동일한 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주입관(100)의 침선(110)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검출관(200) 타단에 체결고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고리(430)는 상기 주입관(100) 외주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체결고리(430)는 일부가 개방되며 상기 주입관(100)이 유입될 수 있는 삽입가이드(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431)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고리(430)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입관(100)의 외주면에 체결고리(43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이후 상기 체결고리(430) 내주면에 상기 검출관(200)의 외주면이 면접하게 되며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기 검출관(400)이 상기 주입관(10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고리(430)는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주입관(100)이 유입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나, 원형태의 고리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고리(430)에 상기 주입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가능하며, 상기 체결고리(430)는 상기 검출관(400)의 일단이 상기 주입관(10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검출관(400)이 분리되어 상기 주입관(100)에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검출관(400)에 고정부(420) 및 체결고리(4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입관(100)을 기존의 필러 시술용 주사바늘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서 역류 검출의 범용성이 증가하고, 필러 시술 편의성 또한 크게 증가된다.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주입관(100)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100)을 지지하여 주사기 루어 팁(미도시)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0)가 구비되어 상기 주입관(100)은 루어 팁을 가지는 주사기와 연결되고, 상기 주사기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필러 성분(530)이 상기 주입관(100)을 통해 피부조직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관(100)에 체결가능한 분리형 검출관(200)이 구비된 검출용 주사바늘은 튜브(600)와 배럴(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튜브(600)는 상기 검출관(400) 일단에 형성된 유출공(440)에 연결된다.
상기 튜브(600)는 상기 검출관(400)이 혈관을 침투하는 경우에 유출되는 혈액 또는 체액과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배럴(700)을 필러 시술용 주사기(500)의 일측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튜브(600)가 구비되어 상기 검출관(400) 사용 편의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배럴(700)은 상기 튜브(600)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주사기(50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럴(700)은 배럴케이스(710)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배럴플런저(720)를 구비하여, 상기 배럴플런저(720)가 후퇴하면 상기 튜브(600) 내의 압력을 낮추게 되고, 상기 검출관(400)이 혈관을 침범하였을 경우 보다 신속하게 혈관에서 혈액 또는 체액을 유출 및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럴(700)은 펌프와 같이 압력을 강하시켜 상기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럴(7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검출관(400)은 흡인(aspiration) 효과가 증가되어 보다 정확하게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의 주입관(100)이 피부조직 내의 혈관을 침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럴(700)은 투명재질의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혈액 또는 체액이 유입되는 경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 체결밴드(730)가 구비되어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루멘 측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밴드(730)의 양단에 결합부(731a, 731b)가 벨크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배럴(700)을 매우 용이하게 필러 시술용 주사기(500)의 루멘(510) 측면에 고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나, 상기 배럴(700)을 필러 시술용 주사기 측면에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을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러 시술용 주사기는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과 루멘(510) 및 플런저(520)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은 일단에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루멘(510) 팁에 체결되는 커넥터(300)를 구비하여 상기 루멘(510)과 체결된다.
상기 루멘(510)은 일단에 루어 팁(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에 체결되며, 내부에 필러 성분(530)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루멘(510)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부에 필러 성분(530)을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520)가 루멘(510)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필러 성분(530)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면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플런저(520)는 상기 루멘(510)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루멘(510) 내부에 충전된 필러 성분(530)을 가압하고,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의 주입관(100)을 통해 필러 시술이 필요한 피부조직 내로 상기 필러 성분(530)을 정량으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필러 시술용 주사기는 필러 시술 시 혈관 침범 여부를 즉시로 확인할 수 있어서 필러 시술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단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을 통하여 시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술의 편의성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을 구비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피부조직 침투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의 혈관 침투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필러 성분이 충전된 필러 시술용 주사기(500)를 시술 대상 부위에 위치시킨 후 피부로 침투시켜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이 피부조직 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의 검출관(200)이 먼저 피부조직 내로 침습하기 때문에 주입관(100)만으로 구비된 필러 시술용 주사기 보다 혈관 내 침범 여부를 매우 효과적으로 알 수 있어 혈관 내 주입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의 주입관(100)이 피부조직 내에 정상적인 위치에 배치되면 플런저(520)를 가압하여 주사기 내의 필러 성분(530)이 주입관(100)을 따라 피부조직(T) 내로 유입되고 수복 대상 피부조직을 복구한다.
