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501A -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 Google Patents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501A
KR20190094501A KR1020180013732A KR20180013732A KR20190094501A KR 20190094501 A KR20190094501 A KR 20190094501A KR 1020180013732 A KR1020180013732 A KR 1020180013732A KR 20180013732 A KR20180013732 A KR 20180013732A KR 20190094501 A KR20190094501 A KR 2019009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sin
type
layer
in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124B1 (ko
Inventor
고정호
신종섭
고용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나노텍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나노텍
Priority to KR102018001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1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에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를 병렬 배치하여 고정시킨 후,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가 고정되어 있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를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말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는, 외부 피복재가 펼쳐진 상태로 적재 및 운송 작업이 가능하여 운송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복잡한 공압출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설비와 제조 공정의 단순화로 생산비와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운반시에 보빈에 감긴 것으로 인한 굴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의 외부 피복재의 제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기존에 매설된 덕트의 프라이머리 튜브의 추가, 추가 포설 작업 또는 분리 작업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OPTICAL NETWORK DUCT FORMED WITH SHEET SHAPED OUTER COVERING MATERIAL}
본 발명은 광통신망 덕트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망을 시설하는데 있어서, 공기압을 이용하여 덕트(50) 내부에 에어블로운(air-blown) 케이블(2)을 포설(布設, laying)하는 기술이 도 1과 같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본적인 형태는 폴리머 재질의 가늘고 긴 튜브인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20)와 이들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외부 피복재(40)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현존하는 모든 광통신망에 적용되는 덕트(50)의 일반적인 형태로 도 2~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관련 생산, 제작, 설치 및 시공, 포설, 운반, 보관, 사후관리 등에 있어서도 대동소이하게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꽤 용이하게 적용되어 사용되어 왔고, 시공하고자 하는 광통신망의 목적에 맞는 규모(통신량)와 장소(지상, 지중, 해저 등)에 따라, 또는 유저에 따른 요구 물성 혹은 국제적으로 요구되는 물성(난연성, 내약품성, 내열성, 인장강도, 지압 혹은 충격에 따른 경도 등)에 따라, 도 4와 같이 복잡한 적용도 가능하게 되었다.
도 4에서 직매용 덕트의 경우 프라이머리 튜브(20)를 둘러싸는 외부 피복재(40)가 외층(42), 내층(44), 알루미늄층(46)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22는 립코드(rip cord)를 나타낸다. 관로용 덕트의 경우 외부 피복재가 외층(42)과 알루미늄층(46)의 2층으로 되어 있고, 난연 덕트의 경우 외부 피복재(40)가 단일층으로 되어 있다.
통상의 경우 공기압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광통신망 케이블인 에어블로운 케이블(2)은 개별적으로 집합되거나, 관의 제조시 외부에 압출기를 통한 압출 형태 혹은 공압출 형태의 튜브형 피복을 하여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 만든 다음, 큰 직경을 갖는 관 속으로 포설되거나, 지하에 직접 매설되거나, 지상 등에 설치된다.
하지만, 공기압을 이용하여 에어블로운 케이블(2)을 포설하는 외부 피복재(40)는 튜브 형태라는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1) 기능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져 다층의 관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제조 공정 역시 내부의 프라이머리 튜브(20)를 생산한 후, 다시 외부 피복재(40)를 생산하여 내부에 안착 및 삽입하는 결합공정이 추가된다.
(2) 다층 구조에 따른 공압출이 늘어남으로써, 제조시의 장치 설비가 많아지고, 생산공정이 복잡해지며, 그에 따라 불량률이 증가한다.
(3) 일반적인 광통신망 케이블(2)에 사용되는 덕트(50)는 외부 피복재(40)와, 1, 2, 4, 7, 12, 14, 19, 24개 등의 프라이머리 튜브(2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유저에 의하여 시장 요구(용량, 규모)에 따라 생산 전에 이미 프라이머리 튜브(20)의 개수가 결정됨으로써, 품목 및 등급 수의 확대, 축소, 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에 따른 적재적소의 적용이 비효율적으로 된다.
(4) 시공 현장에서 프라이머리 튜브(20)를 추가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없다.
(5) 광통신망 용량이 커짐에 따라 프라이머리 튜브(20)의 개수나 구경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덕트(50)의 구경도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덕트(50)를 감는 원형 구조물인 보빈(54)의 코어도 커져야 된다(도 5). 코어가 작으면 덕트(50) 구경이 크기 때문에 덕트의 굽힘반경이 작아져 덕트에 무리가 가기 때문이다. 이렇게 코어가 커지면 운반, 적재 비용이 커진다.
