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906A - 가습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906A
KR20190088906A KR1020190006839A KR20190006839A KR20190088906A KR 20190088906 A KR20190088906 A KR 20190088906A KR 1020190006839 A KR1020190006839 A KR 1020190006839A KR 20190006839 A KR20190006839 A KR 20190006839A KR 20190088906 A KR20190088906 A KR 20190088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ir
door
drawer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492B1 (ko
Inventor
김석천
구명진
김태윤
이건영
하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24F2003/161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는,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도어 어셈블리가 포함되어, 캐비닛의 내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 상기 도어 어셈블리가 완전히 인입된 경우, 상기 실링프레임에 의하여 이중의 밀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정화와 공기 가습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최근, 공기 청정기를 가구의 일 종류로 인식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와 주변 가구와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디자인의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공기 청정기가 침실에 구비되는 경우, 장롱 또는 침대와의 조화를 중시하여, 외관 패널을 목재로 구성하는 공기 청정기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는 일반적인 가구와 유사하게 서랍식으로 구성되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공기 청정기의 내부 부품을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서랍형 공기 청정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 1이 개시된다.
1. 특허 등록번호 (등록일자) : 10-0485578 (2005년 04월 18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 청정기
위와 같은 선행문헌 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첫째, 선행문헌 1의 공기청정기는 송풍부, 필터부 및 흡입구개폐부가 상하로 배열되고, 별도의 드로어에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드로어를 모두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둘째, 상대적으로 무거운 송풍부가 필터부 및 흡입구개폐부의 상측에 적층되므로, 상기 필터부 또는 흡입구개폐부가 설치되는 하부 드로어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서랍형 공기 청정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 2가 개시된다.
1. 실용신안 등록번호 (등록일자) : 20-0419443 (2006년 6월 14일)
2. 고안의 명칭 : 서랍형 공기청정기
위와 같은 선행문헌 2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첫째, 선행문헌 2의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본체의 후면 및 저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가구와 같은 외관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경우, 방의 벽면(후면 또는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입구가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 본체와 벽면 사이에 공간이 너무 좁고, 유입구가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 본체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너무 좁아서, 흡입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둘째, 서랍의 내부공간에 필터 및 구동팬이 함께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필터를 교체 또는 청소하기 위하여 서랍을 인출할 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구동팬도 함께 인출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에 가습기능을 추가한 가습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습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 3이 개시된다.
1. 일본특허 등록번호 (등록일자) : JP 제 5,842,962호 (2015.11.27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 청정기
위와 같은 선행문헌 3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첫째, 선행문헌 3의 공기청정기는, 송풍기, 공기청정 필터 및 가습 유닛이 공기청정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공기청정 필터 및 가습 유닛은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청소 또는 교체해 줄 필요가 있는 부품인데,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공기청정 필터 또는 가습 유닛을 분리하는 것이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가습 유닛이 송풍기 및 공기청정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가습 유닛에 존재하는 물이 낙하하여 상기 송풍기 또는 공기청정 필터에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기 또는 공기청정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드로어 타입으로 구성된 도어를 마련하여, 제품의 내부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관 패널의 재질을 목재로 구성하여, 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영역에서 공기의 유동 손실을 저감하고, 흡입 공기의 유동을 의도한 경로로 따르게 하기 위한 이중의 밀폐 구조를 형성하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외관이 실내 생활에 쓰이는 가구들과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어셈블리의 외관은 목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전방으로 개방되고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의 상측에서 상기 두 측면 패널을 연결하는 상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은 전면의 개구를 규정하는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개방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드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을 상기 드로워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 상기 두 측면 패널 및 상기 상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가 실내 가구의 일 종류로 인식할 수 있도록 미적인 통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재로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 구성은, 상기 목재의 변형,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도어 패널, 측면 패널 및 상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측 면에 일 직선으로 새겨지는 우든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로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 구성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도어 패널, 상기 측면 패널 및 상기 상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측 면에 금속 재질의 보강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의 외관은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상면패널의 전단과 상기 두 측면패널의 전단으로 규정되는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패널의 양 측단은 상기 두 측면패널의 내측 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도어 어셈블리가 상기 캐비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완전한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서랍형으로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동시에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가 상기 캐비닛에 완전히 인입된 경우, 상기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의 개방 부분은 유입되는 공기가 의도한 유동 경로를 따를 수 있도록 밀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유동 관점에서 이중의 밀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 청정기는, 제 1 측면, 제 2 측면 및 상기 두 측면의 전단에 결합되어 전면 개구를 규정하는 바(bar)가 구비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패널과. 상기 제 2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의 전면과, 상기 제 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 2 측면 패널의 각각의 측면에는 접촉 또는 밀착을 이루는 실링프레임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개구를 가려주는 도어 패널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에는 상기 전면 개구로부터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drawer)가 결합된다.
