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353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353A
KR20180005353A KR1020160085296A KR20160085296A KR20180005353A KR 20180005353 A KR20180005353 A KR 20180005353A KR 1020160085296 A KR1020160085296 A KR 1020160085296A KR 20160085296 A KR20160085296 A KR 20160085296A KR 20180005353 A KR20180005353 A KR 2018000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rod
heigh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234B1 (ko
Inventor
정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페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페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페블
Priority to KR102016008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 저면으로 상호 대응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공이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되,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X자 형태로 구비되되, 상단이 받침부의 가이드 공에 안내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지지대와, 상기 축과 로드부재에 연결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에 연결설치되는 로드축과, 상기 로드축 일단에 설치되어, 지지대의 작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한 후, 로드부재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간단히 가압하여 상판(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책상, 모니터, 노트북 등 각각의 물품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은 물론, 회사원이나 학생 등, 사용하는 사람의 신장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회사업무 및 공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허리의 긴장완화하여 척추 측만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장치와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받침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Stand for adjusting heigh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판를 간단히 조절하여 책상 데스크, 모니터, 노트북 등에 상판으로 사용함으로써, 회사원이나 학생 등, 사용하는 사람의 신장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회사업무 및 공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각종 업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입석 또는 착석하여 업무를 처리함으로써, 허리의 긴장을 완화하여, 허리건강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일상 생활에서 업무용이나 학습용 또는 작업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업무용이나 작업용의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가진다.
보통 책상은 사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된 높이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신장이 작거나 큰 사람의 경우에는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기타 사무 작업 시에도 고정된 책상 높이로 인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높이를 갖는 책상을 사용할 경우, 의자를 사용하여 알맞는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키가 큰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다리의 길이 때문에 앉은 자세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받침대를 이용한 학습 등으로 인한 장시간 생활할 때에는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척추를 비롯한 신체 발달에 상당한 무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책상은 서로 다른 체형을 가진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있도록 하는 받침대 높낮이 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받침대의 높이를 의자의 높이와 맞추어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10-2009-0028042 "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책상"이 소개되었다.
상기 책상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지지 다리의 고정바 안으로 삽입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승강바가 수직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승강바의 고정홈 내까지 진입하여, 승강바로 높이조절 후, 승강바와 고정바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구비되어, 받침대의 높이를 사용자에 신장에 맞게 조절한 다음, 고정핀을 사용하여 승강바와 고정바를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책상은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매번 고정핀을 삽입 또는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동시에, 승강바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고정홈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해야하기 때문에, 고정홈 사이사이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는 정밀하게 높이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09-0028042 "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책상"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사용자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신장에 알맞게 정밀히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회사원일 경우에, 편안한 자세로 보다 효과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고, 성장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학생인 경우에, 신체조건에 알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학생들의 척추가 휘어지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하거나 성장속다 둔화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잠금장치와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 저면으로 상호 대응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공이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되,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X자 형태로 구비되되, 상단이 받침부의 가이드 공에 안내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지지대와, 