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972A -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972A
KR20240000972A KR1020220077834A KR20220077834A KR20240000972A KR 20240000972 A KR20240000972 A KR 20240000972A KR 1020220077834 A KR1020220077834 A KR 1020220077834A KR 20220077834 A KR20220077834 A KR 20220077834A KR 20240000972 A KR20240000972 A KR 20240000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ing
adjusting
adjustment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972A/ko
Publication of KR2024000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고정봉과 가압부재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결속조절모듈은 중공의 제1지주에 제2지주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제2지주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다수의 조절부 중 어느 하나가 제1지주의 일단부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과 연통되는 경우, 고정공을 통과하여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결속조절모듈이고, 제2지주가 통과하도록 제1지주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조절본체와, 안내공을 통과하여 고정공과 조절부 중 적어도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조절본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과, 고정봉이 적어도 조절부에서 분리되도록 조절본체를 기준으로 고정봉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스프링과,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봉을 직선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고정봉과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고, 고정봉과 가압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가압부재의 회전에 따라 고정봉이 조절부에 삽입될 때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Description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COUPLING ADJUSTMENT MODULE AND DESK STOOL HEIGHT ADJUSTMENT DEVICE EQUIPPED WITH THIS}
본 발명은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고정봉과 가압부재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강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책걸상은 학생들의 표준 신체 지수를 기준으로 표준 제작되며, 사용이 불가능할 때까지 오랜 기간동안 사용된다. 그러나, 표준 크기의 책걸상을 사용하는 경우, 책걸상의 높낮이가 맞지 않고, 성장기의 청소년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학생들의 앉은 자세가 구부정한 자세를 나타내는 등 학생들의 신체발육 정도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걸상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외주면에 다수 개의 위치조절공을 갖는 직경이 큰 주관과, 외주면에 단수개의 위치공을 구비한 직경이 작은 부관과, 일측은 끝이 외측으로 약간 굽혀지고 타측은 외측으로 90도로 절곡시킨 절곡부를 갖는 U자형 스프링과, 스프링의 절곡부에 결합되는 위치고정용핀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부관의 일부분은 주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부관의 내부에는 스프링과 위치고정용핀이 삽입되며, 부관의 위치공 및 주관의 위치조정공이 동일선 상에 정렬된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위치고정용핀이 위치공 및 위치조절공으로 돌출됨으로써, 부관이 주관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구조물은 높이 조절을 위하여 좌우의 위치고정용핀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책걸상의 상판 또는 좌판을 위로 올려야 하는데, 위치고정용핀을 누르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우의 위치고정용핀을 동시에 눌러 주관의 위치조절공을 동시에 이탈시키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높이 조절을 하다보면 양쪽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 좌우의 위치고정용핀을 동시에 이탈시켰다 하더라도, 상판 또는 좌판의 무게 때문에 상판 및 부관이 아래로 하강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높이 조절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작이 불편하여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들에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63864호(2013.12.26.)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09557호(2015.08.0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97020호(2019.08.0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41103호(2019.11.06.)