상기 드로워의 저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흡입구의 후측에 위치하도록 에어필터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상기 실링프레임은 상기 도어 패널의 상단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실링프레임의 둘레 보다 큰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의 하측 단부는 상기 흡입구의 아래 또는 상기 흡입구의 전방 지역의 양 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프레임의 하측 단부는 절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은 양측 하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의 사이 공간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는, 상기 실링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의 하측 단부와 상기 실링프레임의 하측 단부가 형성하는 절개 공간은 상기 흡입구의 일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에는, 내측에 삽입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인입된 경우, 상기 실링프레임의 후면은 상기 바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인입된 경우, 상기 실링프레임의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패널 또는 상기 제 2 측면패널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인입된 경우, 상기 실링프레임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두면은, 상기 전면 개구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바, 상기 제 1 측면패널 및 상기 제 2 측면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패널은 상기 제 1 측면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2 측면패널은 상기 제 2 측면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의 양측 하단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결합하는 레일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의 하단부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의 하단부와 상기 실링프레임의 하측 단부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의 상단은 상기 상면 패널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홈에는 입력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가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패널이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일 면이 개방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일 면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일 면에 위치하는 도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흡입구의 후측으로 설치되는 에어필터 및 가습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드로워의 인출과 함께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캐비닛의 일 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캐비닛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는 상기 에어필터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에어필터의 후측에 물이 저수되는 저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수 공간에 상기 가습필터가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하부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 정화 및 공기 가습을 수행한 후 상부로 토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는 물이 이용되는 공기 가습 구역과 물이 방지되어야 하는 공기 정화 구역을 구획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가습 공기청정기가 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감성적 또는 감각적인 요구를 만족하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생활 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성적 또는 감각적 요구에 따라 생활 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목재를 이용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내구성 또는 강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닛과 도어의 선택적인 접촉 지역이 이중의 밀폐 구조로 밀폐될 수 있으므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의도한 공기 유동 경로를 정확하게 따를 수 있으므로 공기 정화 및 공기 가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VI-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어셈블리(20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0)에는 다수의 패널로 구성된 패널 조립체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패널 조립체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서 꺼내어질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를 잡아 당길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반대 방향의 외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를 다시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집어 넣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하부의 제 1 베이스(101), 상기 제 1 베이스(10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패널(103),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면 패널(105) 및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면 패널(107)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베이스(101),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 상기 상면 패널(105) 및 후면 패널(107)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의 측면 패널(103)은, 상기 캐비닛(100)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제 1 측면 패널 및 상기 캐비닛(100)의 타 측면을 형성하는 제 2 측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은 목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는 외관상 가구의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즉, 외관이 수려해질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송풍팬(480)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인입하여 닫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210)이 포함된다. 상기 도어 패널(210)을 "전면 패널"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캐비닛(100)의 일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 개구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도어 패널(210)과 상기 캐비닛(100)은 사용자에게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캐비닛(100)으로부터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드로워(220)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은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외관의 전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210)은 목재로 구성되어 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단과 상기 제 1 베이스(101)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30)의 상측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2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225)는 흡입구(225)로 이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구(225)는 드로워(22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0)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베이스(101)와 상기 흡입구(225)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30)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부 모서리와 상기 하부 모서리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 1 베이스(101)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가 베이스 연장부(115)까지 후방으로 연장되는 공간으로 규정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상면 패널(105)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109)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09)는 상기 상면 패널(105)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09)는 상기 상면 패널(105)과 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부(109)의 상단은 상기 상면 패널(105)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드로워(220, drawer)가 더 포함된다.
