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652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652A
KR20190090652A KR1020180009620A KR20180009620A KR20190090652A KR 20190090652 A KR20190090652 A KR 20190090652A KR 1020180009620 A KR1020180009620 A KR 1020180009620A KR 20180009620 A KR20180009620 A KR 20180009620A KR 20190090652 A KR20190090652 A KR 2019009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mage
image forming
unit
forming uni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석
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잇
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잇, 김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잇
Priority to KR102018000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652A/ko
Publication of KR2019009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특정 광고 이미지를 바닥 등의 대상표면에 투영되도록 하여 상기 특정 광고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장치로,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광을 발산하는 광원부; 제1 광고 이미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고 이미지에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집광하여 집광된 광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를 투과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집광렌즈부;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투과된 광에 의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 이 경우,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는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가 됨 - 가 투영되도록,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영렌즈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경로와 간섭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며, 제2 광고 이미지가 형성된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대상표면에 투영되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수되며,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 이 경우, 상기 제2 광고 이미지가 상기 특정 이미지가 됨 - 가 투영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의 바닥 등의 대상표면에 특정 광고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하여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영사장치의 한 가지로 투명지 위의 사진, 그림, 문자 등을 렌즈를 통해서 스크린 위에 확대 투영하여 많은 사람에게 동시에 보여 주는 광학장치이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실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나, 현재에는 고급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는 경우 바닥에 해당 자동차의 로고를 투영하는데 사용되고, 가로등에 설치되어 정보 전달 목적으로까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프로젝터는 특정 목적을 위한 특정 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을 프로젝터에 삽입한 후 이를 바닥에 투영함으로써 상기 특정 목적을 구현하고 있으며, 상기 특정 목적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이를 표현하기 위한 필름을 이전 필름과 수동으로 교체하여야만 한다.
여기서, 프로젝터가 가로등에 설치되어 정보 전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필름 교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높은 곳으로 이동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낙하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 교체의 용이성 측면에서의 프로젝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프로젝터는 바닥에 회전되는 이미지를 투영하거나 정지된 이미지를 투영하고 있으나, 이 경우 이미지를 보는 사람들에게는 너무 단조로움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또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광고 이미지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특정 광고 이미지의 변경에 따라 다른 상태로 투영되도록 하여 단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특정 광고 이미지를 바닥 등의 대상표면에 투영되도록 하여 상기 특정 광고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장치로,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광을 발산하는 광원부; 제1 광고 이미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고 이미지에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집광하여 집광된 광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를 투과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집광렌즈부;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투과된 광에 의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 이 경우,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는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가 됨 - 가 투영되도록,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영렌즈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경로와 간섭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며, 제2 광고 이미지가 형성된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대상표면에 투영되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수되며,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 이 경우, 상기 제2 광고 이미지가 상기 특정 이미지가 됨 - 가 투영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 내지 제N 광고 이미지 형성부(N은 3 이상의 자연수)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광고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집광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정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의 회수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의 상기 내부공간으로의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 상기 집광렌즈부 및 상기 투영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전방 또는 상기 전방의 반대인 후방으로 이동되어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에 의하면, 특정 광고 이미지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광고 이미지의 변경에 따라 다른 상태로 투영되도록 하여 단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제공되는 광고 이미지 형성부가 교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제공되는 광원부의 광 경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특정 광고 이미지를 벽면, 지면, 바닥 등의 대상표면에 투영되도록 하여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는 로고, 문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100)는 소정의 내부공간(S1)을 제공하는 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S1)에는 광원부(120),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 집광렌즈부(130) 및 투영렌즈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프로젝터(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0)는 광을 발산하는 장치로 조명 구동회로와 연결되고, 전등, 발광램프, 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는 제1 광고 이미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S1) 상의 상기 광원부(120)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고 이미지에 상기 광원부(1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는 상기 제1 광고 이미지가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의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를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는 OHP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집광렌즈부(130)는 상기 광원부(1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집광하여 집광된 광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를 투과하도록 상기 광원부(120)와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부(130)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렌즈로,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평면렌즈 및 곡면렌즈 중 적어도 하나에 다른 재질의 볼록렌즈를 형상화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투영렌즈부(140)는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투과된 광에 의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광고 