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066B1 -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 Google Patents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066B1
KR101151066B1 KR1020080136952A KR20080136952A KR101151066B1 KR 101151066 B1 KR101151066 B1 KR 101151066B1 KR 1020080136952 A KR1020080136952 A KR 1020080136952A KR 20080136952 A KR20080136952 A KR 20080136952A KR 101151066 B1 KR101151066 B1 KR 101151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concrete
slab
frp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640A (ko
Inventor
김희철
이영학
김점한
전길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0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짐에 대한 강성 즉 휨강성이 향상된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에 의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은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슬래브용 거푸집을 이루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에프알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에프알피(FRP) 부재를 거푸집을 이루는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하여 거푸집의 휨강성이 향상되므로, 특히 슬래브 시공시(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처짐을 최소화하고 장스팬 구현이 가능해진다.
데크 플레이트, FRP 부재, 콘크리트층, 주근, 래티스

Description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Deck Plate Unit for Constructing Concrete Slab and Concrete Slab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래브용 바닥 거푸집으로 적용되며 휨강성, 즉 처짐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축조된 건축 구조물 또는 토목 구조물은 압축에는 강하나 인장에는 취약한 재료적 특성을 보이는데, 시멘트와 골재를 주재료로 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천장을 이루거나 교량의 상판 터널의 천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 역시 구조물 자체의 자중 및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처짐현상으로 상측면은 압축되고 하측면은 인장되는 처짐현상이 발생하고, 처짐이 과도하면 슬래브에 균열이 생기거나 붕괴의 위험에 노출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슬래브는 넓은 뜻으로는 평판상(平板狀)의 것을 가리키며, 바닥슬래브 또는 상판(床板)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는 주위가 들보로 둘리고 슬래브 구조물에 걸리는 하중은 주위의 들보에 분담되어 각 기둥으로 힘이 흘러간다. 그리고 플랫슬래브는 들보에 의한 지지 없이 직접 기둥 위에 얹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로서, 이것은 특히 바닥의 굽힘강도가 안전한 정도로 유지되도록 철근이 배열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층(10)과 상기 콘크리트층(10)의 내부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철근(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콘크리트층(10)은 상측에 상기 철근들(20)이 배열된 바닥 거푸집(3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후에 상기 거푸집(30)은 제거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10)의 그 하부를 따라 길게 배열되는 철근(21)은 주로 인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층(10)과 그 상부를 따라 배열되는 철근(22)은 주로 압축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슬래브의 처짐에 대해 저항을 한다.
상기 거푸집(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래브 시공을 위해 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상기 거푸집은 동바리들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동바리들 상기 거푸집을 천장높이까지 떠받친다.
상기 동바리들은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해 상기 거푸집이 무너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 거푸집(30)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와 이에 따른 거푸집의 처짐을 고려해서 소정 개수 이상의 동바리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거푸집(30)은 상기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해 쉽게 처지게 되는데 상기 거푸집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가 클수록, 예를 들면 상기 슬래브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더 많은 수의 동바리가 필요하고, 슬래브의 장스팬화를 위하여 슬래브의 춤(두께)을 높게 할 경우 동바리의 수도 더 많이 소요되고 종래의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처짐에 의해 붕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에프알피를 이용하여 휨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처짐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 슬래브용 거푸집을 발명하게 되었다.
한편, 건물이나 교량 등 건축/토목 구조물의 지점과 지점사이, 즉 기둥과 기둥사이나 교각과 교각사이를 스팬(Span) 또는 경간이라고 칭하며, 일반적인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건물 등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처짐을 고려하여 상기 스팬을 대략 4m 내지 7m 정도로 하였다.
그리고, 건축적 요구에 따라 스팬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 즉 스팬을 더 길게 늘여야 할 때에는 춤을 높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재료비와 슬래브 구조물의 자중이 증가하여 현실적으로 장스팬의 구현이 어렵고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며, 진동 등에 대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에 의하면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 즉 스팬이 제한되므로, 기둥의 수나 거더에 의해 지지되는 보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건축물이나 토목구조물의 설계자유도가 제한되고, 건물의 경우 기둥수의 증가로 내부공간이 축소되며 내부 설계조건 또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에프알피를 이용하여 슬래브의 장스팬화가 가능한 구조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짐에 대한 저항력, 즉 높은 휨강성을 가지며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푸집으로 