(6) 보빈(54)에 감긴 덕트(50)가 저온 및 고온 환경 변화에 따라 딱딱하게 되어, 시공시에 완전히 펴지지 않고 굴곡이 남아 있게 된다. 그러면 고압의 공기압에 의한 에어블로운 케이블(2) 전송시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7) 시공 후 덕트(50)를 분해하여 펼치거나 말 수 없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에 덕트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피복재가 펼쳐진 상태로 적재 및 운송 작업이 가능하여 운송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복잡한 공압출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설비와 제조 공정의 단순화로 생산비와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운반시에 보빈에 감긴 것으로 인한 굴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의 외부 피복재의 제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기존에 매설된 덕트의 프라이머리 튜브의 추가, 추가 포설 작업 또는 분리 작업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광통신망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에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를 병렬 배치하여 고정시킨 후,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가 고정되어 있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를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말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는, 외부 피복재가 펼쳐진 상태로 적재 및 운송 작업이 가능하여 운송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복잡한 공압출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설비와 제조 공정의 단순화로 생산비와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운반시에 보빈에 감긴 것으로 인한 굴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의 외부 피복재의 제거 및 재시공이 용이하여 기존에 매설된 덕트의 프라이머리 튜브의 추가, 추가 포설 작업 또는 분리 작업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광통신망 덕트 내부에 에어블로운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각종 광통신망 턱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광통신망 덕트에 케이블이 포설되어 있는 두 가지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광통신망 덕트의 용도에 따른 다양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광통신망 덕트가 보빈에 감겨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단일층)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2층)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3층)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2층 이상)의 층간 결합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2층 이상)의 층간 접착 유지력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의 내층과 금속층간의 강한 결합을 이루는 메카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5층)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의 베이스 폴리머에 내열성 및 내수축성 강화용 첨가제를 첨가하기 전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의 외부 피복재에 직물 섬유가 함침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형 외부 피복재(10)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30)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에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20)를 병렬 배치하여 고정시킨 후,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20)가 고정되어 있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10)를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2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말아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에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20)가 배치, 고정된 상태(외부 피복재와 프라이머리 튜브가 펼쳐진 상태)로 적재하여 시공 현장까지 운송한 후, 시공 현장에서 프라이머리 튜브(2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외부 피복재(10)를 만 다음, 외부 피복재(10)의 양단을 접착시켜 덕트(30)를 형성하게 된다.
또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에 프라이머리 튜브(20)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각각의 상태로 시공 현장으로 운송한 후, 시공 현장에서 프라이머리 튜브(20)를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에 배치, 고정하고, 프라이머리 튜브(2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외부 피복재(10)를 만 다음, 외부 피복재(10)의 양단을 접착시켜 덕트(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통신망 덕트(30)는 내측의 프라이머리 튜브(20)와 외측의 외부 피복재(10)로 구성되며, 여기서 외부 피복재(10)는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1. 외부 피복재가 단일층인 경우
종래의 광통신망 덕트(50)에 적용된 튜브형 압출에서는 2축 연신 효과를 실현하기 어려워, 인장강도 또는 기계적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소재의 개질이 사실상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로 인하여 단일층 외부 피복재는 인장강도가 높은(분자량이 높고, MI가 낮으며, 연신율이 낮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의 경우, 시트 생산시에 2축 연신 효과를 적용 가능함에 따라, 요구되는 시장의 물성에 따라 소재의 개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한 인장강도, 내약품성, 내충격성에 따라, 폴리올레핀(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면 좋다.
내마모성, 표면경도, 광택, 투명성 등 시장 물성 요구에 따라, 무기 충전재 혹은 기능성 개질재로 사용되는 CaCO3, BaSO4, 탈크, SiO2, 몰리브덴계 클레이, 실리콘 오일 중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0~30% 첨가할 수 있다. 또, 인장강도를 감소 시키지 않기 위해 500~100,000메쉬(50㎛~sub㎛1) 범위의 입자 사이즈를 적용한다.
전기전도성 혹은 대전방지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금속 또는 금속염계 카본, MgO, 그래핀, 카본나노튜브, H-BN, ZnO, Al2O3, AIN, SiC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조한다.
슬립제, 활제, 이형제, 내마모제, 내마찰제로서, 실리콘 오일 또는 왁스, 스테아레이트 계열 또는 금속염 스테아레이트 계열(Zn-stearate 등), 몰리브덴 등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1~15phrs의 중량비로 첨가할 수 있다.
2. 외부 피복재가 2층인 경우
공기압 포설, 시공이 요구되는 광통신망 덕트는 외부 환경에 대항하여 요구되는 물성(시장 표준 물성)을 맞추기 위해, 외부 피복재(10)의 외면은 내화학성(내약품성), 내열성, 기밀성, 강성, 경도, 조색성(착색성, 광택, 투명성), 난연성, 내염해성 등이 필요하지만, 외부 피복재(10)의 내면은 고압의 공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프라이머리 튜브(20)를 연결부 없이 1~2km 이상 삽입해야 하므로, 내마모성, 내마찰성, 또는 내부 케이블 포맷에 따라 여러 가닥으로 삽입되는 프라이머리 튜브(20)와의 연결 접합성 등이 필요하다. 이것을 고려하여 외부 피복재(10)의 재질을 선택해야 한다.
더욱이 2개 층을 가진 시트를 광통신망 덕트용으로 적용할 시에는 다음의 구분에 따라 제조방법과 재질이 달라진다.
도 8에서, 외층(12)과 내층(14)의 재질이 동종 폴리머인 경우, 일반적인 T-다이형의 공압출, 혹은 개별 생산 후 열융착에 의한 롤러 압착(캐스팅) 등의 공정으로 용이하게 생산 가능하다.
