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020A -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020A
KR20190097020A KR1020197017045A KR20197017045A KR20190097020A KR 20190097020 A KR20190097020 A KR 20190097020A KR 1020197017045 A KR1020197017045 A KR 1020197017045A KR 20197017045 A KR20197017045 A KR 20197017045A KR 20190097020 A KR20190097020 A KR 20190097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ell
uplink
sig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792B1 (ko
Inventor
히로키 타카하시
쇼헤이 야마다
히데카즈 츠보이
카즈나리 요코마쿠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높은 것부터 N개의 RSRP를 평균하여 상기 셀의 기준 RSRP으로 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단말(기)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2월 2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46461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현재, 제5 세대의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서,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LTE(Long Term Evolution)-어드밴스트 프로(Advanced Pro) 및 NR(New Radio technology)의 기술 검토 및 규격 책정이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제5 세대의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고속·대용량 전송을 실현하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저지연·고신뢰 통신을 실현하는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 등 머신형 디바이스가 다수 접속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의 3개가 서비스의 상정 시나리오로서 요구되어 있다.
NR에서는, 높은 주파수에서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빔포밍 게인에 의하여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매시브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의 기술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4).
RP-161214 NTT DOCOMO, "Revision of SI: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6월 R1-162883 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Basic Principles for the 5G New Radio Access technology", 2016년 4월 R1-162380, Intel Corporation, "Overview of antenna technology for new radio interface", 2016년, 4월 R1-163215, Ericsson, "Overview of NR", 2016년, 4월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효율적으로 기지국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 해당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 해당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 해당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 장치 및 해당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은, 효율적인 통신, 복잡성의 저감, 셀간 및/또는 단말 장치 간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한 상향 링크 송신 방법, 변조 방법 및/또는 부호화 방법을 포함해도 된다.
(1)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높은 것부터 N개의 RSRP를 평균하여 상기 셀의 기준 RSRP으로 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2)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를 구비한다.
(3)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이다.
(4)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며, 단말 장치에,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중, N개의 RSRP를 평균한 기준 RSRP의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5)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을 수신한다.
(6)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이다.
(7)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높은 것부터 N개의 RSRP를 평균하여 상기 셀의 기준 RSRP으로 한다.
(8)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단말 장치에,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중, N개의 RSRP를 평균한 기준 RSRP의 측정 리포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는 서로 효율적으로 통신 및/또는 복잡성의 저감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빔포밍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셀에 있어서 송신 빔이 적용된 복수의 참조 신호가 송신되는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가, 어느 셀에 있어서 3개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가, 어느 셀을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로서 선택하는 경우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가,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의 수순에 대하여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LTE(및 LTE-Advanced Pro)와 NR은, 상이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NR은 LTE에 포함되는 기술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는 NR, LTE 및 다른 RAT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LTE에 관련되는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용어를 이용하는 다른 기술에 있어서도 적용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 장치(1A), 단말(기) 장치(1B), 기지국 장치(3)를 구비한다. 단말(기) 장치(1A) 및 단말(기) 장치(1B)를 단말(기) 장치(1)라고도 칭한다.
단말(기) 장치(1)는 이동국 장치, 유저 단말기(UE: User Equipment), 통신 단말기, 이동기, 단말기, MS(Mobile Station) 등이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장치(3)는 무선 기지국 장치, 기지국, 무선 기지국, 고정국, NB(Node B), eNB(evolved Node B), NR NB(NR Node B), gNB(next generation Node B), 액세스 포인트,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Base Station) 등이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장치(3)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송수신점(4)(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을 구비해도 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지국 장치(3)의 기능/처리의 적어도 일부는, 해당 기지국 장치(3)가 구비하는 각각의 송수신점(4)에 있어서의 기능/처리여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기지국 장치(3)에 의하여 제어되는 통신 가능 범위(통신 에어리어)를 하나 또는 복수의 셀로 하여 단말 장치(1)를 서브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송수신점(4)에 의하여 제어되는 통신 가능 범위(통신 에어리어)를 하나 또는 복수의 셀로 하여 단말 장치(1)를 서브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셀을 복수의 부분 영역(Beamed area)으로 나누어, 각각의 부분 영역에 있어서 단말 장치(1)를 서브해도 된다. 여기서, 부분 영역은, 빔포밍에서 사용되는 빔의 인덱스, 또는 프리코딩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식별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가 커버하는 통신 에어리어는 주파수마다 각각 상이한 넓이,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커버하는 에어리어가 주파수마다 상이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의 종별이나 셀 반경의 크기가 상이한 셀이, 동일한 주파수 또는 상이한 주파수에 혼재하여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라 칭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무선 통신 링크를 하향 링크라 칭한다. 단말 장치(1)로부터 기지국 장치(3)로의 무선 통신 링크를 상향 링크라 칭한다. 단말 장치(1)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1)로의 무선 통신 링크를 사이드 링크라 칭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 및/또는 단말 장치(1)와 다른 단말 장치(1)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싱글 캐리어 주파수 다중(SC-FDM: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멀티캐리어 부호 분할 다중(MC-CDM: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xing)이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 및/또는 단말 장치(1)와 다른 단말 장치(1)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유니버설필터 멀티캐리어(UFMC: Universal-Filtered Multi-Carrier), 필터 OFDM(F-OFDM: Filtered OFDM), 창이 승산된 OFDM(Windowed OFDM), 필터뱅크 멀티캐리어(FBMC: Filtert-Bank Multi-Carrier)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OFDM을 전송 방식으로 하여 OFDM 심벌로서 설명하지만, 전술한 다른 전송 방식의 경우를 이용한 경우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OFDM 심벌은 SC-FDM 심벌(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이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 및/또는 단말 장치(1)와 다른 단말 장치(1)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는, CP를 이용하지 않거나, 또는 CP 대신 제로 패딩을 한, 전술한 전송 방식이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CP나 제로 패딩은 전방과 후방의 양쪽에 부가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은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과 하나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을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셀은,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가 행해진 서빙 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개시한 서빙 셀, 또는 핸드 오버 프로시저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로서 지시된 셀이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이 확립된 시점, 또는 나중에 하나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이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가 적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셀 전부에 대하여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TDD 방식이 적용되는 셀과 FDD 방식이 적용되는 셀이 집약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또는 하향 링크 캐리어)라 칭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또는 상향 링크 캐리어)라 칭한다. 사이드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사이드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또는 사이드 링크 캐리어)라 칭한다.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및/또는 사이드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총칭하여 컴포넌트 캐리어(또는 캐리어)라 칭한다.