적용되는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슬래브용 거푸집을 이루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에프알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에프알피 부재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되어 일체화된 에프알피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프알피 판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스팬방향으로 길게 배열되는 에프알피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에프알피 시트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층과 일체화되어 슬래브의 바닥을 이룰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은: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슬래브용 거푸집을 이루며, 상기 슬래브의 시공 후에는 상기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상기 슬래브의 바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의 스팬방향으로 길게 띠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도록 상기 스팬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열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휨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처짐에 저항하는 에프알피 시트(FRP Shee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과;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상부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과 일체화되는 콘크리트층;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래티스 라인들을 형성하는 래티스; 그리고 상기 래티스에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의 내부에 매립되는 주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개시한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는, 상기 콘크리트층의 내부에 스팬방향으로 길게 매립되도록, 상기 래티스 라인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콘크리트층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중공형의 비충전식 에프알피 파이프; 그리고 상기 에프알피 파이프가 상기 래티스 라인 사이에 배열되도록, 상기 래티스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프알피 파이프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에프알피(FRP) 부재를 거푸집을 이루는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하여 거푸집의 휨강성이 향상되므로, 특히 슬래브 시공시(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처짐을 최소화하고 장스팬 구현에 적합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춤을 갖는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용 거푸집에 비해 슬래브 시공시 필요한 동바리의 수가 절감되므로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인건비가 절감되며 현장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휨강성이 향상된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이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층과 일체화되어 슬래브의 바닥을 이루므로 슬래브의 휨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의 시공시 에프알피(FRP) 파이프를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비충전식으로 콘크리트층 내부에 스팬방향으로 길게 매립되면 슬래브의 휨강성이 더욱 향상되어 장스팬화가 가능해지며, 슬래브의 중량이 감소되고, 시멘트 기타 골재의 소요량이 감소되어 시공비가 절감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그리고 상기 에프알피(FRP) 파이프의 내부공간을 각종 전선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 등의 전기/전자 케이블 및 또는 기타 설비의 통로로 이용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2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 및 이를 위한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을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에프알피 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에프알피 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은 슬 래브 시공용으로서 슬래브의 거푸집을 이루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과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상부에 형성된 콘크리트층(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일 실시예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11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에 일체로 구비되는 에프알피(FRP: 섬유강화 플라스틱, 이하 FRP라 약칭함)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는 슬래브의 거푸집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부, 즉 상측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어지면 상기 콘크리트층(20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는 상기 슬래브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바닥 거푸집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를 보강하는 주근들(131, 132)이 배열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는 대략 사각형상의 금속판, 예를 들면 아연도금 강판으로 제조된 금속 플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 특히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는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되어 양생되면 상기 콘크리트층(200)과 일체화되는 합성 슬래브 바닥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별도의 거푸집 제거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거푸집 제거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슬래브의 시공이 간편해지고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슬래브 구조물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는, 상기 콘크리트 층(200)과의 일체성 향상을 위하여 상부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근들(131, 132)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주근들(131, 132) 중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주근을 상부주근(131)이라 하고 아래쪽에 위치한 주근을 하부주근(132)이라 한다. 