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024U -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 Google Patents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024U
KR20140005024U KR2020130001832U KR20130001832U KR20140005024U KR 20140005024 U KR20140005024 U KR 20140005024U KR 2020130001832 U KR2020130001832 U KR 2020130001832U KR 20130001832 U KR20130001832 U KR 20130001832U KR 20140005024 U KR20140005024 U KR 201400050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rocking chair
presen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지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to KR2020130001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024U/ko
Publication of KR20140005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9Rocking chai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 A47C7/5064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3Wheelchairs attached to a cycle steerable by an attend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bstract

본 고안은 장애인의 체형이나 장애 정도에 따라 가장 편리한 자세로 앉아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락커(Rocker) 기능을 부가하여 장애인 스스로 흔들 의자에 앉아 있는 효과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운동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한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이 락커의 양단에 각각 캐스터를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 캐스터를 부착하여 원하는 위치로 쉽고 편리하게 이동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와 그 사이의 전면과 저면을 마감하는 전면부 및 저면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 베이스 프레임의 윗면에 시트백 프레임이 구비된 좌대가 설치된 프레임; 상기 각 측벽부에 장공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암 레스트;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시트백; 및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풋 레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각 측벽부의 저부에는 각각 락커(Rocker)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좌대는 일측이 상기 전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좌대와 저면부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POSTURE KEEPING ROCKING CHAIR FOR DISABLE CHILDREN}
본 고안은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아동의 장애 정도와 체형 등에 따라 가장 편리한 자세로 의자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락커(Rocker)를 이용하여 흔들시트 기능과 함께 필요시 캐스터를 장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용 의자는 장애인의 장애 유형에 맞게 앉아 있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허문헌1에는 장애인 사용자가 앉았을 때 가장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기 위해 등받이, 발받침 등에 대한 각도, 위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조절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인용 시트는, 사용자가 앉아서 기대기 위한 시트와 등받이가 시트구성의 기본위치에 배치되고, 시트와 등받이를 연결하기 위해 시트와 등받이의 양측에 결합판넬이 장착된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각 외측에 배치되어 상부가 결합판넬과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지점과 이격된 지점에 본체 고정유닛이 설치되어 시트본체가 힌지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하며 시트본체를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시트본체의 시트 전방 하측에 배치되고 양측이 결합판넬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을 받치도록 한 발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장애인용 시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시트가 고정식이기 때문에 종래의 장애인용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움직일 수 있는 행동 반경에 제한이 있었다.
(2) 이러한 제한은 장애인 스스로가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장애를 갖는 경우에도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결과가 되어 결국 장애인의 운동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3) 이러한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에 캐스터를 달아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시트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트의 경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시트 자체의 움직임이 없이 장소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상술한 (2)와 같은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4) 좌대가 고정식이기 때문에 장애인에게 편안하게 앉아 있을 수 있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886181호(2009년 02월 23일)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애아동의 체형이나 장애 정도에 따라 가장 편리한 자세로 앉아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락커(Rocker) 기능을 부가하여 장애인 스스로 흔들 의자에 앉아 있는 효과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운동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한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이 락커의 양단에 각각 캐스터를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 캐스터를 부착하여 원하는 위치로 쉽고 편리하게 이동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한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와 그 사이의 전면과 저면을 마감하는 전면부 및 저면부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 베이스 프레임의 윗면에 시트백 프레임이 구비된 좌대가 설치된 프레임; 상기 각 측벽부에 장공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암 레스트;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시트백; 및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풋 레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각 측벽부의 저부에는 각각 락커(Rocker)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좌대는 일측이 상기 전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좌대와 저면부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각 락커의 양단에는 각각 캐스터가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장애아동이 이용하는 의자에 진자운동처럼 주기적이고 부드러운 흔들기 기법은 긴장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전정기관을 자극함으로써 강직이완에 효과가 있다.
(2) 특히, 점진적으로 관절의 가동성(Range of motion)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본 고안의 락커에 캐스터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흔들 의자 기능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원하는 위치로 쉽고 신속하게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를 이송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4) 좌대, 등받이 및 암 레스트 그리고 시트백과 풋 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애아동이 더욱 더 장애유형에 맞는 중립적인 앉기 자세유지가 가능하여 골반의 변형이나 탈구ㆍ아탈구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의 전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길이 조절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암 레스트의 길이 조절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의 길이 조절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풋 레스트의 길이 조절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의자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프레임(100), 상하 높이 조절되도록 프레임(100)에 장착된 한 쌍의 암 레스트(200)와 시트백(300) 그리고 풋 레스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고 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는, 상기 프레임(100)에 락커(Rocker:120)를 구비함으로써, 의자가 마치 흔들 의자와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좌대(11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장애인이 가장 편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베이스 프레임은 한 쌍의 측벽부(100a)와 각각 그 전면과 저면을 구성하는 전면부(100b)와 저면부(10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개방된 윗면에는 좌대(110)가 설치된다. 좌대(110)는, 도 5와 같이, 전면부(100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좌대(110)와 저면부(100c)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12)에 의해 전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액츄에이터(112)로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회전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좌대(1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부(100b)에는 좌대(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브라켓(140)이 형성되고, 이 지지브라켓(140)에는 좌대(11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장공(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110)에는 회전브라켓(113)이 구비되며, 이 회전브라켓(113)에는 상기 장공(141)에 끼워져서 체결이완됨에 따라 장공(141)을 따라 움직이는 조절나사(113a)가 구비된다. 이에 이 조절나사(113a)를 이완시켜서 액츄에이터(112)를 동작시켜 좌대(1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나사(113a)가 장공(141)을 따라 움직이면서 각도조절이 되고, 각도 조절 후에는 다시 이 조절나사(113a)를 체결하여 좌대(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113a)는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회전시켜 체결과 이완이 가능한 것을 채택함으로써, 이용자가 쉽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대(110)에는, 도 1 내지 도 4과 같이, 일측에 시트백 프레임(110a)이 구비된다. 시트백 프레임(110a)은 후술하게 될 시트 백(300)을 지지하여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해 준다.
이러한 시트백 프레임(110a)에는 장공(111)이 상하로 형성된다. 장공(111)은 시트 백(300)에 체결과 이완되면서 높이조절을 위한 조절나사(310)가 구비된다. 이 조절나사(310) 또한 손으로 체결과 이완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공(111)은 하나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시트 백(300)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110a)에는 배면에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손잡이(110b)가 구비된다. 손잡이(110b)는 환자나 장애인을 보호하는 보호자가 본 고안의 시트를 일정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유도할 때에 사용된다. 이러한 손잡이(110b)는 도 1과 같이 조절나사(114)를 이완시킴에 따라 도 7과 같이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a)는 손잡이(110b)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 위치를 조절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b)는 조절나사(114)를 체결하여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상기 각 측벽부(100a)에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하부에 지면과 맞닿도록 락커(Rocker: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락커(120)는 본 고안의 따른 의자가 마치 흔들의자와 같이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락커(120)에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캐스터(121)를 더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는 본 고안의 시트를 흔들의자와 같이 이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외출이나 산보 등을 위하여 본 고안의 의자를 이송시킬 때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암 레스트(200)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상기 각 측벽부(100a)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각 암 레스트(200)에는 상하로 장공(210)이 형성된다. 이 장공(210)에는 조절나사(211)가 구비된다. 이 조절나사(211)는 손으로 체결 및 이완이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장공(210)은 상하로 하나만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암 레스트(20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암 레스트(200)는, 도 8의 (a)와 같이 조절나사(211)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암 레스트(200)를 잡아 화살표와 같이 아래로 내려 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위치 조절 후에는 도 8의 (b)와 같이 다시 조절나사(211)를 체결하여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시트백(300)은 시트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게 되며, 도 1과 같이, 상술한 장공(111)에 끼워지는 조절나사(310)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즉, 시트백(300)은 상기 조절나사(310)를 이완 시킨 상태에서 도 9의 (a)와 같이 위로 올림에 따라 조절나사(310)가 장공(111)을 따라 움직이면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위치 조절 후에는 조절나사(310)를 다시 체결함에 따라 도 9의 (b)와 같이 조절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풋 레스트(400)는 도 3과 같이 장애인의 발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하부에는 가로바(4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가로바(410)는 양단부에 각각 조절나사(411)가 구비되고, 이 조절나사(411)는 전면부(100b)에 나란하게 형성된 장공(130)에 끼워져서 체결과 이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411)도 손으로 이완과 체결이 가능한 것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풋 레스트(400)는, 조절나사(411)를 이완시켜 도 10의 (a)와 같이 위로 올려 높이를 조절한 다음, 조절나사(411)를 체결시킴에 따라 도 10의 (b)와 같이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는 등받이 및 암 레스트 그리고 시트백과 풋 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장애인이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이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시트는, 흔들 의자와 같이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캐스터를 이용하여 쉽게 이송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프레임
100a : 측벽부
100b : 전면부
100c : 저면부
110 : 좌대
110a : 시트백 프레임
110b : 손잡이
111, 130, 141, 210 : 장공
112 : 액츄에이터
113 회전브라켓
113a, 310 : 조절나사
120 : 락커(Rocker)
121 : 캐스터
140 : 지지브라켓
300 : 시트 백
400 : 풋 레스트
410 : 가로바

