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135A - 연결 장치 및 에너지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장치 및 에너지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135A
KR20190093135A KR1020190009797A KR20190009797A KR20190093135A KR 20190093135 A KR20190093135 A KR 20190093135A KR 1020190009797 A KR1020190009797 A KR 1020190009797A KR 20190009797 A KR20190009797 A KR 20190009797A KR 20190093135 A KR20190093135 A KR 20190093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nap
screw
pi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575B1 (ko
Inventor
토르벤 슈만
산드라 헤트베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9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2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 or nut, e.g. vibration-pro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8Interconnections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f conductive member or for holding it in posi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속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고정 나사(15)의 나사 샤프트(16)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커넥터, 상기 커넥터(2)를 접촉 방지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비-전도성의 그리고 특히 복수의 부분으로 형성된 커넥터 커버(3), 및 상기 접속부 중 하나의 카운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고정 나사(15)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 커버(3)는 사전 조립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23)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연결 장치 및 에너지 공급 장치{CONNECTING DEVICE AND ENERGY SUPPLY ARRANGEMEN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속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 장치는 고정 나사의 나사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커넥터, 커넥터를 접촉 방지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비-전도성의 그리고 특히 복수의 부분으로 형성된 커넥터 커버, 및 접속부 중 하나의 카운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고정 나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연결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개 공보 DE 10 2016 200 451 A1호로부터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연결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고전압 저장 장치 및/또는 고전압 소비 장치의 접속을 위해, 이들을 적어도 하나의 접촉 방지 방식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거나 또는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커넥터는 자체적으로 전기 비-전도성 또는 전기 절연성으로 형성된 복수의 부분으로 된 커넥터 커버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배치될 수 있으므로, 연결 장치를 사용할 때 사람은 전기 전압 또는 커넥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부터 보호된다. 이를 통해, 특히 조립 시에도, 연결 장치를 조립하는 조립자가 결코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언급된 공개 공보에서는 고정 나사가 자체적으로 전기 절연성 보호 층을 구비하고, 조립자에 의해 개별 부품을 조립하는 동안 추가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일정하게 고도의 또는 개선된 안전성으로 조립을 단순화하는 개선된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연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조립자가 연결 장치를 접속부에 공급하기 전에, 고정 나사를 이미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되어야 하는 시스템의 접속부가 아직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나사를 사전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커넥터 커버가 사전 조립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고정 나사는 연결 장치에 의해 운반 가능하게 사전 조립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조립자는 접속부의 실제 접촉을 수행하기 위해 사전 조립 위치로부터 조립 위치로 고정 나사만을 이동, 특히 나사 결합하면 된다. 이 경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특히 접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인장/클램핑되는 방식으로 접속부에 공급하는 것이 이를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보장된다. 사전 조립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유지함으로써 특히 고정 나사의 최종 조립이 가능하고, 여기서 사용자는, 고정 나사 상에 토크를 가하기 위한 고정 나사와 공구의 연결을 제외하고는, 고정 나사 및/또는 커넥터와의 물리적 접촉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공구도 또한 전기 절연성으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고정 나사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공구 수용부 또는 결합 위치 상에 전기 절연부를 포함하므로, 고정 나사의 기계적 접촉 시에도 전기적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스냅-인 핀(snap-in pin)을 포함하고, 각 스냅-인 핀은, 나사 헤드가 사전 조립 위치에서 안착되거나 또는 놓일 수 있고 상기 변형을 통해 나사 헤드와 결합 해제될 수 있는 유지 러그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나사는 사전 조립 시 유지 러그 상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나사는 특히 접속부에 연결 장치를 조립할 때 접속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를 위해, 고정 나사는 특히 커버를 관통하지 않는 방식으로 커넥터 커버 내에서 후퇴되어 배치된다. 