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고정봉과 가압부재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은 중공의 제1지주에 제2지주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2지주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다수의 조절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지주의 일단부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과 연통되는 경우,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결속조절모듈이고, 상기 제2지주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1지주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측면부에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는 조절본체; 상기 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공과 상기 조절부 중 적어도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조절본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 상기 안내공과 상기 고정공과 상기 조절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봉이 적어도 상기 조절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조절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봉을 탄성 가압하되, 일측은 상기 조절본체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봉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봉을 직선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봉과 상기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과 상기 가압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봉이 상기 조절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안내공과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봉부;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이 탄성 지지되는 탄성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역회전시 상기 봉부를 상기 조절부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조절부에 삽입된 상기 봉부가 상기 조절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탄성지지캡을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지지캡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캠휠; 상기 캠휠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캠휠을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캠휠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탄성지지캡과 상기 캠휠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탄성지지캡과 상기 캠휠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안내공과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봉부;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이 탄성 지지되는 봉관; 상기 봉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관; 및 상기 가압관을 기준으로 상기 봉관을 탄성 가압하되, 일측은 상기 봉관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관에 탄성 지지되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역회전시 상기 봉부를 상기 조절부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조절부에 삽입된 상기 봉부가 상기 조절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가압관을 가압하거나 상기 가압관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캠휠; 상기 캠휠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캠휠을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캠휠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가압관과 상기 캠휠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가압관과 상기 캠휠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크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에 상기 걸림돌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조절본체에는, 상기 걸림홈에서 분리된 상기 걸림돌부가 걸림 지지되는 회전제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일단부에 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중공의 제1지주; 상기 제1지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왕복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다수의 조절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제2지주; 및 상기 제1지주에 결합되고, 다수의 조절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경우,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결속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조절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따르면,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고정봉과 가압부재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봉과 가압부재의 제1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봉의 왕복 이동을 간소화시키고, 제1지주와 제2지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봉과 가압부재의 제2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공과 조절부가 연통되지 않더라고 가압부재를 조작하여 고정봉을 가압할 수 있고, 고정공과 조절부가 연통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고정봉의 봉부가 조절부에 삽입되고, 햅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스프링과 보조스프링의 탄성력 차이를 통해 가압부재가 고정봉을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공과 조절부가 연통되는 경우, 봉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봉부가 조절부에 안정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제한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조립본체에서 가압부재의 회전량을 제한하고, 가압부재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를 보호하며, 걸림돌부의 분리 여부에 따라 결속조절수단의 파손 또는 교체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결속조절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제1지주에 제2지주가 결합될 때, 결속조절수단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1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2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1)는 제1지주(2)와, 제2지주(3)와, 결속조절수단(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주(2)는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낸다. 제1지주(2)의 일단부에는 고정공(21)이 관통 형성된다.
