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042A - 수중유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042A
KR20190097042A KR1020197017548A KR20197017548A KR20190097042A KR 20190097042 A KR20190097042 A KR 20190097042A KR 1020197017548 A KR1020197017548 A KR 1020197017548A KR 20197017548 A KR20197017548 A KR 20197017548A KR 20190097042 A KR20190097042 A KR 20190097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acid
composition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야 우치야마
노리코 다이도구치
가즈아키 스즈키
유스케 야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9009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0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성분(A): 0.1질량%∼5질량%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성분(B): 0.02질량%보다 크고 0.5질량% 미만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성분(C): 0.5질량%∼6질량%의 고급 알코올과, 성분(D): 2mmol/100g∼30mmol/100g의 유기산 및/또는 그 염 및/혹은 유도체를 함유하고, 성분(A)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조성물
본 발명은 수중유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적용 가능한 수중유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지방산 부분이 탄소수 14∼18의 직쇄 포화 지방산을 유래로 하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소르비탄 0.2∼5.0질량%와, N-아실메틸타우린염, 아실글루탐산염, 아실락트산염 및 지방산 비누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I.O.B값 1.6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탄소수 14∼22의 비분기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0.2∼6.0질량%와, 글리세린모노알킬에스테르,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소르비탄모노알킬에스테르, 소르비탄모노알킬에스테르, 스테롤류 및 분기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3.0질량% 이하와, 0.1∼3.0질량%의 유기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수중에서 α-겔을 형성하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고급 지방족 알코올을 사용한 O/W 유화 조성물에 대해 유화 입자 직경이 미세한 O/W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0.02질량%의 시트르산 및 0.08질량%의 시트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당해 O/W 유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88129호 WO 2013/061712 A1
상기 각 특허문헌의 내용은 인용으로 본 명세서에 도입하여 기재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의 분석은 본 발명의 시점에서 제공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윤기나는 사용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의해, 윤기나는 사용감과는 상이한 사용감, 예를 들면, 「탱탱함」, 「촉촉함」 및 「흡수력이 좋음」과 같은 사용감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급 알코올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조성물에 유기산(염 및 유도체 포함)의 약제를 첨가하면 유화 입자가 합일화되어 안정적인 유화물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당해 약제의 첨가량이 적은 경우에는 약제에 의한 유화 안정성에 대한 악영향은 작지만, 약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당해 약제의 첨가량을 많게 하면 약제에 의한 유화 안정성에 대한 악영향은 커진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감을 가짐과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를 함유해도 높은 유화 안정성을 갖는 수중유형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시점에 의하면, 성분(A): 0.1질량%∼5질량%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성분(B): 0.02질량%보다 크고 0.5질량% 미만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성분(C): 0.5질량%∼6질량%의 고급 알코올과, 성분(D): 2mmol/100g∼30mmol/100g의 유기산 및/또는 그 염 및/혹은 유도체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조성물이 제공된다. 성분(A)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사용자는 「탱탱함」, 「촉촉함」 및 「흡수력이 좋음」과 같은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기산 등의 약제를 함유하는 경우여도 높은 유화 안정성을 갖고 있다.
상기 각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A)의 HLB는 9 이상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B)는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글루탐산염 및 인산에스테르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C)는 탄소수 14∼22의 직쇄상 포화 알킬기를 갖는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D)는 시트르산, 4-메톡시살리실산, L-아스코르브산, 코직산 및/혹은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및/또는 이들의 염 및/혹은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조성물은 성분(E): 0.2질량%∼1질량%의 증점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E)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혹은 그 염의 호모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조성물은 성분(F): 0.1질량%∼2질량%의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HLB는 2∼5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F)는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및/또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B)의 질량을 성분(A) 및 성분(F)의 합계 질량으로 나눈 값이 0.003∼0.3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A)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를 포함한다.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에서의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40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성분(A)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에서의 폴리알킬렌글리콜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25∼55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미만이다.