스냅-인 핀의 변형 가능성을 통해, 유지 러그는 나사 헤드와 결합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이것이 발생하면, 고정 나사는 더 이동 가능하고, 접속부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 나사의 간단한 사전 조립 상태 및 최종 조립 위치로의 간단한 이동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특히, 예를 들어 스냅-인 핀은, 예를 들어 시작 경사부를 통해, 유지 러그를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고정 나사 상에 사전 설정 가능한 축방향 힘이 가해질 때 스냅-인 핀을 변형시킴으로써 유지 러그는 나사 헤드와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자를 위한 간단한 조립이 보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스냅-인 핀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고정 나사는 사전 조립 위치에서 스냅-인 핀을 통해 2개의 측면으로부터 확실하게 유지되고, 이를 통해 예를 들어 고정 나사의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적어도 4개의 스냅-인 핀을 포함하고, 그 중 각각 2개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므로, 고정 나사는 사전 조립 위치에서 나사 헤드 상에서 4개의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고정 나사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하여 배치되는, 즉 각각 120도의 각도로 서로 배치되어 있는 정확히 3개의 스냅-인 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냅-인 핀은 사전 조립 위치에서 고정 나사의 나사 샤프트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 경우 나사 헤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 상에 고정되고, 나사 헤드에 대면하는 단부 상에 각각 결합 러그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스냅-인 핀은 긴 레버를 제공하고, 상기 레버를 통해 결합 러그는 나사 헤드와의 결합 해제를 위해 각각의 스냅-인 핀의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에 의해 외측으로 또는 나사 샤프트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는 하부 및 상기 하부 상에 커넥터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배치될 수 있는 상부를 포함하며, 스냅-인 핀은 커넥터 커버의 하부 상에 배치되고, 상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커넥터 커버를 통해 하우징 내에 배치된 커넥터에 대한 접촉 방지를 제공하는 콤팩트한 하우징이 형성된다. 스냅-인 핀이 상부의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특히 상부에서도 보호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고정 나사가 유지 장치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커넥터 장치의 오용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스냅-인 핀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나사가 사전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스냅-인 핀의 결합 러그가 예압 하에 고정 나사의 나사 샤프트 상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결합 러그가 고정 나사를 축방향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도 지지하고, 이를 통해 특히 사전 조립 위치에서 고정 나사의 정렬이 고정된다는 이점이 생긴다. 출구 위치에서, 결합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이들 사이의 거리가 나사 헤드의 직경보다 작도록 서로 가깝게 위치된다. 특히, 스냅-인 핀은 하부의 개구에 할당되고, 이 개구를 통해 커넥터 및/또는 접속부의 방향으로 고정 나사가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결합 러그를 통해 고정 나사는 후속 고정 작업 및 접촉 작업을 위한 올바른 위치에 이미 유지된다.
또한, 상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나사 및 고정 나사에 할당되는 장치의 스냅-인 핀을 위한 컵 형상의 수용 돔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돔은 남은 상부로부터 돌출되고, 조립자에 의해 간단하고 확실하게 발견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은 조립자에 의해 신속하고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수용 돔에서 고정 나사와 스냅-인 핀이 확실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발예에 따르면, 수용 돔은 돔 바닥에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수용 돔 내에 위치하는 고정 나사에 조임 토크를 작용하기 위한 나사 공구가 도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나사의 나사 결합 작업이 간단하고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정 나사가 연결 장치 내에 또는 커넥터 커버 내부에 배치되어 사전 조립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슬롯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하부는 커넥터가 놓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 및 제1 섹션 상에 놓이는 커넥터를 제1 섹션의 반대쪽에 있는 측면 상에서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스냅-인 핀은 제2 섹션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배치된다. 