본 실시 형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 칭해도 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 칭해도 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 칭해도 된다. 하향 링크 물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물리 신호라 칭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물리 채널이 이용된다.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CCH(Physical Control CHannel)
·PSCH(Physical Shared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BCH는, 단말 장치(1)가 필요로 하는 중요한 시스템 정보(Essential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중요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EIB: Essential Information Block)을 기지국 장치(3)가 통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여기서, 하나 또는 복수의 중요 정보 블록은 중요 정보 메시지로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중요 정보 블록에는 프레임 번호(SFN: System Frame Number)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슈퍼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10㎳)은 1㎳의 서브프레임 10개로 구성되며, 무선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로 식별된다. 프레임 번호는 1024에서 0으로 복귀한다(Wrap around). 또한 셀 내의 영역마다 상이한 중요 정보 블록이 송신되는 경우에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영역을 구성하는 기지국 송신 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송신 빔의 식별자 정보는, 기지국 송신 빔(프리코딩)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나타나도 된다. 또한 셀 내의 영역마다 상이한 중요 정보 블록(중요 정보 메시지)이 송신되는 경우에는, 프레임 내의 시간 위치(예를 들어 당해 중요 정보 블록(중요 정보 메시지)이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즉, 상이한 기지국 송신 빔의 인덱스가 이용된 중요 정보 블록(중요 정보 메시지)의 송신의 각각이 행해지는 서브프레임 번호의 각각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중요 정보에는, 셀에 대한 접속이나 모빌리티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PCCH는,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단말 장치(1)로부터 기지국 장치(3)의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UL-SCH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스케줄링 요구(SR: Scheduling Request)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가 포함되어도 된다. HARQ-ACK는, 하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AC PDU, Downlink-Shared Channel: DL-SCH)에 대한 HARQ-ACK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PCCH는,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DCI(DCI 포맷이라 칭해도 된다)가 정의된다. 즉,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필드가 DCI로서 정의되어 정보 비트에 맵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신호가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인지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대한 HARQ-ACK를 송신하는 타이밍(예를 들어 PSCH에 포함되는 최후의 심벌로부터 HARQ-ACK 송신까지의 심벌 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스케줄링된 PSCH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의 송신 기간, 갭, 및 상향 링크의 송신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하나의 셀에 있어서의 하나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 PSCH(하나의 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을 위하여 이용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DCI로서, 하나의 셀에 있어서의 하나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 PSCH(하나의 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의 스케줄링을 위하여 이용되는 DCI가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DCI에는, PSCH에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가 포함되는 경우에 PSCH의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에 대한 DCI를 하향 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또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down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여기서, 상향 링크에 대한 DCI를 상향 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또는 상향 링크 어사인먼트(Uplink assignment)라고도 칭한다.
PSCH는, 매개 액세스(MAC: Medium Access Control)로부터의 상향 링크 데이터(UL-SCH: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하향 링크 데이터(DL-SCH: Down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에 이용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경우에는 시스템 정보(SI: System Information)나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 등의 송신에도 이용된다. 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HARQ-ACK 및/또는 CSI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CSI만, 또는 HARQ-ACK 및 CSI만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즉, UCI만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상위층(higher layer)에 있어서 신호를 교환(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층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RRC message: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RRC information: Radio Resource Control information이라고도 칭해짐)을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MAC(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여기서의 상위층은, 물리층에서 본 상위층을 의미하기 때문에, MAC층, RRC층, RLC층, PDCP층, NAS층 등 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MAC층의 처리에 있어서 상위층이란, RRC층, RLC층, PDCP층, NAS층 등 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된다.
PSCH는, RRC 시그널링 및 MAC 컨트롤 엘리먼트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의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어느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라고도 칭함)이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 고유(UE 스페시픽)의 정보는, 어느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PSCH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 UE의 능력(UE Capability)의 송신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PCCH 및 PSCH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서 동일한 호칭을 이용하고 있지만,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에서 상이한 채널이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의 공유 채널은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공유 채널은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은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은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라 칭해져도 된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PRACH는,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 핸드 오버 프로시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 상향 링크 송신에 대한 동기(타이밍 조정), 및 상향 링크의 PSCH(UL-SCH)리소스의 요구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가 이용된다. 여기서,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하여 사용된다.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동기 신호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셀 식별자(셀 ID: Cell Identifier)를 특정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는, 하향 링크 빔포밍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가 이용하는 기지국 송신 빔 및/또는 단말 장치(1)가 이용하는 단말기 수신 빔의 선택/식별/결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즉, 동기 신호는, 기지국 장치(3)에 의하여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하여 적용된 기지국 송신 빔의 인덱스를 단말 장치(1)가 선택/식별/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의 참조 신호(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순히 참조 신호라고도 기재함)는 용도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참조 신호로 분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에는 이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가 이용되어도 된다.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MRS(Mobility Reference Signal)
DMRS는, 수신한 변조 신호의 복조 시의 전반로 보상에 이용되어도 된다. DMRS는, PSCH의 복조용, PCCH의 복조용, 및/또는 PBCH의 복조용의 DMRS를 통틀어 DMRS라 칭해도 되고, 각각 개별로 정의되어도 된다.
CSI-RS는 채널 상태 측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PTRS는, 단말기의 이동 등에 의하여 위상을 트랙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MRS는, 핸드 오버를 위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에는,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한 참조 신호가 정의되어도 된다.