상기 제1 시점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조성물은 8∼22의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유형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화장료, 피부 외용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POE는 폴리옥시에틸렌, POP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약어이다. POE 또는 POP 뒤의 괄호 안의 숫자는 당해 화합물 중에서의 POE기 또는 POP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PEG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약어이다. PEG 뒤의 괄호 안의 숫자는 당해 화합물 중에서의 PEG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B)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C) 고급 알코올과, (D) 유기산 및/또는 그 염 및/혹은 유도체를 함유한다.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성분(A)의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는 9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탱탱함」, 「촉촉함」 및 「흡수력이 좋음」과 같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탱탱함이란 보습제에 기초하는 윤기나는 감각과 도포막의 오클루전 효과에 의한 피부에 수분이 유지되어 있는 듯한 감각을 말한다. 흡수력이 좋음이란, 피부 위에서 미끈미끈함이 지속되지 않고, 빠르게 흡수되어(겔졸 전이점이 빨리 나타남) 바로 피부에 스며드는 감촉을 말한다.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1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40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이 범위에 있으면, 유화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시판품의 예로는 NIKKOL(등록상표) BB-20, BB-30 등(닛코 케미컬즈사)을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25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55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4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이 범위에 있으면, 유화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의 시판품의 예로는 NIKKOL(등록상표) MYS-40V, MYS-55V 등(닛코 케미컬즈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HLB가 9 이상인 다른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POE(2)라우릴에테르, POE(4.2)라우릴에테르, POE(9)라우릴에테르, POE(5.5)세틸에테르, POE(7)세틸에테르, POE(10)세틸에테르, POE(15)세틸에테르, POE(20)세틸에테르, POE(23)세틸에테르, POE(4)스테아릴에테르, POE(20)스테아릴에테르, POE(7)올레일에테르, POE(10)올레일에테르, POE(15)올레일에테르, POE(20)올레일에테르, POE(50)올레일에테르, POE(10)베헤닐에테르, POE(20)베헤닐에테르, POE(30)베헤닐에테르, POE(2)(C12-15)알킬에테르, POE(4)(C12-15)알킬에테르, POE(10)(C12-15)알킬에테르, POE(5) 2급 알킬에테르, POE(7) 2급 알킬에테르, POE(9)알킬에테르, POE(12)알킬에테르 등의 POE 알킬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다른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POE(1)폴리옥시프로필렌(POP)(4)세틸에테르, POE(10)POP(4)세틸에테르, POE(20)POP(8)세틸에테르, POE(20)POP(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30)POP(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다른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이하, PEG로 약칭함)(10), 모노스테아르산 PEG(10), 모노스테아르산 PEG(25), 모노스테아르산 PEG(40), 모노스테아르산 PEG(45), 모노스테아르산 PEG(55), 모노스테아르산 PEG(100), 모노올레산 PEG(10), 디스테아르산 PEG, 디이소스테아르산 PEG 등의 PEG 지방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다른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모노라우르산헥사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헥사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헥사글리세릴, 모노올레산헥사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데카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모노올레산데카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다른 친수성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POE)(5)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 POE(15)글리세릴, 모노올레산 POE(5)글리세릴, 모노올레산 POE(15)글리세릴 등의 POE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다른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이소스테아르산 PEG(8)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1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15)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2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25)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 글리세릴(30), 이소스테아르산 PEG(4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5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 PEG(60)글리세릴 등의 이소스테아르산 POE 글리세릴류를 들 수 있다.
성분(A)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4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A)가 0.1질량% 미만이면, 유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유화시킬 수 없다. 성분(A)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5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2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1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A)가 5질량%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악화되어 끈적이게 된다.
[(B)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황산나트륨 등); N-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아미드설폰산염(예를 들면,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세틸인산칼륨 등); 설포석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설포석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석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석신산나트륨 등); 알킬벤젠설폰산염(예를 들면,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 도데실벤젠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 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 N-아실글루탐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탐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드유 등);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고급 지방산에스테르설폰산염; 2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석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르트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면,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글루탐산염 및 인산에스테르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염, 라우로일메틸타우린염,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염,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린염,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염,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염, 세틸인산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후술하는 유기산 등의 성분(D)를 첨가해도 안정적인 유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성분(B)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02질량보다 많으면 바람직하고, 0.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04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B)가 0.02질량% 이하이면, 성분(D)의 함유율이 높을 때 안정적인 유화 상태를 얻을 수 없다. 성분(B)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5질량% 미만이면 바람직하고, 0.4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며, 0.3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1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B)가 0.5질량% 이상이면 피부에 대한 도포시에 미끈미끈함이 지속된다.