따라서, 커넥터는 하부 상에서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가 유리하게는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부와의 간단한 결합이 보장된다. 커넥터가 하부를 통해 두 측면에 의해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유지됨으로써, 일 측면 상의 제1 섹션과 다른 측면 상의 제2 섹션을 통해 사전 조립이 단순화된다. 스냅-인 핀이 제2 섹션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배치됨으로써, 스냅-인 핀이 상부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사전 조립 위치에서 고정 나사의 유리한 사전 위치 설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latching) 장치를 통해 하부 상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래칭 장치를 통해, 상부가 하부 상에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고정되는 간단한 결합 공정이 보장된다. 래칭을 통해 결합 시 상부 및/또는 하부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부가 하부와 또는 하부가 상부와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후방 결합한다. 래칭 장치는 탈착식 또는 비-탈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부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로킹(lock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냅-인 핀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스냅-인 핀을 통해 커넥터가 하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없으므로, 사전 조립 시 커넥터가 하부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스냅-인 핀은 커넥터가 하부에서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즉시, 스냅-인 핀에 의해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후방 결합되고 이를 통해 하부에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부는 하나의 동심의 제1 섹션 및 2개의 편심의 제2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커넥터는 하부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특히, 하부의 형상, 특히 섹션 사이의 거리가 커넥터의 형상에 매칭되어, 커넥터가 특히 단지 작은 허용 오차만으로 하부에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유지되므로, 플랩 노이즈 등이 방지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섹션은 서로의 투영 거리가 커넥터의 높이보다 작도록 배치되어, 커넥터를 하부에 조립할 때 하부가 탄성 변형되고, 커넥터에 예압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 후속 작동 시 더 큰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플랩 노이즈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전 조립 위치에서 커넥터 커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고정 나사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장치에 할당된다. 특히, 각 접속부에 대해 고정 나사가 존재하여, 고정 나사와 접속부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를 통한 전기적 연결이 생성된다. 이를 통해, 연결 장치와 접속부 또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간단한 결합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중첩되어 위치되는/적층되는 커넥터 요소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가능한 최대 전류 흐름이 연결 장치를 통해 증가되고, 연결 요소의 추가 또는 제거를 통해 적응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커넥터는 버스 바(bus bar)로서 형성된다. 이를 통해, 공지된 기술에 의지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보다 낮다. 특히, 각 고정 나사에 대한 각각의 커넥터는 단순한 조립을 보장하도록 각각의 나사 샤프트를 수용하거나 또는 관통하게 하기 위한 개구를 각각 포함한다.
청구항 제15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미 언급된 이점이 나타난다.
추가의 이점들 및 바람직한 특징들 및 특징들의 조합은 특히 이전의 설명들 및 청구항으로부터 나타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유리한 커넥터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커넥터 장치의 상이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상이한 조립 상태의 커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예를 들어 자동차를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 특히 트랙션 배터리(traction battery)와 같은 전기 고전압 장치를 위한 유리한 커넥터 장치(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예를 들어, 2개의 배터리 셀의 접속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연결 장치(1)는 복수의 부분으로 된 커넥터 커버(3)를 통해 접촉 방지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2)를 포함한다.
커넥터 커버(3)는 상부(4) 및 하부(5)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커넥터(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커넥터(2)는 서로 적층된 2개의 커넥터 요소(2_1 및 2_2)를 포함하며, 이들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평평하게 위치된다. 다른 커넥터 요소들을 추가함으로써, 커넥터(2)의 최대 전류 전도성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커넥터 요소(2_1, 2_2)는 버스 바(bus bar) 유형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2개의 관통 개구(6)를 포함하며, 관통 개구(6)는 커넥터 요소(2_1, 2_2) 또는 커넥터(2)의 각각의 단부에 할당된다.
