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592A - 다기능 식탁 - Google Patents

다기능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592A
KR20190089592A KR1020180008331A KR20180008331A KR20190089592A KR 20190089592 A KR20190089592 A KR 20190089592A KR 1020180008331 A KR1020180008331 A KR 1020180008331A KR 20180008331 A KR20180008331 A KR 20180008331A KR 20190089592 A KR20190089592 A KR 20190089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opening
support
closing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찬
김명상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9592A/ko
Publication of KR2019008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00Weighing apparatus involving the use of a counterweight or other counterbalancing m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은,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판;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 일부가 절개된 영역을 통해 물품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케이스; 상기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품이 놓이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동작하는 승하강 기구;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물품을 고정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식탁 {Multi-function dinner table}
본 발명은 다기능 식탁에 관한 것이다.
식탁의 기능은 단순히 밥과 반찬, 수저 등을 놓아두는 기능에 불과하다. 따라서, 식사 준비를 하기 위해서는 각종 그릇, 반찬, 수저, 컵 등을 일일이 준비해서 식탁에 놓아야 하며, 음식을 가열하거나 조리하는 위치도 일반 식탁에서 이격된 위치에 있으므로 식탁의 주위를 여러번 왕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등록번호 10-0895244호(등록일: 2009년 4월 21)에는 키친시스템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문헌에는 조리대 선반에 음식을 세척하기 위한 싱크볼이 구비되고, 싱크볼의 일측에는 가스쿡이 구비되며, 주방기물이 수납되도록 구비된 인출식 수납장을 포함하는 키친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인출식 수납장은, 상기 조리대 선반 내외로 출몰가능하게 상하이격 조정하도록 구비된 리프팅수단에 의해 승강 및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키친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인출식 수납장은 단순히 주방기물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어 공간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 인출식 수납장에는 주방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없어서, 인출식 수납장이 승강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주방기물이 넘어짐으로써 제품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 인출식 수납장은 주방기물의 무게를 고려하지 않고 승강 및 하강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모터의 부하에 따른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기기 또는 소형 가전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공간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식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 장치가 승강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진동에 의하여 물품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다기능 식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될 물품의 무게를 고려하여 동작될 수 있는 수납 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은,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판;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 일부가 절개된 영역을 통해 물품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케이스; 상기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품이 놓이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동작하는 승하강 기구;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물품을 고정하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물품의 하부를 고정하는 요철부를 포함함으로써, 수납 장치에 보관된 물품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은, 전원 공급이 필요한 소형 가전제품이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의 하부와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중심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소형 가전제품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소형 가전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소형 가전제품을 즉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장치는 상기 개폐부를 상기 수납 케이스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제공되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지대가 승강하면, 상기 지지대 또는 상기 물품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대가 하강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 일부가 절개된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의 상면은, 상기 상판의 상면과 단차없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다기능 식탁의 전체적인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놓인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상기 무게 센서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준 무게를 초과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납 장치에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식탁 내부의 공간에 설치된 수납 장치에 물품이 보관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은 식탁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공간 활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물품이 보관되는 수납 장치에는 물품의 하부를 잡아주는 홀더부가 구비되므로, 수납 장치가 승강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물품이 넘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소형 가전제품이 홀더부에 고정될 경우, 홀더부를 통해 소형 가전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소형 가전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소형 가전제품을 즉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수납 장치의 상면을 형성하는 개폐부가 식탁의 상면과 단차없이 연결되므로, 전체적으로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보관될 물품의 무게를 고려하여 수납 장치가 작동되므로, 수납 장치의 파손이 방지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에서 수납 장치가 승강 완료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장치가 승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에서 수납 장치가 승강 완료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탁(1)은,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을 지지하는 측판(2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0)은, 사용자의 식사 준비를 위한 조리대 또는 식사를 위한 식탁으로서 기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판(10)은 조리를 위한 주방용품, 주방기물(소형 가전제품) 또는 각종 그릇 등이 놓일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10)은 일례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상판(100)은 다각형 또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판(20)은, 상기 상판(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상판(10)에 대해 소정 높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판(20)은 상기 상판(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10) 및 측판(20)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내부공간에 후술될 다양한 구조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식탁(1)은, 수납공간을 형성되는 수납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30)는 상기 측판(20)의 일부가 절개된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수납부(30)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을 가지며, 드로어 방식으로 인출입되거나 또는 힌지 결합된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식탁(1)은,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40)는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인덕션 레인지 또는 쿡탑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40)는 상기 상판(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식탁(1)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 장치(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물품은, 주방용품, 주방기기 또는 소형 가전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형 가전제품이라 함은, 예를 들어 커피포트, 믹서기, 토스트기, 제빙기, 튀김기, 소형 전기밭솥 등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주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기를 이용한 소형기기를 의미한다.