상기 검출관(200)은 피부조직(T) 내에 배치되나, 혈관(V)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혈액 또는 체액이 전혀 유출되지 않는다.
시술자는 유출공(230)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즉시로 혈관 침입 여부를 판별하여 필러 시술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며, 시술의 편의성 또한 증가된다.
한편 상기 검출관(200)이 상기 주입관(100) 보다 전방을 항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주입관(100)은 필러가 채워져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검출관(200) 직경이 주입관(100)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이 혈관(V)을 침범하는 경우에는 혈관 내의 압력에 의해 혈액(B)이 매우 빠르게 상기 검출관(200)을 통하여 유출된다.
유출된 혈액(B)은 유출공(230) 끝에 도달하게 되고, 유출공(230)에서 혈액(B)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입관(100)이 혈관(V)을 침범하였거나, 침범할 우려가 있는 것을 즉시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을 후퇴시켜 제거하고, 새로운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1000)을 필러 성분이 충전된 필러 시술용 주사기(500)와 다시 체결하고, 혈관(V)이 배치된 지점을 우회하여 다시 주입관(100)을 피부 조직 내로 유입시킨다.
상기 유출공(230)에 더 이상 혈액(B)이 유출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혈관(V)을 피해서 피하조직에 도달한 것을 판단하여 필러 성분을 피부조직 내로 안전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은 필러 시술의 가장 큰 문제점인 혈관 침범 및 혈관 내 필러 주입으로 인한 실명, 뇌졸중, 피부괴사 등 매우 심각하고 돌이킬 수 없는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필러 시술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혈액 유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흡인(Aspiration)과 같은 불완전한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시술자와 환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고가의 혈관 탐지 장치가 아닌 주입관과 검출관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혈관 압력에 따라 물리적 유출되는 혈액을 혈관 침범 표시자로 이용하기 때문에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의 효용성이 매우 높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100 : 주입관 110 : 침선
111 : 단부 120 : 혈액 마커
200 : 검출관 210 : 선단부
211 : 침선 230 : 유출공
300 : 커넥터 400 : 분리형 검출관
410 : 침선 420 :고정부
430 : 체결고리 431 : 체결가이드
440 : 유출공 500 : 필러 시술용 주사기
510 : 루멘 520 : 플런저
530 : 필러 성분 600 : 튜브
700 : 배럴 710 : 배럴 케이스
720 : 배럴 플런저 730 : 체결밴드
731a 731b : 결합부
T : 피부조직 B : 혈액
V : 혈관

Claims (11)

  1. 일단에 침선이 형성되고 필러 성분이 유동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 일측에 배치되며, 선단부가 상기 주입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입관이 피부조직 내에 혈관을 향하는 경우 상기 주입관 보다 먼저 상기 혈관을 침범하여 혈관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공이 구비된 검출관; 및
    상기 주입관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을 지지하여 주사기 루어 팁과 체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공은 원주가 타원이 되도록 면취되어, 상기 유체의 유출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침선의 일부에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과 상기 검출관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수학식 1]
    D1 > D2
    여기서, D1은 상기 주입관의 직경이고, D2는 상기 검출관의 직경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25G 또는 27G이고, 상기 검출관은 34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 끝단 부위에 접하는 상기 주입관 외주면에 혈액 마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 바늘.
  7. 일단에 침선이 형성되고 필러 성분이 유동하는 주입관;
    상기 주입관 일측에서 상기 주입관에 체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주입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침선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가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주입관 외주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고리가 구비되며, 혈관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공이 형성된 검출관; 및
    상기 주입관을 지지하여 주사기 루어 팁과 체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공은 원주가 타원이 되도록 면취되어, 상기 유체의 유출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 이동하며 연성을 가지는 튜브; 및 상기 튜브 일단에 연결되며, 주사기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변화시키는 배럴;을 더 포함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침선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며, 고정판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판이 상기 침선과 같은 평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리는 일부가 개방되며 상기 주입관이 유입될 수 있는 삽입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11.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일단에 루어 팁이 구비되어 상기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에 체결되며, 내부에 필러 성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루멘; 및
    상기 루멘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필러 시술용 주사기.