Claims (2)

  1.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100a)와 그 사이의 전면과 저면을 마감하는 전면부(100b) 및 저면부(100c)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 베이스 프레임의 윗면에 시트백 프레임(110a)이 구비된 좌대(110)가 설치된 프레임(100); 상기 각 측벽부(100a)에 장공(210)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암 레스트(200); 상기 시트백 프레임(110a)에 형성된 장공(111)을 이용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시트백(300); 및 상기 전면부(100b)에 형성된 장공(130)을 통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풋 레스트(400);를 포함하되,
    상기 각 측벽부(100a)의 저부에는 각각 락커(Rocker: 120)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110a)에는 손잡이(110b)가 구비되며,
    상기 좌대(110)는 일측이 상기 전면부(100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좌대(110)와 저면부(100c)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12)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락커(120)의 양단에는 각각 캐스터(121)가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KR2020130001832U 2013-03-12 2013-03-12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KR201400050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32U KR20140005024U (ko) 2013-03-12 2013-03-12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32U KR20140005024U (ko) 2013-03-12 2013-03-12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24U true KR20140005024U (ko) 2014-09-22

Family

ID=5245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32U KR20140005024U (ko) 2013-03-12 2013-03-12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0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78A (ko) * 2019-10-14 2021-04-22 정채영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78A (ko) * 2019-10-14 2021-04-22 정채영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KR101413045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101623738B1 (ko)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140005024U (ko) 장애아동용 자세유지 흔들의자
KR200472843Y1 (ko) 장애인의 자세유지용 시트 모듈
JP6964373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200008242A (ko)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KR101495856B1 (ko) 장애인용 의자
KR101100282B1 (ko) 노인용 휠체어워커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JP3219802U (ja) 車椅子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KR102152141B1 (ko) 착탈식 가슴받침대를 포함하는 목욕의자
KR200283593Y1 (ko) 의자
KR101797704B1 (ko) 스쿼트 운동기구를 가지는 의자
KR100341728B1 (ko) 명상 및 기도용 의자
EP0136884A2 (en) Reciprocating adjustabl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