상기 축과 로드부재에 연결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에 연결설치되는 로드축과, 상기 로드축 일단에 설치되어, 지지대의 작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한 후, 로드부재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로드축에 일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로드축이 관통될 수 있게 일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공간부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 내측으로 구비되되, 로드축이 관통될 수 있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는 스토퍼의 공간부에 위치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위치하되, 로드축을 감싸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편을 가압 및 해제하여 스토퍼의 움직임을 고정 및 해제하는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의 상하움직임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스토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연결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몸체부 일측으로 연결형성되어, 가압부재의 상하 움직임을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 일단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에 안내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가이드공에 안내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 일측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판에 관통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외주면에 구비되어, 완충부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지대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의 일단에 연결설치되어, 받침부의 가이드공을 따라 안내되는 로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간단히 가압하여 상판(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책상, 모니터, 노트북 등 각각의 물품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은 물론, 회사원이나 학생 등, 사용하는 사람의 신장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회사업무 및 공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허리의 긴장완화하여 척추 측만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장치와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받침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받침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설치구조 1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설치구조 2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설치구조 3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평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받침대의 작용 1을 나타낸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받침대의 작용 2를 나타낸 작용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판(1) 저면으로 상호 대응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공(11)이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되, 축(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21)와 X자 형태로 구비되되, 일단이 받침부(10)의 가이드 공에 안내되는 제2지지대(22)와, 상기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를 연결하는 연결축(23)을 더 포함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제2지지대(22)의 일단에 연결설치되어, 받침부(10)의 가이드공(11)을 따라 안내되는 로드부재(30)와, 상기 축(2)과 로드부재(30)에 연결설치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로드부재(30)에 연결설치되는 로드축(50)과, 상기 로드축(50) 일단에 설치되어, 지지대(20)의 작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한 후, 로드부재(30)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수단(60)으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받침부(10), 지지대(20), 로드부재(30), 로드축(50), 고정수단(60), 잠금장치(70), 완충부재(8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0)는 상판(1) 저면 양단으로 한 쌍이 설치되며,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되기 위해 설치공간부를 가지며, 양측면으로, 제2지지대(22) 상단에 설치된 로드부재(30)가 수평좌우로 안내되기 위해, 횡방향으로 길게 가이드공(11)이 형성되고, 완충부재(80)의 지지부(82)가 관통설치되어 작용하기 위해 일면에 형성된 관통공 및 고정수단(60)이 결합고정되기 위해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20)는 바 형태로, 받침부(10)에 상단이 축(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21)와 X자 형태로 구비되되, 상단이 받침부(10)에 형성된 가이드공(11)에 안내가능하게 설치된 제2지지대(22)와, 상기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 중앙에 설치되어, X자 형태로 각각의 지지대(21)(22) 단부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연결축(2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해 설치된 바퀴(9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드부재(30)는 제2지지대(22) 상단에 직교되는 형태로 설치되되, 단면이 원형태를 갖는 이동축으로써, 받침부(10)의 가이드공(11)에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며, 로드부재(30) 양단에 가이드공(11)을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다수개의 롤러가 상호 대응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제1지지대(21)를 받침부(10)에 연결한 축(2)에 일단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로드부재(30)의 연결설치되어, 상기 로드부재(30)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축(50)은 고정수단(60)과 상호 작용하여 각각의 지지대(21)(22)의 작용 및 정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로드부재(30)의 일단부에 연결고정되되, 받침부(10)의 가이드공(11)과 상호 수평하게 설치되며, 길이는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수단(60)은 받침부(10)의 결합부에 고정설치되며, 로드축(50)이 관통될 수 있게 양측면에 관통공(61a) 및 상면에 공간부(61b)가 형성된 스토퍼(61)와, 상기 스토퍼(61) 내측공간으로 구비되되, 로드축(50)에 관통될 수 있게 관통공(62a)이 형성되고, 상부는 스토퍼(61)의 공간부(61b)에 위치하여 작용하기 위해 형성된 밀착부(62b)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고정편(62)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편(62) 사이에 위치하되, 로드축(50)을 감싸 설치되며, 한 쌍의 고정편(62)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해 탄성부재(63)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편(62) 일단부를 가압 및 해제하여 스토퍼(61)의 움직임을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가압부재(64)가 설치되되, 상기 가압부재(64)는 굵은 철사를 절단하여 상호 대응하게 각각 굴곡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된 부분을 스토퍼(61) 양측면에 관통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한 쌍의 고정편(62)이 설치되는데 있어서,