제2지주(3)는 제1지주(2)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지주(3)에는 제2지주(3)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다수의 조절부(31)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제1지주(2)와 제2지주(3) 중 어느 하나는 바닥에 직립 배치되고, 제1지주(2)와 제2지주(3) 중 다른 하나는 바닥에서 이격되어 승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지주(2)가 바닥에 직립 배치되는 경우, 제1지주(2)의 일단부는 바닥에서 이격되고, 제1지주(2)의 타단부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다.
결속조절수단(4)은 제1지주(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결속조절수단(4)은 다수의 조절부(31) 중 어느 하나가 고정공(21)과 연통되는 경우, 고정공(21)을 통과하여 조절부(31)에 삽입 가능하다. 결속조절수단(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은 중공의 제1지주(2)에 제2지주(3)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다수의 조절부(31) 중 어느 하나가 고정공(21)과 연통되는 경우, 고정공(21)을 통과하여 조절부(31)에 삽입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은 조절본체(5)와, 고정봉(41)과, 탄성스프링(42)과, 가압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본체(5)는 제2지주(3)가 통과하도록 제1지주(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조절본체(5)의 측면부에는 고정공(21)과 연통되는 안내공(5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조절본체(5)의 측면부에는 안내공(51)과 연통되는 수용홈(52)이 형성되도록 수용돌관(53)이 돌출 형성된다. 수용돌관(53)에는 탄성스프링(42)이 삽입되어 탄성스프링(42)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조절본체(5)에는 안내공(51)과 연통되어 제1지주(2)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제2지주(3)가 통과 가능한 본체공(54)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공(54)의 가장자리에는 제1지주(2)의 일단부가 걸림 지지되고 제2지주(3)가 통과 가능한 본체턱이 구비되어 조절본체(5)를 제1지주(2)에 정위치시킬 수 있고, 고정공(21)과 안내공(51)이 명확하게 연통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절본체(5)는 안내공(51)과 수용돌관(53)과 본체공(54)이 구비된 고정몸체(55)와, 수용돌관(53)을 감싸도록 고정몸체(5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몸체(59)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가 고정몸체(55)를 통과하여 제1지주(2)에 나사 결합되거나 볼트가 고정몸체(55)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제1지주(2)를 가압하므로, 고정몸체(55)를 제1지주(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몸체(55)의 측면부에는 수용돌관(53)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고정돌부(5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부(56)와 가압몸체(59)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지주(3)의 왕복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길게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57)이 함몰 형성되고, 고정돌부(56)와 가압몸체(59) 중 다른 하나에는 고정홈(57)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58)가 돌출 형성되므로, 고정몸체(55)를 기준으로 가압몸체(59)를 제2지주(3)의 왕복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고정몸체(55)에서 가압몸체(59)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에는 손잡이편(63)이 회전되어 가압몸체(59)에 대하여 돌출 된 상태에서 가압몸체(59)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내입요홈(7)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입요홈(7)에 손잡이편(63)이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 하중이 손잡이편(63)으로 직접적으로 인가되지 않고,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고정봉(41)은 안내공(51)을 통과하여 고정공(21)과 조절부(31) 중 적어도 고정공(21)에 삽입되도록 조절본체(5)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봉(41)은 안내공(51)과 고정공(21)을 통과하여 조절부(31)에 삽입 가능한 봉부(411)와, 탄성스프링(42)의 타측이 탄성 지지되는 탄성지지캡(4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지지캡(415)에는 걸림홈(416)이 함몰 형성되거나 걸림돌부(6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42)은 안내공(51)과 고정공(21)과 조절부(31)에 삽입된 고정봉(41)이 적어도 조절부(31)에서 분리되도록 조절본체(5)를 기준으로 고정봉(41)을 탄성 가압한다. 탄성스프링(42)의 일측은 수용돌관(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본체(5)의 고정몸체(55)에 탄성 지지되고, 탄성스프링(42)의 타측은 고정봉(41)의 탄성지지캡(415)에 탄성 지지된다.
가압부재(6)는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부재(6)는 고정봉(41)을 직선 이동시킨다.