상기 드로워(220)에는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가습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에는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수조(260) 및 물통(27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이 개방될 때, 상기 드로워(220)에 배치되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에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20)는 상기 캐비닛(100)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220)는 “도어” 또는 “수용부”라고도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가이드(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드로워(2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100)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전단 부분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밀폐(seal)시킬 수 있는 실링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링 수단에는 후술할 실링프레임(211) 및 실링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캐비닛(100)과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을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함몰부(30) 또는 흡입구(225)로 집중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전방에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08a)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08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후술할 디스플레이 모듈(452)의 전방부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08a)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108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8b)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운전모드 또는 운전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108b)에는, "전원 입력부", "청정세기", "쾌속청정", "가습청정", "취침모드", "공기제균", "무드조명", "잠금"과 같은 설정된 모드(또는 기능)를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 가능한 다수의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8a)는 상면 패널(105)과 도어(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0)의 상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디스플레이 홈(108)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도어 패널(210)의 상단은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홈(108)은 상기 도어 패널(210)과 상기 상면 패널(105)이 형성하는 이격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108a)는 상기 디스플레이 홈(108)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운전정보를 확인하거나 입력부(108b)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상면 패널(105)은 편평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납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에는 물건 또는 음식물 등이 놓여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디스플레이를 상면 패널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상면 패널의 중앙부에 배치한다면 상기 물건 또는 음식물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가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8a)는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전면과 상기 도어의 후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108a)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VI-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80)이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480)에는 팬 모터(485)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0)에는 상술한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부(112)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110)이 포함된다.
상기 바디프레임(110)은 전면, 후면 및 상면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은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전면은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후면은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후면는 팬 하우징(410) 및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상면은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상면은 전장부(45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101)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바디프레임(100)은 일 측면인 제 1 측면 및 타 측면인 제 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 중 하나의 측면 패널(103)은 상기 제 1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 중 나머지 하나의 측면 패널(103)은 상기 제 2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패널(103)을 제 1 측면패널(103)로 이름하고, 상기 제 2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패널(103)을 제 2 측면패널(103)이라 이름한다.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부(45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 패널(107)은 상기 하우징 커버(43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패널, 상기 제 1 측면패널, 상기 제 2 측면패널 및 상기 상면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패널(103,105,107)은 목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각각의 패널(103,105,107)의 내측 면을 상대적으로 작은 폭과 깊이로 파내어 형성하는 우든홈(210b) 및 상기 다수의 패널(103,105,107)의 내측 면에 삽입되는 다수의 보강프레임(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패널(103,105,107)의 내측 면은, 바디프레임(110)을 향하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우든홈(210b)은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우든홈(210b)은 상기 다수의 패널(103,105,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널에 내측 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 직선으로 새겨(engrave)질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215)은 상기 다수의 패널에 결합되는 구성들과 체결을 위한 홀(2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패널(210)에 삽입된 보강프레임(215)의 홀(215a)에는 드로워의 전면(221)과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215)은 금속(metal)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패널(103)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 개구를 규정하는 바(110a) 보다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 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패널(103)의 각각 내측 면은, 실링프레임(211)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적어도 어느 두 외면은 상기 캐비닛(100)과 밀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225)를 제외한 이중의 밀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 개구를 규정하도록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은,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하부가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길이는 후술할 실링프레임(211)의 간격(D1)과 대응되는 길이로 규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은 밑변이 개방되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 측면의 전단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110a)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52)의 하측에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 측면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의 하단부(110b)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 측면의 전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110a)의 하단부(110b)는 상기 드로워(220)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바디프레임의 바(110a)의 하단부(110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 배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와 상기 실링 수단은,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입시 