하부(5)는 커넥터(2)가 배치될 수 있는 중앙의 제1 섹션(7)을 포함한다. 후방 벽(8)을 통해 중앙 섹션(7)은 2개의 외측 제2 섹션(9)과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제2 섹션(9)은 중앙 섹션(7)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중앙 섹션(7)과 제2 섹션(9) 사이에서 커넥터(2)는 화살표(10)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2)는 후방 벽(8)까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가 하부(5)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중앙 섹션(7)은 커넥터(2)를 후방 결합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스냅-인 핀(11)을 포함한다. 삽입을 단순화하기 위해, 스냅-인 핀(11)은 커넥터(2)가 삽입되었을 때, 스냅-인 핀(11)이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도입 경사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2c는 2개의 커넥터 요소(2_1 및 2_2)를 갖는 커넥터(2)가 섹션(7 및 9) 사이에 삽입되고 스냅-인 핀(11)에 의해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후방 결합될 때,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도 1의 선 C-C를 따라 사전 조립된 커넥터 장치(1)를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측면 섹션(9)은 각각 개구(12)를 포함하고, 이 개구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4개의 스냅-인 핀(13)이 배치되며, 스냅-인 핀(13) 중 2개는 각각 대향하여 위치된다. 스냅-인 핀(13)은 섹션(9)으로부터, 즉 중앙 섹션(7)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섹션(9)의 측면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자유 단부에서 각각 결합 러그(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결합 러그(14)는 스냅-인 핀(13)의 경사 단부면을 통해 형성된다.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결합 러그(14) 또는 스냅-인 핀(13)은 고정 나사(15)의 나사 샤프트(16)가 결합 러그(14) 사이에서 중앙 섹션(9)의 방향으로 단지 결합 러그(14)의 탄성 변위 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가깝게 위치된다. 이 경우, 결합 러그(14)는 나사 샤프트(16)의 도입 시 외측으로 약간 가압되도록 함께 가깝게 배치되어, 스냅-인 핀(13)을 통해 예압력이 나사 샤프트(16) 상으로 가해지고, 이를 통해 고정 나사(15)가 유리하게 정렬된다. 나사(15)는 개구(12)의 방향으로 스냅-인 핀(13) 사이에서 나사 헤드(17)까지 도입될 수 있다. 나사 헤드(17)가 결합 러그(14) 상에 놓이게 되는 즉시, 고정 나사(15)의 추가적인 삽입은 증가된 힘의 소모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 나사(15)는 나사 헤드(17)가 결합 러그(14) 상에 안착되는 경우, 스냅-인 핀(13)에 의해 사전 조립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도 2a는 커넥터(2)가 삽입되고 상부(4)가 하부(5)와 연결되고 고정 나사(15)가 사전 조립 위치로 오는 경우, 연결 장치(1)를 통한 제1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부(4)를 하부(5)와 연결하기 위해, 상부(4) 및 하부(5)는 특히 하부(5)의 결합 개구(20)와 상호 작용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스냅-인 핀(19)을 통해 형성된 복수의 래칭 장치(18)를 포함한다. 또한, 도 2b는 래칭 장치(18)가 생성될 때,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도 1의 선 B_B를 따른 커넥터 장치(1)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의 선 A_A를 따라 커넥터 장치(1)를 통한 단면을 도시하며, 고정 나사(15)는 사전 조립 위치에 위치된다(파선). 상부(4)는 각각의 고정 나사(15) 및 관련 스냅-인 핀(13)을 위한 수용 돔(21)을 포함하고, 수용 돔(21)은 그 케이싱 벽에 복수의 개구(22)를 포함하며, 이 개구를 통해 스냅-인 핀(13)의 자유 단부가 관통할 수 있다. 특히, 스냅-인 핀(13)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구부러져서 나사 헤드(17)와 결합 해제되도록 결합 러그(14) 상에 작용하는 증가된 축방향 힘이 고정 나사(15)에 작용하는 경우, 개구(22)는 스냅-인 핀(13)이 외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허용한다(도 2a의 파선). 따라서, 충분한 축방향 힘이 고정 나사(15) 상에 가해지면, 고정 나사(15)의 유지가 해제된다.
따라서, 유지 핀(13)은 각각 고정 나사(15)에 대해 사전 조립 위치에서 고정 나사를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23)를 형성한다. 유지가 해제되는 즉시, 나사(15)의 나사 헤드(17)는 커넥터(2)를 제외하고 개구(12)를 통해 관통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개구(6 및 12)는 고정 나사의 나사 샤프트(16)가 커넥터(2)의 각각의 개구(6)를 통해 직접 통과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배치된다. 각각의 고정 나사(15)에 이제 조임 토크가 작용하여 각각의 고정 나사가 전기 시스템의 각각의 관련된 전기 접속부의 카운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면, 연결 장치(1)는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부 또는 각각의 접속부 상에 고정되고, 두 접속부 사이에 커넥터(2)를 통한 전기 연결이 생성된다.
