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993A -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993A
KR20190091993A KR1020180011238A KR20180011238A KR20190091993A KR 20190091993 A KR20190091993 A KR 20190091993A KR 1020180011238 A KR1020180011238 A KR 1020180011238A KR 20180011238 A KR20180011238 A KR 20180011238A KR 20190091993 A KR20190091993 A KR 2019009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vehicle
lamp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041B1 (ko
Inventor
이기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0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측후방에 배치되는 베젤부와, 베젤부에 장착되고 차체 측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와, 램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램프부를 커버하는 렌즈부와, 렌즈부에 형성되고 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굴절을 유도하는 굴절부를 포함하여, 적색광 규제 법규를 회피하면서 테일램프의 측면부 점등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테일램프장치{TAIL LAMP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색광 규제 법규를 회피하면서 테일램프의 측면부 점등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는 브레이크 페달 가압시 차량의 후미에서 점등되어 외부에 차량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테일램프장치는 차량의 외관 디자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한편, 최근에는 테일램프장치에 엘이디램프가 적용되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있으며, 차량의 후면 외에도 측면에 엘이디램프가 배치되어 심미감을 주고 있다.
그러나, 측면에 배치되는 테일램프장치에서 램프가 점등되는 경우, 광 일부가 차량의 전면부로 조사되어 적생광 규제 법규를 위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52120호(2006.05.19.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의 테일 램프 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색광 규제 법규를 회피하면서 테일램프의 측면부 점등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는: 차체의 측후방에 배치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장착되고 차체 측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부를 커버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에 형성되고, 상기 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굴절을 유도하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젤부는 상기 램프부가 장착되고, 경사를 갖는 베젤프레임부; 상기 베젤프레임부의 단부에서 차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젤연장부; 및 상기 베젤프레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램프부의 전방 직광을 차단하는 베젤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절부는 상기 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과한 광을 차체 측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절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측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절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측에 연이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는 차량 후미 측면부에서 램프부가 점등되어, 디자인 자유도와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는 렌즈부에 형성되는 굴절부가 광을 차량 측면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차량 측방향으로 광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는 굴절부에 의해 램프부에서 점등된 광의 전방 도달이 억제됨으로써, 관련 법규를 준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에서 굴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1)는 베젤부(10)와, 램프부(20)와, 렌즈부(30)와, 굴절부(40)를 포함한다.
한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1)는 차체(100)의 측후방에서 후미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적색등이 조사되어 차량 후방에서 인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량용 테일램프장치(1)가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법규에 부합하도록 하는 장치이므로, 아래에서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1) 중 차체의 측후방에서 조사되는 광이 전방에 도달되지 못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베젤부(10)는 차체의 측후방에 배치되고, 램프부(20)는 베젤부(10)에 장착되어 차체 측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렌즈부(30)는 램프부(20)의 전방에 배치되고, 램프부(20)를 커버한다. 굴절부(40)는 렌즈부(30)에 형성되고, 램프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의 굴절을 유도한다.
즉, 램프부(20)는 기본적으로 차량 측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지만, 램프부(20)의 가장자리에서 생성되는 광 일부는 전방 경사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렌즈부(30)에 형성되는 굴절부(40)가 광을 차량의 측방향으로 굴절시켜 줌으로써, 차량 전방으로 적색광이 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부(10)는 베젤프레임부(11)와, 베젤연장부(12)와, 베젤돌기부(13)를 포함한다. 이때, 베젤프레임부(11)와 베젤연장부(12)는 차체(100)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베젤프레임부(11)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램프부(20)가 장착된다. 일 예로, 베젤프레임부(11)는 차체 측후면에 형성되는 곡면의 접선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베젤프레임부(11)는 차량 디자인에 따라 후단 보다 전단이 차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다양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베젤연장부(12)는 베젤프레임부(11)의 단부에서 차체(100)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예로, 베젤프레임부(11)의 전단은 후단보다 차체(100)와 멀어지도록 배치되고, 베젤연장부(12)는 차체(100)에 근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베젤돌기부(13)는 베젤프레임부(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램프부(20)의 전방 직광을 차단한다. 일 예로, 베젤돌기부(13)는 광 투과를 제한하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램프부(20)는 배젤프레임부(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램프기판부(21)와, 램프기판부(21)에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점등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램프점등부(22)는 베젤프레임부(11)에 형성되는 장착홀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램프점등부(22)로는 엘이디광원을 사용하며, 램프점등부(22)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직접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해 베젤돌기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베젤돌기부(13)와 베젤프레임부(11)은 램프점등부(22)의 가장자리에서 제1광각도(a) 영역으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1광각도(a) 영역은 램프점등부(22)에서 조사된 광이 렌즈부(30)에 도달하지 않고 직접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램프점등부(22)의 가장자리에서 차량 전방으로 조사 가능한 제1광선(d)과, 베젤돌기부(13)에 걸리는 제2광선(e) 사이의 영역이 제1광각도(a) 영역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광각도(a)는 10도 내지 15도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에서 굴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부(40)는 입사면(41)과 반사면(42)을 포함한다.
입사면(41)은 램프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고, 반사면(42)은 입사면(41)을 통과한 광을 차체(100) 측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일 예로, 굴절부(40)는 개략적으로 직각 삼각형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입사면(41)은 렌즈부(30)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면(42)은 입사면(41)은 통과한 광이 차체 측방향으로 전반사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굴절부(40)는 렌즈부(30)의 내측에 일체로 성형된다. 일 예로, 굴절부(40)는 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렌즈부(3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굴절부(40)는 렌즈부(30)의 내측에 연이어 배치된다. 일 예로, 램프부(20)의 정면은 렌즈부(30)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되고, 제2광각도(b) 영역으로 조사되는 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광각도(b) 영역은 램프점등부(22)에서 조사된 광이 렌즈부(30)에 도달된 후 차량 전방으로 유도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램프점등부(22)에서 조사되고 베젤돌기부(13)에 간섭되지 않는 제3광선(f)과 제4광선(g) 사이의 영역이 제2광각도(b) 영역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광각도(b)는 25도 내지 45도가 될 수 있다.
그 외, 굴절부(40)는 도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난반사로 인해 차량 전방으로 유도되는 광의 세기가 약해지면, 차량 전방에서 적색광의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램프부(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된다. 이러한 램프부(20)는 차량의 후미와 이이지는 측면에 배치되어 광을 조사한다.
이때, 차량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광 중 일부는 차량의 측면 외에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그러나, 베젤돌기부(13)가 베젤프레임부(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면, 제1광각도(a) 영역을 통해 전방으로 광이 직접 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부(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굴절부(40)는 제2광각도(b) 영역을 통해 렌즈부(30)에 도달한 광이 전방으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굴절부(40)의 입사면(41)으로 유입된 광은 반사면(42)을 통해 반사되어 차량 측방향으로 조사되므로, 차량 측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의 손실을 억제한다. 그리고, 차량 전방으로 광이 도달하지 않으므로, 관련 법규 위반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1)는 차량 후미 측면부에서 램프부(20)가 점등되어, 디자인 자유도와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1)는 렌즈부(30)dp 형성되는 굴절부(40)가 광을 차량 측면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차량 측방향으로 광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장치(1)는 굴절부(40)에 의해 램프부(20)에서 점등된 광의 전방 도달이 억제됨으로써, 관련 법규를 준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젤부 11 : 베젤프레임부
12 : 베젤연장부 13 : 베젤돌기부
20 : 램프부 21 : 램프기판부
22 : 램프점등부 30 : 렌즈부
40 : 굴절부 41 : 입사면
42 : 반사면