단,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참조 신호가 그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외의 참조 신호가, 셀에 대하여 개별로 설정되는 셀 고유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기지국 장치(3) 또는 송수신점(4)이 이용하는 송신 빔마다의 빔 고유 참조 신호(Beam-specific reference signal; BRS), 및/또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개별로 설정되는 단말기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URS)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무선 파라미터나 서브캐리어 간격 등의 뉴머롤로지나 FFT의 창 동기 등이 가능한 정도의 미세한 동기(Fine synchronization)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무선 리소스 측정(RRM: Radio Resource Measurement)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빔 매니지먼트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동기 신호가 이용되어도 된다.
이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프레임이라 칭하지만, 리소스 유닛, 무선 프레임, 시간 구간, 시간 간격 등이라 칭해져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 길이이다. 또한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개의 서브프레임 및 X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즉, 1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이다. 슬롯의 각각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하여 시간의 길이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OFDM 심벌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 NCP(Normal Cyclic Prefix)인 경우, X=7 또는 X=14이며, 각각 0.5㎳ 및 1㎳이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60㎑인 경우에는 X=7 또는 X=14이며, 각각 0.125㎳ 및 0.25㎳이다. 도 2는, X=7의 경우를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X=1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 슬롯도 마찬가지로 정의되며, 하향 링크 슬롯과 상향 링크 슬롯은 따로따로 정의되어도 된다.
슬롯의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신호 또는 물리 채널은 리소스 그리드에 의하여 표현되어도 된다.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벌에 의하여 정의된다. 하나의 슬롯을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의 수는 셀의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의 대역 폭에 각각 의존한다. 리소스 그리드 내의 엘리먼트의 각각을 리소스 엘리먼트라 칭한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서브캐리어의 번호와 OFDM 심벌의 번호를 이용하여 식별되어도 된다.
리소스 블록은, 어느 물리 하향 링크 채널(PDSCH 등) 또는 상향 링크 채널(PUSCH 등)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매핑을 표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리소스 블록은 가상 리소스 블록과 물리 리소스 블록이 정의된다. 어느 물리 상향 링크 채널은 먼저 가상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그 후, 가상 리소스 블록은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 수 X=7이고 NCP인 경우에는,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7개의 연속되는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2개의 연속되는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즉,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7×1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ECP(Extended CP)의 경우,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 있어서 6개의 연속되는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2개의 연속되는 서브캐리어에 의하여 정의된다. 즉,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6×1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의 슬롯에 대응하고,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180㎑에 대응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0부터 번호가 매겨져 있다.
다음으로,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과 같이 3종류의 시간 유닛이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1㎳이며,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 수는 7 또는 14이고, 슬롯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이하다. 여기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15㎑인 경우, 1서브프레임에는 14OFDM 심벌이 포함된다. 그 때문에 슬롯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Δf(㎑)라 하면, 1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벌 수가 7인 경우, 슬롯 길이는 0.5/(Δf/15)㎳로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Δf는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1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벌 수가 7인 경우, 슬롯 길이는 1/(Δf/15)㎳로 정의되어도 된다. 여기서, Δf는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 수를 X라 하였을 때, 슬롯 길이는 X/14/(Δf/15)㎳로 정의되어도 된다.
미니슬롯(서브 슬롯이라 칭해져도 됨)은,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 수보다도 적은 OFDM 심벌로 구성되는 시간 유닛이다. 동 도면은, 미니슬롯이 2OFDM 심벌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례로서 도시하고 있다. 미니슬롯 내의 OFDM 심벌은,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벌 타이밍에 일치해도 된다. 또한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는 슬롯 또는 미니슬롯이어도 된다.
도 4에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서브캐리어 간격 15㎑에 있어서 슬롯 길이가 0.5㎳인 경우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D는 하향 링크, U는 상향 링크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시간 구간 내(예를 들어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UE에 대하여 할당해야만 하는 최소의 시간 구간)에 있어서는,
·하향 링크 파트(듀레이션)
·갭
·상향 링크 파트(듀레이션)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된다.
도 4의 (a)는, 어느 시간 구간(예를 들어 1UE에 할당 가능한 시간 리소스의 최소 단위, 또는 타임 유닛 등이라고도 칭해져도 됨. 또한 시간 리소스의 최소 단위를 복수 묶어서 타임 유닛이라 칭해져도 됨)에서 전부 하향 링크 송신에 이용되고 있는 예이고, 도 4의 (b)는, 맨 처음의 시간 리소스에서, 예를 들어 PCCH를 통하여 상향 링크의 스케줄링을 행하고, PCCH의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통하여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도 4의 (c)는, 맨 처음의 시간 리소스에서 하향 링크의 PCCH 및/또는 하향 링크의 PSCH의 송신에 이용되고,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통하여 PSCH 또는 PCCH의 송신에 이용된다. 여기서, 일례로서는, 상향 링크 신호는 HARQ-ACK 및/또는 CSI, 즉, UCI의 송신에 이용되어도 된다. 도 4의 (d)는, 맨 처음의 시간 리소스에서 하향 링크의 PCCH 및/또는 하향 링크의 PSCH의 송신에 이용되고, 처리 지연 및 하향으로부터 상향의 전환 시간, 송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갭을 통하여 상향 링크의 PSCH 및/또는 PCCH의 송신에 이용된다. 여기서, 일례로서는, 상향 링크 신호는 상향 링크 데이터, 즉, UL-SCH의 송신에 이용되어도 된다. 도 4의 (e)는, 전부 상향 링크 송신(상향 링크의 PSCH 또는 PCCH)에 이용되고 있는 예이다.
전술한 하향 링크 파트, 상향 링크 파트는 LTE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OFDM 심벌로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빔포밍, 빔 매니지먼트 및/또는 빔 스위핑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측(하향 링크의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이고 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단말 장치(1)임)에 있어서의 빔포밍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 엘리먼트의 각각에 대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진폭·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높은 송신 안테나 게인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며, 그 필드 패턴을 송신 빔이라 칭한다. 또한 수신측(하향 링크의 경우에는 단말 장치(1), 상향 링크의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임)에 있어서의 빔포밍은, 복수의 수신 안테나 엘리먼트의 각각에 대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진폭·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높은 수신 안테나 게인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이며, 그 필드 패턴을 수신 빔이라 칭한다. 빔 매니지먼트는,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의 지향성 합치, 빔 이득을 획득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3) 및/또는 단말 장치(1)의 동작이어도 된다.
