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581A -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 - Google Patents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581A
KR20190094581A KR1020180013889A KR20180013889A KR20190094581A KR 20190094581 A KR20190094581 A KR 20190094581A KR 1020180013889 A KR1020180013889 A KR 1020180013889A KR 20180013889 A KR20180013889 A KR 20180013889A KR 20190094581 A KR20190094581 A KR 20190094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eed tank
sector gear
hst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016B1 (ko
Inventor
윤석수
강영선
소진환
신종필
신익환
임송수
김상규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0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조작으로 씨드탱크의 단부 정렬이 가능한 이앙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 이앙기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주변속레버, 상기 주변속레버의 조작 방향 및 조작량을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 엔진의 회전수 및 HST의 출력 조작을 위한 전동제어유닛, 모판을 적재하기 위한 씨드탱크와 상기 씨트탱크를 지지하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플랜팅 프레임을 포함하는 식부부, 그리고 상기 식부부로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식부클러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씨드탱크를 플랜팅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씨드탱크 정렬버튼, 그리고 식부클러치 및 전동 제어유닛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동제어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섹터기어, 상기 섹터기어와 연결되어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HST의 사판을 조작하는 HST 연결로드, 상기 섹터기어와 같이 연동하고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을 구비하는 캠부재, 그리고 하단롤러가 상기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에 접촉하고 중심축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엔진 회전수를 높이는 스로틀케이블과 연결되는 스로틀레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Pland transportation machine with function of adjusting rice seed tank}
본 발명은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판을 탑재하고 있는 씨드탱크(Seed tank)의 일측 단부를 플랜팅 프레임(Planting frane)에 정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주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한 반응이 전자식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 및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주행에 있어서는 HST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HST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전진 및 후진을 HST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변속단수 및 전후진 자체를 트랜스미션에서 결정하고 HST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출력의 크기만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엔진의 스로틀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를 기본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정해진 환경 하에서 주변속레버를 통한 HST 제어를 통하여 출력 회전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HST 및 엔진의 스로틀 제어는 각각 별도의 링크 및 와이어에 의하여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조작시 반력에 의한 조작의 어려움 및 불편함이 있을 수밖에 없고, 농기계의 부하에 따라서 HST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지 못한 단점도 기적되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 및 링크를 통하여 전체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실제 제동이 이루어지거나 HST의 중립 상태가 구현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확하면서도 신속한 반응에 불만족할 수밖에 없음은 물론이고, 특정 페달 또는 레버의 조작시 반력에 의하여 정확한 동작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식기는, 모판을 싣고 있는 씨드탱크의 일측 단부를 플랜팅 프레임의 단부에 맞추는 것에 의하여, 모판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부터 플랜팅아암이 집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능을 통상 묘탱크 정렬, 단부 정렬, 또는 단부 시프트라고 부르고 있다.
한국 특허 공개 10-2012-0106625에 의하면, 이와 같은 단부 정렬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이앙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된 도면 부호를 그대로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앙기는, 동력원을 구비한 주행 차체와 이것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식부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부부(40)에 대한 동력 전달용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구비하고, 상기 식부부(40)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41)의 횡이송에 의한 단부 시프트(단부 정렬)를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개시한다.
그리고 이앙기는, 식부부(40)를 승강 이동하는 식부 승강 레버와, 주변속 레버(65)의 조작에 의해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주변속 기구(22)와, 이 주변속 기구(22) 및 상기 식부부(40)로의 회전수를 변속 페달의 밟기 조작에 의해 변속하는 무단 변속 기구를 구비한다. 단부시프트(단부 정렬)의 개시는, 식부 승강 레버를 상기 식부부(40)의 중립 위치로 조작하고 또한 상기 주변속 레버(65)를 주행정지인 중립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변속 페달(67)을 소정 값 이상으로 밟기 조작했을 때에 상기 식부 클러치기구(55)의 동력 전달 온에 의해 상기 모종 적재대의 단부 시프트를 개시한다.