서로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와 상기 실링 수단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바(110a) 및 상기 바(11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패널(103)의 면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캐비닛(100)과 도어 어셈블리(200)의 틈새를 수직한 2개의 면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틈새로 공기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11a,1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11a,111b)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보강리브(111a) 및 상기 제 1 보강리브(11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보강리브(111b)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보강리브(111b)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양 측면에는, 전장부(450)에서 배수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배수유로(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111c)는 상기 제 1,2 보강리브(111a,111b)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210) 및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드로워(220)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패널(210)의 측 방향 폭은,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 사이로 삽입되어 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도어 패널(210) 및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은 사용자에게 외관의 일체감을 줄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깔끔하며, 가구로 인식하기 적합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에는 후면 상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손잡이 홈(210a)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홈(108)으로 손을 넣어 상기 손잡이 홈(210a)을 통해 당기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를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에는 상기 드로워(220)의 전면과 결합을 가이드하는 패널 프레임(21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프레임(218)은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프레임(218)은 후술할 실링프레임(211)의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프레임(218)은 후술할 패널결합부(221a)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실링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수단에는 실링프레임(211) 및 실링부재(2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링프레임(211)은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프레임(211)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바(110a)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프레임(211)은 밑변이 개방되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부는 소정의 길이(D1)만큼 절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부는 흡입구(225)와 연통되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측 단부(211a, 211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길이(D1)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측 단부(211a,211b)는 흡입구(225)의 아래 또는 상기 흡입구(225)의 전방부 양 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측 단부(211a,211b)는 상기 바(110a)의 하단부(110b)와 함께 상기 흡입구(225)와 연통되는 절개 공간(또는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개 공간(또는 이격 공간)은 상기 흡입구(225)의 일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측 단부(211a,211b) 및 상기 하단부(110b)가 밀착된 경우, 상기 절개 공간(또는 이격 공간)은 상기 흡입구(225)의 전방부 양 측단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단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절개 공간으로 집중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측 단부는, 일측 하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1 단부(211a) 및 타측 하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 2 단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부(211a)와 상기 제 2 단부(211b)는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소정의 길이(D1)만큼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길이(D1)는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측간격(D1)으로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측 단부(211a. 211b)은 상기 하측간격(D1)만큼 서로 이격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단부(211a)와 상기 제 2 단부(211b) 사이의 이격 공간은 상기 흡입구(225)의 일 부분(225p)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도어 어셈블리가 상기 바디프레임(110)로 인입되어 상기 실링프레임(211)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가 접촉된 경우,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측 단부(211a,211b)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의 하단부(110b)는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절개되어 상기 흡입구(255)의 일 부분(225p)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기의 흡입 단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간격(D1)는 후술할 공기 흡입구(225)의 좌우 방향 폭(W1)과 대응되는 길이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외둘레 길이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둘레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프레임(211)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의 외둘레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210)의 둘레 길이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단 둘레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210)의 상단 모서리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단 상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측에는 함몰 공간 또는 함몰부(30)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폭(D2)은 상술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패널(103)의 상기 바(110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프레임(211)은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패널(103)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에 밀착되어 불필요한 유동 손실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프레임(211)은 상기 함몰부(30) 또는 상기 흡입구(225)로 공기의 흡입을 집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220)가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인입된 경우,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 개구를 규정하는 바(110a)의 전면과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전면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외측면은 상기 제 1 측면패널(103) 또는 상기 제 2 측면패널(103)에 밀착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두 면은, 상기 전면 개구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110a), 상기 제 1 측면패널(103) 및 상기 제 2 측면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실링프레임(211)과 상기 바디프레임(110) 사이에 2중의 밀폐가 가능하여 상기 흡입구(225)로 도입된 공기의 유동을 누설 또는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프레임(211)은 상기 실링부재(212)가 삽입되는 중심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심 홈은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후면 중심부를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 홈은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함께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12)는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후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212)는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중심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12)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와 