상기 수납 장치(50)는, 상기 상판(10)의 일부가 절개된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 장치(5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지지대(52)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판(10) 내외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52)는 각종 소형 가전제품(3)이 거치 또는 장착되어 보관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장치(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버튼(13)의 누름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52)가 승강하여 상기 상판(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52)에 놓인 소형 가전제품(3)이 올라오는 과정에서, 개폐부(53)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수납 장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버튼(15)의 누름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52)가 하강하여 상기 상판(10)의 내부로 숨겨진다. 이때, 상기 개폐부(53)는 탄성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승강 버튼(13) 및 하강 버튼(15)은, 상기 수납 장치(50)의 주변, 즉 상기 개폐부(53)의 일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승강 버튼(13) 및 하강 버튼(15)의 조작을 통해 상기 수납 장치(50)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 장치(50)가 일렬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 장치(50)는 상기 상판(10)에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다수 개가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 장치(50)의 개수 및 위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납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장치가 승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장치(50)는, 상기 다기능 식탁(1)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납 장치(50)는, 수납 케이스(51)와, 지지대(52)와, 개폐부(53)와, 승하강 실린더(54) 및 홀더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51)는, 소형 가전제품(3)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51a)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수납 케이스(51)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51a)은 각종 소형 가전제품(3)이 수용되도록 충분히 넓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2)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놓이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52)는, 실질적으로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을 지지하므로, 충분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수평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 케이스(51)가 사각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지지대(52)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납 케이스(51)가 원통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지지대(52)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52)의 형상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대(52)가 승하강 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대(52)와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틈새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52)의 외측면과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내측면이 되도록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3)는,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53)는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상부에서 힌지부(53a)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53a)에는 탄성 스프링(미도시)이 제공되어, 상기 개폐부(53)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한다. 즉, 평상시(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53)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52)가 승강할 경우, 상기 지지대(52)에 놓인 소형 가전제품(3)이 상기 개폐부(53)를 상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개폐부(53)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2)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힌지부(53a)에 구비된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53)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53)의 상면은, 상기 상판(10)의 상면과 단차없이 매끄럽게 연결된다. 따라서, 식탁의 전체적인 외관이 깔끔해지고, 조리 준비 또는 식사를 위한 테이블로서 용이하게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개폐부(53)는 상기 힌지부(53a)가 모터(예: 스테핑 모터 등)에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승강 버튼(13)이 눌러지면, 상기 모터가 구동하여 상기 개폐부(53)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하강 버튼(15)이 눌러지면, 상기 모터가 구동하여 상기 개폐부(53)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53)를 개폐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상기 지지대(52)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상기 수납 케이스(5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52)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52)를 위로 승강시키거나 아래로 하강시킬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또는 가스 실린더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상기 지지대(52)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연장관(54a)을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52)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대(52)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부재로서, 승하강 기구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55)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지대(52)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홀더부(55)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하부, 즉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밑바닥을 지지하는 받침부(55a)와, 상기 받침부(55a)의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형 가전제품(3)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원연결부(55b)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55a)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55a)의 상면은,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바닥부와 요철 결합되기 위한 요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부(55)에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놓여지면, 상기 받침부(55a)의 요철부 형상에 의해서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55b)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연결부(55b)는 외부의 전원공급부(예: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전원연결부(55b)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연결부(55b)는 상기 받침부(55a)의 중심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는 금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부(55)에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삽입되면, 상기 전원연결부(55b)의 금속부가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전원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즉시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은 상기 홀더부(55)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하부는 상기 받침부(55a)의 요철부 형상과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의 하부 중심에는 상기 전원연결부(55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장치(50)는 앞서 설명된 승강 버튼(13), 하강 버튼(15), 승하강 실린더(54) 및 전원연결부(55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 장치(50)는 상술한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6)와, 무게 센서(57) 및 알람 발생부(58)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승강 버튼(13) 및 하강 버튼(15)은, 상기 상판(10)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승강 및 하강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입력받은 명령은 상기 제어부(56)로 제공한다. 상기 승강 버튼(13) 및 하강 버튼(15)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물리적 버튼 또는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상기 제어부(56)의 제어에 의해서 승강 및 하강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유압 실린더 또는 가스 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55b)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상기 홀더부(55)에 장착될 때 상기 소형 가전제품(3)에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연결부(55b)는 상기 전원공급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연결부(55b)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무게 센서(57)는, 상기 지지대(51)에 놓여진 소형 가전제품(3)의 무게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게 센서(57)는 상기 지지대(51) 상에 적어도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게 센서(57)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상기 전원연결부(55b)에 접속될 경우에 온(On)될 수 있다. 