도 5에 빔포밍의 일례를 도시한다. 복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하나의 송신 유닛(TXRU: Transceiver unit)(50)에 접속되며, 안테나 엘리먼트마다의 위상 시프터(51)에 의하여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 엘리먼트(52)로부터 송신함으로써 송신 신호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빔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TXRU(50)가 안테나 포트로서 정의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1)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만이 정의되어도 된다. 위상 시프터(51)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이득이 높은 빔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빔포밍은 버추얼라이제이션, 프리코딩, 웨이트의 승산 등이라 칭해져도 된다. 또한 단순히 빔포밍을 이용하여 송신된 신호 그 자체를 송신 빔이라 칭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향 링크 송신의 빔포밍에서 단말 장치(1)가 사용하는 송신 빔을 상향 링크 송신 빔(UL Tx beam)이라 칭하고, 상향 링크 수신의 빔포밍에서 기지국 장치(3)가 사용하는 수신 빔을 상향 링크 수신 빔(UL Rx beam)이라 칭한다. 또한 하향 링크 송신의 빔포밍에서 기지국 장치(3)가 사용하는 송신 빔을 하향 링크 송신 빔(DL Tx beam)이라 칭하고, 하향 링크 수신의 빔포밍에서 단말 장치(1)가 사용하는 수신 빔을 하향 링크 수신 빔(DL Rx beam)이라 칭한다. 단, 상향 링크 송신 빔과 상향 링크 수신 빔을 통틀어 상향 링크 빔, 하향 링크 송신 빔과 하향 링크 수신 빔을 통틀어 하향 링크 빔이라 칭해도 된다. 단, 상향 링크 빔포밍을 위하여 단말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상향 링크 송신 빔 처리 또는 상향 링크 프리코딩이라 칭하고, 상향 링크 빔포밍을 위하여 기지국 장치(3)가 행하는 처리를 상향 링크 수신 빔 처리라 칭해도 된다. 단,하향 링크 빔포밍을 위하여 단말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하향 링크 수신 빔 처리라 칭하고, 하향 링크 빔포밍을 위하여 기지국 장치(3)가 행하는 처리를 하향 링크 송신 빔 처리 또는 하향 링크 프리코딩이라 칭해도 된다.
단, 1OFDM 심벌에서 기지국 장치(3)가 복수의 하향 링크 송신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서브어레이로 분할하고 각 서브어레이에서 상이한 하향 링크 빔포밍을 행해도 된다. 편파 안테나를 이용하여, 각 편파에서 상이한 하향 링크 빔포밍을 행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1OFDM 심벌에서 단말 장치(1)가 복수의 상향 링크 송신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 장치(3) 및/또는 송수신점(4)이 구성하는 셀 내에서 당해 기지국 장치(3)가 복수의 하향 링크 송신 빔을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하향 링크 송신 빔마다 개별의 셀이 구성되어도 된다.
빔 매니지먼트에는 하기 동작을 포함해도 된다.
·빔 선택(Beam selection)
·빔 개선(Beam refinement)
·빔 리커버리(Beam recovery)
예를 들어 빔 선택은,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빔을 선택하는 동작이어도 된다. 또한 빔 개선은, 더욱 이득이 높은 빔의 선택, 또는 단말 장치(1)의 이동에 의하여 최적의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 사이의 빔의 변경을 하는 동작이어도 된다. 빔 리커버리는,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차폐물이나 사람의 통과 등에 의하여 생기는 블록에이지에 의하여 통신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었을 때 빔을 재선택하는 동작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의 송신 빔을 선택할 때 참조 신호(예를 들어 CSI-RS)를 이용해도 되고, 의사 동일 위치(QCL: Quasi Co-Location) 상정을 이용해도 된다.
만약 어느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어느 심벌이 반송되는 채널의 긴 구간 특성(Long Term Property)이, 다른 쪽 안테나 포트에 있어서의 어느 심벌이 반송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면, 2개의 안테나 포트는 QCL이라고 일컬어진다. 채널의 긴 구간 특성은,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및 평균 지연 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1)와 안테나 포트(2)가 평균 지연에 관하여 QCL인 경우, 안테나 포트(1)의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안테나 포트(2)의 수신 타이밍이 추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QCL은 빔 매니지먼트로도 확장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공간으로 확장한 QCL이 새로이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간의 QCL 상정에 있어서의 채널의 긴 구간 특성(Long term property)으로서, 무선 링크 또는 채널에 있어서의 도래각(AoA(Angle of Arrival), ZoA(Zenith angle of Arrival) 등) 및/또는 각도 확대(Angle Spread, 예를 들어 ASA(Angle Spread of Arrival)나 ZSA(Zenith angle Spread of Arrival)), 송출각(AoD, ZoD 등)이나 그 각도 확대(Angle Spread, 예를 들어 ASD(Angle Spread of Departure)나 ZSS(Zenith angle Spread of Departure)), 공간 상관(Spatial Correlation)이어도 된다.
이 방법에 의하여, 빔 매니지먼트로서, 공간의 QCL 상정과 무선 리소스(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의하여 빔 매니지먼트와 등가인 기지국 장치(3), 단말 장치(1)의 동작이 정의되어도 된다.