각각의 고정편(62)에 형성된 관통공(61a)(62a)은 로드축(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편(62)이 상호 대칭하게 구비되되, 한 쌍의 고정편(62) 사이의 거리가 상부보다는 하부가 더 멀게, 즉, 상부에서 하부로 한 쌍의 고정편(62)이 탄성부재(63)에 의해 상호 점점 벌어지는 형태를 갖으며, 상기 탄성부재(63)에 인장력에 의해, 한 쌍의 고정편(62)에 형성된 관통공(61a)(62a)하부가 로드축(50)의 외경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70)는 스토퍼(61)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 상부로 연결형성되되, 일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72) 및 상기 몸체부(71) 외주면으로 가압부재(64)의 상하 움직임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잠금부(73)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완충부재(80)는 받침부(10)의 가이드공(11)에 안내되기 위해 안내부가 양측면에 형성된 완충부(81)와 상기 완충부(81) 일측으로 바형태로 일단이 연결형성되며, 타단은 받침부(10)의 관통공에 관통설치되는 지지부(82) 및 상기 지지부(82) 외주면에 구비되어, 완충부(81)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83)로 구성되며, 추가로 상기 완충부재(80)의 지지부(82)가 받침부(10)의 관통공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82)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판(1)를 상향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가압부재(64)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면,
한 쌍의 고정편(62)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3)가 수축(2)되는 작용과 함께, 상부에서 하부로 벌어진 한 쌍의 고정편(62)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작용과 동시에, 로드축(5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됐던 각각 고정편(62)의 관통공(61a)(62a) 상부 및 하부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과 동시에,
축(2)과 로드부재(30)에 연결설치된 탄성부재(4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로드축(50)의 외주면을 따라 스토퍼(61)가 좌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동시에, 받침부(10)의 가이드공(11)에 설치된 로드부재(30)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는 작용, 즉, 연결축(23)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설치된 각각의 지지대(21)(22)가 상부 및 하부가 상호 좁아지는 동시에, 상판(1)가 수직상향 이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상판(1)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알맞게 조절한 다음, 사용자가 가압하고 있던 가압부재(64)를 해제하게 되면, 한 쌍의 고정편(62)에 형성된 관통공(61a)(62a) 상부 및 하부가 로드축(50)에 외주면에 밀착고정되어, 1차적으로 상판(1)를 고정하게 되고, 보다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잠금장치(70)의 잠금부(73)를 회전가압하여, 가압부재(64)의 움직임을 고정함으로써, 2차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상판(1)를 고정할 수 있는 큰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상판(1)를 하향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먼저, 사용자가 잠금장치(70)의 잠금부(73)를 회전하여 가압부재(64)를 작동가능하게 설정한 다음, 사용자가 가압부재(64)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면,
한 쌍의 고정편(62)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3)가 수축(2)되는 작용과 함께, 상부에서 하부로 벌어진 한 쌍의 고정편(62)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작용과 동시에, 로드축(5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됐던 각각 고정편(62)의 관통공(61a)(62a) 상부 및 하부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판(1)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축(2)과 로드부재(30)에 연결설치된 탄성부재(40)가 인장되는 동시에, 로드축(50)의 외주면을 따라 스토퍼(61)가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받침부(10)의 가이드 공에 설치된 로드부재(30)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는 작용, 즉, 연결축(23)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설치된 각각의 지지대(21)(22)가 상부 및 하부가 상호 벌어지는 동시에, 상판(1)가 수직하향 이동하게 되며, 상판(1)의 높이를 알맞게 조절한 다음, 사용자가 가압하고 있던 가압부재(64)를 해제하게 되면, 한 쌍의 고정편(62)에 형성된 관통공(61a)(62a) 상부 및 하부가 로드축(50)에 외주면에 밀착고정되어, 1차적으로 상판(1)를 고정하게 되고, 보다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잠금장치(70)의 잠금부(73)를 회전가압하여, 가압부재(64)의 움직임을 고정함으로써, 2차적으로 상판(1)를 견고히 고정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조절하여 각종 업무를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판(1)을 하 방향으로 순간 강하게 가압하거나, 어린아이가 상판(1)에 앉거나 올라갈 경우, 로드부재(30)와 받침부(10) 일측에 설치된 완충부재(80)가 상호작용하여, 완충시킴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사용은 국한되지 않고, 책상, 모니터 등, 각종 물건을 놓고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상판
2: 축
10: 받침부
11: 가이드공
20: 지지대
21,22: 제1지지대, 제2지지대
30: 로드부재
40, 63, 82: 탄성부재
50: 로드축
60: 고정수단
61: 스토퍼
62: 한 쌍의 고정편
64: 가압부재
70: 잠금장치
80: 완충부재

Claims (8)

  1. 상판(1) 저면으로 상호 대응하게 설치되는, 가이드공(11)이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되, 축(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21)와 X자 형태로 구비되되, 상단이 받침부(10)의 가이드 공에 안내되는 제2지지대(22)와, 상기 제1지지대(21)와 제2지지대(22)를 연결하는 연결축(23)을 더 포함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축(2)과 로드부재(30)에 연결설치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로드부재(30)에 연결설치되는 로드축(50)과,