즉, 상기 무게 센서(57)는 항상 동작되지 않고,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정상적으로 놓여질 때에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알람 발생부(58)는, 상기 무게 센서(57)에 의해 감지된 무게가 기준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승강 버튼(13) 또는 하강 버튼(15)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전원연결부(55b)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무게 센서(57)를 동작시켜 상기 지지대(52)에 걸리는 무게 정보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6)는 획득된 무게 정보가 기준 무게 정보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알람 발생부(58)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납 장치(제어부)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승강 버튼(13)이 온(On)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버튼(13)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승강 버튼(13)이 온 되면, S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를 위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승강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지지대(52)를 승강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지지대(52)에 놓인 소형 가전제품(3)이 함께 위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상기 개폐부(53)를 위로 밀어서 상기 개폐부(53)를 개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52) 또는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부(53)를 밀어 개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모터가 상기 힌지부(53a)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개폐부(53)가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54)의 승강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상기 상판(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은 상기 홀더부(55)의 전원연결부(55b)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즉시 구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강하여 출몰된 소형 가전제품(3)을 꺼내어 전원공급부(5)에 별도로 전원을 연결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 S3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하강 버튼(15)이 온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강 버튼(15)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하강 버튼(15)이 온 되면, S4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무게 센서(57)를 구동시켜, 무게 정보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무게 센서(57)를 통해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너무 무거운 가전제품을 상기 지지대(52)에 올려두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지나친 무게를 가진 가전제품이 상기 지지대(52)에 올려져 하강하게 될 경우, 추후 승강하는 과정에서 실린더의 부하가 커지게 되고 결국 제품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S50 단계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준 무게를 초과할 경우, 즉 상기 지지대(52)에 올려진 제품의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울 경우, S6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6)는 알람 발생부(58)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감지된 무게가 기준 무게 미만인 경우에는, S7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를 아래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승하강 실린더(54)는 하강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지지대(52)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지지대(52)에 놓인 소형 가전제품(3)이 함께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소형 가전제품(3)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부(53)는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식탁 내부의 공간에 설치된 수납 장치에 물품이 보관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은 식탁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공간 활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품이 보관되는 수납 장치에는 물품의 하부를 잡아주는 홀더부가 구비되므로, 수납 장치가 승강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물품이 넘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 가전제품이 홀더부에 고정될 경우, 홀더부를 통해 소형 가전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소형 가전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소형 가전제품을 즉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 장치의 상면을 형성하는 개폐부가 식탁의 상면과 단차없이 연결되므로, 전체적으로 외관이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관될 물품의 무게를 고려하여 수납 장치가 작동되므로, 수납 장치의 파손이 방지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판;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 일부가 절개된 영역을 통해 물품이 출몰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케이스;
    상기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물품이 놓이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동작하는 승하강 기구;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물품을 고정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물품의 하부를 고정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전원 공급이 필요한 소형 전기제품이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소형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소형 전기제품의 하부와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중심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소형 전기제품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소형 전기제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다기능 식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승강하면, 상기 지지대 또는 상기 물품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를 상기 수납 케이스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제공되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가 하강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탁.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상판의 상면 일부가 절개된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다기능 식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면은, 상기 상판의 상면과 단차없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탁.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기구는,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가스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기능 식탁.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놓인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상기 무게 센서에서 감지된 무게가 기준 무게를 초과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식탁.
KR1020180008331A 2018-01-23 2018-01-23 다기능 식탁 KR20190089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31A KR20190089592A (ko) 2018-01-23 2018-01-23 다기능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31A KR20190089592A (ko) 2018-01-23 2018-01-23 다기능 식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92A true KR20190089592A (ko) 2019-07-31

Family

ID=6747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31A KR20190089592A (ko) 2018-01-23 2018-01-23 다기능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5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3016B2 (en) Bottom-loading cooking appliance
US6378537B1 (en) Dining table with integral dishwasher
CN203969676U (zh) 智能餐饮系统
US6832618B2 (en) Dining table with integral dishwasher
JP5600243B2 (ja) 収納庫
US3694046A (en) Space saving kitchen unit
US3464749A (en) Fold-away kitchen appliance support
JP5600244B2 (ja) 収納庫
JP5199144B2 (ja) 収納庫
KR102390506B1 (ko) 상하 승강 가능한 싱크대용 수납대
KR101103510B1 (ko) 일체형 다용도 식탁
KR20190089592A (ko) 다기능 식탁
KR20190094985A (ko) 다기능 식탁
CN201612524U (zh) 煎烤器具
CN214510262U (zh) 一种厨房用的智能橱柜
JP2778063B2 (ja) 家具装置
US20230113939A1 (en) Modular multi-cooker
US10443286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door of an appliance
JP5448486B2 (ja) 収納庫
CN210185294U (zh) 一种带有提醒功能的电饭锅
JP5448485B2 (ja) 収納庫
CN219069971U (zh) 一种新型三合一烤架
WO2020169794A1 (en) Hob with integrated toaster
CN212678931U (zh) 多功能一体机
CN215383395U (zh) 一种煎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