이미지가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수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50)는 상기 광원부(1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경로와 간섭되지 않은 곳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광고 이미지가 형성된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는 이미지의 형상, 모양 및 색체 중 적어도 하나, 즉, 상기 제2 광고 이미지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50)의 상기 수용공간(S2)은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 뿐 만 아니라,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를 수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 내지 제N 광고 이미지 형성부(N은 3 이상의 자연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50)는 복수의 광고 이미지 형성부를 수용하여 작업자가 대상표면에 투영되도록 하는 광고 이미지를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대상표면에 투영되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는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2)으로 회수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 이 경우, 상기 제2 광고 이미지가 상기 특정 이미지가 됨 - 가 투영되도록,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형성부 교체 과정은 수용부(1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광고 이미지가 교체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제공되는 광고 이미지 형성부가 교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에 의해 대상표면에 제1 광고 이미지가 투영되던 상태에서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에 의해 대상표면에 제2 광고 이미지가 투영되는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내부공간(S1)에 위치하던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는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수용부(150)의 수용공간(S2)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의 위치 이동은 미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공간(S1) 상에서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를 지지하고 있던 받침부재가 상기 수용공간(S2)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를 이동시키고, 상기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된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를 상기 수용공간(S2)에 구비되는 그립부재가 그립함으로써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의 이동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자력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가 본체부(110)의 내부공간(S1)으로부터 수용공간(S2)으로 회수되면, 상기 수용공간(S2)에 위치하던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는 상기 내부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의 위치 이동은 미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위치하던 받침부재가 상기 수용공간(S2)으로 이동하여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를 그립부재로부터 인계 받고, 이후 상기 받침부재가 내부공간(S1)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의 이동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자력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가 내부공간(S1)으로부터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면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가 수용공간(S2)으로부터 내부공간(S1)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도 가능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가 내부공간(S1)으로부터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되고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가 수용공간(S2)으로부터 내부공간(S1)으로 이동되면,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를 기준으로 맞춰줘 있던 초점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가 상기 수용공간(S2)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1)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120), 상기 내부공간(S1)에 위치한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 상기 집광렌즈부(130) 및 상기 투영렌즈부(14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방 또는 상기 전방의 반대인 후방으로 이동되어 초점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렌즈부(140)가 장착되는 장착부(145)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초점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의 상기 수용공간(S2)으로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의 회수 및 상기 수용공간(S2)으로부터의 상기 내부공간(S1)으로의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의 공급은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초점 조절을 위한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I2), 상기 집광렌즈부(130) 및 상기 투영렌즈부(14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수용부(150)에 수용된 복수의 광고 이미지 형성부를 이용한 교체 기능으로 인해 대상표면에 다양한 광고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는 동시에 교체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에 형성된 제1 광고 이미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광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광고 이미지 형성부에는 복수의 광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게 집광렌즈부(130)도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공간(S1) 내에 위치한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 및 상기 집광렌즈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정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상표면에 투영되는 광고 이미지는 다양한 상태 변환(예를 들어 제1 광고 이미지의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개략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제공되는 광원부의 광 경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00)와 마찬가지로 특정 광고 이미지를 벽면, 지면, 바닥 등의 대상표면에 투영되도록 하여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는 로고, 문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200)에 포함된 제1 본체부(210), 광원부(220), 일측 광고 이미지가 형성된 일측 광고 이미지 형성부(II1), 제1 집광렌즈부(230) 및 제1 투영렌즈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00)에 포함된 본체부(110), 광원부(120), 제1 광고 이미지가 형성된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I1), 집광렌즈부(130) 및 투영렌즈부(14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200)는 소정의 제2 내부공간(S3)을 제공하는 제2 본체부(260), 타측 광고 이미지 형성부(II2), 제2 집광렌즈부(270) 및 제1 광경로 변환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본체부(260), 상기 타측 광고 이미지 형성부(II2) 및 상기 제2 집광렌즈부(270)는 상기 제1 본체부(210), 상기 일측 광고 이미지 형성부(II1) 및 상기 제1 집광렌즈부(23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제1 광경로 변환부(280)는 상기 광원부(2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상기 제2 집광렌즈부(270)에 의해 집광되도록 하여 집광된 광이 상기 타측 광고 이미지를 투과하도록, 상기 제1 내부공간(S1) 상의 상기 광원부(220)와 상기 제1 집광렌즈부(2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부(2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일종의 반사판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200)는 상기 제1 광경로 변환부(280)와 함께 제2 광경로 변환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광경로 변환부(290)는 제1 광경로 변환부(280)에 의해 경로가 변경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경로를 재변경하도록 하여, 상기 재변경된 광이 상기 제2 집광렌즈(270)에 의해 집광되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S3) 상에 위치하는 일종의 반사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제1 광경로 변환부(280)의 위치 이동에 의해 대상표면에 일측 광고 이미지가 투영되던 상태에서 타측 광고 이미지가 투영되는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광경로 변환부(280)는 제1 내부공간(S1) 상에서 위치 이동, 즉,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광경로 변환부(280)는 광원부(2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상기 제1 집광렌즈부(230)에 의해 집광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대상표면에 투영되었던 일측 광고 이미지가 사라지게 된다.