커넥터(2)가 실질적으로 커넥터 커버(3) 내에 수용됨으로써, 커넥터 장치(1)의 조립 시 사용자, 특히 조립자를 위한 유리한 접촉 방지가 보장된다. 또한, 각각의 고정 나사(15)의 유리한 사전 조립에 의해 특히 간단하고 확실한 최종 조립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 헤드(17)에 전기 절연성 코팅이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나사 헤드가 전기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므로, 사용자를 위한 특히 고도의 전기적 보호가 보장된다. 상이한 래칭 장치는 커넥터 장치(1)의 간단한 조립 및 사전 조립을 허용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커넥터 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전의 실시예로부터 이미 공지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제공되며, 이 점에 있어서는 상기 언급된 설명이 참조된다. 이하에서는 실질적으로 그 차이점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전의 실시예에 대한 실질적인 차이점은 고정 나사(15) 중 하나를 사전 조립 위치로 가져올 수 있는 장치(23)에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전 조립 위치는 상부(4)의 수용 돔(2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나사의 중량에 기초한다. 이 경우, 고정 나사(15)의 나사 헤드(17)는 우선 하부(5)에 대면하는 측면으로부터 수용 돔(21)으로 도입되므로, 나사산 샤프트 또는 나사 샤프트(16)가 하부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어서, 커넥터(2)가 놓이고, 정확히 말하자면 나사 샤프트(16)가 슬롯(6) 중 하나에 도달하도록 놓인다. 그 후, 하부(5)가 놓이고, 래칭 장치(18)를 통해 상부(4)와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커넥터는 여기서 또한 2개의 커넥터 요소(2_1 및 2_2)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요소는 중앙에 볼록부를 포함함으로써, 이전의 커넥터 부분(2_1 및 2_2)과는 구별되며, 이 경우 상기 볼록부는 서로 마주하므로, 조립된 상태에서 커넥터(2_1 및 2_2) 사이에 래칭 장치(18)를 지속적으로 확실하게 유지하는 스프링 장력이 발생한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4)와 하부(5)는 일체형 힌지(integral hinge)(24)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부터 특히 커넥터 커버(3)의 일체형 형성이 이루어진다. 완성된 조립을 위해, 하부(5)는 일체형 힌지(24)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그 자유 단부에서 상부(4)와 래칭된다. 대응하는 일체형 힌지(24)는 또한 도 1 내지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속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1)로서, 고정 나사(15)의 나사 샤프트(16)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6)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의 커넥터, 상기 커넥터(2)를 접촉 방지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비-전도성의 커넥터 커버(3), 및 상기 접속부 중 하나의 카운터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고정 나사(15)를 갖는 상기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3)는 사전 조립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23)는 하나 이상의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스냅-인 핀(snap-in pin)(13)을 포함하고, 각 스냅-인 핀(13)은, 나사 헤드(17)가 상기 사전 조립 위치에서 안착되거나 또는 놓일 수 있고 상기 변형을 통해 상기 나사 헤드(17)와 결합 해제될 수 있는 유지 러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23)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스냅-인 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3)는 상기 커넥터(2)가 배치될 수 있는 하부(5) 및 상기 하부(5) 상에 상기 커넥터(2)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배치될 수 있는 상부(4)를 포함하며, 상기 스냅-인 핀(13)은 상기 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인 핀(13)은 상기 고정 나사(15)가 상기 사전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냅-인 핀의 결합 러그(14)가 예압 하에 상기 고정 나사(15)의 상기 나사 샤프트(16) 상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고정 나사(15) 및 상기 고정 나사(15)에 할당되는 상기 장치(23)의 상기 스냅-인 핀(13)을 위한 컵 형상의 수용 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돔(21)은 슬롯(6)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수용 돔(21) 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 나사(15)에 조임 토크를 작용하기 위한 나사 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5)는 상기 커넥터(2)가 놓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7), 및 상기 제1 섹션(7) 상에 놓이는 상기 커넥터(2)를 상기 제1 섹션(7)의 반대쪽에 있는 측면 상에서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섹션(9)을 포함하고, 상기 스냅-인 핀(13)은 상기 제2 섹션(9)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4)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latching) 장치(18)를 통해 상기 하부(5) 상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는 상기 제1 섹션(7) 및 상기 제2 섹션(9) 사이에 상기 커넥터(2)를 로킹(lock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냅-인 핀(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5)는 하나의 동심의 제1 섹션(7) 및 2개의 편심의 제2 섹션(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고정 나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의 적어도 2개의 서로 적층되는 커넥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넥터 요소(2_1, 2_2)는 버스 바(bus bar)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를 갖는 자동차를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0190009797A 2018-01-31 2019-01-25 연결 장치 및 에너지 공급 장치 KR102218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1439.6 2018-01-31