가압부재(6)는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역회전시 고정봉(41)의 봉부(411)를 조절부(31)에 삽입시키거나 조절부(31)에 삽입된 고정봉(41)의 봉부(411)가 조절부(31)에서 분리되도록 고정봉(41)의 탄성지지캡(415)을 가압하거나 고정봉(41)의 탄성지지캡(415)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캠휠(62)과, 캠휠(62)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캠휠(62)을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61)과,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캠휠(62)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캠휠(62)에는 탄성지지캡(415)에 대응하여 걸림돌부(621)가 돌출 형성되거나 걸림홈(41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고정봉(41)과 가압부재(6)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416)이 함몰 형성되고, 고정봉(41)과 가압부재(6) 중 다른 하나에는 가압부재(6)의 회전에 따라 고정봉(41)이 조절부(31)에 삽입될 때 걸림홈(416)에 삽입되는 걸림돌부(6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걸림홈(416)은 탄성지지캡(415)과 캠휠(6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걸림돌부(621)는 탄성지지캡(415)과 캠휠(6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6)에 걸림돌부(621)가 구비되는 경우, 조절본체(5)에는 걸림홈(416)에서 분리된 걸림돌부(621)가 걸림 지지되는 회전제한부(65)가 구비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편(63)이 조절본체(5)의 측면부에서 돌출되는 경우, 봉부(411)는 안내공(51)과 고정공(21) 중 적어도 안내공(51)에 삽입되고, 탄성스프링(42)은 조절본체(5)의 고정몸체(55)를 기준으로 고정봉(41)의 탄성지지캡(415)을 탄성 가압하며, 탄성지지캡(415)은 캠휠(62)에 지지된다. 또한, 캠휠(62)에 구비된 걸림돌부(621)는 회전제한부(65)에 걸림 지지되어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다수의 조절부(31) 중 어느 하나가 고정공(21)과 연통되도록 한 다음,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손잡이편(63)을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휠(62)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봉(41)의 봉부(411)는 고정공(21)을 통과하여 조절부(31)에 삽입된다. 이때, 걸림돌부(621)는 걸림홈(416)에 삽입되고, 손잡이편(63)은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의 측면부에 지지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로 제1지지를 기준으로 제2지주(3)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손잡이편(63)을 강제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걸림홈(416)에 걸림돌부(621)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봉(41)의 봉부(411)는 조절부(3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손잡이편(63)을 강제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휠(62)의 회전에 따라 고정봉(41)의 봉부(411)는 탄성력에 의해 조절부(31)에서 분리되므로, 제1지주(2)를 기준으로 제2지주(3)를 왕복 이동시키고,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은 중공의 제1지주(2)에 제2지주(3)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다수의 조절부(31) 중 어느 하나가 고정공(21)과 연통되는 경우, 고정공(21)을 통과하여 조절부(31)에 삽입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은 조절본체(5)와, 고정봉(41)과, 탄성스프링(42)과, 가압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본체(5)는 제2지주(3)가 통과하도록 제1지주(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본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본체(5)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봉(41)은 안내공(51)을 통과하여 고정공(21)과 조절부(31) 중 적어도 고정공(21)에 삽입되도록 조절본체(5)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봉(41)은 안내공(51)과 고정공(21)을 통과하여 조절부(31)에 삽입 가능한 봉부(411)와, 탄성스프링(42)의 타측이 탄성 지지되는 봉관(412)과, 봉관(412)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관(413)과, 가압관(413)을 기준으로 봉관(412)을 탄성 가압하되 일측은 봉관(412)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가압관(413)에 탄성 지지되는 보조스프링(414)을 포함할 수 있다.
봉관(412)은 가압관(413)을 향해 개구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내고, 가압관(413)은 봉관(412)을 향해 개구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낸다. 이때, 봉관(412)과 가압관(413)은 상호 끼움 결합이 가능하고, 보조스프링(414)의 일측은 봉관(4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봉관(412)에 탄성 지지되고, 보조스프링(414)의 타측은 가압관(4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관(413)에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가압관(413)에는 걸림홈(416)이 함몰 형성되거나 걸림돌부(6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42)은 안내공(51)과 고정공(21)과 조절부(31)에 삽입된 고정봉(41)이 적어도 조절부(31)에서 분리되도록 조절본체(5)를 기준으로 고정봉(41)을 탄성 가압한다. 탄성스프링(42)의 일측은 수용돌관(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본체(5)의 고정몸체(55)에 탄성 지지되고, 탄성스프링(42)의 타측은 고정봉(41)의 탄성지지캡(415)에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보조스프링(414)의 탄성력은 탄성스프링(42)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유리하다.
가압부재(6)는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부재(6)는 고정봉(41)을 직선 이동시킨다.
