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659A -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659A
KR20190095659A KR1020180014920A KR20180014920A KR20190095659A KR 20190095659 A KR20190095659 A KR 20190095659A KR 1020180014920 A KR1020180014920 A KR 1020180014920A KR 20180014920 A KR20180014920 A KR 20180014920A KR 20190095659 A KR20190095659 A KR 20190095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moving
rail
auxiliary rai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159B1 (ko
Inventor
윤권하
김대원
김규겸
유종현
정길환
김판중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1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75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using a detector unit almost surrounding the patient, e.g. more than 18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 중인 환자의 단층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며 회전갠트리의 이동거리를 연장시켜줄 수 있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좌, 우측 중 일측에 제어모듈이 구비되고 하부의 캐스터를 통해 구름 이동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환자의 단층 영상을 촬영하는 회전갠트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보조레일을 통해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회전갠트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보조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MOBILE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중인 환자의 단층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며 회전갠트리의 이동거리를 연장시켜줄 수 있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장치는 인체의 단층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장치로서, 인체의 여러 각도에서 투과시킨 X-선을 컴퓨터로 측정하고, 인체의 단면에 대한 흡수치를 재구성하여 영상으로 나타내주는 단층촬영기기이다.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는 보통 환자가 누워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진찰대와, 진찰대가 통과되며 환자에게 X-선을 투과시켜 환자의 단층을 촬영하는 갠트리(gantry)로 구성된다.
한편, 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 환경에서 수술 중에 환자의 수술대 위치로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를 이동시켜 수술부위를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3차원 정보 확인과 수술용 내비게이션 등과 연계하여 적절한 수술기법을 동원함으로써, 수술 환자의 안전과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치료효과를 높임으로써 합병증 감소 등의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보통의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는 회전갠트리로부터 진찰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서로 고착된 형태로 CT 촬영실에 설치되어 있어, 수술 중 단층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CT 촬영실로 이동시킨 후 진찰대위로 환자를 옮겨서 촬영해야 하는바, 수술을 위한 각종 감시장비와 환자의 몸에 부착된 마취 및 호흡유지기계, 각종 치료도구로 인하여 이동이 어려우며, 이동 중 환자 감염 등의 다양하고 예기치 못한 문제들로 인하여 수술 중 환자의 단층영상 촬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수술대 위에서 환자를 수술하는 중 환자의 단층촬영이 필요할 경우, 회전갠트리를 이동시켜 환자의 단층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의 원활한 촬영을 위해 회전갠트리의 이동거리를 연장시켜줄 수 있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등록특허 제10-0205151호(1999.04.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 중인 환자의 단층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며 회전갠트리의 이동거리를 연장시켜줄 수 있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는, 이동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좌, 우측 중 일측에 제어모듈이 구비되고 하부의 캐스터를 통해 구름 이동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환자의 단층 영상을 촬영하는 회전갠트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보조레일을 통해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회전갠트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보조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한다.
상기 보조레일은 상기 이동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레일이 상방으로 회동시에는 상기 이동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회동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레일은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는 고정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다리는 상기 보조레일의 하방 회동시 지면에 고정되며,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보조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수평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는 가이드레일의 길이가 보조레일을 통해 연장되며 갠트리는 가이드레일에 연장된 보조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의 촬영범위가 넓은 경우에도 환자의 단층촬영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층촬영장치를 보관하거나 이동할 경우 보조레일이 이동본체에 접이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좁은 장소 및 공간에도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레일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다리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가이드레일과 보조레일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고정다리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조레일의 높이를 조절해줌으로써 가이드레일과 보조레일의 수평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100)는, 일측에 제어모듈(116)이 내장되어 있으며 캐스터(111)를 통해 구름 운동하는 이동본체(110)와, 이동본체(1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0)과, 가이드레일(120)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보조레일(130)과, 가이드레일(120) 및 보조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환자의 단층 영상을 촬영하는 회전갠트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갠트리(120)의 슬라이딩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이동본체(110)의 이동방향(A)을 좌우방향으로 설정하여 설명하며, 이는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동본체(110)는 회전갠트리(140)가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캐스터(111)를 통해 구름 운동함으로써 갠트리(140)를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켜주도록 작동한다.