상기 상부주근(131)과 하부주근(132)의 예로는 길게 제조된 철근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주근들(131, 132)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제조시에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이 모듈화될 수도 있는데,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은 모듈형식으로 제조된 후 시공현장으로 이송되어 슬래브 거푸집으로 설치되며, 슬래브 시공후에는 상기 콘크리트층과 영구적으로 일체화된다. 물론, 상기 상부주근(131)과 하부주근(132)에 슬래브 시공현장에서 직접 현장배근될 수도 있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는 상기 주근들의 설치를 위한 주근설치부재(140)가 구비되며, 상기 주근설치부재(140)를 본 발명에서는 래티스(Lattice)라 칭하고, 상기 상부주근(131)과 하부주근(132)이 상기 주근설치부재, 즉 래티스(140)에 고정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상에 설치된다. 상기 래티스(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부주근(131)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하부주근(132)이 용접이나 와이어 결속방식 또는 끼움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티스(14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전면에서 볼 때 대 략 트러스(truss) 형상의 래티스(140)가 상기 주근들(131, 132)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스팬 방향)으로 다수개 이격 배치되거나 일체형으로 길게 배치되어 래티스 라인(140a), 즉 상기 주근설치부재의 열을 형성하나 상기 래티스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좌우방향으로도 복수개의 주근설치부재들이 구비되어 복수 열의 상기 래티스 라인(140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티스(140) 각각의 상단부, 즉 트러스의 상부 꼭지점부위에 상기 상부주근(131)이 고정되고 상기 래티스(140) 각각의 양측 하부에 상기 하부주근(132)이 하나씩 고정되나, 상기 래티스(140)의 형상이나 상기 래티스 라인 하나에 고정되는 상부주근(131)과 하부주근(132)의 수 및 그 고정방식이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주근(131)과 교차되는 상부배력근(미도시)이 길게 배근되고, 상기 하부주근(132)에 교차되는 하부배력근(미도시)이 길게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RP 부재(120)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휨강성, 즉 처짐에 대한 저항력을 보강한다. 일 예로서 상기 FRP 부재(120)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의 FRP 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을 위한 FRP 부재(120)의 일 실시예로서 FRP 판(121)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FRP 부재(120)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에 FRP 층(FRP Layer)을 형성하는데, 상기 FRP 판(121), 보다 상세하게는 FRP 시트(FRP Sheet)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입혀지거나 부분적으로 입혀져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휨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FRP(섬유강화 플라스틱)는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고 데크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충격파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열성과 단열성이 양호하며, 크랙(crack)이 생기지 않는 특성이 있고 성형작업성이 양호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FRP 판(121)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와 일체적 거동을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휨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FRP 판(121)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시트 또는 매트(Mat) 형상으로 성형된 후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에 부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섬유소재를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부착한 후 경화제를 사용하여 그대로 경화시켜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와 상기 FRP 판(121)이 일체화되어 상호 일체적 거동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섬유 소재, 예를 들면 유리섬유나 탄소섬유나 아라미드 섬유를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부착하면서 폴리코 트와 같은 레진(Resin)과 경화제를 이용해 경화 및 고정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상기 FRP 판(121)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RP의 특성이 슬래브 거푸집을 이루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에 적용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휨강성이 보강됨으로써,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처짐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춤을 높게 하거나 동바리의 수를 절감할 수 있어서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FRP의 구체적인 예로는, 씨에프알피(CFRP;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와 지에프알피(GFRP;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와 에이에프알피(AFRP; 아라미드섬유 강화플라스틱)가 있으며. 상기 FRP 층은 이러한 재질을 포함하여 기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다른 재질을 더 포함하여 복합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FRP 판(121)에서 섬유 필라멘트의 배열 방향은 FRP의 이방성을 고려하여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격자형, 예를 들면 +45°방향과 -45°으로 짜여진 섬유 필라멘트가 교차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섬유 필라멘트가 스팬방향으로 길게 배열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FRP 판(1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FRP 시트(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에 스팬방향으로 길게 배열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FRP 판(1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입혀질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입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FRP 