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557A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557A
KR20190096557A KR1020180016146A KR20180016146A KR20190096557A KR 20190096557 A KR20190096557 A KR 20190096557A KR 1020180016146 A KR1020180016146 A KR 1020180016146A KR 20180016146 A KR20180016146 A KR 20180016146A KR 20190096557 A KR20190096557 A KR 2019009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terproof sheet
waterproof
vertical plat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927B1 (ko
Inventor
강성숙
Original Assignee
강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숙 filed Critical 강성숙
Priority to KR102018001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9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의 높이만큼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생략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수직판부와 지지판부가 방수시트의 코너부에 안착되어 방수시트를 보호하므로 흙메우기 작업시 방수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며 지지판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무근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일체화되므로 긴결한 시공이 가능하고 수직판부의 결합판이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므로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으로 인한 방수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며 지지판부가 수직판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시공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finishing frame structure of waterproof corners of concri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의 높이만큼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생략하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수직판부와 지지판부가 방수시트의 코너부에 안착되어 방수시트를 보호하므로 흙메우기 작업시 방수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며 지지판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무근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일체화되므로 긴결한 시공이 가능하고 수직판부의 결합판이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므로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으로 인한 방수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며 지지판부가 수직판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시공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과 같은 건축구조물은 콘크리트와 철근 등으로 조성되고, 그 내/외부에 각종 내외장재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의 옥상이나 슬라브에는 방수재를 소정두께로 바르거나 방수시트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된 방수층은 기후변화가 없는 곳에 건설된 구조물의 경우에는 적합하나, 기후변화가 심한곳에서는 이 구조물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시 지면으로부터 수분이 침투하여 구조물 전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시켰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로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하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4723호로 지하건축물의 방수공법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특허는, 버팀콘크리트 표면에 제1방수층이 시공되고, 제1방수층의 상부면에 제2방수층과 제1보호층이 부착되며, 제1보호층 상부에 슬라브콘크리트와 벽체콘크리트를 시공한 후, 상기 벽체콘크리트의 표면에 제3방수층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수공법은 벽체 콘크리트 외벽의 절곡된 부분에 방수시트의 시공이 어려워 방수시공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외벽에서 흙메우기 작업시 흙이 중력에 의해 방수층에 부딪히면서 방수층이 손상되어 수분이 침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수층이 시공된다고 하더라도 방수층의 코너부분을 지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들뜸현상이 일어날 뿐 아니라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4723호(2013.02.13.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의 높이만큼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없애고 수직판부와 지지판부가 방수시트의 코너부에 안착되어 방수시트를 보호하므로 시공성이 한층 향상되고 흙메우기 작업시 방수시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판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지지판부와 일체화하여 긴결하게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판부가 수직판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판부의 결합판이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므로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으로 인한 방수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판부의 외측면에 다수의 리브를 돌출형성함으로써 흙이 매립되어 형성되는 지면과의 결착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휨보강력을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는, 슬라브와 보의 일측으로 방수시트가 접착시공되고, 상기 방수시트의 상면에 무근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구조물의 외측에서 흙을 매립하여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수직면에 밀착되는 수직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방수시트의 코너부 상면에 안착되는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절곡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벽체에 밀착되는 고정판이 구비되는 수직판부;
상기 결합판에 결합편이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방수시트의 상면에 수평지지판이 안착되어 무근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의 고정판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판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수직판부의 변형을 방지하며 지면과의 결착력을 형상시키는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판은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절곡형성되며 무근콘크리트의 높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어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방수시트에 하중이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는 수직판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판부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의 수평지지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형성되어 무근콘크리트와 일체화되면서 긴결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판부와 지지판부가 일체화된 마감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의 높이만큼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생략하므로 시공성이 한층 향상됨과 동시에 수직판부와 지지판부가 방수시트의 코너부에 안착되어 방수시트를 보호하므로 흙메우기 작업시 방수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지지판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지지판부와 일체화되므로 긴결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지지판부가 수직판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므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수직판부의 결합판이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므로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으로 인한 방수시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수직판부의 외측면에 다수의 리브를 돌출형성함으로써 구조물의 외측에 매립되는 지면과의 결착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휨보강력을 한층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A'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인 수직판부가 연속설치되고 지지판부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수직판부와 지지판부가 일체화된 마감프레임이 연속설치되고 이들을 연결부재로 연결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A'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는 슬라브(10)의 상면과 상기 슬라브(10)에 형성되는 보(20)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접착제의 상면에 3~6mm 두께의 방수시트(30)를 접착시켜 고정시킨다.