[(C) 고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직쇄 알코올(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 분기쇄 알코올(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카놀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특히 직쇄 포화 알킬기를 갖는 탄소수 14∼22의 고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테아릴알코올 및/또는 베헤닐알코올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급 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성분(C)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5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질량%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C)가 0.5질량% 미만이면,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없다. 성분(C)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6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C)가 6질량%를 초과하면 경도가 높아져, 사용감이 악화된다.
[(D) 유기산 및/또는 그 염 및/혹은 유도체]
성분(D)는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질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조성물에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기산이란 카르복실기를 갖고, 전리하여 수소 이온을 발생시키는 유기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에는 아미노산이나 그 유연체도 포함된다. 성분(D)로는 예를 들면, 시트르산, 4-메톡시살리실산, L-아스코르브산, 코직산, 카르노신, 트라넥삼산 및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및 이들의 염 및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로 할 수 있다.
성분(D)는 조성물 100g에 대해, 2×10-3mol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4×10-3mol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6×10-3mol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D)가 2×10-3mol 미만이면, 성분(D)에 기초하는 효과가 저하된다. 성분(D)는 조성물 100g에 대해, 3×10-2mol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2.5×10-2mol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10-2mol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D)가 3×10-2mol을 초과하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된다.
[(E) 증점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E)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타우레이트계 합성 고분자 및/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우레이트계 고분자계 증점제로는 2-아크릴아미드-2-프로판설폰산(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 또는 그 염(AMPS 구조)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가교 중합체 포함)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크로스폴리머(Aristoflex(등록상표) HMB, 클라리언트 재팬사),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비닐피롤리돈) 코폴리머(Aristoflex(등록상표) AVC, 클라리언트 재팬사),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아크릴산카르복실에틸)크로스폴리머(Aristoflex(등록상표) TAC, 클라리언트 재팬사),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11(Aristoflex(등록상표) Velvet, 클라리언트 재팬사), (디메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크로스폴리머,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코폴리머(SEPINOV EMT10 피노브, SEPPIC사), (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디메틸아크릴아미드)크로스폴리머(SEPINOV P88, SEPPIC사), (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코폴리머(SIMULGEL EG, SEPPIC사),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메타크릴아미드라우르산) 코폴리머(AMO-51, 다이토 화성공업사) 및 (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아크릴산) 코폴리머(아큐다인 SCP, 다우 케미컬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계 합성 고분자계 증점제로는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0) 공중합체(ACULYN(등록상표) 22, 다우 케미컬사),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PEMULEN(등록상표) TR-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캐롭검, 퀸스시드(마르멜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메틸에테르(PVM), PVP(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드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잔탄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비검), 라포나이트,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증점제의 함유율(총량)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2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함유율이 0.2질량% 미만이면 유화 안정성 및 사용감이 저하된다. 증점제의 함유율은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1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0.6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함유율이 1질량%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저하된다.
[(F)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F)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성분(F)의 HLB는 2∼5이면 바람직하다.
HLB 2∼5의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POE(2) 스테아릴에테르,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미리스트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모노올레산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헥사글리세릴, 펜타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펜타이소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펜타올레산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헥사스테아르산 POE(6) 소르비트, POE(3) 피마자유, 모노스테아르산 PEG(2),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스테아르산 PEG(2)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성분(F)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및/또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이면 바람직하다. 성분(F)로는 예를 들면,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F)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0.1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성분(F)가 0.1질량% 미만이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된다. 성분(F)는 조성물의 질량에 대해, 2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성분(A) 및 성분(F)와 성분(B)의 질량비]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성분(A) 및 (F)에 의해 사용감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성분(B)에 의해 유화가 안정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감 및 유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질량비인 「성분(B)의 질량/(성분(A) 및 성분(F)의 합계 질량)」은 0.003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02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B)의 질량/(성분(A) 및 성분(F)의 합계 질량)」은 0.3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0.2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1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G) 기타]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수성 용매, 양쪽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분체,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유성 성분,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션, 실리콘 엘라스토머,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수성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물로는 화장료, 의약부외품 등에 사용되는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제수, 이온 교환수, 수돗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상은 목적에 따라 수용성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수용성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중합체,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 2가 알코올에테르에스테르,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당 알코올, 단당, 올리고당, 다당 및 이들의 유도체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2가 알코올(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 알코올(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 알코올(예를 들면, 1,2,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트리톨 등); 5가 알코올(예를 들면, 자일리톨 등); 6가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코올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에테르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콜, 바틸알코올 등); 당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자당, 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전분 분해당, 말토오스, 자일리토오스, 전분 분해당 환원 알코올 등); 