단, 프리코딩 또는 송신 빔의 각각에 대하여 안테나 포트가 할당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이한 프리코딩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신호 또는 상이한 송신 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신호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되는 신호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단, 안테나 포트는, 어느 안테나 포트인 심벌이 송신되는 채널을, 동일한 안테나 포트에서 다른 심벌이 송신되는 채널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동일한 안테나 포트란, 안테나 포트의 번호(안테나 포트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가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안테나 포트로 안테나 포트 세트가 구성되어도 된다. 동일한 안테나 포트 세트란, 안테나 포트 세트의 번호(안테나 포트 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가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상이한 단말기 송신 빔을 적용하여 신호를 송신한다는 것은, 상이한 안테나 포트 또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로 구성되는 상이한 안테나 포트 세트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어도 된다. 빔 인덱스는 각각 OFDM 심벌 번호, 안테나 포트 번호 또는 안테나 포트 세트 번호여도 된다.
트랜스폼 프리코딩에는, 레이어 매핑으로 생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이어에 대한 복소 변조 심벌이 입력된다. 트랜스폼 프리코딩은 복소 변조 심벌의 블록을, 하나의 OFDM 심벌에 대응하는 각각의 레이어마다의 세트로 분할하는 처리여도 된다. OFDM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트랜스폼 프리코딩에서의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의 처리는 필요없을지도 모른다. 프리코딩은, 트랜스폼 프리코더로부터의 얻어진 벡터의 블록을 입력으로 하여,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하는 벡터의 블록을 생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공간 다중의 경우,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하는 벡터의 블록을 생성할 때,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하나를 적응해도 된다. 이 처리를 디지털 빔포밍이라 칭해도 된다. 또한 프리코딩은, 아날로그 빔포밍과 디지털 빔포밍을 포함하여 정의되어도 되고, 디지털 빔포밍으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프리코딩된 신호에 빔포밍이 적용되도록 해도 되고, 빔포밍이 적용된 신호에 프리코딩이 적용되도록 해도 된다. 빔포밍은 아날로그 빔포밍을 포함하고 디지털 빔포밍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고, 디지털 빔포밍과 아날로그 빔포밍의 양쪽을 포함해도 된다. 빔포밍된 신호, 프리코딩된 신호, 또는 빔포밍 및 프리코딩된 신호를 빔이라 칭해도 된다. 빔의 인덱스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인덱스여도 된다. 빔의 인덱스와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인덱스가 독립적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빔의 인덱스로 나타난 빔에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인덱스로 나타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인덱스로 나타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적용한 신호에 빔의 인덱스로 나타난 빔포밍을 적용하여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디지털 빔포밍은, 주파수 방향의 리소스(예를 들어 서브캐리어의 세트)에 상이한 프리코딩 매트릭스 적응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의 셀 선택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단말 장치(1)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3)로부터 각각 독립된 송신 빔이 적용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셀(100)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 빔 b1-1 내지 b1-P를 이용한 복수의 참조 신호 T1-1 내지 T1-P를 수신한다. 일례로서, 단말 장치(1)가 어느 셀(예를 들어 셀(100))을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suitable cell)로서 선택하는 경우의 수순을,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의 스텝 S1001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3)로부터 동기 신호, 시스템 정보 및/또는 상위 레이어 신호를 통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도 8의 스텝 S1001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는 일 없이,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해도 된다.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일례는, 복수의 송신 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참조 신호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리소스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가 할당되어 있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리소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셀 식별자(Cell ID) 및/또는 빔 식별자(Beam ID)여도 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가 할당되어 있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리소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비트맵에서 대응하는 리소스가 나타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일례는, 복수의 송신 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참조 신호의 각각의 계열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여도 된다.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다른 일례는, 복수의 송신 빔을 이용한 참조 신호의 각각이 할당되어 있는 안테나 포트 번호를 특정하는 정보여도 된다.
단, 단말 장치(1)는, 상기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암묵적으로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어느 참조 신호를 수신한 리소스 및/또는 계열로부터 그 참조 신호의 설정(예를 들어 빔 식별자, 계열 등)을 특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특정한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도 8의 스텝 S10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선택하기 위하여, 각각의 셀에 있어서의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대응하는 설정의 각각을 참조 신호 설정 A라 칭함)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예를 들어 각 참조 신호 설정 A에 대응하는 RSRP 각각을 수신 전력 PA라 칭함) 및/또는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예를 들어 참조 신호 설정 A에 대응하는 RSRQ 각각을 수신 품질 QA라 칭함)을 측정/특정한다. 예를 들어 셀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주파수 리소스 및/또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의 각각에 있어서의 RSRP 및/또는 RSRQ를 측정/특정해도 된다.
단, 상기 참조 신호의 설정에 기초하여 수신하는 참조 신호는 동기 신호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은, 단말 장치(1)가, 어느 셀에 있어서 3개의 참조 신호의 설정(참조 신호 설정 A)을 특정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 장치(1)가 수신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설정 1은, 대응하는 참조 신호가 주파수 및/또는 시간 리소스가 리소스 1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응하는 수신 전력 PA는 리소스 1에 있어서의 RSRP이다. 단말 장치(1)가 수신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설정 2는, 대응하는 참조 신호가 주파수 및/또는 시간 리소스가 리소스 2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응하는 수신 전력 PA는 리소스 2에 있어서의 RSRP이다. 단말 장치(1)가 수신한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설정 3은, 대응하는 참조 신호가 주파수 및/또는 시간 리소스가 리소스 3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응하는 수신 전력 PA는 리소스 3에 있어서의 RSRP이다.
도 8의 스텝 S1003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각 셀에 있어서 측정/특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전력 PA 및/또는 각 셀에 있어서 측정/특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품질 QA에 기초하여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각 셀에 있어서 측정/특정된 복수의 수신 전력 PA에 기초하여 각각의 셀에 있어서의 기준값 RP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각 셀에 있어서 측정/특정된 복수의 수신 품질 QA에 기초하여 기준값 RQ를 산출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각 셀에 있어서 산술된 기준값 RP 및/또는 기준값 RQ에 기초하여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선택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자 장치가 서포트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강한 셀(strongest cell)(예를 들어 제1 기준값이 가장 높은 셀)을 탐색하고, 해당 셀이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인 경우에 해당 셀을 선택하여 캠프한다. 단,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이란, 소정의 셀 선택 기준을 만족시키고, 또한 해당 셀에 캠프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셀이다. 또한 소정의 셀 선택 기준이란, 예를 들어 제1 기준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인지 및/또는 제2 기준값이 소정의 역치 이상인지에 의하여 정의되어도 된다.
