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758A -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 Google Patents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758A
KR20190096758A KR1020180016567A KR20180016567A KR20190096758A KR 20190096758 A KR20190096758 A KR 20190096758A KR 1020180016567 A KR1020180016567 A KR 1020180016567A KR 20180016567 A KR20180016567 A KR 20180016567A KR 20190096758 A KR20190096758 A KR 20190096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eight
control mechanism
upper plate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928B1 (ko
Inventor
민우기
강창수
서은석
홍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홍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to KR102018001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변할 수 있는 상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1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하여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2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길이가 변하여 상기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기구; 상기 높이 조절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 및 상기 제어 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Height-adjustable table}
본 발명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블은 사무용/학습용 책상, 식탁, 양로원용 식탁, 좌식 탁자, 싱크대, 적치대, 작업대 등 이름과 관계없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책상의 높이는 획일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책상을 사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책상에 앉아 작업하면,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인해 척추 측만증이 발생하거나,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등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식탁, 좌식 탁자 역시 책상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 제조 시점 이후에는 높이가 조절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체구가 작거나 큰 사용자 또는 휠체어를 탄 사용자는 상판의 높이가 맞지 않아 불편함을 호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7132호 (공고일 2017.06.27)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은 대개 상판 및 상판 위에 놓인 물체의 무게를 분산하여 지지하기 위해 테이블 양단에 각각 높이 조절 기구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기구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기구 역시 테이블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손을 모두 이용해야만 제어 기구를 모두 작동시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판의 폭이 너무 길거나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다른 물체를 들고 있어 사용자의 양손이 각각의 제어 기구에 닿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변할 수 있는 상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1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하여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2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길이가 변하여 상기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기구; 상기 높이 조절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 및 상기 제어 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제어 기구가 상기 높이 조절 기구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승강 모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 기구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상판에 대해 고정된 걸쇠 베이스; 및 상기 걸쇠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쇠는 상기 걸쇠 베이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쇠 베이스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보다 폭이 좁은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제1층과 결합하고 상기 제2층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쇠의 가로 폭은 상기 걸쇠의 세로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 기구의 일 면에는 상기 걸쇠가 안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의 폭이 너무 길거나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다른 물체를 들고 있는 등의 이유로 사용자의 양손이 각각의 제어 기구에 닿을 수 없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고정 기구를 통해 한쪽의 제어 기구를 승강 모드로 고정시킨 후 다른 한쪽의 제어 기구에 직접 힘을 가하여, 한 손만으로도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어 기구가 '고정 모드'에 있을 때의 테이블을, 도 3은 제어 기구가 '승강 모드'에 있을 때의 테이블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기구와 고정 기구의 사용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이 싱크대에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단계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단계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테이블'은 사무용/학업용 책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 책상, 식탁, 양로원용 식탁, 좌식 탁자, 싱크대, 적치대, 작업대 등 이름과 관계없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100)은 베이스(110), 상판(120), 제1 연결부재(130), 제2 연결부재(140), 높이 조절 기구(150), 제어 기구(160), 고정 기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1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10)의 하면은 지면 또는 다른 물체의 상면과 접촉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도 1과 같이 다리(leg)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20)은 물체가 위에 올려지거나 수납될 수 있는 판(plate)일 수 있다. 상판(120)은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높이가 변할 수 있다. 상판(120)은 베이스(110)에 인접한 하사점과, 높이가 최대로 상승한 상사점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 조절 기구(150)를 조작하여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상판(1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는 베이스(110)와 상판(1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는 베이스(110)와 상판(12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는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교차하는 부분에는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의 일단은 베이스(110) 또는 상판(120)에 회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의 타단은 베이스(110) 또는 상판(120)에 회동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재(130)는 제1 회동단(130R)과 제1 이동단(130S)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140)는 제2 회동단(140R)과 제2 이동단(140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단(130R)과 제2 회동단(140R)은 일측의 베이스(110)와 상판(120)에 각각 설치되고, 제1 이동단(130S)과 제2 이동단(140S)은 타측의 베이스(110)와 상판(120)에 각각 설치된다. 예컨대, 제1 회동단(130R)은 (+y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110)의 전방에 설치되고, 제2 회동단(140R)은 상판(12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단(130S)은 후방의 상판(120)에 설치되고, 제2 이동단(140S)은 후방의 베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0)의 제1 이동단(130S)과 제2 연결부재(140)의 제2 이동단(140S)이 회동하면서 슬라이딩하면,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가 이루는 각도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30) 및 제2 연결부재(140)와 연결된 상판(120)은 베이스(110)에 대해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150)는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높이 조절 기구(150)는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150)는 유압을 이용해 길이가 조절되는 장치일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150)는 예컨대 가스 스프링(gas spring)일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150)의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제1 연결부재(130)의 제1 이동단(130S)은 제2 연결부재(140)의 제2 회동단(140R)을 향하여 이동하고, 제2 연결부재(140)의 제2 이동단(130S)은 제1 연결부재(130)의 제1 회동단(130R)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가 이루는 각도가 좁아져, 상판(120)이 베이스(110)에 대해서 승강할 수 있다. 반대로, 높이 조절 기구(150)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제1 연결부재(130)의 제1 이동단(130S)은 제2 연결부재(140)의 제2 회동단(140R)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연결부재(140)의 제2 이동단(130S)은 제1 연결부재(130)의 제1 회동단(130R)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40)가 이루는 각도가 넓어져, 상판(120)이 베이스(110)에 대해서 하강할 수 있다.