Claims (5)

  1. 차체의 측후방에 배치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장착되고 차체 측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부를 커버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에 형성되고, 상기 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굴절을 유도하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상기 램프부가 장착되고, 경사를 갖는 베젤프레임부;
    상기 베젤프레임부의 단부에서 차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젤연장부; 및
    상기 베젤프레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램프부의 전방 직광을 차단하는 베젤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상기 램프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을 통과한 광을 차체 측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측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측에 연이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KR1020180011238A 2018-01-30 2018-01-30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KR10240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38A KR102405041B1 (ko) 2018-01-30 2018-01-30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38A KR102405041B1 (ko) 2018-01-30 2018-01-30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993A true KR20190091993A (ko) 2019-08-07
KR102405041B1 KR102405041B1 (ko) 2022-06-07

Family

ID=6762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38A KR102405041B1 (ko) 2018-01-30 2018-01-30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0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24A (ko) * 2001-09-11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와 사이드 마커 램프의 장착구조
JP2003208805A (ja) * 2002-01-11 2003-07-2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9113644A (ja) * 2007-11-07 2009-05-28 Sakae Riken Kogyo Co Ltd ドアミラーのサイドターンランプ装置
JP2010067570A (ja) * 2008-09-12 2010-03-25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7107835A (ja) * 2015-12-04 2017-06-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面状発光体を用いた車両用標識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624A (ko) * 2001-09-11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범퍼와 사이드 마커 램프의 장착구조
JP2003208805A (ja) * 2002-01-11 2003-07-2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9113644A (ja) * 2007-11-07 2009-05-28 Sakae Riken Kogyo Co Ltd ドアミラーのサイドターンランプ装置
JP2010067570A (ja) * 2008-09-12 2010-03-25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7107835A (ja) * 2015-12-04 2017-06-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面状発光体を用いた車両用標識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041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9298B2 (ja) 車両用灯具
JP2013222553A (ja) 車両用灯具
EP3012522B1 (en) Vehicle lighting unit
JP7020259B2 (ja) 車両用灯具
JP6868974B2 (ja) 車輌用灯具
JP2020194622A (ja) 車両用灯具
JP6192508B2 (ja) 車両用灯具
JP6221438B2 (ja) 車両用灯具
JP2015153512A (ja) 車輌用灯具
JPH08268154A (ja) 車両用灯具
KR20190091993A (ko) 차량용 테일램프장치
EP2360425B1 (en) Light guiding lens and vehicle light
KR20100055984A (ko) 차량용 리어램프
JP2015195086A (ja) 導光体を備えた光ガイド装置
KR101199109B1 (ko) 헤드램프용 비구면렌즈의 태양광 분산구조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KR101735637B1 (ko) 차량용 램프
JP6013109B2 (ja) 車両用灯具
KR20110065209A (ko) 라이트 가이드 장치
KR200482997Y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US20150098236A1 (en) Optical structure for headlight
KR102665539B1 (ko) 차량용 조명장치
JP2006173031A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396867B1 (ko) 엘이디 램프
JP7127236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