가압부재(6)는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역회전시 고정봉(41)의 봉부(411)를 조절부(31)에 삽입시키거나 조절부(31)에 삽입된 고정봉(41)의 봉부(411)가 조절부(31)에서 분리되도록 고정봉(41)의 탄성지지캡(415)을 가압하거나 고정봉(41)의 탄성지지캡(415)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캠휠(62)과, 캠휠(62)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캠휠(62)을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61)과,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캠휠(62)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캠휠(62)에는 가압관(413)에 대응하여 걸림돌부(621)가 돌출 형성되거나 걸림홈(41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고정봉(41)과 가압부재(6)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416)이 함몰 형성되고, 고정봉(41)과 가압부재(6) 중 다른 하나에는 가압부재(6)의 회전에 따라 고정봉(41)이 조절부(31)에 삽입될 때 걸림홈(416)에 삽입되는 걸림돌부(6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걸림홈(416)은 가압관(413)과 캠휠(6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걸림돌부(621)는 가압관(413)과 캠휠(6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6)에 걸림돌부(621)가 구비되는 경우, 조절본체(5)에는 걸림홈(416)에서 분리된 걸림돌부(621)가 걸림 지지되는 회전제한부(65)가 구비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편(63)이 조절본체(5)의 측면부에서 돌출되는 경우, 봉부(411)는 안내공(51)과 고정공(21) 중 적어도 안내공(51)에 삽입되고, 탄성스프링(42)은 조절본체(5)의 고정몸체(55)를 기준으로 고정봉(41)의 봉관(412)을 탄성 가압하며, 보조스프링(414)은 고정봉(41)의 봉관(412)을 기준으로 고정봉(41)의 가압관(413)을 탄성 가압하고, 고정봉(41)의 가압관(413)은 캠휠(62)에 지지된다. 또한, 캠휠(62)에 구비된 걸림돌부(621)는 회전제한부(65)에 걸림 지지되어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다수의 조절부(31) 중 어느 하나가 고정공(21)과 연통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손잡이편(63)을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휠(62)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봉(41)의 봉부(411)는 안내공(51)을 통과하여 고정공(21)에 삽입되고, 제2지주(3)의 측면에 지지된다. 이때, 탄성스프링(42)과 보조스프링(414)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1지주(2)를 기준으로 제2지주(3)를 왕복 이동시킴에 따라 다수의 조절부(31) 중 어느 하나가 고정공(21)과 연통되면, 탄성스프링(42)과 보조스프링(414)의 탄성력으로 고정봉(41)의 봉부(411)는 고정공(21)을 통과하여 조절부(31)에 삽입된다. 이때, 보조스프링(414)의 탄성력은 탄성스프링(42)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보조스프링(414)은 가압관(413)을 기준으로 봉관(412)을 가압하여 이동시키고, 탄성스프링(42)이 수축하면서 고정봉(41)의 봉부(411)가 안정되게 조절부(3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부(621)는 걸림홈(416)에 삽입되고, 손잡이편(63)은 조절본체(5)에서 가압몸체(59)의 측면부에 지지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조절모듈로 제1지지를 기준으로 제2지주(3)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손잡이편(63)을 강제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걸림홈(416)에 걸림돌부(621)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봉(41)의 봉부(411)는 조절부(3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손잡이편(63)을 강제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휠(62)의 회전에 따라 고정봉(41)의 봉부(411)는 탄성력에 의해 조절부(31)에서 분리되므로, 제1지주(2)를 기준으로 제2지주(3)를 왕복 이동시키고,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1)에 따르면,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고정봉(41)과 가압부재(6)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봉(41)과 가압부재(6)의 제1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봉(41)의 왕복 이동을 간소화시키고, 제1지주(2)와 제2지주(3)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봉(41)과 가압부재(6)의 제2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공(21)과 조절부(31)가 연통되지 않더라고 가압부재(6)를 조작하여 고정봉(41)을 가압할 수 있고, 고정공(21)과 조절부(31)가 연통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고정봉(41)의 봉부(411)가 조절부(31)에 삽입되고, 햅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탄성스프링(42)과 보조스프링(414)의 탄성력 차이를 통해 가압부재(6)가 고정봉(41)을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공(21)과 조절부(31)가 연통되는 경우, 봉부(41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봉부(411)가 조절부(31)에 안정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제한부(65)의 결합 관계를 통해 조립본체에서 가압부재(6)의 회전량을 제한하고, 가압부재(6)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621)를 보호하며, 걸림돌부(621)의 분리 여부에 따라 결속조절수단(4)의 파손 또는 교체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 높낮이 조절장치 2: 제1지주 21: 고정공
3: 제2지주 31: 조절부 4: 결속조절수단
41: 고정봉 411: 봉부 412: 봉관
413: 가압관 414: 보조스프링 415: 탄성지지캡
416: 걸림홈 42: 탄성스프링 5: 조절본체
51: 안내공 52: 수용홈 53: 수용돌관
54: 본체공 55: 고정몸체 56: 고정돌부
57: 고정홈 58: 고정돌기 59: 가압몸체
6: 가압부재 61: 고정축 62: 캠휠
621: 걸림돌부 63: 손잡이편 65: 회전제한부
7: 내입요홈

Claims (5)

  1. 중공의 제1지주에 제2지주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2지주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다수의 조절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지주의 일단부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과 연통되는 경우,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결속조절모듈이고,
    상기 제2지주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1지주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측면부에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는 조절본체;
    상기 안내공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공과 상기 조절부 중 적어도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조절본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