그리고 단부시프트의 종료에 대하여 살펴보면, 식부부(40)에 있어서의 모종 적재대(41)가 좌우 횡이송의 일단에 왔을 때에 작동하는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 수단[암 부재(123) 및 모종대 위치 검출 스위치(69)]을 구비하고, 이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69)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식부 클러치 기구(55)를 동력 전달 오프로 해서 상기 모종 적재대(41)의 단부 시프트를 종료한다. 여기서 모종대 위치 검출 수단(69)을 상기 모종 적재대(41)를 지지하는 모종대 프레임(49) 중 좌우의 일단부의 내측 부위에 장착함으로써, 동작 및 감지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부 시프트의 시작은 실질적으로 다수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단부 정렬 조작이 복잡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동력전달과 관련된 기구를 살펴보면, 식부클러치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거나 차단되고, 식부클러치에서는 식부 미션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식부 미션에서 동력은 이분되는데 실질적으로 모를 심는 플랜팅아암(식부아암)과 위에서 설명한 씨드탱크(모종 적재대)의 정렬을 위한 동력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되는 동력은 실질적으로 식부클러치의 온오프에 의하여 구동되거나 오프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식부크러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은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클러치가 온되거나 오프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종을 적재하고 있는 씨드탱크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랜팅 프레임의 일측에 맞추는 단부 정렬를 가장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이앙기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주변속레버, 상기 주변속레버의 조작 방향 및 조작량을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 엔진의 회전수 및 HST의 출력 조작을 위한 전동제어유닛, 모판을 적재하기 위한 씨드탱크와 상기 씨트탱크를 지지하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플랜팅 프레임을 포함하는 식부부, 그리고 상기 식부부로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식부클러치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씨드탱크를 플랜팅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씨드탱크 정렬버튼, 그리고 식부클러치 및 전동 제어유닛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동제어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섹터기어, 상기 섹터기어와 연결되어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HST의 사판을 조작하는 HST 연결로드, 상기 섹터기어와 같이 연동하고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을 구비하는 캠부재, 그리고 하단롤러가 상기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에 접촉하고 중심축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엔진 회전수를 높이는 스로틀케이블과 연결되는 스로틀레버로 구성된다. 씨드탱크 정렬버튼이 온되면, 제어부는, 전동제어유닛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 범위 이내로 제어되도록 함과 같이, 식부부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식부클러치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동제어유닛의 섹터기어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텐셔미터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정 구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섹터기어에 의하여, 스로틀레버를 통한 엔진의 회전수 조절 및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출력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이앙기에 의하면, 모의 이식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통상 기본적으로 하는 씨드탱크 정렬을, 정렬 버튼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제어부가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버튼 조작에 의하여 씨드 탱크 정렬이 완료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하나의 구동모터가 섹터기어 및 캠부재를 통하여 스로틀레버를 조작과 동시에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제어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농기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페달의 누름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모든 출력 부분을 아이들 또는 중립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동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페달이 밟혀지 회동하게 되면 이러한 제동페달의 회동에 따라서, 엔진은 아이들 상태보다 더 낮은 회전수를 가지는 로우 아이들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제동패달의 조작에 의하여 메인 클러치의 동력도 같이 단속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제동패달의 조작에 의한 다양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농기계의 요부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농기계의 제동페달 및 가속페달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제어유닛의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이 적용된 농기계의 다른 요부를 보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사용자가 HST 및 엔진의 스로틀밸브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하는 주변속레버(10)에 설치된 포텐셔미터(12), 제동페달(23)의 리미트스위치(23a), 전동제어유닛(20)의 포텐셔미터(25), 식부클처치(62), 그리고 씨드탱크 정렬버튼(또는 조작 스위치(64)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포텐셔미터(12)는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어느 정도 밀었는가 또는 어느 정도 당겼는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감지되는 포텐셔미터(12)의 감지값은 농기계의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는 포텐셔미터(12)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동제어유닛(20)으로 보내게 된다. 즉, 주변속레버(10)의 이동량은 포텐셔미터(12)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동제어유닛(20)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식부클러치(6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부부(Planting portion)로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것이고, 식부클러치(62)가 온상태로 되어야만 씨드탱크(66)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플랜팅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일치시키는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씨드탱크 정렬 기능은, 종래의 특허 문헌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에 의한 단부 시프트" 또는 단부 정렬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씨드탱크 정렬은 식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온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는 것임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그리고 식부클러치의 온에 의하여 씨드탱크의 횡이송을 위한 기구적 구성 및 동작은 위의 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된 것이고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의 온오프(동력의 단속)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정렬 버튼(64)이 눌러지면, 제어부(5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씨드탱크 정렬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동제어유닛(2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 후, 씨드탱크 정렬을 위한 제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제어유닛(20)은, 제어부(50)에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기초하여 일정 구간 회전 하는 섹터기어(24), 상기 섹터기어(2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부품은 베이스(20a)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모터(22)의 회전에 따라서 섹터기어(24)가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에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섹터기어(24)와 캠부재(30)는 동일한 지지축(21)을 가지고 있고, 서로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는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스로틀레버(28)의 일단부(28c)는 캠부재(30)와 접촉되면서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스로틀레버(28)의 타단부(28a)는 스로틀케이블(29)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캠부재(30)와 접촉하는 스로틀레버(28)의 일단부(28c)에는 롤러가 장착되어 구름접촉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은 당연하다. 이러한 스로틀레버(28)도 중간 부분의 중심축(28a)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의 아이들 상태에서 스로틀케이블(29)은 도면상 상방으로 당겨진 상태 때문에, 상기 스로틀케이블(29)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스로틀케이블(29)에 의하여 엔진의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면서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섹터기어(24)에는 HST(40)와 연결되는 HST 연결로드(2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HST 연결로드(26)는 HST(40)와 연결되어 있고, 사판의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HST 연결로드(40)와 섹터기어(24)는 자체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로드(40)가 섹터기어(24)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면, 비상시(고장시) 연결로드(4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동페달(23)에는 제동페달(23)을 밟았는지의 여부만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23b)(예를 들면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동페달(23)을 밟게 되면, 제동페달(23)의 회전량과는 무관하게 제동페달을 밟았다는 사실 자체가 제어부(50)로 전달된다.