시트(122)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면에 스팬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열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처짐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FRP 시트(122)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우방향, 즉 상기 스팬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긴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띠 형상의 FRP 시트 대신 끈이나 줄 타입의 FRP 부재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화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내부에 상기 상부주근(131)과 하부주근(132)이 매립된 상기 콘크리트층(20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층(200)은 거푸집, 즉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상부에 설계조건에 맞는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는 건물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교량의 상판이나 터널의 천장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는,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내부에 스팬방향으로 길게 매립되어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비충전식의 FRP 파이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는 하중분포 및 자중에 따른 설계조건에 맞게 휨거동, 즉 처짐에 대한 우수한 저항력을 필요로 하는데, 본 발명은 FRP의 특성 중 우수한 인장강도를 이용하여 슬래브의 휨강성을 보다 더 향상시킴으로써 처짐을 최소화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FRP의 구체적인 예로서, CFRP(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와 GFRP(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와 AFRP(아라미드섬유 강화플라스틱) 등이 있으며, 상기 FRP 파이프(30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휨강성/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다른 재질을 더 포함하여 복합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FRP 파이프(300)는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처짐을 지지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후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단단히 굳게 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콘크리트층(200)과 일체로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자중 및 슬래브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부하중에 대한 처짐을 최소화한다.
상기 FRP 파이프(300)는 상기 콘크리트층(200)과 일체적 거동을 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층(200)과 직접 일체화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FRP 파이프(300)가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스팬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층(200)에 매립되어 상기 콘크리트층(200)과 일체화되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FRP 파이프(300)는 둘레면의 일부가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립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내부에 완 전히 매립되어 외주면이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FRP 파이프(300)는 내부가 콘크리트로 충전된 충전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슬래브의 시공시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도록 상기 FRP 파이프(300)의 외부에만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그 내부가 콘크리트에 의해 충전되지 않는 비충전식(속이 빈 형태)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FRP 파이프(300)의 내부공간을 각종 전선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 등의 전기/전자 케이블 및 또는 기타 설비의 통로로 이용이 가능하며, 상기 FRP 파이프(300)의 내부 공간만큼 골재의 소비가 절감되고 슬래브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FRP 파이프(300)를 성형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방식이 있는데, 상기 필라멘트 와인딩 방식은 FRP 파이프를 성형하기 위하여 긴 원통형 또는 기타 다른 형상의 맨드릴(Mandrel)에 섬유 필라멘트를 감아서 중공관 형상의 파이프를 성형하는 방식을 말하며, 상기 맨드릴의 단면형상에 따라 상기 FRP 파이프(300)가 환형단면, 타원형단면, 다각형 단면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FRP 파이프(300)는 성형작업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우므로, FRP 파이프에 요구되는 설계조건에 따라 관의 두께나 직경, 형상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FRP의 이방성을 고려하여 상기 맨드릴에 섬유 필라멘트를 감는 방향 즉 배열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면 +45°나선방향과 -45°나선방향을 반복하여 섬유 필라멘트가 교차되게 감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FRP 파이프(300)는 다각형 단면의 관이나 환형 단면 관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FRP 파이프(300)는 환형 단면의 중공형 파이프를 그 예로 제시한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부하중 및 자중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는 처짐이 발생하는데, 휨 또는 처짐에 취약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FRP 파이프(300)로 보강하면,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FRP의 장점이 인장에 취약한 콘크리트 슬래브에 적용되어 슬래브의 전체적인 휨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FRP 파이프(300)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즉 설계조건에 따른 하중의 작용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FRP 파이프(3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스팬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층(200)의 내부에 일체화되도록 복수개의 FRP 파이프가 거푸집, 즉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의 상측에 배열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FRP 파이프(300)들은 서로 나란하게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FRP 파이프(300)가 상기 콘크리트층(200)과 일체적 거동을 하게 되면, 동일한 스팬과 춤이 적용된다고 가정할 때 슬래브 구조물의 처짐현상이 최소화된다.