    상기 안내공과 상기 고정공과 상기 조절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봉이 적어도 상기 조절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조절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봉을 탄성 가압하되, 일측은 상기 조절본체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봉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봉을 직선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봉과 상기 가압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과 상기 가압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봉이 상기 조절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절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안내공과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봉부;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이 탄성 지지되는 탄성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역회전시 상기 봉부를 상기 조절부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조절부에 삽입된 상기 봉부가 상기 조절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탄성지지캡을 가압하거나 상기 탄성지지캡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캠휠;
    상기 캠휠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캠휠을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캠휠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탄성지지캡과 상기 캠휠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탄성지지캡과 상기 캠휠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절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안내공과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봉부;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측이 탄성 지지되는 봉관;
    상기 봉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관; 및
    상기 가압관을 기준으로 상기 봉관을 탄성 가압하되, 일측은 상기 봉관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관에 탄성 지지되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역회전시 상기 봉부를 상기 조절부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조절부에 삽입된 상기 봉부가 상기 조절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가압관을 가압하거나 상기 가압관의 가압을 해제시키는 캠휠;
    상기 캠휠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캠휠을 상기 조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캠휠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가압관과 상기 캠휠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가압관과 상기 캠휠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절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조절모듈.
  5. 일단부에 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중공의 제1지주;
    상기 제1지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왕복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다수의 조절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제2지주; 및
    상기 제1지주에 결합되고, 다수의 조절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경우,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상기 조절부에 삽입 가능한 결속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조절수단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결속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220077834A 2022-06-24 2022-06-24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240000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834A KR20240000972A (ko) 2022-06-24 2022-06-24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834A KR20240000972A (ko) 2022-06-24 2022-06-24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972A true KR20240000972A (ko) 2024-01-03

Family

ID=8953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834A KR20240000972A (ko) 2022-06-24 2022-06-24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9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557A (ko) 2014-03-20 2015-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97020A (ko) 2016-12-20 2019-08-2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90141103A (ko) 2019-09-09 2019-12-23 김은비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557A (ko) 2014-03-20 2015-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97020A (ko) 2016-12-20 2019-08-2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90141103A (ko) 2019-09-09 2019-12-23 김은비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347A (en) Height-adjustable armrest unit for chair
US6957867B1 (en) Height-adjustable armrest
US6135556A (en) Seat adjustment mechanism
US5895095A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ies for chairs
US6279998B1 (en) Seat mounting mechanism
US10455946B1 (en) Backrest height adjusting assembly
US20180344034A1 (en) Rotary Positioning Device for Armrest Assembly
US6276755B1 (en) Swivel arrangement for a chair seat
KR102162864B1 (ko)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573355B1 (ko) 허리 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 및 시트
US6974185B2 (en) Height adjustable chair for a keyboard instrument
US7264312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KR101490435B1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TWM597089U (zh) 具可調整升降之扶手結構
KR20240000972A (ko) 결속조절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24398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US3815956A (en) Rotary armchair
KR10230351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CA2411986C (en) Armrest support
KR101546946B1 (ko) 보조서랍장에 결합하는 높이 조절 기구
KR10137996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540295B1 (ko) 조작성이 향상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7258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US10660445B2 (en) Height adjustable chair armrest
JP4350025B2 (ja) 椅子用レバ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