상기 방수시트(30)는 우레탄시트, EPDM시트, PVC시트 등의 방수성을 갖는 재질의 시트제품으로 제작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방수시트(30)가 슬라브(10)와 보(20)에 접착되면, 상기 보(20)의 일측으로 접착 시공된 방수시트(30)의 외측면에 수직판부(100)의 수직판(110)을 밀착시키되, 상기 수직판(110)의 상부에 무근콘크리트(40)가 타설되는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결합판(120)이 방수시트(30)의 코너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120)은 방수시트(30)의 두께만큼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무근콘크리트(40)의 타설시 무근콘크리트(40)의 하중에 의해 방수시트(30)가 하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직판(110)의 하부에 방수시트(3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판(130)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판(130)에 형성된 고정공(310)으로 고정부재(300)를 고정하여 상기 수직판부(100)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고정스크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판(120)에는 'ㄷ'자로 절곡형성된 결합편(210)이 상부에서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210)은 방수시트(30)의 상면에 시공되는 무근콘크리트(40)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21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절곡형성된 수평지지판(220)은 슬라브(10)에 시공된 방수시트(3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수평지지판(220)에는 다수의 통공(230)이 관통형성되어 무근콘크리트(40)의 타설시 통공(230)에 채워지도록 하여 상기 수평지지판(220)과 무근콘크리트(40)의 결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직판부(100)는 지지판부(200)와 일체화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고, 상기 지지판부(200)가 수직판부(100)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판부(100)와 지지판부(200)로 이루어지는 마감프레임이 방수시트(30)의 코너부에 설치되므로, 방수시트(30)의 상면과 수직면에 걸쳐 8~15cm 두께로 타설되는 무근콘크리트(40) 타설 공정 중 수직부분의 타설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슬라브(10)의 상면과 상기 슬라브(10)의 외측 부분에 형성되는 보(20)에 방수시트(30)가 직각으로 밀착되어 시공되며, 상기 방수시트(30)의 수직면에 밀착되는 수직판(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140)가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브(140)는 수직판(110)에 수직 또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리브(14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흙메우기에 의해 매립되는 지면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휨보강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200)는 보(2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수직판부(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부(200)는 수직판부(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판부(100)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부(200)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마감프레임의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시간을 단축시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부(100)와 지지판부(200)가 일체로 형성된 마감프레임이 연속 시공될 경우, 각각의 마감프레임의 연결부위에 'ㄷ'자로 형성된 연결부재(400)를 결합하여 연결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슬라브 20: 보
30: 방수시트 40: 무근콘크리트
50: 지면 100: 수직판부
110: 수직판 120: 결합판
130: 고정판 140: 리브
200: 지지판부 210: 결합편
220: 수평지지판 230: 통공
300: 고정부재 310: 고정공
400: 연결부재

Claims (7)

  1. 슬라브와 보의 일측으로 방수시트가 접착시공되고, 상기 방수시트의 상면에 무근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구조물의 외측에서 흙을 매립하여 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수직면에 밀착되는 수직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방수시트의 코너부 상면에 안착되는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절곡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벽체에 밀착되는 고정판이 구비되는 수직판부;
    상기 결합판에 결합편이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방수시트의 상면에 수평지지판이 안착되어 무근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의 고정판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직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수직판부의 변형을 방지하며 지면과의 결착력을 형상시키는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방수시트의 두께만큼 절곡형성되며 무근콘크리트의 높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어 무근콘크리트 타설시 방수시트에 하중이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수직판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판부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의 수평지지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형성되어 무근콘크리트와 일체화되면서 긴결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부와 지지판부가 일체화된 마감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KR1020180016146A 2018-02-09 2018-02-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KR102049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46A KR102049927B1 (ko) 2018-02-09 2018-02-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46A KR102049927B1 (ko) 2018-02-09 2018-02-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57A true KR20190096557A (ko) 2019-08-20