밀착될 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부재(212)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 커버(282a)와 밀착되는 커버프레임(211c)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11c)은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윗변을 형성하는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프레임(211c)의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윗변으로부터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211c)의 후면은 상기 필터 커버(282a)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 커버(282a)의 전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커버프레임(211c)의 후면도 이에 상응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상기 캐비닛(100)에 인입된 경우, 상기 커버프레임(211c)은 상기 필터 커버(282a)와 밀착되어 상기 흡입구(225)로 흡입된 공기가 손실 또는 새어 나감이 없이 에어필터(285)를 통과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20)의 전면(221)은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 개구를 가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의 전면(221)은 도어 전면부(221) 또는 드로워의 “제 1 벽”이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210)과 상기 도어 전면부(221)를 함께 "도어 전면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전면부(221)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과 결합되는 패널 결합부(221a)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결합부(221a)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패널 결합부(221a)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패널(210)의 패널프레임(218)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20)에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후면으로부터 에어필터 안착부(226)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커넥터(2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221b)는 상기 흡입구(225)로 규정되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와 상기 에어필터 안착부(226)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21b)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후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221b)는 상기 흡입구(22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221b)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후면으로부터 흡입구(225)로 유입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얇은 폭을 가지도록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21b)는 상기 흡입구(225)의 위치에 의해 상대적으로 충격에 약한 상기 도어 전면부(22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21b)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드로워(2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드로워(220)에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측면부(222), 상기 도어 측면부(222)의 하측에 구비되는 도어 하면부 및 상기 도어 하면부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후면부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도어 측면부(222)는 드로워(220)의 측면 또는 드로워의 “제 2 벽”으로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하면부는 드로워(200)의 저면 또는 드로워의 “제 3 벽”으로 이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 후면부는 드로워의 후면 또는 드로워의 “제 4 벽”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하면부에는 상기 흡입구(2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전면부(221), 도어 하면부, 도어 측면부(222) 및 상기 도어 후면부에 의하여, 상기 드로워(220)의 내부에는 수조(260), 물통(270),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로워(220)의 전방부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에는, 에어필터 케이스(281) 및 상기 에어필터 케이스(281)에 결합되는 에어필터(28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로워(220)의 대략 중앙부, 즉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후측에는 물통(2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수조(2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물통(270)을 분리하여 물을 보충하거나 상기 물통(270)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270)의 상부에는 개방 가능한 물통 뚜껑(2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의 저면(272)에는, 물을 배출하는 밸브공 및 상기 밸브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장치(27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270)의 저면에는 상기 밸브장치(276)를 둘러싸는 밸브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브라켓은 상기 밸브장치(276)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밸브장치(276)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의 저면에는 상기 밸브장치(276)가 후술할 플로트 장치(267)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공간은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밸브장치(276)는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에 구비되는 물통지지부(261)에 놓여지면 상기 밸브공을 개방시킬 수 있고, 상기 물통지지부(26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밸브공을 폐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270)을 지지하는 물통지지부(261)가 포함된다. 상기 물통지지부(261)는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물통지지부(26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플로트 장치(267)가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플로트 수용부(262)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며, 일례로 상기 물통지지부(26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물이 저장되는 제 1 저수부(229a)를 형성하며, 상기 플로트 장치(267)는 상기 제 1 저수부(229a)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수부(229a)의 물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플로트 장치(267)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통(270)의 밸브공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내부에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물이 저장되는 제 2 저수부(229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b)는 상기 제 1 저수부에 연통하며, 상기 제 1 저수부와 동일한 수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b)에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드로워(220)의 내부 공간 중 후방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물통(27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에는, 가습필터 케이스(310) 및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수조(260)에 저장되는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330)가 포함된다.
상기 가습필터(300)에는, 원형의 가습필터 프레임 및 상기 가습필터 프레임(331)의 내측에 배치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필터매체가 포함된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하부는 상기 제 2 저수부(229b)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습필터(330)의 외주부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수집리브(331a)가 포함된다. 