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286A -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286A
KR20130137286A KR1020120060733A KR20120060733A KR20130137286A KR 20130137286 A KR20130137286 A KR 20130137286A KR 1020120060733 A KR1020120060733 A KR 1020120060733A KR 20120060733 A KR20120060733 A KR 20120060733A KR 20130137286 A KR20130137286 A KR 2013013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shion member
backrest
heigh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준
Original Assignee
박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준 filed Critical 박경준
Priority to KR102012006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286A/ko
Publication of KR2013013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용 프레임(200) 및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고정된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를 포함하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전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허리받침대(100)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100)는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 및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쿠션 영역에 밀착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120)는 그 일단이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결합하고 그 타단이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하부를 경유하여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20)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체격에 맞게 허리받침대를 쉽게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의자를 구성하여 의자에 앉아 편안하게 업무나 기타 활동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Chair Including Waist Suporter Capable of Adjusting Heigh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육체 노동보다는 주로 사무실에 오랫동안 앉아서 하는 정신 노동을 기반으로 운영이 되고 있고, 따라서 인간의 육체 중 허리에 큰 부하가 걸려 허리 디스크 등 허리에 관련된 질병으로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의자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허리받침대를 추가로 장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도 1에 이에 대한 하나의 종래 기술을 나타내었고, 도 2에는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허리받침대에 대한 기술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허리받침대는 등받이 부분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되도록 체결되어 사람의 체형이나 체격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상이한 체격이나 체형의 사람들이 자기에 맞는 다양한 높이로 허리받침대가 체결된 의자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허리받침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를 착상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허리받침대의 지지대의 일단이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의 배면에 힌지(hinge) 결합하도록 하여 허리받침대가 등받이용 쿠션 부재에 밀착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는 등받이용 프레임(200) 및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고정된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를 포함하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전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허리받침대(100)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100)는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 및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쿠션 영역에 밀착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120)는 그 일단이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결합하고 그 타단이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하부를 경유하여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20)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는 관통공(3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20)의 상기 타단이 상기 관통공(310)을 관통하여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하부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 부재(300)는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부 쿠션 부재(300a, 300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20)가 상기 한 쌍의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a, 300b) 사이의 틈을 통하여 그 일단은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결합하고 그 타단은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수직으로 편평한 상부 프레임 결합부 및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의 하부 받침대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가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에 밀착하여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단은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의 배면에 힌지(hinge)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체격에 맞게 허리받침대를 쉽게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의자를 구성하여 의자에 앉아 편안하게 업무나 기타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허리받침대가 포함된 의자이고; 도 1(b)는 종래의 탈부착 가능하게 설계된 허리받침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에서 높이 조절과 관련된 부품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의 허리받침대에 대한 전방 사시도(a) 및 후방 사시도(b);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로서 듀오백이 아닌 일반형 의자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a) 및 측단면도(b);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대가 등받이용 프레임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100)를 포함하는 의자는 기본적으로 등받이 및 허리받침대(100)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는 등받이용 프레임(200) 및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고정된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100)는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전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는 단일 또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한 쌍으로 구성된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를 포함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도 5에서와 같이 단일의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받침대(100)가 볼트(130) 체결에 의하여 상하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는 허리받침대(100)를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의자로 다양한 체격과 체형의 사람들의 허리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자신의 허리나 등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맞춤형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공서 휴게실이나 오락실 등과 같이, 하나의 의자가 복수의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편리하게 허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의자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100)를 포함하는 의자에서 높이 조절과 관련된 부품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100)를 포함하는 의자의 허리받침대(100)에 대한 전방 사시도(a) 및 후방 사시도(b)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허리받침대(100)는 이를 등받이용 프레임(200)으로 체결하기 위한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허리받침대(100)의 지지대(120)에 의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쿠션 영역에 밀착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120)는 그 일단이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결합하고 그 타단이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하부를 경유하여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한 쌍으로 구성된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a, 300b)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120)가 상기 한 쌍의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a, 300b) 사이의 틈을 통하여 그 일단은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결합하고 그 타단은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20)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20)는 가이드 구멍(125)을 포함하고, 등받이용 프레임은 체결공(140)을 포함하여, 지지대를 등받이용 프레임에 대어 상기 가이드 구멍(125)과 체결공(140)을 통하여 볼트(130)와 체결너트(110)에 의하여 조립된다. 이때, 체결공(140)에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125)의 높이에 따라 허리받침대(1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대(120)는 수직으로 편평한 상부 프레임 결합부 및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으로 휘어진 하부 받침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지지대(120)의 상부 프레임 결합부를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밀착하여 부착시킬 수 있고, 가이드 구멍(125)을 통하여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단은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의 배면에 힌지(hinge)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결합에 의하여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지지대(120)의 말단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고, 지지대(120)가 사용자에 의하여 높이를 달리하여 상이한 위치로 조절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허리 힘에 의하여 등받이용 프레임(200)으로 밀리면서 허리받침대(100)의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로서 듀오백이 아닌 일반형 의자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a) 및 측단면도(b)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대(120)가 관통공(310)을 통하여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에 연결되는 구조이고, 지지대(120)의 형상에 의하여 관통공(310)을 통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대가 등받이용 프레임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100)가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지지대(12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지지대(120)의 가이드 구멍(125)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130)가 체결너트(110)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허리받침대 200: 등받이용 프레임
300: 등받이용 쿠션 부재 110: 체결 너트
120: 지지대 130: 볼트
140: 체결공 125: 가이드 구멍
150: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 155: 힌지