    상기 로드축(50) 일단에 설치되어, 지지대(20)의 작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한 후, 로드부재(30)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고정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0)은 로드축(50)에 일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로드축(50)이 관통될 수 있게 일면에 관통공(61a)이 형성되고, 상면에 공간부(61b)가 형성된 스토퍼(61)와, 상기 스토퍼(61) 내측으로 구비되되, 로드축(50)이 관통될 수 있게 관통공(61a)이 형성되고, 상부는 스토퍼(61)의 공간부(61b)에 위치하는 밀착부(62b)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고정편(62)과, 상기 한 쌍의 고정편(62) 사이에 위치하되, 로드축(50)을 감싸 설치되는 탄성부재(63) 및 상기 한 쌍의 고정편(62)을 가압 및 해제하여 스토퍼(61)의 움직임을 고정 및 해제하는 가압부재(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64)의 상하움직임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잠금장치(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70)는 스토퍼(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 상부에 연결형성된 손잡이(72) 및 상기 몸체 일측으로 연결형성되어, 가압부재(64)의 상하 움직임을 고정하는 잠금부(7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 일단에 설치되어, 가이드공(11)에 안내되는 완충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80)는 가이드공(11)에 안내되는 완충부(81)와, 상기 완충부(81) 일측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판(1)에 관통되는 지지부(82) 및 상기 지지부(82) 외주면에 구비되어, 완충부(81)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대(21)(22)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22)의 일단에 연결설치되어, 받침부(10)의 가이드공(11)을 따라 안내되는 로드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KR1020160085296A 2016-07-06 2016-07-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KR10192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296A KR101929234B1 (ko) 2016-07-06 2016-07-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296A KR101929234B1 (ko) 2016-07-06 2016-07-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53A true KR20180005353A (ko) 2018-01-16
KR101929234B1 KR101929234B1 (ko) 2019-03-14

Family

ID=6106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296A KR101929234B1 (ko) 2016-07-06 2016-07-06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758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KR102084349B1 (ko) * 2019-03-19 2020-03-03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KR102126648B1 (ko) * 2020-02-11 2020-06-24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861A (ko) * 1998-09-16 1999-04-26 함영일 다리미판의 높이 조절장치
KR20090028042A (ko) 2007-09-13 2009-03-18 박종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책상
KR20100105925A (ko) * 2009-03-23 2010-10-01 김주영 서랍 안내구
US20140041554A1 (en) * 2012-08-07 2014-02-13 Hui-Ling Huang Adjustable table with an assistant device
KR101430896B1 (ko) * 2014-03-18 2014-08-18 (주)제이와이 사물함을 구비한 학생의자
KR20160074221A (ko) * 2014-12-18 2016-06-28 정대훈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861A (ko) * 1998-09-16 1999-04-26 함영일 다리미판의 높이 조절장치
KR20090028042A (ko) 2007-09-13 2009-03-18 박종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책상
KR20100105925A (ko) * 2009-03-23 2010-10-01 김주영 서랍 안내구
US20140041554A1 (en) * 2012-08-07 2014-02-13 Hui-Ling Huang Adjustable table with an assistant device
KR101430896B1 (ko) * 2014-03-18 2014-08-18 (주)제이와이 사물함을 구비한 학생의자
KR20160074221A (ko) * 2014-12-18 2016-06-28 정대훈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758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
KR102084349B1 (ko) * 2019-03-19 2020-03-03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KR102126648B1 (ko) * 2020-02-11 2020-06-24 최수연 노트북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234B1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KR10192923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US9833076B2 (en) Human balance work stool
US10524573B2 (en) Stools, chairs, and methods using the same
CA2935140C (en) Stools with chest support and armres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80160799A1 (en) Height-adjustable desktop stand
US4979533A (en) Adjustable orthopedic crutch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101929233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KR200454595Y1 (ko) 경추 견인 기구
US7644460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lieving back pain
KR20120101931A (ko) 자세교정용 의자
US20180318159A1 (en) Apparatus For Rising To A Sitting Position Utilizing A Leg Anchor
KR20160096358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102028189B1 (ko) 스탠딩 책상
US20160278523A1 (en) Covered sliding operator
KR20110011143U (ko) 아이패드 거치장치
CN215015546U (zh) 一种桌边椅
KR20047913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가진 책상
KR200496272Y1 (ko) 컴퓨터 작업용 받침대
JP2014217545A (ja) 作業用椅子
KR20130137286A (ko)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WO20140740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грузки позвоночного столба
KR101672464B1 (ko) 겨드랑이 지지부가 구비된 등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