상기 FRP 파이프(300)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래티스(140)에 의해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에 있어서는 상기 FRP 파이프(300)가 별도의 받침부재(1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직접 구비되거나, 다른 부재 예를 들면 상기 래티스(140)를 매개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구비될 있다.
상기 받침부재(150)는 이웃하는 나란한 래티스 라인(140a)들 사이에 전후방향, 즉 경간(스팬)방향으로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FRP 파이프(300)가 상기 주근들(131, 132)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50)들은 상기 래티스 라인(140a)과 나란한 받침 라인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래티스(140)에서 일체로 연장시켜 형성되나, 분리된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재(150)와 상기 래티스(140)는 금속 예를 들면 동선이나 철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나 고정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부재(150)는 상기 FRP 파이프(300)를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FRP 파이프(300)가 상기 콘크리트층(20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래티스 라인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FRP 파이프(300)가 배열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나란히 이웃하는 한쌍의 래 티스 라인 사이에 하나의 FRP 파이프가 설치된 상태가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FRP 부재(120), 예를 들면 상기 FRP 판(121)이나 FRP 시트(122)나 끈 또는 줄 타입의 FRP 부재(120)가 일체화되어 휨강성이 보강된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철근으로 된 상기 주근들(131, 132)과 상기 FRP 파이프(300)가 설치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는 슬래브 시공위치, 예를 들면 기둥 또는 거더에 설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설계조건에 맞는 두께로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면, 상기 주근들(131, 132)과 상기 FRP 파이프(300)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110) 및 상기 콘크리트층(200)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이 상기 콘크리트층(200)과 영구히 일체화되면, 별도의 거푸집 제거작업이 불필요하고, 상기 FRP 파이프(300)와 상기 FRP 부재(120)가 슬래브의 처짐에 저항하므로 장스팬의 구현이 가능하고 FRP 파이프의 내부 부피만큼의 시멘트 골재가 절약되므로 자중감소로 인해 동바리 수가 절감된다.
상술한 구조의 데크 플레이트 유닛(100)은 철골조, 철근콘크리트조, SRC조, PC조, TSC구조, 벽식구조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 중 하나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단면 2차 모멘트 및 처짐량을 비교하였다. 다만, 하 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이 적용된 하나의 구체적 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경간(스팬:ℓ)이 8m, 슬래브 폭(k)은 1m, 상부 피복(d1)이 20mm, 하부피복(d2)이 25mm, 래티스 한 피치당 너비(b)가 200mm, 철근(주근)의 탄성계수(Es)가 200000Mpa일 때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비교예를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한다. 여기서 데크 플레이트는 0.5mm, 상부주근의 지름(D1)은 14mm이고, 하부주근의 지름(D2)은 10mm이며, 각 래티스 라인에 상부주근이 1개소, 동일 높이에 서로 나란하게 하부주근이 2개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비교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상부에 슬래브 두께가 200mm가 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 2차 모멘트를 구한 후 처짐량을 구하였다.
[실시예]
경간(스팬:ℓ)이 8m, 슬래브 폭(k)은 1m, 상부 피복(d1)이 20mm, 하부피복(d2)이 25mm, 한 피치당 너비(b)가 200mm, 철근(주근)의 탄성계수(Es)가 200000Mpa일 때, 상부주근의 지름(D1)은 14mm, 하부주근의 지름(D2)은 10mm, AFRP(아라미드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된 FRP 판의 두께를 5mm로 하여, 상술한 비교예와 동일한 구조의 데크 플레이트 유닛에서 데크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전체적으로 FRP 판을 부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구체적 실시예를 구성하고,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상부에 슬래브 두께가 200mm가 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 2차 모멘트를 구한 후 처짐량을 구하고 위 비교예와 비교한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AFRP 판의 탄성계수(EFRP)는 100000MPa로 하고, 실시예와 비교예의 다면 2차 모멘트와 처짐량을 산출함에 있어서 데크 플레이트 자체의 영향은 무시하였으며, 콘크리트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있으나 굳기 전(양생되기 전)의 상태로서 콘크리트가 유동성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이므로 콘크리트의 강도는 무시하였다.
* 상부피복(d1) :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측표면에서 상부주근의 표면까지의 거리로서, 슬래브의 상층부 중에서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층임. 슬래브의 표면균열로 인해 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층으로 철근의 부식을 방지.
* 하부피복(d2) :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측표면(저면, 바닥면)에서 하부주근의 표면까지의 거리로서, 슬래브의 하층부 중에서 철근이 배근되지 않은 층임. 슬래브의 표면균열로 인해 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층으로 철근의 부식을 방지.
* 래티스 한 피치당 너비: 이웃하는 나란한 래티스 라인 사이의 거리로서, 래티스 라인의 중심에서 다음 래티스 라인의 중심까지의 거리임. 상부주근의 중심에서 이웃하는 다음 상부주근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구성함.
* 자중 및 외부작용하중 : 비교예와 실시예의 자중은 5.05kN/m로 가정(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상부에 타설된 유동성 있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포함한 것이며, AFRP 판의 무게는 다른 부재들과 비교하여 무시할 정도로 가벼우므로 처짐량 계산시 AFRP 판의 무게는 무시함)하고, 작업하중(활하중)은 1kN/m로 가정하여, 슬래브 시공시 단면 2차 모멘트와 처짐량을 구함.