이동본체(110)는 이동방향(A)인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전후방향은 좁은 폭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로써 이동본체(110)는 상측에서 바라봤을 경우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다. 이동본체(110)는 회전갠트리(140)가 설치되는 받침부(112)와, 받침부(112)의 좌, 우측 중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우징부(114)로 구성된다.
받침부(112)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120)이 설치되며, 가이드레일(120)에는 갠트리(14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받침부(112)의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0)은 받침부(112)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두 개의 가이드레일(120)이 받침부(112)의 좌우방향에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20)의 전단부 즉, 받침부(112)의 전단부 상측에는 가이드레일(120)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보조레일(13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부(114)에는 제어모듈(116)이 내장된다. 제어모듈(116)은 회전갠트리(140)로부터 촬영된 환자의 단층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컴퓨터(117) 및 디스플레이(118), 컨트롤러(11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어모듈(116)은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된 기술이며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117)는 데이터를 연산하는 장치로서 회전갠트리(140)로부터 촬영된 환자의 단층 영상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며, 컴퓨터(117)로부터 처리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18)를 통해 출력된다. 컨트롤러(119)는 갠트리(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가이드레일(120)은 받침부(112) 즉, 이동본체(110)에 설치되어 회전갠트리(140)가 이동하는 길(로드)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의 폭이 좁은 이동본체(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10)은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갠트리(140)의 이동거리도 짧게 형성되어 환자의 단층 촬영시 넓은 범위의 단층을 촬영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100)는, 보조레일(130)을 통해 가이드레일(120)의 길이를 연장해줌으로써 회전갠트리(140)의 이동거리를 증가시켜주게 된다.
보조레일(130)은 가이드레일(120)의 전단부 즉, 이동본체(110)의 상면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조레일(130)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방 회동시에는 이동본체(110)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며, 하방 회동시에는 수평하게 배치되어 가이드레일(120)과 연결된다. 하방 회동된 보조레일(130)의 일단부는 가이드레일(12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연장된 하나의 레일 형태를 갖게 된다. 보조레일(130)의 저면에는 고정프레임(132)이 연결되며, 고정프레임(134)의 양측에는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두 개의 고정다리(134)가 결합된다.
고정프레임(132)은 보조레일(130)이 하방 회동할 경우 이동본체(110)의 전면에 접촉됨으로써 보조레일(130)의 계속적인 하방 회동을 제한한다. 고정다리(134)는 고정프레임(132)의 양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다리(134)는 보조레일(130)이 하방 회동할 경우 지면에 접촉되어 보조레일(130) 및 고정프레임(132)의 위치를 고정해준다. 이때, 고정다리(134)는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20)과 보조레일(130)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에는 고정다리(134)의 길이를 조정해줌으로써 보조레일(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가이드레일(120)과 보조레일(13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방으로 회동된 보조레일(130) 및 고정프레임(132), 고정다리(134)는 상측에서 바라봤을 경우 이동본체(110)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이동본체(1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즉, 회전갠트리(1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전산화단층촬영장치(10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레일(130) 및 고정프레임(132), 고정나사(134)를 접어 이동본체(110)의 내측으로 위치시켜 컴팩트하게 만들어줌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회전갠트리(140)는 가이드레일(120)과 보조레일(13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회전갠트리(140)의 저면에는 가이드레일(120)과 보조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14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100)는 가이드레일(120)의 길이가 보조레일(130)을 통해 연장되며 갠트리(140)는 가이드레일(120)에 연장된 보조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의 촬영범위가 넓은 경우에도 환자의 단층촬영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산화단층촬영장치(100)를 보관하거나 이동할 경우 보조레일(130)이 이동본체(110)에 접이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좁은 장소 및 공간에도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레일(130)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다리(134)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가이드레일(120)과 보조레일(130)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고정다리(134)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조레일(130)의 높이를 조절해줌으로써 가이드레일(120)과 보조레일(130)의 수평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전산화단층촬영장치 110:이동본체