글리솔리드;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E-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트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는 예를 들면, 삼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등), 사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오스, D-에리트룰로오스, D-트레오스, 에리트리톨 등), 오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오스, D-자일로오스, L-릭소오스, D-아라비노오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자일루로오스, L-자일루로오스 등), 육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오스, D-탈로오스, D-프시코오스, D-갈락토오스, D-프룩토오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 등), 칠탄당(예를 들면, 알도헵토오스, 헵툴로오스 등), 팔탄당(예를 들면, 옥툴로오스 등), 디옥시당(예를 들면, 2-디옥시-D-리보오스, 6-디옥시-L-갈락토오스, 6-디옥시-L-만노오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람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두론산 등)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면, 자당, 겐티아노오스, 움벨리페로오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α,α-트레할로오스, 라피노오스, 리크노오스류, 엄빌리신, 스타키오스, 베르바스코오스류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퀸스시드, 콘드로이틴 황산, 전분, 갈락탄, 데르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 트라가칸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잔탄검, 무코이틴황산,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석시노글루칸, 콜라닌산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글루캠 E-10),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글루캠 P-10)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쪽성 계면 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4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분체」는 「분말」과 동의이다. 분체는 화장료 용도 등,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말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탤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소성 운모, 소성 탤크,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유리,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애퍼타이트, 히드록시애퍼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 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 실크 파우더, 울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흑산화철, 카본 블랙, 저차 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탤크, 착색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코퍼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황산, 콜라닌산, 아텔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단쇄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 PO 부가물, 록스부르기 장미 추출물, 서양 톱풀 추출물, 메리롯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캐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조류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잔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유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합성 에스테르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체 유지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기름, 행도유, 소맥 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홍화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티오일, 비유, 쌀겨유, 중국 동유, 일본 동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는 예를 들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 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 왁스, 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백랍, 경랍, 몬탄 왁스, 쌀겨 왁스, 라놀린, 케이폭 왁스, 아세트산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 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 왁스,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리드, 피마자유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아세트글리세리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석신산 2-에틸헥실,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피막제로는 예를 들면, 음이온성 피막제(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틸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고중합체 등), 양이온성 피막제(예를 들면, 양이온화셀룰로오스,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중합체,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 비이온성 피막제(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아미드, 고분자 실리콘, 실리콘 레진,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등)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로 약칭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디모르폴리노피리다지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사나트륨염,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 3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면,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리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탐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멀션, 폴리아크릴산에틸 에멀션, 아크릴 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션,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션, 천연 고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 폴리머가 3차원적으로 가교된 가교형 실리콘이 포함된다. 실리콘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면,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비스-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알킬(C30-45)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면, 락트산-락트산나트륨, 시트르산-시트르산나트륨, 석신산-석신산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 조제로는 예를 들면,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케파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트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클로르페네신, 페녹시에탄올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태반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백, 황련, 자근, 작약, 쓴풀, 자작 나무, 세이지, 비파 나무,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 생강, 고추 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열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바닐아미드,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팅크,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황, 티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페인, 탄닌, 베라파밀,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감초, 모과, 노루발 등의 각종 생약 추출물,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시르레틴산, 글리시리진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 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직산 등의 미백제, 아르기닌, 라이신 등의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은 실온(RT)에서 5㎛ 미만이면 바람직하고, 3㎛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도는 8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도는 22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2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경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조성물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접촉하는 것만으로 조성물을 손가락에 취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촉촉함이 생김과 함께 도포시에 흡수력을 좋게 할 수 있다. 경도는 25℃의 레오미터(바늘 11.3φ, 하중 200g, 침입도 10.0㎜, 침입 속도 300㎜/min)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사용자는 피부에 도포했을 때 편안한 매끄러운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포 후에 사용자는 양호한 윤기를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유기산 등의 약제를 함유해도 안정적인 유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약제의 함유율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약제에 의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정 방법으로 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용성 성분을 용해시킨 유상을,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킨 수상에 첨가 교반함으로써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이하에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각 표에 나타내는 함유율의 단위는 질량%이다. 표에 기재된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성분(A), 성분(C), 성분(F) 등의 유용성 성분을 유성 성분(성분(G)의 일부)에 고온에서 용해시켜 유상을 제조하였다. 한편, 성분(B), 성분(D), 성분(E) 등의 수용성 성분을, 정제수 등의 수성 용매(성분(G)의 일부)에 고온에서 용해시켜 수상을 제조하였다. 다음에, 수상에 유상을 첨가 교반 후, 냉각하여 수중유형 조성물을 얻었다.