DE102018201439.6A DE102018201439A1 (de) 2018-01-31 2018-01-31 Verbindungvorrichtung und Energieversorgungs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135A true KR20190093135A (ko) 2019-08-08
KR102218575B1 KR102218575B1 (ko) 2021-02-22

Family

ID=6456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97A KR102218575B1 (ko) 2018-01-31 2019-01-25 연결 장치 및 에너지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22301B1 (ko)
KR (1) KR102218575B1 (ko)
CN (1) CN209896284U (ko)
DE (1) DE102018201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2454B2 (en) * 2020-07-17 2022-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rior jump-start battery terminal apparatus
DE102020212760A1 (de) 2020-10-09 2022-04-14 Leoni Bordnetz-Systeme Gmbh Kontaktverbi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5092A1 (de) * 2013-03-23 2014-09-25 Audi Ag Verbindersystem zum mechanischen Verbinden und elektrischen Kontaktieren von zwei elektrisch leitfähigen Komponenten
US20140322994A1 (en) * 2004-11-20 2014-10-30 James C. Keeven Junction failure inhibiting connector
DE102014012320B3 (de) * 2014-08-19 2015-11-12 Audi Ag Batteriemodul mit einer Mehrzahl von Batteriezellen und Batteri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7082A1 (de) * 2007-11-21 2009-05-28 Newfrey Llc, Newark Kontaktiereinheit, Befestigungsverfahren und Schraubwerkzeu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1146677B1 (ko) * 2009-10-30 2012-05-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버스바홀더
JP5501018B2 (ja) * 2010-02-15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に直付けされる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斜め締め防止保護キャップ
CN202076511U (zh) * 2010-11-01 2011-12-14 洛克威尔自动控制技术股份有限公司 接线端组件
DE102016200451B4 (de) 2016-01-15 2017-08-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rührgeschützte, verschraubbare elektrische Verbindung mit Toleranzausglei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2994A1 (en) * 2004-11-20 2014-10-30 James C. Keeven Junction failure inhibiting connector
DE102013005092A1 (de) * 2013-03-23 2014-09-25 Audi Ag Verbindersystem zum mechanischen Verbinden und elektrischen Kontaktieren von zwei elektrisch leitfähigen Komponenten
DE102014012320B3 (de) * 2014-08-19 2015-11-12 Audi Ag Batteriemodul mit einer Mehrzahl von Batteriezellen und Batte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2301B1 (de) 2021-03-17
KR102218575B1 (ko) 2021-02-22
EP3522301A1 (de) 2019-08-07
DE102018201439A1 (de) 2019-08-01
CN209896284U (zh)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376B1 (en) Stud bolt holder for a power distribution box
US6178106B1 (en) Power distribution center with improved power supply connection
JPH0649100Y2 (ja) 直流機の配線装置
US4029896A (en) Terminal housing for an electrical resistance heater
US7499262B1 (en) Power distribution bus bar
US20080233773A1 (en) Cab power connectors
US984759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arrangement
KR20190093135A (ko) 연결 장치 및 에너지 공급 장치
US9564706B2 (en) Connection unit
US11532910B2 (en) Contact device, contact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contact system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CN110832712B (zh) 充电用插座
JP2017500838A (ja) 電気モータ電流接続部を有する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モジュール及びハイブリッドモジュール
US20140322979A1 (en) Power feed socket and contact point unit used therein
KR20170041082A (ko)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WO2018162689A1 (en) Electrical plug with specific earthing of outer parts
KR101859088B1 (ko) 자동차용 블록
CN107078264B (zh) 蓄能器设备,接触元件和用于制造蓄能器设备的方法
WO2009005416A1 (en) Cable fitting arrangement
KR20180073185A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JP3215384U (ja) 保護接地端子付きピンソケットコネクタ部材
US10638621B1 (en) Terminal housing with conductive clip
CN212486810U (zh) 电加热设备
KR20190009671A (ko) 가구용 콘센트 장치
KR100691205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