상기 수집리브(331a)는 상기 가습필터 프레임(331)의 내부에 구비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리브(331a)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수집리브(331a) 사이의 공간은 물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가습필터(330) 및 상기 가습필터 프레임은 "물레방아(water-wheel)"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집리브(331a)에서 수집된 물은 회전하면서, 중력에 의하여 상기 가습필터(330)의 중앙부로 물을 흘려준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물의 흡습이 용이한 천, 펠트 또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후측에는, 상기 수조(260)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260)의 내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269)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살균장치(269)에는, 자외선 LE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어셈블리(4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상기 드로워(220)의 후면부의 후측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80), 상기 송풍팬(480)의 전방에 배치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팬 흡입부(415)를 가지는 팬 하우징(410) 및 상기 팬 하우징(410)의 후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43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480)은 상기 팬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정의되는 팬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원심팬에는 시로코 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의 축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80)에 연결되는 팬 모터(485)는 상기 팬 하우징(410)의 중앙부에 지지되며 상기 송풍팬(480)의 중심에 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410)에는, 팬 흡입부(415)가 포함된다. 상기 팬 흡입부(415)에는, 방사상 또는 원주형으로 연장되는 흡입가이드 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가이드 리브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이 송풍팬(480)으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부(4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장부(450)에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전장 플레이트(451)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장 부품(453)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에어필터(285) 및 송풍팬(480)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실 및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이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실과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다. 즉,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상측에, 상기 공기 조화실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 부품(453)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08a)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452)이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52)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1)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8a)는 상기 디스플레이 홈(108)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레일(23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바(110a)의 하단부(110b) 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바(110a)의 하단부(110b) 및 상기 실링프레임(211)의 하측 단부(211a,211b)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과 레일 가이드(230)가 형성하는 틈(또는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225)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에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내면에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235a)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의 외측에는, 레일 커버(236)가 배치된다. 상기 레일 커버(236)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양 측면에는 레일 가이드(23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에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가이드(230) 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은 전후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드로워(220)가 최대로 인출된 경우에,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 개구가 형성하는 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는 상기 드로워(220)의 최대 인출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의 위치에 맞처 상기 드로워(220)의 최대 인출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10)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조명 브라켓(11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조명 브라켓(116)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101)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브라켓(116)은 상기 제 1 베이스(101)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10)에는, 상기 제 1 베이스(10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연결부(11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연결부(115)는 상기 조명 브라켓(116)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베이스(101)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0)는 상기 제 1 베이스(101)와 상기 조명 브라켓(116)의 사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연결부(115)는 상기 함몰부(30)의 후측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30)는 상기 제 1 베이스(101), 상기 베이스연결부(115) 및 상기 조명 브라켓(116)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10)에는, 상기 베이스 연결부(11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드로워(220)를 지지하는 제 2 베이스(1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베이스(113)는 편평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드로워(220)의 도어 하면부(22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2 베이스(101,113)를 합하여, "베이스"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 연결부(115) 및 상기 제 2 베이스(113)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바디프레임(110)는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2 베이스(113)에 지지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므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하부는 상기 제 1 베이스(10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이 함몰부(30)를 구성하여 상기 흡입구(225)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에는, 조명원(122a)이 구비되는 조명 PCB(122) 및 상기 조명 PCB(122)에 결합되는 조명 케이스(124)가 포함된다. 상기 조명원(122a)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조명원(122a)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케이스(124)는 상기 조명 케이스(124)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124a)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124b)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124a)에는 각각 조명원(122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원(122a)은 상기 조명 PCB(122)의 일면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명원(122a)은 상기 조명 PCB(122)의 저면 또는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101)의 상면에는, 반사판(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다수의 조명원(122a)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조명원(122a)에서 조사되는 빛을 은은하게 반사 또는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원(122a)은 상기 반사판(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사판(120)을 향하여 광을 하방으로 조사한다. 