제어 기구(160)는 높이 조절 기구(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기구(160)는 회동하여 상판(120)과의 각도가 변할 수 있는 핸들(161) 및 핸들(161)을 상판(120)의 아랫면에 설치되어 핸들(161)을 지지하는 핸들 커버(162)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161)을 누르면, 핸들 커버(162) 내부에 연결된 케이블(미도시)이 높이 조절 기구(150)에 유압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 조절 기구(15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상태로 변할 수 있어, 상판(120)의 높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핸들(161)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높이 조절 기구(150)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판(120)의 높이는 고정될 수 있다. 즉 제어 기구(160)는 높이 조절 기구(15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승강 모드 및 높이 조절 기구(15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 고정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어 기구(160)는 '고정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핸들(161)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핸들(161)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어 기구(160)는 상판(1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상판(120)의 윗면에, 나머지 네 손가락을 핸들(161)의 아랫면에 둔 상태로 손에 힘을 가해 상판(120) 및 핸들(161)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제어 기구(160)가 케이블을 통해 높이 조절 기구(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어 기구(160)는 기계적, 전기적인 방식을 통해 높이 조절 기구(150)와 연결되어 높이 조절 기구(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고정 기구(170)가 제어 기구(160)를 고정하는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어 기구(160)가 '고정 모드'에 있을 때의 테이블을, 도 3은 제어 기구(160)가 '승강 모드'에 있을 때의 테이블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 기구(170)는 제어 기구(160)를 고정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고정 기구(170)는 제어 기구(160)가 높이 조절 기구(15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승강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 기구(16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기구(170)는 상판(120)의 아랫면에 설치될 수 있고, 높이 조절 기구(150)와 가까운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기구(170)는 상판(120)에 대해 고정된 걸쇠 베이스(172) 및 걸쇠 베이스(172)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걸쇠(17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고정 모드'에 있는 제어 기구(160)의 핸들(161)을 위 방향으로 눌러 도 3과 같이 제어 기구(160)가 '승강 모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핸들(161)이 상판(120)에 가깝게 접근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쇠(171)를 걸쇠 베이스(172)에 대해 약 90도 회전시켜 핸들(161)의 아래쪽에 놓을 수 있다. 걸쇠(171)가 걸린 경우, 핸들(161)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어 기구(160)는 '승강 모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쇠 베이스(172)는 제1층(172-1) 및 제1층(172-1)보다 폭이 좁은 제2층(172-2)을 포함하고, 걸쇠(171)는 제1층(172-1)과 결합하고 제2층(172-2)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걸쇠(171)는 걸쇠 베이스(172)의 제1층(172-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층(172-1)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걸쇠(171)의 가로 폭은 세로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걸쇠(171)는 걸쇠 베이스(172)와 z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걸쇠(171)의 일단은 제1층(172-1)과 결합하여 회전축으로 기능할 수 있고, 걸쇠(171)의 돌출부는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해 걸쇠(171) 돌출부가 제어 기구(160)를 향하도록 걸쇠(1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층(172-2)에 의해, 걸쇠(171)의 회전 각도는 제한될 수 있다. 즉 걸쇠(171) 돌출부는 도 3에 예시된 회전 경로(RP)상에만 위치할 수 있다. 걸쇠(171) 돌출부가 더 안쪽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걸쇠(171) 돌출부는 사용자의 손이 닿기 쉬운 곳에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 기구(170)를 눈으로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가락으로 쉽게 걸쇠(171) 돌출부를 찾아 회전시켜 제어 기구(16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61)은 상판(120)의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때 고정 기구(170)는 제어 기구(160)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으로 핸들(161)을 가압한 상태에서 집게손가락을 이용해 걸쇠(171)를 쉽게 돌릴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61)의 밑면에는 걸쇠(171)가 안착할 수 있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걸쇠(171)는 회전하다가, 홈을 지나는 순간 '딸깍' 소리를 내며 핸들(161)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어 기구(160)가 고정 기구(170)에 의해 잘 고정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기구(160)는 위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버튼(미도시) 및 상판(120)의 밑면에 설치되어 버튼을 고정하는 버튼 고정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제어 기구(160)를 승강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버튼을 누른 상태로 핸들(161)을 회전시켜 버튼 밑에 두어, 버튼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도록 버튼을 고정할 수 있다.