구분

실시예

비교예

비 고

단면 2차 모멘트

18.19 X 106mm4

7.96 X 106mm4

처짐량

88.67mm

202.59mm

약 56.2% 처짐량 감소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한 결과,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처짐량이 비교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처짐량에 비해 약 56.2% 감소된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에 의하면 슬래브 시공과정, 즉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처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비교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은 래티스의 높이나 상부주근과 하부주근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처짐량을 조절하여야 하므로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FRP 판이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휨강성을 보강하므로 장스팬화가 가능하고 재료의 소모나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나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면 2차 모멘트 및 처짐량을 비교하였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이 적용된 하나의 구체적 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경간(스팬:ℓ)이 8m, 슬래브 두께(t)가 300mm, 슬래브 폭(k)은 1m, 상부 피복(d1)이 20mm, 하부피복(d2)이 25mm, 래티스 한 피치당 너비(b)가 200mm, 콘크리트 탄성계수(Ec)가 21538.11MPa이고 철근(주근)의 탄성계수(Es)가 200000Mpa일 때,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비교예를 이용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비교예를 도 10과 같이 구성한다. 여기서 상부주근의 지름(D1)은 14mm이고, 하부주근의 지름(D2)은 10mm이며, 각 래티스 라인에 상부주근이 1개소, 동일 높이에 서로 나란하게 하부주근이 2개소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비교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하여 단면 2차 모멘트를 구한 후 처짐량을 구하였다.
[실시예]
경간(스팬:ℓ)이 8m, 슬래브 두께(t)가 300mm, 슬래브 폭(k)은 1m, 상부 피복(d1)이 20mm, 하부피복(d2)이 25mm, 한 피치당 너비(b)가 200mm, 콘크리트 탄성계수(Ec)가 21538.11MPa, 철근(주근)의 탄성계수(Es)가 200000Mpa, 상부주근의 지름(D1)은 14mm, 하부주근의 지름(D2)은 10mm, AFRP 파이프의 외경(Df1)은 180mm, AFRP 파이프의 내경(Df2)은 160mm로 하여, 상술한 비교예와 동일한 구조에 비충전식의 중공 FRP 파이프가 더 매립된 콘크리트 슬래브, 즉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구체적 실시예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체적 실시예를 구성하고,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하여 단면 2차 모멘트를 구한 후 처짐량을 구하여 위 비교예와 비교한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AFRP 파이프의 탄성계수(EFRP)는 100000MPa로 하고, AFRP 파이프의 표면에서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의 상측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상부주근에서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의 상측표면까지의 거리(상부피복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이웃하는 래티스 라인들 사이에 상/하부주근과 나란한 FRP 파이프를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하나씩 배치하였다.
* 자중 및 외부작용하중 : 비교예의 자중은 7.54kN/m로 가정하고, 실시예의 자중은 중공 FRP 파이프의 도입으로 인해 5kN/m로 하였으며, 작업하중(활하중)은 1kN/m로 가정하고, 데크 플레이트 및 FRP 판의 영향은 무시하고 단면 2차모멘트와 처짐량을 계산함.