상기 조명원과 상기 반사판(120)의 사이에는, 상기 함몰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원(122a)에 의하여 조사되는 광에 의하면,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는 함몰부(30) 또는 공기 흡입구(225)가 위치하는 영역에 은은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는 무드조명으로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124)의 전면에는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방향에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면, 상기 조명장치가 작동되어 조명원(122a)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20)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와, 물통(270) 및 수조(26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220)의 하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25)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구(225)는 상기 도어 하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 외부의 공기는, 상기 함몰부(30)를 경유하여 상기 흡입구(225)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에어 필터(285)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225)에서 흡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면서 에어필터(285) 및 가습필터(330)를 통과하므로, 유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220)의 저면의 전방 영역(area)에 형성되는 흡입구(225)에 의하여,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단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225)를 상방으로 통과하는 유동 흐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2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구(225)의 후측으로 상기 드로워(220)에 삽입되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와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후측에 삽입되는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차례로 통과하며 공기정화 및 공기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와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드로워(220)의 상측에서 삽입되므로 상기 에어필터 안착부(226)와 수조 안착부(227)에 상대적으로 수직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또는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225)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향하는 공기는 유동 경로가 측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에어필터(285)와 상기 가습필터(330)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측면부(222)에는 레일 가이드(23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레일(235)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을 레일 어셈블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 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은 전후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바디프레임(110)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거리를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레일 걸림턱(235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턱(235b)은 상기 레일 커버(236)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일 걸림턱(235b)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의 하단부(110b)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레일 걸림턱(235b)은 상기 바디 프레임(100a)의 하단부(110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 또는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레일 걸림턱(235b)과 접촉될 때까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걸림턱(235b)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 또는 상기 레일 가이드(230)의 진출 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레일(235) 또는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레일 걸림턱(235b)에 걸림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레일 걸림턱(235b)은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턱(235b) 또는 상기 스토퍼(미도시)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최대 인출 거리를 규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최대 인출 거리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단이 형성하는 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최대로 인출된 경우,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의 전면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110a)의 전면은 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인출된 경우,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에서 관리가 필요한 구성, 즉,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물통(27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관리가 필요한 구성을 조작 가능한 공간으로 한번에 인출시킬 수 있다. 즉, 관리 부품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인출된 경우,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100) 또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전면 개구에 위치되므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내부공간(112)이 시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최대로 인출된다 하더라도,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을 넣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최대로 인출된다 하더라도, 내부 공간(112)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가습 공기청정기(1)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을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고급화로 귀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후면부에는, 상기 살균장치(269)가 배치되는 관통공(223b)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살균장치(269)는 상기 관통공(223b)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관통공(223b)의 후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장치(269)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기 관통공(223b)을 경유하여 상기 수조(260)에 전달하여, 저수된 물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상측에는, 물통(270)이 배치된다. 상기 물통(270)은 물을 저장하는 물통 본체 및 상기 물통본체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 뚜껑(271)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물통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물통본체의 내부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이 상기 수조(260)에 놓여지면, 상기 물통(270)의 밸브장치(276)는 개방되어, 상기 물통(27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수조(260)의 제 1 저수부(229a)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물통(270)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의 하부는 제 2 저수부(229b)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에는, 축 지지부(315)를 가지는 가습필터 케이스(310) 및 상기 축 지지부(315)에 지지되는 중심축(335)을 가지는 가습필터(330)가 포함된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중심축(335)은 상기 축 지지부(315)에 지지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에는, 상기 수조(260)의 제 2 저수부(229b)에 저장되는 물을 퍼올리는 수집리브(331a)가 포함된다. 상기 수집리브(331a)에서 퍼올려지는 물은, 상기 가습필터(33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며 다시 하방으로 내려올 때 상기 가습필터(330)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로 흘러내린 물은 필터매체에 스며들 수 있다.
상기 가습 공기청정기(10)에는, 상기 가습필터(330)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가습필터 모터(353) 및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가습필터 구동기어(355)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 및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는 상기 팬 하우징(4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에는,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와 연동하는 필터기어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기어는 상기 필터매체의 외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기어 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매체의 다수의 기어 이는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와 기어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가 구동하면, 상기 필터기어는 상기 가습필터 구동기어(355)와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410)의 전면에는 접점부(4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후면부에는, 상기 접점부(411)에 스위칭 작용하는 접점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접점 돌기는 상기 도어 후면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가 닫혔을 때, 상기 접점 돌기는 상기 접점부(411)에 접촉하거나, 설정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도어(200)가 닫혔음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가 