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일측의 제어 기구(160)는 승강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외에도, 제어 기구(160)가 '승강 모드'와 '고정 모드'를 가지고 고정 기구(170)가 '승강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 기구(160)를 고정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차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탁과 같이 보통 가로 방향으로 길어 상판(120)의 폭이 너무 길거나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다른 물체를 들고 있어 사용자의 양손이 각각의 제어 기구(160)에 닿을 수 없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고정 기구(170)를 통해 한쪽의 제어 기구(160)를 승강 모드로 고정한 후 다른 한쪽의 제어 기구(160)에 직접 힘을 가하여, 한 손만으로도 상판(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휠체어를 타는 등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한 양로원용 식탁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휠체어를 탄 노인은 손쉽게 휠체어 바퀴 높이에 맞게 식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기구(160)와 고정 기구(170)의 사용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여러 사람이 앉게 되는 식탁, 회의용 책상 등과 같이 상판(120)의 폭이 너무 크거나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다른 물체를 들고 있는 등의 이유로 양손으로 두 개의 제어 기구(160)를 동시에 작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판(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 기구(170)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테이블 왼쪽의 제어 기구(160L)의 핸들(161L)을 눌러 왼쪽의 제어 기구(160L)를 승강 모드로 변환시킨다. 이때 오른쪽 제어 기구(160R)는 아직 고정 모드이므로 사용자가 상판(120)에 힘을 가하더라도 상판(120)의 높이는 조절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핸들(161L)이 눌린 상태에서 왼쪽의 고정 기구(170)의 걸쇠(171)를 회전시켜 걸쇠(171)의 돌출부를 핸들(161L) 밑에 놓아, 핸들(161L)이 눌린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왼쪽의 제어 기구(160L)에서 손을 떼더라도 왼쪽의 제어 기구(160L)는 '승강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오른쪽 핸들(161R)을 눌러 오른쪽 제어 기구(160R)를 '승강 모드'로 바꿀 수 있다. 즉 왼쪽의 제어 기구(160L)는 고정 기구(170)에 의해 승강 모드를 유지하고 있고, 오른쪽의 제어 기구(160R)는 사용자에 의해 승강 모드에 있게 된다. 양쪽의 제어 기구(160)가 모두 승강 모드에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힘을 가하여 상판(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더라도, 고정 기구(170)를 통해 사용자는 두 개의 제어 기구(160)를 순차적으로 승강 모드로 바꿀 수 있어, 상판(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고정 기구(170)가 상판(120)의 왼쪽에만 설치된 것을 위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고정 기구(170)는 테이블(100)의 오른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양쪽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7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700)은 베이스(710), 상판(720), 제1 연결부재(730), 제2 연결부재(740), 높이 조절 기구(750), 제어 기구(760) 및 고정 기구(7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710)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700)을 지지한다. 베이스(710)는 지지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712)는 바닥 등 위에 놓여 테이블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판(720)은 다단으로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721)와 제2 플레이트(722)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700)을 책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플레이트(722) 위에 예컨대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놓을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730) 및 제2 연결부재(740)는 베이스(710)와 상판(720)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730) 및 제2 연결부재(740)가 y축에 평행하게 움직이는 도 1 내지 도 6의 테이블과는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에서는 제1 연결부재(730) 및 제2 연결부재(740)가 x축에 평행하게 움직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750)는 제1 연결부재(730) 및 제2 연결부재(740)를 연결할 수 있다. 높이 조절 기구(750)는 제1 높이 조절 유닛(751)과 제2 높이 조절 유닛(7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751)은 제어 기구(760)를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751)은 상판(7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며,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여 구동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유닛(751)은 락 타입(lock type)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752)은 일정 방향으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작용해 제1 높이 조절 유닛(75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752)은 제1 높이 조절 유닛(751)의 구동을 보완하고, 이에 따라 상판(720)은 부드럽게 승하강할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752)은 제1 높이 조절 유닛(751)과 대칭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판(720)이 받는 구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 유닛(752)은 프리 타입(free type)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비슷하게, 제어 기구(760)는 핸들(761) 및 핸들 커버(762)를 가질 수 있다. 핸들(761)은 상판(720)의 가장자리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8과 같이 눌린 상태의 핸들(761) 위치를 고정하도록 걸쇠(771)를 회전시켜, 왼쪽의 제어 기구(760)를 승강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오른쪽의 제어 기구(760)를 작동하여 상판(7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9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특히 보조 테이블 형태의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900)은 베이스(910), 상판(920), 제1 연결부재(930), 제2 연결부재(940), 높이 조절 기구(950), 제어 기구(960) 및 고정 기구(9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기구(960) 및 고정 기구(970)의 메커니즘은, 다른 테이블 위에 올려져 사용되는 보조 테이블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의 보조 테이블은 다른 테이블, 작업대, 식탁 등에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1100)이 싱크대에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1100)은 베이스(1110), 상판(1120), 제1 연결부재(1130), 제2 연결부재(1140), 높이 조절 기구(1150), 제어 기구(1160), 고정 기구(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20)은 식기 등을 올려놓거나 수납하는 판(plate)일 수 있다. 상판(1120)은 평평한 평판부 및 오목하게 패여 공간을 형성하는 개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상판(1120)이 하사점에 있을 때, 베이스(1110),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높이 조절 기구(1150)는 수납부 내에 배치되어 도 13과 같이 싱크대 도어(D)를 열지 않는 한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판(1120)은 싱크대 수납부 위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2와 같이 상판(1120)이 상사점에 있을 때, 싱크대 내부에 숨겨져 있던 개수대, 제1 연결부재(1130), 제2 연결부재(1140) 등이 바깥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고정 기구(1170)가 오른쪽의 제어 기구(1160) 부근에만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도 12와 같이 걸쇠(1171)를 회전시켜 오른쪽의 핸들(1161)을 고정한 뒤, 왼쪽의 핸들(1161)을 눌러 상판(1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테이블 110: 베이스