KR1020210090178A 2021-07-09 2021-07-09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KR10240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78A KR102405915B1 (ko) 2021-07-09 2021-07-09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78A KR102405915B1 (ko) 2021-07-09 2021-07-09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915B1 true KR102405915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178A KR102405915B1 (ko) 2021-07-09 2021-07-09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9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333Y1 (ko) * 2001-08-31 2001-12-24 유원식 혈관 주사용 바늘 어셈블리
JP2011125389A (ja) * 2009-12-15 2011-06-30 Terumo Corp 留置針
KR20170088365A (ko) * 2014-11-14 2017-08-01 닥터 조지아 리 피티이. 엘티디. 의료 장치
KR20190097348A (ko) * 2018-02-12 2019-08-21 이치학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KR102125976B1 (ko) * 2020-05-08 2020-06-24 오해석 필러용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필러주입방법
US20200353222A1 (en) * 2019-05-08 2020-11-12 Bard Access Systems, Inc. Conductance Based Digital Blood Flash Indicator Device
KR20210009829A (ko) * 2019-07-18 2021-01-27 한국기계연구원 혈관 주입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캐뉼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333Y1 (ko) * 2001-08-31 2001-12-24 유원식 혈관 주사용 바늘 어셈블리
JP2011125389A (ja) * 2009-12-15 2011-06-30 Terumo Corp 留置針
KR20170088365A (ko) * 2014-11-14 2017-08-01 닥터 조지아 리 피티이. 엘티디. 의료 장치
KR20190097348A (ko) * 2018-02-12 2019-08-21 이치학 약물의 주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주사기
US20200353222A1 (en) * 2019-05-08 2020-11-12 Bard Access Systems, Inc. Conductance Based Digital Blood Flash Indicator Device
KR20210009829A (ko) * 2019-07-18 2021-01-27 한국기계연구원 혈관 주입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캐뉼라
KR102125976B1 (ko) * 2020-05-08 2020-06-24 오해석 필러용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필러주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99981B2 (en) Safety catheter system and method
US7465294B1 (en) Retractable hypodermic needle
US4699612A (en) Infusion needle
CA2553326A1 (en) Valved catheter to bypass connector
US6524284B1 (en) Medical injection patch
IL132792A (en) Disposable syringe needle attachment hub
US2003012020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clerotherapy
KR102405915B1 (ko) 필러의 혈관 내 주입 방지를 위한 역류 검출용 주사바늘 및 이를 이용한 필러 시술용 주사기
EP3877022A1 (en) Therapeutic infusion needle
KR20210048662A (ko) 주사기
KR102125976B1 (ko) 필러용 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필러주입방법
US20060106339A1 (en) Medical device
CA2507516A1 (en) Improvement of intra-venous (i.v.) blood catheter for subcutaneous infusion of liquids and/or drugs
WO2022138740A1 (ja) 医療器具および医療器具セット
CN112384269A (zh) 注入器具组件
US20230248899A1 (en) Medical Delivery Assembly With Multi-Port Needle
EP3661575B1 (en) Enhanced needle
CN210301105U (zh) 一种急诊内科用止血装置
CN217886134U (zh) 介入溶栓治疗灌注装置
KR102370061B1 (ko) 수액주사용 카테터
JP7301072B2 (ja) 流体物質を注入するための、および流体物質の注入前に注入部位の監視を可能するための注入ヘッド、ならびにそのようなヘッドを備えた注射器
WO2016101069A1 (en) Multiple needle assembly
KR20230017692A (ko) 무저항 주사기
WO2024042432A1 (en) Accessory for injection device
CN115212390A (zh) 一种具有监测静脉压力的医疗液体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