반면, 두 층(12, 14)의 재질이 동종 폴리머가 아닌 경우에는 두 층 사이에 둘 사이의 확실한 결합을 위한 접착제 수지를 사용한 T-다이 공압출 혹은 3층 롤러 캐스팅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접착을 위한 접착제층을 또 하나의 층으로 본다면, 3 T-다이 라인에서 한 번에 공압출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층을 별도롤 생산하여, 발열롤러를 통한 캐스팅 공법으로 접착하여 생산이 가능하다.
외층(12)의 재질은 상기한 단일층의 재질을 적용하여 제조하면 좋다.
접착제 수지에 대한 선택은, 외층(12)의 베이스 폴리머가 올레핀 계열이고, 내층(14)의 베이스 폴리머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나일론 6, 66, 12) 계열인 경우, 융착을 위한 적절한 재질은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외부 피복재가 3층인 경우
본 발명의 광통신망 덕트는 도 9와 같이 외층(12), 내층(14), 금속층(16)의 순으로 3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층(12) 및 내층(14)에 사용되는 베이스 폴리머가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금속층(16)의 재질이 알루미늄, 철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층(12, 14, 16)이 완전 결합이 아닌 분리 또는 쉽게 박리될 수 있는 3층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는 덕트(30)의 연장접속시에 케이블의 확장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기존의 덕트 형태에서는 압출기에서 성형 후에 삽입 등의 방법으로 복잡한 공정을 사용하나, 본 발명의 시트 형태에서는 도 6과 같이 외부 피복재(10)가 프라이머리 튜브(2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어야만 적재, 운반, 시공이 용이하다.
더욱이 포설 및 시공 후에 프라이머리 튜브(20)의 추가 삽입시 또는 유지보수에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착 혹은 일시적 접착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제조하여야 한다. 이 경우의 본 발명에서 고안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외부 피복재(10)를 형성하고 있는 각 층간의 결합 방식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수지는 다음을 고려하여 고안하였다. 이는 접착제, 점착제, 핫멜트 방식, 접착/점착 테이프의 형태로 나누어진다.
(1)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케이블의 연결 접속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의 가능성을 위해, 폴리머 재질의 비지속성 접착제(결합이 지속성을 가지지 않고, 경화 후에 접착력이 감소)를 사용하며, 각 층의 계면을 이루고 있는 표면을 손상시키는 화학적 결합보다는 판데르발스 결합과 같은 물리적 접착 메커니즘을 따르는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때의 결합력은 시공시의 충분한 인장압력과 결합력을 가지며, 유지보수, 연결관 접속시, 별도의 장비 없이 현장에서 외부 피복재(30)를 이루는 각 층을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결합력은 도 10과 같이 측정할 수 있으며, 광통신망 덕트(30)의 국제표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20~50℃에서 3~30kgf/cm2의 범위에서 유지 지속 되어야 한다.
(2)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0~50℃에서 3~20kgf/cm2의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
광통신망에 사용되는 덕트(30)의 특성상, 적용되어야 하는 점착제의 성분적 구조는 탄성체와 점착부여 수지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들의 비율과 조성을 변화시켜, 덕트(30)의 유지보수, 접합부 연결의 시방서에 따라 적용하여야 한다
또한, 재질 구성의 성격에 있어서는 덕트(30)의 외부 피폭재(10)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을 유지해야 하며, 임계 상한 온도와 하한 온도에 광통신망이 포설되는 외부환경의 온도변화에 맞추어 합성하여 적용해야 한다.
점착제는 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결합력 외에,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점성변화, 그리고 도 11과 같이 접착 유지력(holding power) 변화를 측정하여 적용한다.
(3) 핫멜트 방식 및 접착/점착 테이프인 경우에도 점착제의 결합력 범위와 일치한다.
(4) 상기 (1)~(3)을 만족시키고, 적용하고자 하는 시장의 목적(지상, 지하, 실내, 해저, 해안 등)과 기후적 환경(온대, 열대, 한대, 유독가스 환경, 습도 환경)을 고려하고, 각 층의 재질에 따라 접착제 수지는 아크릴계, 아크릴계(혐기성), 올레핀계, 올레핀계(핫멜트), 우레탄계, 우레탄계(에멀젼), 에테르계 셀룰로스, 에틸렌-초산비닐 수지(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수지(핫멜트), 에폭시계, 에폭시계(에멀젼), 염화비닐 수지(용제형), 초산비닐 수지(에멀젼), 클로로프렌 고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텍스), 니트릴 고무, 니트로셀룰로스계, 폴리아미드계(핫멜트), 폴리이미드계, 폴리초산비닐 수지(용제형), 폴리스티렌 수지(용제형),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비닐피롤리돈계, 폴리비닐부티랄계, 폴리벤즈이미다졸계,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용제형), 멜라민 수지계, 유레아 수지계 및 레조시놀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력에 대한 요구되는 물성(접착강도, 지속성, 접착경화도, 덕트가 포설되는 환경, 대전방지성) 조절은 미네랄 충전재인 CaCO3, BaSO4, 탈크, SiC 혹은 SiO2, Al2O3, Al(0H)3, Mg(OH)2, 몰리브덴 또는 산화몰리브덴, 카본, 카본나노튜브, MgO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0~12%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조절하거나, 계면활성제(음이온, 양이온) 혹은 소포제, 중성화제 등의 오일을 0~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조절한다.