다음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전동 제어유닛(20)을 이용하는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ST 연결로드(26)와 섹터기어(24)는 연결되어 있고, 캠부재(30)와 섹터기어(24)도 같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섹터기어(24)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HST 연결로드(26)와 스로틀레버(28)가 같이 연동하여 동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엔진의 아이들상태에서 스로틀케이블(29)은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으로 약한 인장력으로 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28c)는 섹터기어(3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도 2에서 (b)는 이와 같은 아이들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조작하게 되면 그 변위가 포텐셔미터(12)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전송된다. 도 2에서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의한 상태를 보인 것인데, (a)는 후진 상태, 그리고 (c)는 전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아이들, 전진 및 후진에 대응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50)는 주변속레버(10)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비례하여, 전동제어유닛(20)의 구동모터(22)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주변속레버(10)가 앞으로 밀리게 되면, 이식기의 전진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동모터(22)를 전진에 해당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모터(22)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서, 섹터기어(24)는 지지축(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온오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음과 같이 정렬버튼(64)과도 신호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온오프시키는 구동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식부클러치(62)를 단속하는 것은 실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임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는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상기 정렬버튼(64)을 단순히 조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행된다.
사용자가 이앙기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정렬버튼(64)을 조작하면, 이러한 신호를 감지한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온시킴으로써 씨드탱크(66)의 정렬을 위한 동력이 전달되어 좌우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과 동시에, 전동 제어유닛(20)을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씨드탱크(66)의 정렬 기능은, 씨드탱크(66)의 일측을 플랜팅 프레임의 일측과 일치시킴으로써, 플랜팅 아암이 최외측에 있는 모부터 순차적으로 떠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렬 버튼(64)이 눌러지면, 식부클러치(62)가 온됨으로써 씨드탱크(66)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엔진희 회전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정렬 기능이 시작되어 일정 거리 씨드탱크가 움직여서 단부에 일치하게 되면, 씨드탱크의 일측이 플랜팅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에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를 접수한 제어부(50)는 식부클러치(62)를 오프시켜 씨드탱크(66)의 단부 정렬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씨드탱크의 단부 정렬 과정에서, 씨드탱크의 이동속도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데, 이는 플랜팅 아암의 관성 등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씨드탱크(66)의 단부 정렬 기능이 수행되어 멈춤 위치에 이르면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에 대응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어야 한다. 여기서 엔진의 회전수가 아이들 상태의 회전수(예를 들면 1800 rpm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면, 실질적으로 씨드탱크(66)의 이동속도가 늦어서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엔진의 회전수가 실제 이식 작업의 회전수보다는 낮고 아이들 회전수보다는 높은 정도의 단부 정렬을 위한 회전수 범위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2000~2500 rpm 범위에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이러한 단부 정렬 회전수를 메모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렬버튼(64)이 눌러지면 이러한 회전수를 가지도록 전동 제어유닛(2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50)가 구동모터(22)를 구동시켜,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를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22)의 동작에 의한 캠부재(30) 및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의 제어는, 미리 제어부(50)에 입력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고, 전동 제어유닛(20 이면의 포텐셔미터(25)가 감지하는 회전량을 피드백 받는 제어부(5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 제어유닛(20)은 엔진의 회전수 제어와 HST(40)의 사판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섹터기어(24)에는 HST연결로드(26)가 같이 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섹터기어(24)의 회전은 엔진의 회전수 조절 뿐만 아니라 HST(40)의 사판 경사각 조절을 통한 HST 출력도 같이 비례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캠부재(30)의 