120:가이드레일 130:보조레일
140:회전갠트리

Claims (4)

  1. 이동방향인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좌, 우측 중 일측에 제어모듈이 구비되고 하부의 캐스터를 통해 구름 이동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환자의 단층 영상을 촬영하는 회전갠트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보조레일을 통해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회전갠트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보조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이동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일은 상기 이동본체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일의 저면에는 고정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고정다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리는 상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보조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수평을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KR1020180014920A 2018-02-07 2018-02-07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KR10208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20A KR102088159B1 (ko) 2018-02-07 2018-02-07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20A KR102088159B1 (ko) 2018-02-07 2018-02-07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59A true KR20190095659A (ko) 2019-08-16
KR102088159B1 KR102088159B1 (ko) 2020-03-12

Family

ID=6780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20A KR102088159B1 (ko) 2018-02-07 2018-02-07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1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6880A1 (en) * 2003-04-15 2004-10-21 Cti Pet Systems, Inc. Rail system for supporting and moving a patient gantry
JP2009142332A (ja) * 2007-12-11 2009-07-02 Toshiba Corp 架台移動型x線ct装置
KR20130131390A (ko) * 2010-11-27 2013-12-03 아이씨알씨오,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 단층 촬영 및 단층 영상 합성 시스템
CN205458750U (zh) * 2016-03-30 2016-08-17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移动式计算机断层成像装置
KR20180077989A (ko) *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6880A1 (en) * 2003-04-15 2004-10-21 Cti Pet Systems, Inc. Rail system for supporting and moving a patient gantry
JP2009142332A (ja) * 2007-12-11 2009-07-02 Toshiba Corp 架台移動型x線ct装置
KR20130131390A (ko) * 2010-11-27 2013-12-03 아이씨알씨오, 인코포레이티드 컴퓨터 단층 촬영 및 단층 영상 합성 시스템
CN205458750U (zh) * 2016-03-30 2016-08-17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一种移动式计算机断层成像装置
KR20180077989A (ko) *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159B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9409B2 (en) Mobile imaging ring system
US9962132B2 (en) Multi-directional X-ray imaging system with single support column
US10151810B2 (en) Pivoting multi-directional X-ray imaging system with a pair of diametrically opposite vertical support columns tandemly movable along a stationary base support
US9301726B2 (en) CT machine for multi-angle scanning of stationary patients
EP3646793B1 (en) Mobile imaging ring system
WO2017000538A1 (zh) 可拆卸组装圆弧形精准定位设备
EP3342349B1 (en) Robotic operating table and hybrid operating system
US20150257717A1 (en) Extremity imaging apparatus for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JP3523729B2 (ja) X線診断装置
JP2001190535A (ja) 血管撮影・ct装置
US20150117603A1 (en) Detector assembly for recording x-ray images of an object to be imaged
US20150003577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 body region of interest in the isocentre of a ct imaging system
US20210196210A1 (en) Multi-Directional X-Ray Imaging System
US20200323499A1 (en) Cone beam ct multi-directional scanning apparatus
KR10159178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검출기 암 및 이를 구비한 레일시스템
KR20220016916A (ko) Ct 이미징 장치
KR102088159B1 (ko)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KR101660129B1 (ko) X선 촬영장치
KR102088156B1 (ko) 이동형 전산화단층촬영장치
JP2011030816A (ja) 移動型x線撮影装置
JP3638353B2 (ja) X線診断装置
JP2009153579A (ja) X線ct装置および医用撮像システム
JP6287719B2 (ja) X線装置
US10799199B2 (en) X-ray imaging system with lower shelf for standing and sitting patient
JP2021029742A (ja) X線画像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