이는 각 층에 대한 포뮬레이션 구성에 따라 접착제, 점착제, 점착 테이프, 핫멜트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4)에서 언급되는 접착제, 점착제, 핫멜트, 접착/점착 테이프의 결합력만으로는 부족한 시공 현장이 존재한다.
통신망이 포설되는 곳이 지층의 압력이 심하거나, 해저와 같이 긴 케이블에 압력이 증가되거나, 사막과 같이 온도변화가 심한 경우, 또는 매우 긴 거리를 포설하여 인장강도가 매우 크게 요구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외부 피복재(10)의 각 층간이 박리되지 않고 물성을 유지하게 해야만 하는 강한 결합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형 외부 피복재(10)를 사용함에 따라 특수 목적의 환경에 적용/실현 가능해진 금속 계열의 얇은 층이 추가된 복합 외부 피복재에 있어서, 금속과 폴리머 같은 이종 물질간의 결합력은 폴리머간 결합력보다 현저히 떨어진다.
기존의 경화되면서 이루어지는 물리-화학 접착제, 혹은 물리적 접착제의 결합 메커니즘인 판데르발스 결합만으로는 이를 감당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압력, 큰 온도변화에 강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하거나, 고분자의 말단기(외부 피복재에 주로 존재하는 -CH3, =O, -COOH, -OH기 등) 치환공유, 혹은 고분자를 이루는 메인 사슬(외부 피복재의 재질이 탄소사슬 -C-를 주로 한다)의 전자치환, 가교 등의 화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각 층간을 결합하는 직접적인 화학결합을 유도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이 역시 기존의 광통신망 덕트를 생산하는 일반적인 방법인 공압출 튜브형의 덕트에서는 장치와 설비, 공정의 문제로 적용하기 힘들었다. 이는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해, 성격이 다른 첨가제를 한 기계안에 따로 따로 넣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시트형 외부 피복재(30)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각 층을 생산한 후, 반복하여 행할 수 있는 캐스팅 필름에 의한 열융착, 열압착, 2축 연신, 보조 첨가제의 도포(예를 들어, 표면의 활성화(표면 혹은 계면의 극성 말단기 활성을 위한 과산화물의 투입 혹은 반대편 이종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공통 공유결합기 등의 흡착, 도포, 또는 엠보싱 등의 효과로 표면적의 확대, 또는 표면의 에칭효과 실현), 이는 “화학적 앵커를 심는다”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등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광통신망 덕트(30)의 고압력, 강한 결합이 요구되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접착제 수지는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이 경우 크게 열융착 방식과 압착 방식이 있으나, 압착 방식은 점착결합 방식에 첨가제를 투입하거나(전술한 (2)의 방식과 유사), 일반적인 시트 제작업체의 시트 제조공정과 유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표면개질에 의한 열융착 방식만을 언급한다.
도 12에 본 발명의 내층이 금속층 표면과 강한 결합을 이루는 메커니즘을 도식화하여 나타낸다.
내층(14)의 재질이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이나 폴리아미드(나일론 등)이고, 결합하고자 하는 이종 층(16)이 금속 계열(알루미늄, 철, 마그네슘, 기타 산화되기 쉬운 금속 계열)의 시트형 박막(strip)인 경우, 내층에 함유된 첨가제(물성 개질제, 난연, 고인장 등의 목적)가 무기물, 유기물 등을 함유하느냐에 관계없이, 접착제 수지는 베이스 수지를 70% 이상 포함하고, 과산화물(H2O2)을 베이스 수지의 0.06%~3.5% 첨가하고, 말레산 무수물을 베이스 수지의 0.18~10.5% 첨가하여 제조한다.
과산화물과 말레산 무수물의 첨가 비율은 내층(14)의 베이스 수지의 함량비를 따르나, 1:3을 유지하여 제조한다. 말레산 무수물 수지는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수지와 같이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첨가제에 따라 스테아레이트 애시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만일 베이스 수지의 함량이 낮아, 접착제 수지의 인장강도 등의 물성저하가 발생하면, 이를 보강하기 위해, 부타디엔 고무 혹은 TPX 계열의 고무 개질제, 스타이렌 계열 수지 등을 베이스 수지에 대하여 20~40% 혼합하여, 반응기 내에서 그래프트 공중합한다.
접착제 수지의 공중합시의 반응온도는 130~210℃로 최대한 저온에서의 가공을 원칙으로 하며, 결합시의 반응온도는 공중합시의 반응온도보다 20~50℃ 높게 한다. 이는 소재 제조시에 말단기가 최대한 반응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결합시에 충분히 결합하고자 하는 금속표면의 순간적인 화학 부식(산화)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소재 제조시에 온도가 높으면, 말단기 상호간의 자가 가교화로 인하여 결합기가 손실되거나, 금속표면과 결합시에 온도가 너무 낮으면, 결합력이 떨어지거나, 또 높으면 역시 자가 가교화에 의한 다량의 겔을 형성하여 외부 피복재 시트의 표면을 거칠게 만들거나 하여, 역시 결합력 저하의 원인을 가져 올 수 있다.