회전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조절 및 HST의 사판 경사각 제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씨드탱크의 단부 정렬이 완료되는데, 이는 실제로는 플랜팅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가 이동한 씨드탱크의 일측에 접촉되고, 이러한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5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50)가 전동 제어유닛(20)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식부클러치(62)의 동력을 오프함으로써 씨드탱크의 단부 정렬은 완료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50)는 전동제어유닛(20)을 제어하여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하고 HST(40)를 중립 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섹터기어(24)에 고정되어 있는 캠부재(30)도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캠부재(3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서, 스로틀레버(28)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롤러(28c)는 캠부재(30)의 전진캠곡면(34)에 접촉하게 된다. 즉, 스로틀레버(28)는 중심축(28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단부 또는 하단롤러(28c)는 전진캠곡면(34)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전진캠곡면(34)은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로틀레버(28)의 상단부(28b)는 하강하는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스로틀케이블(29)을 하방으로 끌어내리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스로틀케이블(29)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실질적으로 스로틀밸브가 열리게 되면서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섹터기어(24)에는 HST 연결로드(2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섹터기어(24)의 A방향 회전에 따라서 HST 연결로드(26)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HST 연결로드(26)의 우방향 이동은, HST(40)의 사판을 전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HST 연결로드(26)의 회전 정도는, 사용자의 주변속레버(10)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포텐셔미터(12)에서 감지되는 감지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HST의 출력이 제어될 것이다.
즉, 제어부(50)는 주변속레버(10)의 포텐셔미터(12)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구동모터(22)를 제어하여 섹터기어(24)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동제어유닛(20)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또 하나의 포텐셔미터(25)(도 1 참조)는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50)는 섹터기어(24)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텐셔미터(25)의 감지값에 기초하여 주변속레버(10)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섹터기어(24)의 회전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속레버(10)를 밀어서 전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A방향 회전에 따라서, 전진 방향으로 HST(40)가 제어됨과 동시에 엔진의 회전수도 빨라지도록 연동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변속레버(10)를 당겨서 후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대응하는 처리가 진행된다.
예를 들면 섹터기어(24) 및 캠부재(30)의 반시계방향(B) 회전에 따라서 스로틀레버(28)의 하단롤러(28c)는 돌출 성형된 후진캠곡면(32)에 접촉하게 되어, 상단부(28b)는 스로틀케이블(29)를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회전수가 빨라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로드(26)에 의하여 HST(40)도 후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사판이 제어될 것이다.
여기서 캠부재(30)에는 전진을 위한 전진캠곡면(34)와 후진을 위한 후진캠곡면(34)이 각각 성형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주변속레버(10)의 조작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 조작이 수행되면, HST 연결로드(26)의 조작방향은 반대방향이지만, 스로틀케이블(29)을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진진시와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의 상승률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캠부재(30)에서 전진캠곡면(34)과 후진캠곡면(32)은 각각 상이한 곡률 또는 곡면을 가지고 있다. 즉, 전진캠곡면(34)과 후진캠곡면(32)의 돌출된 곡면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에,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과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률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회전각도를 가정하면, 전진캠곡면(34)은 후진캠곡면(32)에 비하여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함으로써, 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은 후진시의 엔진 회전수 상승에 비하여 완만하게 상승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주변속레버(10)의 후진 조작시, 엔진 회전수의 상승이 더욱 급격하게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스로틀케이블(29)이 더욱 빨리 당겨진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후진캠곡면(32)이 전진캠곡면(34)에 비하여 더욱 급격한 돌출 형상을 가짐으로써, 스로틀케이블(29)을 상대적으로 더욱 빨리 잡아당길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도 동일하다.