KR102049927B1 KR102049927B1 (ko) 2019-11-28

Family

ID=6780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146A KR102049927B1 (ko) 2018-02-09 2018-02-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94B1 (ko) * 2019-12-03 2020-12-24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무근콘크리트 타설높이 조절판을 가진 콘크리트 코너 충격보호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7820A (ja) * 1990-02-23 1991-11-06 Toyo Bussan Kk 防水パネル及び地下外壁の築造方法
JPH0665935A (ja) * 1992-08-19 1994-03-08 Ube Nitto Kasei Co Ltd 地下構造物の防水工法および防水層の保護プレート
KR960014547A (ko) * 1994-10-26 1996-05-22 최훈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
JPH08239860A (ja) * 1995-03-07 1996-09-17 Sekisui House Ltd 地下室の防水装置
JPH08239843A (ja) * 1995-03-07 1996-09-17 Sekisui House Ltd 地下室の防水装置
KR20010059641A (ko) * 1999-12-30 2001-07-06 양내문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US20030056445A1 (en) * 2001-09-25 2003-03-27 Cox Danny Wayne Waterproof deck
KR101234723B1 (ko) 2012-05-03 2013-02-19 이동훈 지하건축물의 방수공법
KR20140088813A (ko) * 2013-01-03 2014-07-11 권오근 종방향 구속 플레이트를 갖는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거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7820A (ja) * 1990-02-23 1991-11-06 Toyo Bussan Kk 防水パネル及び地下外壁の築造方法
JPH0665935A (ja) * 1992-08-19 1994-03-08 Ube Nitto Kasei Co Ltd 地下構造物の防水工法および防水層の保護プレート
KR960014547A (ko) * 1994-10-26 1996-05-22 최훈 지하주차장벽체 방수구조
JPH08239860A (ja) * 1995-03-07 1996-09-17 Sekisui House Ltd 地下室の防水装置
JPH08239843A (ja) * 1995-03-07 1996-09-17 Sekisui House Ltd 地下室の防水装置
KR20010059641A (ko) * 1999-12-30 2001-07-06 양내문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US20030056445A1 (en) * 2001-09-25 2003-03-27 Cox Danny Wayne Waterproof deck
KR101234723B1 (ko) 2012-05-03 2013-02-19 이동훈 지하건축물의 방수공법
KR20140088813A (ko) * 2013-01-03 2014-07-11 권오근 종방향 구속 플레이트를 갖는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94B1 (ko) * 2019-12-03 2020-12-24 주식회사 지음코리아 무근콘크리트 타설높이 조절판을 가진 콘크리트 코너 충격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927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096A (ko) 설치 기초
KR101573060B1 (ko)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JP494314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仕口構造
EP0454690A1 (en) PRE-PREPARED BUILDING FOUNDATION ELEMENT.
KR101726779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KR1020499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KR100539333B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101119605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KR100979264B1 (ko) 골판지소재의 거푸집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101151066B1 (ko)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KR101763033B1 (ko) 합성보용 거푸집
US20150040499A1 (en) Precast concrete module which can be adapted internally to multiple uses
KR20100006805U (ko) 토류판
KR10210766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EP2241690A2 (en) Insulated foundation element for mounting on precast base foundation
US11879254B2 (en) Securing member and wall structure
KR20050121764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CN206888005U (zh) 一种地下室外墙
KR20120066878A (ko)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ITMO20080305A1 (it) Struttura edilizia provvista di pareti verticali comprendenti un polimero termoplastico.
KR102181416B1 (ko)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KR200380424Y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20110094426A (ko) 조립식 물탱크
IT201600123688A1 (it) Sistema per il fissaggio a terra di pareti di edifici
KR101956517B1 (ko)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