[사용감]
각 시험예의 조성물을 10명의 평가자의 피부에 도포하고, 「탱탱함」,「촉촉함」 및 「흡수력이 좋음」에 대해 상기를 실감할 수 있었던 평가자의 인원수에 의해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A: 10명
B: 7∼9명
C: 3∼6명
D: 0∼2명
사용감의 각 평가 항목에 대해 실감할 수 있었던 평가자의 평균 인원수를 산출하여, 이하의 기준을 기초로 총합 평가를 구하였다.
A: 8명 이상
B: 6∼7명
C: 4∼5명
D: 3명 이하
[유화성]
유화 직후의 조성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을 측정하고,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써 유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A: 3㎛ 이하
B: 3㎛보다 크고, 5㎛ 미만
C: 5㎛ 이상
[경도(11.3φ)]
상기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A: 10 이상 20 미만
B: 8 이상 10 미만 또는 20 이상 22 미만
C: 8 미만 또는 22 이상
[시험예 1∼3]
시험예 1∼3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및 평가를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예 1에서는 성분(2)의 (B)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높은 유화 안정성이 얻어졌다. 그러나, 시험예 2에서 유기산인 성분(5)의 (D) 피페리딘프로피온산의 함유율을 높게 하면, 유화성이 저하되었다. 이것은 성분(D)가 유화성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시험예 3에서 시험예 2의 조성물에 대해 성분(2)의 (B)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하면, 시험예 1과 같이 유화성을 높일 수 있었다. 조성물의 사용감도 시험예 1과 동등한 평가가 얻어졌다. 이로부터, 성분(D)에 의해 유화성이 저해되는 경우에는 성분(B)를 첨가함으로써, 유화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으로부터, 성분(B)의 함유율은 0.03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04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01
[시험예 4∼10]
시험예 4∼10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및 평가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4∼10에서는 성분(B)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을 변동시켰다.
시험예 4에서는 성분(B)를 0.5질량% 첨가하였다. 그 결과, 유화 안정성은 얻어졌지만, 탱탱함 및 흡수력의 좋음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성분(B)의 함유율을 저하시키면, 유화 안정성을 유지한 채로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로부터, 성분(B)의 함유율은 0.5질량% 미만이면 바람직하고, 0.4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3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2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0.1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B)의 함유율을 0.02질량%로 한 시험예 10에서는 성분(D)에 의한 유화 저하 작용 쪽이 강해져, 유화 상태가 불안정해졌다. 또한, 경도도 저하되었다. 이로부터, 성분(B)의 함유율은 0.02질량%보다 높으면 바람직하고, 0.03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시험예 11∼17]
시험예 11∼17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및 평가를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11∼15에서는 시험예 1∼10에서의 성분(D) 피페리딘프로피온산 대신에, 유기산의 염인 4-메톡시살리실산칼륨 및 시트르산 완충액을 첨가함과 함께, 4-메톡시살리실산칼륨의 함유율을 변화시켰다. 시험예 16 및 17에서는 성분(D)로서, 유기산 유도체인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를 첨가하였다. 성분(B)를 첨가하지 않은 시험예 12, 14 및 17에서는 유화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한편, 성분(B)를 함유하는 시험예 11, 13, 15 및 16에서는 유화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유기산뿐만 아니라 유기산의 염 및 유기산의 유도체여도 유화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기산의 염 및 유도체에 의해 유화성이 저하되는 경우여도 성분(B)를 첨가함으로써, 유화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10에서는 성분(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시험예 15에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시험예 15에서도 유화 안정성 및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성분(D)에 의한 유화성 저하에 대해,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도 유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ct00003
[시험예 18∼21]
시험예 18∼21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및 평가를 표 4에 나타낸다. 시험예 18∼21에서는 시험예 1∼10에서 사용한 피페리딘프로피온산 대신에, 다른 유기산으로서 카르노신 또는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시험예 11∼17과 동일하게 하여, 성분(B)를 첨가하지 않은 시험예 19 및 21에서는 유화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시험예 19에서는 경도도 저하되었다. 한편, 성분(B)를 함유하는 시험예 18 및 20에서는 유화 안정성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경도도 개선되었다. 이로부터, 다른 유기산이어도 유화성 및 경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기산에 의해 유화성이 저하되는 경우여도 성분(B)를 첨가함으로써, 유화성 및 경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ct00004
[시험예 22∼25]