Claims (5)

  1. 등받이용 프레임(200) 및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고정된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를 포함하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전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허리받침대(100);
    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받침대(100)는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 및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쿠션 영역에 밀착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120)는 그 일단이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결합하고 그 타단이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하부를 경유하여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20)의 높이 조절에 의하여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가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는 관통공(3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20)의 상기 타단이 상기 관통공(310)을 관통하여 상기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의 하부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300)는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부 쿠션 부재(300a, 300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20)가 상기 한 쌍의 등받이용 쿠션 부재(300a, 300b) 사이의 틈을 통하여 그 일단은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결합하고 그 타단은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200)에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는 수직으로 편평한 상부 프레임 결합부 및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의 하부 받침대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 결합부가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에 밀착하여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의 상기 일단은 상기 허리받침용 쿠션 부재(150)의 배면에 힌지(hinge)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KR1020120060733A 2012-06-07 2012-06-07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KR20130137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33A KR20130137286A (ko) 2012-06-07 2012-06-07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33A KR20130137286A (ko) 2012-06-07 2012-06-07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286A true KR20130137286A (ko) 2013-12-17

Family

ID=4998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733A KR20130137286A (ko) 2012-06-07 2012-06-07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2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278A (zh) * 2017-12-15 2018-06-29 东莞致诚办公家具有限公司 具有腰靠位置调节功能的座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9278A (zh) * 2017-12-15 2018-06-29 东莞致诚办公家具有限公司 具有腰靠位置调节功能的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KR1017071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NZ599942A (en) Armchair seat pivot toward front of seat.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200478039Y1 (ko) 등압착식 허리받침대
KR20200110966A (ko) 의자의 요추지지부 구조
KR102358047B1 (ko) 척추 스트레칭용 의자
KR101405302B1 (ko) 착탈식 의자 등받이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130137286A (ko) 높이 조절 가능한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는 의자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KR200471779Y1 (ko) 의자용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
KR101113502B1 (ko) 의자용 겨드랑이받침장치
KR101547647B1 (ko) 학생용 건강 의자
KR101552791B1 (ko)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의자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20007229U (ko) 의자를 구비한 책상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20140005024U (ko)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KR20100008565U (ko) 의자용 팔걸이
JP4405228B2 (ja) 簡易便器
KR102095527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KR200371543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200488822Y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요추받침대
KR20220037624A (ko)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