단, 어느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3)가 상이한 하향 링크 송신 빔을 이용하여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및/또는 단말 장치(1)가 복수의 하향 링크 수신 빔을 이용하여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장치(1)가 수신한 참조 신호의 RSRP는, 사용된 하향 링크 송신 빔(및/또는 하향 링크 수신 빔)에 의한 빔 이득에 의존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1)가, 복수의 하향 링크 송신 빔(및/또는 하향 링크 수신 빔)을 이용한 참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어떻게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선택 및/또는 재선택할지가 문제로 된다.
일례로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셀(100)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 T1-1 내지 T1-P의 각각의 수신 전력 PA(1) 내지 PA(P) 중 가장 높은 값의 것을 셀(100)의 기준값 RP로 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산출한 셀(100)의 기준값 RP를 측정 리포트로서 기지국 장치(3)에 피드백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가 셀 내에서의 가장 좋은 송신 빔(best Tx beam) 및/또는 가장 좋은 수신 빔(best Rx beam)을 이용한 경우의 RSRP에 기초하여 셀을 선택하기 때문에, 선택한 셀의 하향 링크 신호에 있어서 높은 빔 이득이 얻어진다.
다른 일례로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셀(100)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 T1-1 내지 T1-P의 각각의 수신 전력 PA(1) 내지 PA(P)를 평균한 값을 셀(100)의 기준값 RP로 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산출한 셀(100)의 기준값 RP를 측정 리포트로서 기지국 장치(3)에 피드백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는, 캠프한 셀에 있어서 하향 링크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고 있는 송신 빔이 블록에이지 등에 의하여 수신 특성이 열화된 경우에, 셀의 재선택을 하는 일 없이 동일한 셀 내에서의 다른 양호한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에 스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셀(100)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 T1-1 내지 T1-P의 각각의 수신 전력 PA(1) 내지 PA(P) 중 높은 것부터 N개를 평균한 값을 셀 C10의 기준값 RP로 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산출한 셀(100)의 기준값 RP를 측정 리포트로서 기지국 장치(3)에 피드백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는, 동일한 셀 내의 수신 특성이 나쁜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에 영향받는 일 없이 셀의 선택 및 /재선택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셀 내의 다른 양호한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에 스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가 어느 셀을 재권 셀(serving cell)로 하고 있는 경우에, 당해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의 수순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의 스텝 S2001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동기 신호, 시스템 정보 및/또는 상위 레이어 신호를 통하여, 어느 셀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도 9의 스텝 S2002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재권 셀에 있어서의 패스 로스(전반 손실)을 산출하는 경우에, 재권 셀에 있어서의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대응하는 설정의 각각을 참조 신호 설정 B라 칭해도 됨)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RSRP(예를 들어 수신 전력 PB라 칭함) 및/또는 RSRQ (예를 들어 수신 품질 QB라 칭함)를 측정/특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셀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주파수 리소스 및/또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의 각각에 있어서의 RSRP 및/또는 RSRQ를 측정/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의 신호(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 신호, 제어 채널 등)를 통하여 지시된 하나의 참조 신호 설정 B에 대응하는 하나의 RSRP 및/또는 RSRQ를 측정/특정해도 된다.
도 9의 스텝 S2003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측정/특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전력 PB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는, 측정/특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수신 전력 PB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재권 셀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하향 링크 패스 로스를 산출한다. 단말 장치(1)는, 특정한 복수의 제2 설정에 기초하는 복수의 수신 전력 PB 중, 가장 높은 값의 것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의 패스 로스를 산출해도 된다. 단, 측정/특정한 복수의 수신 전력 PB 각각에 대하여 패스 로스를 산출하여, 값이 가장 작은 것을 재권 셀에 있어서의 패스 로스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패스 로스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되어도 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단, ReferenceSignalPower는, 참조 신호 설정 B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의 송신 전력이며, 상위 레이어 신호 또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어도 된다. 단, higherlayerfilteredRSRP는, 참조 신호 설정 B에 기초하여 측정/특정한 수신 전력 PB이며, 상위 레이어가 물리 레이어에 의한 측정값에 대하여 필터링 처리를 실시한 수신 전력이어도 된다. 식 (1)에 의하여 산출된 하향 링크의 패스 로스값은, 상향 회선의 패스 로스와 거의 동치인 것으로 간주하며, 상향 링크의 패스 로스의 보상에 사용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산출한 패스 로스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에 이용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가 송신하는 PSCH의 송신 전력은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되어도 된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2
PCMAX는 단말 장치(1)의 최대 송신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MPSCH는 송신 대역 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PO_PSCH는 PSCH의 기준 수신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α는, 셀 전체의 프랙셔널 송신 전력 제어에 이용되는 패스 로스 계수이다. ΔTF는, 상향 회선 신호의 변조 부호화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에 의존한 파라미터이다. 또한 f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통지되는 TPC 커맨드로 결정되는 수신 전력의 과부족의 보정값이다.
단, 상기한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A와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B는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A와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B는, 동일한 참조 신호에 대한 설정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수신 전력인 복수의 수신 전력 PA에 기초하여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결정하고, 해당 복수의 수신 전력 PA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해도 된다.
단, 상기한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A와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B는, 독립된 참조 신호에 대한 설정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 설정 A는 제1 참조 신호에 대한 설정이고, 참조 신호 설정 B는 제2 참조 신호에 대한 설정이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A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참조 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신 전력 PA에 기초하여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결정하고,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 B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수신 전력 PB에 기초하여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는 무선 송수신부(10) 및 상위층 처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안테나부(11), RF(Radio Frequency)부(12) 및 기저 대역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을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14)를 측정부 또는 제어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하여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이라 칭해져도 됨)를 무선 송수신부(10)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일부 또는 전부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리퀘스트의 전송 제어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자 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상위층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즉, 상위층 처리부(14)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셀에 있어서의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특정한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RSRP를 특정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RSRP에 기초하여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물리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4)에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데이터를 변조, 부호화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어느 셀에 있어서의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RF부(12)는, 안테나부(11)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직교 복조에 의하여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RF부(12)는, 처리를 한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 대역부에 출력한다.