결합하고자 하는 금속층의 표면은 이물질(먼지, 때, 왁스, 방청유, 이형제 등)을 제거하여 사용하거나, 에칭, 엠보싱, 스크레칭, 샌딩 처리하여 사용하면 계면의 표면적 등이 넓어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4. 외부 피복재가 5층인 경우
기존의 튜브형 공압출 방식으로 생산하기에는 그 생산성의 복잡성이나 비효율성으로 실현되지 못했던 구조 역시, 본 발명에 의하면 실현 가능하게 되었는데, 그 일례로서 외부 피복재(10)가 5층인 경우를 든다.
광통신망이 포설되는 지역이 내약품성이 요구되고, 산소, 아황산 가스 등에 대한 차단이 요구되며, 온도에 대한 내열 고강성이 요구되고, 용량이 커짐에 따른 마찰력 증가를 방지하고 그에 따른 케이블 굵기의 증가로 고인장강도가 요구되는 경우, 또 내한성 및 유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이에 따른 덕트의 외부 피복재(10)의 구성을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을 보면, 시트형 외부 피복재(10)가 5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5층이 외층(12), 제1내층(14), 금속층(16), 제2내층(18), 제3내층(19)의 순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층(12)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1내층(14)이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금속층(16)이 알루미늄, 제2내층(18)이 나일론 6, 제3내층(19)이 폴리실리콘 오일이 7% 함유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층(12) 및 제1내층(14)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13)가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제1내층(14) 및 금속층(16)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15)가 아크릴 수지 또는 스타이렌계 공중합 수지, 금속층(16) 및 제2내층(18)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17)가 말레산 무수물 스타이렌 에틸렌 공중합체, 제2내층(18) 및 제3내층(19)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21)가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다.
상기 외부 피복재(10)는 각 층의 두께가 0.5mm, 전체 두께가 2.5mm로서, 단순한 히팅 캘린더 캐스팅으로 2축 연신을 포함한 자유로운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튜브형 공압출 방식으로는 생산하기가 매우 어렵거나 비효율적인 덕트의 다층 구조를 복잡한 장치 설비 없이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 본 발명으로 인해 가능해졌다.
다음으로,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20)를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와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20)가 목적하는 일정한 포뮬레이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덕트(30)의 포설시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단히 결합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이후 유지보수를 위한 탈부착시에도 물성의 파괴가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1) 물리적, 물리-화학적, 화학적 방법의 접착, 2) 점착제와 점착 테이프, 3)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4) 열융착 및 공유치환 결합과 같은 영구적 결합 방법이 그것이다.
또한, 일정한 포설시의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 외에,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이완을 극복하고, 포설 후에도 장시간 견디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결합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더욱이, 면의 형태인 외부 피복재(10)와 선의 형태인 프라이머리 튜브(20)는 서로 다른 수축이완 방향성(moment)를 가지고 있어 더욱더 중요하다. 외부 피복재(10)와 프라이머리 튜브(20)의 재질이 동종이 아닌 경우, 또는 동종이라 하더라도 내열성, 난연성 등을 위해 첨가되는 무기, 유기 첨가제의 함유량이 다른 경우 등에, 수축이완에 의한 분리 현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3~14kgf/cm2의 결합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건조 후에 심하게 경화 현상이 일어나는 접착제 등을 피해야 하며, 경화 후에 부스러짐 현상(brittleness)이 나타나는 재질은 피해야 한다.
그러므로, 접착제 수지에는, 스티렌 고무, 에폭시 고무, 부타디엔 고무, 에틸렌 고무, 우레탄 고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계 탄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중량비로 베이스 폴리머의 0~30%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온도차가 완만한 외부환경인 경우에는 이들의 첨가 없이 그냥 사용해도 무방하다.
접착제, 점착제, 접착제 수지의 베이스 폴리머는 다층 구조의 외부 피복재(10)의 각 층간을 접합하는 재질과 동일하나, 제조시의 공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는, 제조시에 면과 면이 아닌 면과 직선의 부착이며, 유지보수를 염두에 둔 대부분이 영구적 결합이 아니고, 부분적 결합 면적도 존재하고, 반응개질제로 투입하는 엘라스토머나 고무와의 상용성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외부 피복재(10)에 프라이머리 튜브(20)를 고정시키는 접착제 수지의 베이스 폴리머는 아크릴계, 올레핀계, 올레핀계(핫멜트), 우레탄계, 우레탄계(에멀젼), 에테르계 셀룰로스, 에틸렌-초산비닐 수지(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수지(핫멜트), 에폭시계, 에폭시계(에멀젼), 초산비닐 수지(에멀젼), 클로로프렌 고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텍스), 니트릴 고무, 니트로셀룰로스계, 폴리아미드계(핫멜트), 폴리초산비닐 수지(용제형), 폴리스티렌 수지(용제형),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비닐부티랄계, 멜라민 수지계 및 유레아 수지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다.