닫힌 것으로 인식될 때에만, 상기 팬 모터(485) 또는 상기 가습필터 모터(353)가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송풍팬(480)이 구동하면, 공기 청정기 외부의 공기는 함몰부(30)를 경유하여 공기 흡입구(225)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225)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드로워(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는 에어필터 안착부(226)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필터면을 고르게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에서 필터링 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가습되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480)을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수조(26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상기 드로워(220)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되므로, 공기의 필터링 및 가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는 상기 송풍팬(480)의 축 방향으로 흡입되며, 반경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80)을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토출부(10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는 가습 공기청정기(10)의 전방 하부로 흡입되어 후방 상부로 배출되므로 유동 저항이 감소되고, 송풍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1)

  1. 제 1 측면, 제 2 측면 및 상기 두 측면의 전단에 결합되어 전면 개구를 규정하는 바를 포함하는 바디프레임;
    상기 제 1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패널;
    상기 제 2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바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 패널;
    상기 바의 전면과, 상기 제 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 2 측면 패널의 각각의 측면에 접촉되는 실링프레임;
    상기 실링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 개구를 가려주는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전면 개구로부터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를 포함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인입된 경우, 상기 실링프레임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두면은, 상기 전면 개구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바, 상기 제 1 측면패널 및 상기 제 2 측면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드로워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결합하는 레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가습 공기 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의 하단부 보다 위에 위치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저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프레임은 양측 하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 배치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바는, 상기 실링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 패널과 상기 제 2 측면 패널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패널, 상기 제 1 측면 패널, 상기 제 2 측면 패널 및 상기 상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재로 형성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 상기 제 1 측면 패널, 상기 제 2 측면 패널 및 상기 상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바디프레임을 향하는 내측 면에 다수의 우든홈이 새겨지는 가습 공기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든홈은, 상기 내측 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파여지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 상기 제 1 측면 패널, 상기 제 2 측면패널 및 상기 상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측 면에 금속 재질의 보강프레임이 삽입되는 가습 공기청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가이드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가이드 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드로워의 후측에 삽입된 가습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면 개구까지 인출되도록 최대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90006839A 2018-01-19 2019-01-18 가습 공기청정기 KR102172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7385 2018-01-19
KR1020180007385 2018-01-19
KR1020180026003 2018-03-05
KR20180026003 2018-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906A true KR20190088906A (ko) 2019-07-29
KR102172492B1 KR102172492B1 (ko) 2020-11-02

Family

ID=674806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53A KR102186418B1 (ko) 2018-01-19 2018-11-01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90006839A KR102172492B1 (ko) 2018-01-19 2019-01-18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90172080A KR102172487B1 (ko) 2018-01-19 2019-12-20 공기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53A KR102186418B1 (ko) 2018-01-19 2018-11-01 가습 공기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080A KR102172487B1 (ko) 2018-01-19 2019-12-2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186418B1 (ko)
CN (2) CN211233220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11U (ko) * 1995-06-29 1997-01-24 키보드의 원고받침대
JP2002291549A (ja) * 2001-03-30 2002-10-08 Gac Corp 冷蔵庫
KR20080055457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4519811U (zh) * 2015-01-28 2015-08-05 杨昕娜 具有空气净化功能的柜子及茶几、电视柜、家具
KR101619719B1 (ko) * 2015-10-26 2016-05-10 구동욱 목재패널 변형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250B1 (ko) * 2005-04-21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174032B1 (ko) * 2008-12-29 2012-08-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전기집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11U (ko) * 1995-06-29 1997-01-24 키보드의 원고받침대
JP2002291549A (ja) * 2001-03-30 2002-10-08 Gac Corp 冷蔵庫
KR20080055457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4519811U (zh) * 2015-01-28 2015-08-05 杨昕娜 具有空气净化功能的柜子及茶几、电视柜、家具
KR101619719B1 (ko) * 2015-10-26 2016-05-10 구동욱 목재패널 변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02A (ko) 2020-01-02
KR102186418B1 (ko) 2020-12-04
CN211233220U (zh) 2020-08-11
KR102172487B1 (ko) 2020-11-02
CN209672501U (zh) 2019-11-22
KR20190088868A (ko) 2019-07-29
KR102172492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198B2 (en) Air purifier
KR102172496B1 (ko) 가습 공기청정기
JP7442279B2 (ja) 空気清浄機
KR20070057486A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100010280A (ko) 공기 청정기
JP2022094943A (ja) 空気清浄器
KR20190088906A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160028291A (ko) 에어 워셔
KR102323338B1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CN213429042U (zh) 衣柜
KR10057531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JP4660031B2 (ja) 加湿機
KR100797154B1 (ko)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KR100998519B1 (ko) 오존수를 이용한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KR102635725B1 (ko) 테이블형 식물 공기정화기
KR20050017807A (ko) 화면노출 행잉형 공기정화, 살균탈취기
KR102640806B1 (ko) 식물 공기정화기
CN218588573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床头柜
JP2002035091A (ja) 空気清浄機
KR101087912B1 (ko)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KR20210038035A (ko) 침대 청소기
KR200333767Y1 (ko) 화면노출 행잉형 공기정화, 살균탈취기
KR100593077B1 (ko) 공기청정기
KR20240060977A (ko) 환기용 공기청정기의 이중 필터하우징 모듈
KR100564489B1 (ko) 공기청정기의 전면판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