시험예 22∼25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및 평가를 표 5에 나타낸다. 시험예 22∼24에서는 성분(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율을 변동시켰다. 시험예 22는 시험예 8과 동일하다. 어느 조성물에서도 양호한 유화성 및 경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성분(A)의 함유율은 적어도 0.4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성분(A)의 함유율은 적어도 0.7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시험예 25에서는 시험예 1∼24에서 사용한 성분(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는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의 길이가 상이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25에서도 시험예 7과 동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적어도 15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적어도 40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시험예 26∼27]
시험예 26∼27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및 평가를 표 6에 나타낸다. 시험예 1∼25에서는 성분(B)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N-아실메틸타우린염을 사용했지만, 시험예 26에서는 성분(B)로서 N-아실글루탐산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27에서는 인산 에스테르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26에서도 시험예 27에서도 원하는 유화성 및 경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성분(B)로서 N-아실메틸타우린염 뿐만 아니라, N-아실글루탐산염 및 인산에스테르염도 성분(D)에 의한 유화성 저하 및 경도 저하에 대해 유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ct00006
[시험예 28∼29]
시험예 28∼29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및 평가를 표 7에 나타낸다. 시험예 28∼29에서는 시험예 1∼17에 대해 성분(C) 고급 알코올의 함유율을 변동시켰다. 시험예 28 및 29에서도 원하는 유화성 및 경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성분(C)의 함유율은 0.5질량%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8질량%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C)의 함유율은 6질량%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4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7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의 처방예를 이하에 예시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의 적용예는 이하의 처방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자외선 차단 스킨 케어 크림(표 8)
Figure pct00008
처방예 2 핸드 크림(표 9)
Figure pct00009
처방예 3 안티 에이징 크림(표 10)
Figure pct00010
처방예 4 바디 크림(표 11)
Figure pct00011
처방예 5 미백 크림(표 12)
Figure pct00012
처방예 6 자외선 차단 스킨 케어 크림(표 13)
Figure pct00013
처방예 7 베이스 크림(표 14)
Figure pct00014
본 발명의 수중유형 조성물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 개시 요소(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요소를 포함함)에 대해 각종 변형, 변경 및 개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각 개시 요소의 다양한 조합·치환 내지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 목적 및 형태(변경 형태 포함)는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체 개시 사항으로부터도 명확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 범위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재가 없는 경우여도 당해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수치 내지 범위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는 피부 외용제 및/또는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성분(A): 0.1질량%∼5질량%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성분(B): 0.02질량%보다 크고 0.5질량% 미만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성분(C): 0.5질량%∼6질량%의 고급 알코올과,
    성분(D): 2mmol/100g∼30mmol/100g의 유기산 및/또는 그 염 및/혹은 유도체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A)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HLB는 9 이상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는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글루탐산염 및 인산에스테르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는 탄소수 14∼22의 직쇄상 포화 알킬기를 갖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D)는 시트르산, 4-메톡시살리실산, L-아스코르브산, 코직산 및/혹은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및/또는 이들의 염 및/혹은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E): 0.2질량%∼1질량%의 증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E)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혹은 그 염의 호모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F): 0.1질량%∼2질량%의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HLB는 2∼5인, 조성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F)는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및/또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의 질량을 상기 성분(A) 및 상기 성분(F)의 합계 질량으로 나눈 값이 0.003∼0.3인,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에서의 폴리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40인,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에서의 폴리알킬렌글리콜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25∼55인, 조성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미만인, 조성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8∼22의 경도를 갖는, 조성물.