기존의 튜브형 외부 피복재(40)가 본 발명의 시트형 외부 피복재(10)로 바뀌면서 발생하는 문제로, 시트형 외부 피복재(10)는 프라이머리 튜브(20)와 접합시킬 때, 접착제, 점착제, 또는 테이프 형태의 연결부분이 건조, 경화 혹은 열융착 과정에 있어서 외부 피복재(10)가 우그러지는 열수축 현상이 있다.
프라이머리 튜브(20)의 개수가 적은 저용량 덕트(30)를 만들 경우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외부 피복재(10)를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 피복재(10)를 얇게 제작하였을 때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 현상을 막기 위해 외부 피복재(10)에 내열성, 내수축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첨가제, 개질제 등을 투입해야 한다.
한 번에 공압출로 생산되는 튜브형에서는 전체 공정에서 한 층의 물성변수가 달라지면, 전체 생산 공정이 수정되거나, 표준 등이 재설정되거나, 각 층을 구성하는 공압출의 속도, 양 등을 한 번에 일치시켜 통제해야 하므로 매우 곤란하고, 공정비용 및 불량품 증가, 완제품 불량률 증가, 장치설비의 추가 및 증가 등이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시트형은 각 층을 별도로 독립적으로 생산하거나, 그 공압출의 수를 줄여 생산가능하므로(T-다이 라인을 이용하여 2층을 별도로 생산하거나, 3층을 생산한 후 필림 캐스팅 열융착 및 2축 연신 성형을 한다), 재질 물성에 대한 통제 변수가 훨씬 더 줄어든다.
상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의 베이스 폴리머는 전술한 단일층 외부 피복재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되, 상기 단일층 외부 피복재에서 사용한 베이스 폴리머보다 용융흐름도(Melt flow index)가 10~25% 낮은 베이스 폴리머를 선택해야 한다. 이는 내열성 및 내수축성 강화 첨가제가 함유되면 용융흐름도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내열성 및 내수축성 강화 첨가제는 다음과 같다.
(1) 외부 피복재(10)의 베이스 폴리머를 가교화시킬 수 있는 가교제(과산화물 계열 및 킬레이트 관능기 등을 도입할 수 있는 가교제)
(2) 내열성 및 경도(Rockwell hardness, Moss 경도 등을 포함), 비캣 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를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첨가제로서, 침상 규회석(CaSiO3), 탈크, 마이카, CaCO3, 금속염(Fe2O3, Magnesium whisker(MgSO4)), Na-Al-Si2O6, BaSO4, SiO2 , 산화몰리브덴 혹은 몰리브덴 파우더, 클레이, 화이트 카본(Si-C)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5~45%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때의 첨가제의 입자 크기는 내부분산(입자분산)을 위해, 500~100,000메쉬(50㎛~sub㎛1)가 바람직하다. 입자 형태는 가급적 구형인 것이 좋으며, 경량화(기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이때 첨가제의 투입량에 따라 시트형 외부 피복재(10) 제작시의 온도를 첨가제 10% 투입당,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2~5℃씩 올려 주어야 하며, 프라이머리 튜브(20)와의 접합시의 온도는 변함이 없다.
(3) 유기계를 선택한 내열성 및 내수축성 강화는 초고분자량 참가제를 투입하여 분자량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예: 분자량 200만 이상의 HDPE 파우더, V-PET(초고분자 PET))
도 14의 ①은 일반적인 베이스 폴리머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②는 강화 후의 폴리머 매트릭스(모폴러지)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광통신망 시장 및 국제표준 등에서 요구되거나 강화되고 있는 난연 기준을 만족시키는 문제에 대해 살펴본다.
기존의 튜브형보다는 본 발명의 시트형에서 소재를 난연화하는 것이 훨씬 더 경쟁력이 있으며 물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이는 첨가제 투입시에 시트 생산공정 중의 변수의 수가 기존의 공압출 튜브보다 적기 때문이다.
기존의 튜브형 덕트를 난연 재질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즉 광통신망 덕트(30)의 일반적 특성인 굴곡성과 낭창낭창한 유연성을 유지한 채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소재 비용 측면과 경제성에서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할로겐 난연제, 비인계 난연제의 규제로 인하여 더 난해한 컴파운딩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되, 비용면에서 기존과 차별화되게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공압출 튜브형에서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적용하면 기존 물성의 저하(특히 인장강도 및 유연성의 저하)를 가져왔으나, 본 발명의 시트형에서는 이런 문제가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시트형 외부 피복재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2가지가 있다.
(1) 외부 피복재(10)의 베이스 폴리머에 유기계 난연제로서 실란 또는 에탄옥사이드를 첨가한다. 실란은 고분자의 커플링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표면적이 넓은 시트의 형태에 가장 적합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선택하였다. 이는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작용을 하나, 고분자 말단에서의 산화를 촉진하여 빠르게 탄소화하는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유연성과 인장강도의 심각한 저하없이 난연화가 실현된다.
UL 기준의 난연 등급 Vo 혹은 V1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외부 피복재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실란(메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또는 에탄옥사이드를 1~15%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때 난연보조제로서 삼산화안티몬 분말, 혹은 멜라민계 분말을 용도에 따라 첨가하여 사용한다. 난연보조제의 사용량은 유연성을 고려할 때 10%를 넘어서는 안된다.