120: 상판 130: 제1 연결부재
140: 제2 연결부재 150: 높이 조절 기구
160: 제어 기구 161: 핸들
162: 핸들 커버 170: 고정 기구
171: 걸쇠 172: 걸쇠 베이스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높이가 변할 수 있는 상판;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1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교차하여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판을 연결하고, 제2 이동단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길이가 변하여 상기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기구;
    상기 높이 조절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 및
    상기 제어 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구;를 포함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제어 기구가 상기 높이 조절 기구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승강 모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 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상판에 대해 고정된 걸쇠 베이스; 및
    상기 걸쇠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걸쇠;를 포함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걸쇠 베이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베이스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보다 폭이 좁은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제1층과 결합하고 상기 제2층과 나란히 배치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가로 폭은 상기 걸쇠의 세로 폭보다 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기구의 일 면에는 상기 걸쇠가 안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KR1020180016567A 2018-02-09 2018-02-09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KR102045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67A KR102045928B1 (ko) 2018-02-09 2018-02-09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67A KR102045928B1 (ko) 2018-02-09 2018-02-09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58A true KR20190096758A (ko) 2019-08-20
KR102045928B1 KR102045928B1 (ko) 2019-11-18

Family

ID=6780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567A KR102045928B1 (ko) 2018-02-09 2018-02-09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11B1 (ko) * 2020-05-20 2021-08-0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배식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290U (ko) * 1994-04-11 1995-11-17 김복철 상다리의 고정장치
KR20160100205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20180005353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비페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290U (ko) * 1994-04-11 1995-11-17 김복철 상다리의 고정장치
KR20160100205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1747132B1 (ko) 2015-02-13 2017-06-27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20180005353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비페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11B1 (ko) * 2020-05-20 2021-08-02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배식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928B1 (ko)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9843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US8939500B2 (en) Ergonomic productivity workstation having coordinated and harmonized movement of head rest, backrest, seat, leg rest, arm rests, monitor support, and work trays through sitting, standing, and reclining configurations
EP3191063B1 (en) Seat assist device
US20050275322A1 (en) Wheelchair accommodating system
US20120248263A1 (en) Computer work desk
DE602005009964D1 (de) Ergonomische armlehne
US11627804B2 (en) Ergonomic multi-positionable workstation
JP2018520740A (ja) 高さ調節可能な卓上台
KR102056182B1 (ko) 인체공학적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책상
US20150182022A1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KR102045928B1 (ko)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US10441072B2 (en) Mobile structure for working with computer equipment couplable to slanting chairs
US5884879A (en) Ergonomic support pad
JPH10215980A (ja) テーブル付ソファ
KR101794234B1 (ko) 복합 슬라이딩 데스크 시스템
CN109077514B (zh) 弧轨架可躺式一体化电脑座椅
JP2004065530A (ja) 椅子
US20220386770A1 (en) Furniture with adjustable work surface
NL2013479B1 (en) Moving aid for the (fore)arm of a person.
JP6552082B2 (ja) 家具及び椅子
JP6996933B2 (ja) 天板昇降式什器
AU2017101717A4 (en) Desktop Assembly
KR200336837Y1 (ko) 장애인 및 노약자 접수대
SK500562016U1 (sk) Multimediálne kreslo
KR100469772B1 (ko) 다리가 없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