구분

실시예

비교예

비 고

단면 2차 모멘트

681.58 X 106mm4

213.28 X 106mm4

처짐량

18.17mm

98.1mm

약 81.5% 처짐량 감소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한 결과,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처짐량이 비교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처짐량에 비해 약 81.5% 감소된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에 의하면 장스팬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을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에프알피 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에프알피 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큰크리트 슬래브의 측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비교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유닛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비교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데크 플레이트 유닛 110: 데크 플레이트
120: FRP 부재 121: FRP 판
122: FRP 시트 131, 132: 주근
200: 콘크리트층 300: FRP 파이프

Claims (6)

  1.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슬래브용 거푸집을 이루며, 상기 슬래브의 시공 후에는 상기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상기 슬래브의 바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에 복수개가 부착되되, 상기 슬래브의 스팬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게 되어 띠형상을 이루는 한편 상기 스팬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휨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처짐에 저항하는 에프알피 시트(FRP Sheet);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의 스팬(ℓ)은 건축 구조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으로서, 스팬방향은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며,
    상기 에프알피 시트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표면에 에폭시로 부착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기재된 데크 플레이트 유닛;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의 상부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 유닛과 일체화되는 콘크리트층;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복수의 래티스 라인들을 형성하는 래티스; 그리고
    상기 래티스에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의 내부에 매립되는 주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층의 내부에 스팬방향으로 길게 매립되도록, 상기 래티스 라인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콘크리트층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중공형의 비충전식 에프알피 파이프; 그리고
    상기 에프알피 파이프가 상기 래티스 라인 사이에 배열되도록, 상기 래티스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프알피 파이프를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KR1020080136952A 2008-12-30 2008-12-30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KR101151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52A KR101151066B1 (ko) 2008-12-30 2008-12-30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52A KR101151066B1 (ko) 2008-12-30 2008-12-30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40A KR20100078640A (ko) 2010-07-08
KR101151066B1 true KR101151066B1 (ko) 2012-06-01

Family

ID=4263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952A KR101151066B1 (ko) 2008-12-30 2008-12-30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0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96A (ko) 2015-03-13 2016-09-21 임경상 매립형 데크플레이트
KR101721334B1 (ko) 2015-10-27 2017-03-30 현대건설주식회사 부착식 단열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190001131U (ko)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KR20210156416A (ko) 2020-06-18 2021-12-27 서지현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433B1 (ko) * 2020-01-10 2020-04-2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형 스마트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647A (ja) * 2001-07-16 2003-01-29 Fujisho Giken:Kk デッキプレ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647A (ja) * 2001-07-16 2003-01-29 Fujisho Giken:Kk デッキプレ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96A (ko) 2015-03-13 2016-09-21 임경상 매립형 데크플레이트
KR101721334B1 (ko) 2015-10-27 2017-03-30 현대건설주식회사 부착식 단열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190001131U (ko)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KR20210156416A (ko) 2020-06-18 2021-12-27 서지현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40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0154B2 (ja) 混成複合梁システム
KR101570484B1 (ko)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51066B1 (ko)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KR100875698B1 (ko) 중공슬래브용 유니트 패널
KR101948856B1 (ko) 3d 섬유강화복합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KR101062592B1 (ko) 철근 선조립기둥의 상호 이음방법
KR20100012404A (ko)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JP6960082B2 (ja) コンクリート吹付けによる躯体構築方法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0905806B1 (ko) 조립식 계단
KR101139144B1 (ko)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75043B1 (ko) 각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KR20090005938A (ko) 섬유쉬트 띠 스터럽을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시공방법, 스터럽 모서리부 보강방법
JP464259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用繊維強化樹脂製永久型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永久型枠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JP2012057443A (ja) 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複合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59496B1 (ko)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619017B2 (ja) プレストレストスラブ要素
KR101081042B1 (ko) 합성 콘크리트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814732B1 (ko) 건물 외벽용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및그 패널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20100060387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에프알피 파이프유닛 및 이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CN112211428A (zh) 一种钢筋混凝土结构柱的补强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79586B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118305B1 (ko) 강합성 교량 및 이를 가설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주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