(2) 본 발명에서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고안된 것이 무기계 난연제다. 이것은 기존의 공압출 튜브형 덕트에는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무기계 난연제를 기존 튜브형 덕트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심하게 저하되어 덕트의 적재 보관 용량이 커짐으로써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압출시 압출기의 부하가 상승하여 속도가 저하되고, 다층 구조 생산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인장강도 등이 심하게 저하되고, 또 이에 대해 보완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트형에서는, 시트형이기 때문에 그 유연성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인장강도 등의 문제는 다층 구조에서 쉽게 보완되어 적용될 수 있다.
외부 피복재(10)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무기계 난연제로서 MgOH2, Al2OH3, Sb2O3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 폴리머 대비 중량비 25~60phrs(함량비로 22~57%)를 넣고, 150~250℃에서 저온 그래프트 중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분산을 증가시키고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1차제로 활제(외부 활제: PE 혹은 PP 왁스; 내부 활제: Zn-스테아레이트, Ca-스테아레이트, Zn/Ca-스테아레이트 등)를 베이스 폴리머의 0.1~5% 첨가하고, 2차 산화방지제로서 MgO 등을 0.1~3%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유연성 개질이 필요한 경우 탄성을 가진 TPX 계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고무, 부타디엔-스타이렌 고무, 에틸렌 고무, 에틸렌-스타이렌 고무 중 적어도 하나를 베이스 폴리머의 2~10% 첨가하여 개질한다. 이때 상용화제로서 실리콘 오일(합성 실리콘 오일), 화이트 오일, 미네랄 오일(석유계 파라핀 오일), 폴리머 커플링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시트형 외부 피복재(10)에는 섬유 조직(9)을 적용할 수 있다(도 15).
기능성 섬유 조직(9)을 단층 혹은 다층의 외부 피복재(10)에 적용하면, 광통신망 덕트(30)에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효율적이고 비약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섬유 조직(9)을 시트에 적용하면 함침되는 효과로 인하여 수지와의 혼련성, 결합성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결합성이 좋으면 물성이 더 좋아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목적 및 특수기능에 맞게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적용되는 섬유 조직(9)으로는 면사, 폴리머 재질의 섬유(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이론 등 일체) 등을 들 수 있다. 특수 목적 섬유 조직으로는 군사용 광통신망 등에 적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나일론에 페닐기 2개를 치환한 고강도 섬유), 분자량 200만 이상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파이버, 필라멘트, 직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을 적용하면 인장강도가 수배~수백배로 향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2: 에어블로운 케이블 10, 40: 외부 피복재
12: 외층 14: 내층, 제1내층
16: 금속층 18: 제2내층
19: 제3내층 20: 프라이머리 튜브
30, 50: 광통신망 덕트

Claims (21)

  1. 시트형 외부 피복재에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를 병렬 배치하여 고정시킨 후,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가 고정되어 있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를 다수의 프라이머리 튜브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말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복재에 사용되는 베이스 폴리머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복재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CaCO3, BaSO4, 탈크, SiO2 , 몰리브덴계 클레이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금속 또는 금속염계 카본, MgO, 그래핀, 카본나노튜브, H-BN, ZnO, Al2O3, AlN 및 Si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외부 피복재가 복수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외부 피복재가 외층과 내층의 2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층에 사용되는 베이스 폴리머가 폴리올레핀이고, 내층에 사용되는 베이스 폴리머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아미드이며, 양 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가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외부 피복재가 3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3층이 외층, 내층, 금속층의 순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층 및 내층에 사용되는 베이스 폴리머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금속층의 재질이 알루미늄, 철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및 내층, 내층 및 금속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가 아크릴계, 아크릴계(혐기성), 올레핀계, 올레핀계(핫멜트), 우레탄계, 우레탄계(에멀젼), 에테르계 셀룰로스, 에틸렌-초산비닐 수지(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수지(핫멜트), 에폭시계, 에폭시계(에멀젼), 염화비닐 수지(용제형), 초산비닐 수지(에멀젼), 클로로프렌 고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텍스), 니트릴 고무, 니트로셀룰로스계, 폴리아미드계(핫멜트), 폴리이미드계, 폴리초산비닐 수지(용제형), 폴리스티렌 수지(용제형),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비닐피롤리돈계, 폴리비닐부티랄계, 폴리벤즈이미다졸계,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용제형), 멜라민 수지계, 유레아 수지계 및 레조시놀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수지에 첨가제로서 CaCO3, BaSO4, 탈크, SiO2 , Al2O3, Al(OH)3, Mg(OH)2, 몰리브덴, 산화몰리브덴, 카본, 카본나노튜브 및 MgO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재질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이고,
    상기 내층 및 금속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제 수지가 베이스 폴리머 외에 말레산 무수물 및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외부 피복재가 5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5층이 외층, 제1내층, 금속층, 제2내층, 제3내층의 순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층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1내층이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금속층이 알루미늄, 제2내층이 나일론 6, 제3내층이 폴리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및 제1내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가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제1내층 및 금속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가 아크릴 수지 또는 스타이렌계 공중합 수지, 금속층 및 제2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가 말레산 무수물 스타이렌 에틸렌 공중합체, 제2내층 및 제3내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지가 