다만, 상기 제1 광경로 변환부(280)는 위치 이동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집광렌즈부(230)에 의해 집광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대상표면에 일측 광고 이미지 및 타측 광고 이미지가 모두 투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200)는 제1 광경로 변환부(280)의 회전 이동에 의해 제1 집광렌즈부(230)를 투과하던 광을 제2 집광렌즈부(270)를 투과하도록 광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광고 이미지의 변경에 따라 다른 상태로 투영되도록 하여 단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일측 광고 이미지 형성부(II1)에 형성된 일측 광고 이미지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광고 이미지이고, 제1 집광렌즈부(230)도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일측 광고 이미지 형성부(II1) 및 상기 제1 집광렌즈부(230)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이로 인해 대상표면에 투영되는 일측 광고 이미지는 다양한 상태(예를 들어 일측 광고 이미지의 회전)로 변환이 구현되게 된다.
그러나, 소비자 입장에서 너무 오랫동안 회전되는 일측 광고 이미지를 바라로면 단조로움을 느낄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에는 제1 광경로 변환부(28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정지 이미지인 타측 광고 이미지를 대상표면에 투영하게 함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2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수용부(150)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프로젝터
110: 본체부
120: 광원부
130: 집광렌즈
140: 투영렌즈

Claims (7)

  1. 특정 광고 이미지를 바닥 등의 대상표면에 투영되도록 하여 상기 특정 광고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광을 발산하는 광원부;
    제1 광고 이미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고 이미지에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집광하여 집광된 광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를 투과하도록, 상기 내부공간 상의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사이에 위치하는 집광렌즈부;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투과된 광에 의해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 이 경우,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는 상기 특정 광고 이미지가 됨 - 가 투영되도록,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투영렌즈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경로와 간섭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며, 제2 광고 이미지가 형성된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대상표면에 투영되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가 제거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수되며,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는,
    상기 대상표면에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 이 경우, 상기 제2 광고 이미지가 상기 특정 이미지가 됨 - 가 투영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 내지 제N 광고 이미지 형성부(N은 3 이상의 자연수)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이미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광고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집광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정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제1 광고 이미지 형성부의 회수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의 상기 내부공간으로의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광원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제2 광고 이미지 형성부, 상기 집광렌즈부 및 상기 투영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방 또는 상기 전방의 반대인 후방으로 이동되어 초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180009620A 2018-01-25 2018-01-25 프로젝터 KR20190090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20A KR20190090652A (ko) 2018-01-25 2018-01-25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20A KR20190090652A (ko) 2018-01-25 2018-01-25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52A true KR20190090652A (ko) 2019-08-02

Family

ID=6761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620A KR20190090652A (ko) 2018-01-25 2018-01-25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0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18B1 (ko) * 2023-10-31 2024-01-29 (주)큐엘 이미지글라스 회전기능이 구비된 투영장치
KR102630819B1 (ko) * 2023-10-31 2024-01-29 (주)큐엘 이미지글라스 회전 제어가 가능한 투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18B1 (ko) * 2023-10-31 2024-01-29 (주)큐엘 이미지글라스 회전기능이 구비된 투영장치
KR102630819B1 (ko) * 2023-10-31 2024-01-29 (주)큐엘 이미지글라스 회전 제어가 가능한 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81389C (zh) 投影式图像显示设备
DE60125183D1 (de) Bildanzeigevorrichtung des projektionstyps
EP1453324A3 (en) Projection-type display optical system
KR900015560A (ko) 다수의 명멸성 조명선 및 광밸브 세트를 구비한 자동 입체 표시장치
WO2009034694A1 (ja) プロジェクタ
KR20050118510A (ko) 디스플레이기기의 해상도 향상 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20091073A1 (ja) 投射レンズ及び投射装置
JP6759853B2 (ja) 照明装置、画像投射装置
JP2006308785A5 (ko)
KR20190090652A (ko) 프로젝터
JP6678724B1 (ja) 投射レンズ及び投射装置
KR20050114470A (ko) 해상도 향상 장치
JP5682811B2 (ja) 球面投影表示装置
KR20190090653A (ko) 프로젝터
KR20050113327A (ko) 해상도 향상 장치
JP2001021994A (ja) 映像投影装置
US20090279053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jecting Images and Method therefor
JP5900426B2 (ja) 光軸調整装置及び投影装置
KR20050113326A (ko)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90087850A (ko) 시계기능을 갖는 로고라이트
JP2012027104A (ja) 表示装置
JP2005208174A (ja) 投映型画像表示装置
WO2021100161A1 (ja) 照明装置
JP2007163674A (ja) 表示装置
KR101770400B1 (ko) 영상 투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