예를 들면 이식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후진캠곡면(32)이 더욱 신속한 회전수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캠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식기에는 묘종을 이식하는 식부장치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데, 후진시 이러한 식부부를 보다 신속하게 들어올리는 것이 손상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진캠곡면(32)이 전진캠곡면(34)에 비하여,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같은 회전량으로도 엔진의 회전수를 더욱 신속하게 올림으로써 식부부를 빠르게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10 ..... 주변속레버
12 ..... 주변속레버의 포텐셔미터
20 ..... 전동제어유닛
21 ..... 지지축
22 ..... 가속페달
24 ..... 섹터기어
25 ..... 섹터기어의 포텐셔미터
26 ..... HST 연결로드
28a ...... 중심축
28b ..... 스로틀레버의 상단부
28c ..... 스로틀레버의 하단롤러
30 ..... 캠부재
32 ..... 후진캠곡면
33 ..... 캠부재의 오목홈
34 ..... 전진캠곡면
40 ..... HST
50 ..... 클러치
51 ..... 연동로드

Claims (3)

  1.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주변속레버, 상기 주변속레버의 조작 방향 및 조작량을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 엔진의 회전수 및 HST의 출력 조작을 위한 전동제어유닛, 모판을 적재하기 위한 씨드탱크와 상기 씨트탱크를 지지하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플랜팅 프레임을 포함하는 식부부, 그리고 상기 식부부로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식부클러치를 포함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씨드탱크를 플랜팅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씨드탱크 정렬버튼, 그리고 식부클러치 및 전동 제어유닛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제어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고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섹터기어, 상기 섹터기어와 연결되어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HST의 사판을 조작하는 HST 연결로드, 상기 섹터기어와 같이 연동하고 전진캠곡면과 후진캠곡면을 구비하는 캠부재, 그리고 하단롤러가 상기 전진캠곡면 또는 후진캠곡면에 접촉하고 중심축을 통하여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부가 엔진 회전수를 높이는 스로틀케이블과 연결되는 스로틀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씨드탱크 정렬버튼이 온되면, 제어부는, 전동제어유닛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 범위 이내로 제어되도록 함과 같이, 식부부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식부클러치를 제어하는 이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제어유닛의 섹터기어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텐셔미터를 더 포함하는 이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일정 구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섹터기어에 의하여, 스로틀레버를 통한 엔진의 회전수 조절 및 HST 연결로드를 통하여 HST의 출력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



KR1020180013889A 2018-02-05 2018-02-05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 KR102053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89A KR102053016B1 (ko) 2018-02-05 2018-02-05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889A KR102053016B1 (ko) 2018-02-05 2018-02-05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22A Division KR102123801B1 (ko) 2019-11-18 2019-11-18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81A true KR20190094581A (ko) 2019-08-14
KR102053016B1 KR102053016B1 (ko) 2020-01-08

Family

ID=6762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889A KR102053016B1 (ko) 2018-02-05 2018-02-05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8371A (zh) * 2019-09-20 2020-02-07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重型牵引车辅助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559359A (zh) * 2020-04-08 2020-08-21 安徽舒州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农机的混合安全制动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638A (ja) * 2004-06-30 2006-01-19 Iseki & Co Ltd 作業機
KR100694654B1 (ko) * 2004-06-22 2007-03-1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주행차량
JP2010029134A (ja) * 2008-07-30 2010-02-12 Iseki & Co Ltd 苗植機
JP2011196399A (ja) * 2010-03-17 2011-10-06 Yanmar Co Ltd 乗用型農作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654B1 (ko) * 2004-06-22 2007-03-1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주행차량
JP2006014638A (ja) * 2004-06-30 2006-01-19 Iseki & Co Ltd 作業機
JP2010029134A (ja) * 2008-07-30 2010-02-12 Iseki & Co Ltd 苗植機
JP2011196399A (ja) * 2010-03-17 2011-10-06 Yanmar Co Ltd 乗用型農作業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8371A (zh) * 2019-09-20 2020-02-07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重型牵引车辅助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758371B (zh) * 2019-09-20 2021-03-16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重型牵引车辅助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559359A (zh) * 2020-04-08 2020-08-21 安徽舒州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农机的混合安全制动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16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16B1 (ko) 씨드탱크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이앙기
KR20190131466A (ko) 농기계용 전동제어유닛
JP4180711B2 (ja) 田植機のクラッチ作動装置
JP2010226982A (ja) 乗用苗植機
KR101968088B1 (ko) 농기계의 주변속레버 제어장치
KR101956598B1 (ko) 전동제어에 의한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농기계
JP2002262624A (ja) 乗用田植機
KR101968090B1 (ko) 농기계의 가속장치
JP5779995B2 (ja) 苗移植機
CN206136644U (zh) 苗移植机
JP2001209449A (ja) 移動農機の操作装置
JP3312620B2 (ja) 移植機
JP4041419B2 (ja) 走行型農作業機における走行変速操作装置
JP5174705B2 (ja) 移植機
JP3657107B2 (ja) 移動農機の昇降制御装置
JPH119036A (ja) 田植機
JP7090022B2 (ja) 移植機
JP4726639B2 (ja) 移植機
JPH0711537Y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深さ制御機構
JP2008092866A (ja) 移植機
JPH119038A (ja) 田植機
JP2016220557A (ja) 移植機
KR20210075393A (ko) 변속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이앙기
CN112840813A (zh) 插秧机和其插秧机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H119035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