기저 대역부(13)는, RF부(1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Cyclic Prefix)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데이터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OFDM 심벌을 생성하고, 생성된 OFDM 심벌에 CP를 부가하여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RF부(12)에 출력한다.
RF부(12)는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기저 대역부(1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로 업컨버트(up convert)하여 안테나부(11)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RF부(12)는 전력을 증폭한다. 또한 RF부(12)는,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RF부(12)를 송신 전력 제어부라고도 칭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3)는 무선 송수신부(30) 및 상위층 처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는 안테나부(31), RF부(32) 및 기저 대역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를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또한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해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34)를 단말기 제어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일부 또는 전부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관리되고 있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리퀘스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정보, RRC 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여 무선 송수신부(30)에 출력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34)는 단말 장치(1) 각각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상위층의 신호를 통하여 단말 장치(1) 각각에 대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해도 된다. 즉, 상위층 처리부(34)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통지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어느 셀에 있어서의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통지한다.
무선 송수신부(30)는, 어느 셀에 있어서의 복수의 참조 신호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30)는,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외, 무선 송수신부(30)의 일부의 기능은 무선 송수신부(1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3)가 하나 또는 복수의 송수신점(4)과 접속하고 있는 경우, 무선 송수신부(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각 송수신점(4)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위층 처리부(34)는, 기지국 장치(3) 사이 혹은 상위의 네트워크 장치(MME, S-GW(Serving-GW))와 기지국 장치(3) 사이의 제어 메시지, 또는 유저 데이터의 송신(전송) 혹은 수신을 행한다. 도 11에 있어서, 그 외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 요소나,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제어 정보)의 전송 경로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기지국 장치(3)로서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그 외의 기능을 갖는 복수의 블록을 구성 요소로서 갖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34)에는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층 처리부나 애플리케이션층 처리부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란, 섹션, 회로, 구성 장치, 디바이스, 유닛 등 용어에 의해서도 표현되는, 단말 장치(1) 및 기지국 장치(3)의 기능 및 각 수순을 실현하는 요소이다.
단말 장치(1)가 구비하는, 부호 10 내지 부호 16이 매겨진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가 구비하는, 부호 30 내지 부호 36이 매겨진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 및 기지국 장치(3)의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1)이며, 기지국 장치(3)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송신되는 복수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을 특정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의 적어도 일부인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참조 신호 설정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수신 전력(RSRP)인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수신 전력을 특정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의 적어도 일부인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참조 신호 설정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수신 전력(RSRP)인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수신 전력을 특정하는 측정부(14)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선택하는 제어부(14)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수신 전력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12)를 구비한다.
(2)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리소스 및/또는 안테나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3)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참조 신호 설정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참조 신호 설정은 동일한 참조 신호의 설정이어도 된다.
(4)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참조 신호 설정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참조 신호 설정은 상이한 참조 신호의 설정이어도 된다.
(5)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단말 장치(1)이며, 기지국 장치(3)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송신되는 복수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하나의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상기 제1 정보에 의하여 지시된 상기 하나의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전력(RSRP)을 특정하는 측정부(14)와, 상기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12)와, 결정한 상기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한다.
(6)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기지국 장치(3)이며, 단말 장치(1)에, 어느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에 기초하는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하나의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30)와, 상기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30)를 구비한다.
(7)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기지국 장치(3)이며, 단말 장치(1)에, 어느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에 기초하는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1)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캠프하는 데 적합한 셀을 선택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송신부(30)와, 상기 단말 장치(1)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수신 전력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재권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단말기 제어부(34)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수신 전력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의 적어도 일부인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참조 신호 설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수신 전력(RSRP)이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수신 전력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설정의 적어도 일부인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참조 신호 설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참조 신호의 각각의 수신 전력(RSRP)이다.
(A1)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높은 것부터 N개의 RSRP를 평균하여 상기 셀의 기준 RSRP으로 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A2)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를 구비한다.
(A3)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이다.
(A4)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며, 단말 장치에,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중, N개의 RSRP를 평균한 기준 RSRP의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A5)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을 수신한다.
(A6) 본 발명의 제10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이다.
(A7) 본 발명의 제11 양태는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높은 것부터 N개의 RSRP를 평균하여 상기 셀의 기준 RSRP으로 한다.
(A8) 본 발명의 제12 양태는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단말 장치에,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중, N개의 RSRP를 평균한 기준 RSRP의 측정 리포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취급되는 정보는,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 또는 그 외의 기억 장치 시스템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매체, 또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그 외의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이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또는 복수의 집적 회로에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외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혹은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여도 되고, 종래형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전술한 전기 회로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복수의 양태는 당해 기술에 의한 새로운 집적 회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그 외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혹은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1A, 1B): 단말(기) 장치
3: 기지국 장치
4: 송수신점(TRP)
10: 무선 송수신부
11: 안테나부
12: RF부
13: 기저 대역부
14: 상위층 처리부
30: 무선 송수신부
31: 안테나부
32: RF부
33: 기저 대역부
34: 상위층 처리부
50: 송신 유닛(TXRU)
51: 위상 시프터
52: 안테나 엘리먼트

Claims (8)

  1. 단말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높은 것부터 N개의 RSRP를 평균하여 상기 셀의 기준 RSRP으로 하는 산출부
    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셀에 있어서 송신하는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송신 전력 제어부
    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인,
    단말 장치.
  4. 기지국 장치이며,
    단말 장치에,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중, N개의 RSRP를 평균한 기준 RSRP의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 상향 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 링크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
    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세컨더리 동기 신호인,
    기지국 장치.