KR1020197017548A 2016-12-16 2017-12-14 수중유형 조성물 KR20190097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4356 2016-12-16
JP2016244356 2016-12-16
JPJP-P-2017-178222 2017-09-15
JP2017178222A JP7412068B2 (ja) 2016-12-16 2017-09-15 水中油型組成物
PCT/JP2017/044957 WO2018110659A1 (ja) 2016-12-16 2017-12-14 水中油型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042A true KR20190097042A (ko) 2019-08-20

Family

ID=6255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548A KR20190097042A (ko) 2016-12-16 2017-12-14 수중유형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93712A1 (ko)
EP (1) EP3556343A4 (ko)
JP (1) JP7412068B2 (ko)
KR (1) KR20190097042A (ko)
CN (1) CN110049753A (ko)
TW (1) TWI771348B (ko)
WO (1) WO20181106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076A1 (ja) * 2018-07-30 2020-02-06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20202764A1 (ja) * 2019-04-05 2020-10-08 株式会社 資生堂 細胞賦活剤
DE102019212329A1 (de) * 2019-08-19 2021-02-25 Beiersdorf Ag Kosmetische O/W-Emulsion mit Succinoglucan und lipophilen UV-Filtersubstanzen
DE102019212327A1 (de) * 2019-08-19 2021-02-25 Beiersdorf Ag Kosmetische O/W-Emulsion mit Succinoglucan
JP2023519991A (ja) * 2020-03-31 2023-05-15 ロレアル スキンケアのための化粧用組成物
WO2021205902A1 (ja) * 2020-04-06 2021-10-14 株式会社 資生堂 ラメラゲル含有組成物、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7173624B2 (ja) * 2021-01-25 2022-11-16 東洋ビューティ株式会社 日焼け止め化粧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129A (ja) 2006-10-04 2008-04-17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13061712A1 (ja) 2011-10-24 2013-05-02 株式会社 資生堂 O/w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1154B2 (ja) * 1999-10-14 2005-08-10 株式会社資生堂 水溶性増粘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4968722B2 (ja) * 2006-09-22 2012-07-0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KR20100029000A (ko) * 2007-06-22 2010-03-1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피부 화장료
JP2009242326A (ja) 2008-03-31 2009-10-22 Shiseido Co Ltd 美白液状化粧料
JP2010229068A (ja) 2009-03-26 2010-10-1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5718010B2 (ja) * 2010-10-07 2015-05-1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083993B2 (ja) * 2010-11-26 2012-11-28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9186305B1 (en) * 2014-05-19 2015-11-17 Shiseido Company, Ltd. Sunscreen products in which excessive whiteness due to titanium dioxide and zinc oxide is visually masked upon skin application
WO2017043477A1 (ja) * 2015-09-09 2017-03-16 住友精化株式会社 水中油型化粧料及び日焼け止め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129A (ja) 2006-10-04 2008-04-17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13061712A1 (ja) 2011-10-24 2013-05-02 株式会社 資生堂 O/w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2068B2 (ja) 2024-01-12
JP2018100258A (ja) 2018-06-28
TW201834631A (zh) 2018-10-01
EP3556343A1 (en) 2019-10-23
US20200093712A1 (en) 2020-03-26
TWI771348B (zh) 2022-07-21
CN110049753A (zh) 2019-07-23
EP3556343A4 (en) 2020-10-21
WO2018110659A1 (ja)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7042A (ko) 수중유형 조성물
TWI402081B (zh) 皮膚外用劑
KR101051898B1 (ko) 수중유형 유화 피부 화장료
KR20010101122A (ko) 피부외용제
KR20200044831A (ko) 비수계용 증점제 및 증점 조성물
JP7059196B2 (ja) 水中油型皮膚外用組成物
KR102477212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5279332A (zh) 含有层状凝胶的组合物、乳化组合物及皮肤外用剂组合物
JP7114164B2 (ja) 粉体含有水系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JP7366885B2 (ja) 洗浄剤組成物
WO2020054827A1 (ja) 油中水型皮膚外用組成物
CN113164800A (zh) 洗涤剂组合物
JP7368349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2047122A (ja) 化粧料
CN113164801B (zh) 洗涤剂组合物
CN117813076A (zh) 水包油型清洗料组合物
JP2002053451A (ja) 皮膚外用剤
WO2020116487A1 (ja) 乳化型化粧料組成物
CN117545460A (zh) 油分散组合物
CN116322629A (zh) 油包水型组合物
CN115461030A (zh) 清洗剂组合物
JP2001240526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