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외부 피복재에 상기 프라이머리 튜브의 고정이 접착제 수지에 의한 접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수지의 베이스 폴리머가 아크릴계, 올레핀계, 올레핀계(핫멜트), 우레탄계, 우레탄계(에멀젼), 에테르계 셀룰로스, 에틸렌-초산비닐 수지(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수지(핫멜트), 에폭시계, 에폭시계(에멀젼), 초산비닐 수지(에멀젼), 클로로프렌 고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수성 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텍스), 니트릴 고무, 니트로셀룰로스계, 폴리아미드계(핫멜트), 폴리초산비닐 수지(용제형), 폴리스티렌 수지(용제형),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비닐부티랄계, 멜라민 수지계 및 유레아 수지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수지에, 스티렌 고무, 에폭시 고무, 부타디엔 고무, 에틸렌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계 탄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복재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상기 베이스 폴리머를 가교화할 수 있는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복재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CaSiO3, Fe2O3, MgSO4, Na-Al-Si2O6, 클레이 및 Si-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복재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분자량 200만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파우더 또는 분자량 200만 이상의 초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복재에 난연제로서 실란 또는 에탄옥사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피복재에 난연제로서 MgOH2, Al2OH3 및 Sb2O3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외부 피복재에 섬유 조직을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KR1020180013732A 2018-02-05 2018-02-05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KR102018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32A KR102018124B1 (ko) 2018-02-05 2018-02-05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32A KR102018124B1 (ko) 2018-02-05 2018-02-05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01A true KR20190094501A (ko) 2019-08-14
KR102018124B1 KR102018124B1 (ko) 2019-09-04

Family

ID=6762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732A KR102018124B1 (ko) 2018-02-05 2018-02-05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0653A (zh) * 2020-05-06 2020-08-04 东莞市畅科电机有限公司 一种空心杯电机的密封处理方法
CN113789072A (zh) * 2020-12-25 2021-12-14 优威康涂层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含植物萃取物的底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620B1 (ko) 2020-06-16 2022-06-03 김정현 다중 내진형 통신 배관 덕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520A (ja) * 1995-09-29 1997-04-08 Fujitsu Takamizawa Component Kk 多芯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1899A (ko) * 1997-07-18 2001-03-15 지아네시 피에르 지오반니 높은 트랙킹 저항을 갖는 광섬유 케이블
JP2004184635A (ja) * 2002-12-02 2004-07-02 Occ Corp 海底光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心線
JP2004335279A (ja) * 2003-05-08 2004-11-25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04456A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비엔텍 통전성 복합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520A (ja) * 1995-09-29 1997-04-08 Fujitsu Takamizawa Component Kk 多芯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1899A (ko) * 1997-07-18 2001-03-15 지아네시 피에르 지오반니 높은 트랙킹 저항을 갖는 광섬유 케이블
JP2004184635A (ja) * 2002-12-02 2004-07-02 Occ Corp 海底光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心線
JP2004335279A (ja) * 2003-05-08 2004-11-25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04456A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비엔텍 통전성 복합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0653A (zh) * 2020-05-06 2020-08-04 东莞市畅科电机有限公司 一种空心杯电机的密封处理方法
CN113789072A (zh) * 2020-12-25 2021-12-14 优威康涂层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含植物萃取物的底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124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124B1 (ko) 시트형 외부 피복재로 형성된 광통신망 덕트
US8532453B2 (en) High voltage cabtire cable
US10725257B2 (en) Fiber optic cable
DE60311592T2 (de) Röhrenförmige polymerzusammensetzungen für röhren und schlauchkonstruktionen
US20150045527A1 (en) Film, especially for use in non-disruptive sewage pipe renovation
CN101588999B (zh) 缓冲光纤和改进其寿命的方法
US8714203B2 (en) Hybrid high pressure hose
DE102014104307B4 (de) Schlauchlining-System, dess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m Positionieren mindestens zweier Folien einer Schlauchinnenfolienanordnung des Schlauchlining-Systems
AU2012250487B2 (en) A fire retardant and anti static pipe
CN105118554B (zh) 便于实现弯曲气吹光纤的智能光纤复合电缆
US11643539B2 (en) Fire resistant rubber compositions and hose
JP2011000810A (ja) 自動車内装材用発泡積層シートおよび自動車内装材
JP2020090056A (ja) 耐火多層シート
JP6851914B2 (ja) 構造体および化粧シート
JP2016196122A (ja) 多層配管
JP2009197856A (ja) 冷媒輸送用ホース
DE102008021841A1 (de) Polyolefin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WO2015029756A1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用アウターケーシング及び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2008238479A (ja) 難燃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鉄道車両の床材
JPH09207197A (ja) 補強条材入り熱可塑性樹脂パイプの成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WO2020003089A1 (en) Multilayer hose for pressurized fluids transportation
JP2010184404A (ja) 冷媒輸送用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2388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H0972464A (ja) 既設配管の補修用パイプ
JP2024044833A (ja) 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