  7.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하나 또는 복수의 RSRP 중, 높은 것부터 N개의 RSRP를 평균하여 상기 셀의 기준 RSRP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단말 장치에, 어느 셀에 있어서 복수의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상기 복수의 참조 신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중, N개의 RSRP를 평균한 기준 RSRP의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통신 방법.
KR1020197017045A 2016-12-20 2017-12-20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354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6461 2016-12-20
JPJP-P-2016-246461 2016-12-20
PCT/JP2017/045718 WO2018117147A1 (ja) 2016-12-20 2017-12-20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020A true KR20190097020A (ko) 2019-08-20
KR102354792B1 KR102354792B1 (ko) 2022-01-21

Family

ID=6262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045A KR102354792B1 (ko) 2016-12-20 2017-12-20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16688B2 (ko)
EP (2) EP3562222B1 (ko)
JP (1) JP7121659B2 (ko)
KR (1) KR102354792B1 (ko)
CN (2) CN114944908A (ko)
CA (1) CA3046388A1 (ko)
CY (1) CY1126076T1 (ko)
IL (1) IL267472B (ko)
RU (1) RU2761576C2 (ko)
WO (1) WO20181171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64B1 (ko) 2020-04-29 2020-10-07 영남강철 주식회사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240000972A (ko) 2022-06-24 2024-01-03 영남강철 주식회사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6449B (zh) * 2017-03-24 2023-02-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amm测量的csi-rs
WO2019064445A1 (ja) * 2017-09-28 2019-04-04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タイミング設定方法
CN112335305B (zh) * 2018-08-20 2024-03-01 富士通株式会社 下行信号的监听和发送方法、参数配置方法以及装置
KR20200087011A (ko) * 2019-01-10 2020-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4766081A (zh) * 2020-11-13 2022-07-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Aod获取方法、装置和通信设备
US11611459B1 (en) * 2021-08-25 2023-03-21 Qualcomm Incorporated Symbol configuration for single-carrier for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waveform
CN114095104B (zh) * 2021-10-14 2022-10-1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电子设备、芯片系统及存储介质
JP2024050234A (ja) * 2022-09-29 2024-04-10 Kddi株式会社 マルチアンテナを用いてビームフォーミングを実行する端末、基地局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2345A1 (en) * 2011-10-19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4206B2 (en) * 2009-06-23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43993B1 (ko) * 2009-12-23 2014-09-2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에서의 측정 수행
CN102098265B (zh) * 2011-03-08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参考信号接收功率的方法和装置
US9072055B2 (en) * 2011-06-21 2015-06-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ower at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n uplink signal
EP2724574B1 (en) 2011-06-21 2017-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user equipment and a method therein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uplink transmissions
JP5914918B2 (ja) * 2011-08-02 2016-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端末および通信方法
US20130059589A1 (en) * 2011-09-01 2013-03-07 Nokia Corporation Enhanced mobility for devices using moving relay
US8743791B2 (en) 2011-09-22 2014-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369971B2 (en) * 2011-09-28 2016-06-14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130095819A1 (en) * 2011-10-18 2013-04-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ighboring cell measurements in wireless networks
US9642114B2 (en) * 2011-11-04 2017-05-02 Intel Corporation Path-loss estimation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US9480027B2 (en) * 2011-11-07 2016-10-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p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881847B1 (ko) 2012-02-21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313250B (zh) * 2012-03-16 2016-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配置方法和同步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101995798B1 (ko) * 2012-07-03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EP2903374A4 (en) * 2012-09-27 2016-06-08 Sharp Kk END DEVICE, COMMUNICATION PROCESS AND INTEGRATED CIRCUIT
WO2014088271A1 (ko) * 2012-12-09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08467B1 (ko) * 2012-12-27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 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796218B (zh) * 2014-01-17 2019-0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号传输方法和装置
JP5650343B1 (ja) * 2014-04-14 2015-01-0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25650B2 (ja) * 2015-09-24 2020-07-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US10524213B2 (en) * 2016-02-24 2019-12-31 Intel IP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systems based on uplink link identifier
US11223403B2 (en) * 2016-05-05 2022-01-11 Nokia Technologies Oy Mobility measurements
WO2018027231A1 (en) 2016-08-05 2018-02-08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PL3497977T3 (pl) * 2016-08-11 2021-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osób i aparatura do synchronizacji urządzenia bezprzewodowego w systemie komunikacji na bazie wiązek
CN109845304B (zh) * 2016-08-12 2024-01-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网络规划和基于波束的通信系统的操作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2345A1 (en) * 2011-10-19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3652 *
3GPP R2-167712 *
R1-162380, Intel Corporation, "Overview of antenna technology for new radio interface", April 2016
R1-162883 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Basic Principles for the 5G New Radio Access technology", April 2016
R1-163215, Ericsson, "Overview of NR", April 2016
RP-161214 NTT DOCOMO, "Revision of SI: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June 201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64B1 (ko) 2020-04-29 2020-10-07 영남강철 주식회사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240000972A (ko) 2022-06-24 2024-01-03 영남강철 주식회사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Y1126076T1 (el) 2023-11-15
KR102354792B1 (ko) 2022-01-21
CN114944908A (zh) 2022-08-26
US20190387423A1 (en) 2019-12-19
CA3046388A1 (en) 2018-06-28
WO2018117147A1 (ja) 2018-06-28
CN109997389B (zh) 2022-06-24
RU2761576C2 (ru) 2021-12-10
IL267472B (en) 2022-08-01
EP3562222A4 (en) 2020-08-12
JPWO2018117147A1 (ja) 2019-10-31
EP3562222B1 (en) 2023-03-01
RU2019118424A (ru) 2021-01-22
IL267472A (ko) 2020-01-30
EP3562222A1 (en) 2019-10-30
RU2019118424A3 (ko) 2021-01-22
EP4185025A1 (en) 2023-05-24
CN109997389A (zh) 2019-07-09
JP7121659B2 (ja) 2022-08-18
US11516688B2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4416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837129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2354792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US11363638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2569774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N109983796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WO2019139047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39112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2368384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WO2019031058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39046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