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809A -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809A
KR20190088809A KR1020180007330A KR20180007330A KR20190088809A KR 20190088809 A KR20190088809 A KR 20190088809A KR 1020180007330 A KR1020180007330 A KR 1020180007330A KR 20180007330 A KR20180007330 A KR 20180007330A KR 20190088809 A KR20190088809 A KR 20190088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booster
air
diaphragm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140B1 (ko
Inventor
박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1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9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piston details, e.g. construction, mounting of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압 증폭장치의 상판에 가이드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공기통과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로,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의 서지탱크 사이에 밸브 하우징(10)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 및 벤츄리관(20) 일단부 하측에 수직으로 연통 연설되는 구멍(30)의 주변으로 원형 단턱부(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는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공간 유지용 돌기부(71)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부(7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20) 하부 양측에 형성된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 내부에는 중앙부를 향하여 다수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 사이에 에어 통로(33)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이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 단턱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 상기 단턱부(6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리브(100)가 다수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00)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끼움홈(210)이 다수 형성된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이 안착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BRAKE SYSTEM WITH NEGATIVE PRESSURE AMPLIFYINGAPPARATUS}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압 증폭장치의 상판에 가이드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공기통과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형화 및 고속화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주는 작은 답력으로 차량을 확실하게 제동시 킬 수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가 알려져 있으며, 이와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증대시키는 원리는 마스터 실린더와 별도로 파워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파워 피스톤에 진공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한 차압을 가하여 힘을 증대시켜 큰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는, 진공과 대기압과의 차압을 이용하는 진공식 브레이크 부스터와, 압축 공기 압력을 이용하는 압축공기식 브레이크 부스터가 알려져 있으며, 상기 진공식 브레이크 부스터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또는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부압과 대기압과의 차압을 부스터 내에 설치한 파워 피스톤에 작용시켜 큰 힘을 브레이크에 가해주는 장치인 것이다.
또한, 진공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공펌프 및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엔진룸 내의 좁은 공간내에 설치가 어렵게 됨은 물론, 차량의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어 통상적으로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같이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부압이 항상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고지대와 같이 공기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주위 환경에 따라 변화되게 되므로, 부스터에 필요한 부압을 항상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부스터측 진공을 증대시키기 위한 부압증폭기(Intensifier)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부압증폭기는 서지탱크의 부압에 의해 에어 클리너 측에서 들어온 공기가 부압증폭기에 설치된 벤츄리부를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지고 이와 동시에 발생하는 압력강화 현상(베르누이정리)를 이용하여 작동한다.
이와 같은 벤츄리 효과에 의해 부압 증폭이 가능한 차량용 브레이크 부압 증폭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7486호 및 제 10-1037019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레이크 부스터(1)와 엔진의 서지탱크(2) 사이에 마련되는 벤츄리관(3)의 목부분(4) 사이를 개폐하도록 전자의 경우 상기 벤츄리관(3)상에 일단이 연통 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브레이크 부스터(1)의 진공 포트와 연결 설치되는 부압 증폭 라인(5)에 체크밸브(6)(Check Valve)를 설치하거나, 후자의 경우 상기 벤츄리관(3)의 목부분에 수직으로 제1 체크 밸브(6a)와, 상기 부스터(1)와 서지탱크(2) 사이를 개폐하도록 제2 체크 밸브(6b)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벤츄리 효과에 의한 부압 증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6)(Check Valve) 또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6a, 6b)의 경우에는, 리턴 스프링(7)에 탄설되는 피스톤(8)과 상기 피스톤(8) 상측에 연설된 개폐용 연장부(9)가 러버부재(C)와 접촉하여, 브레이크 부스터(1) 내의 부압이 낮은 상태일 경우 상기 피스톤(8)에 가해지는 압력이 리턴 스프링(7)을 압축 변형 시키면서 러버부재(C)와의 면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따라 상기 피스톤(8)의 후단부가 가이드편(G)에 가이드되면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브레이크 부압 증폭기의 경우 브레이크 부스터(1) 내의 부압이 피스톤(8)에 탄설되는 리턴스프링(7)을 압축 변형 시켜 증폭시키는 관계로, 상기 벤츄리 효과에 의하여 증폭되는 부압이 상기 피스톤(8) 및 이에 탄설되는 리턴 스프링(7)을 압축 변형하기 위하여 소진되며, 이에따라 기대 이상의 부압 증폭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됨은 물론 전체적인 응답성이 저하되고, 체크밸브의 복잡한 구조에 의해 중량이 증가 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최근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의 서지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벤츄리관의 목부분 사이를 손쉽고,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경량의 격막(diaphragm)을 내설하여 부압을 증폭시키는 체크밸브가 미국 공개특허 US2013/0213510 A1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의 서지탱크 사이에 밸브 하우징(10)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벤츄리관(20)의 에어통로(21) 중앙인 폭이 좁아지는 목부분(22) 사이를 개폐하도록 상기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 하측에 수직으로 연통 연설되는 구멍(30)에 개폐용 제1 원형 격막(40)(diaphragm)이 개폐 가능토록 내설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격막(40)(50)(diaphragm)의 외주연에는 사각형 돌출부(41)(51)를 다수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격막(40)(50)의 사각형 돌출부(41)(51) 사이에 공간부(70)를 형성하여 상기 구멍(30)의 내부에 내설토록 되며, 상기 제1 격막(40)은 브레이크 부스터와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 사이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격막(50)은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엔진의 서지탱크의 유입구로 관통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는 제1 격막(40)을 통하여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으로 유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증가되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내부의 부압이 더 내려가 상기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과 서지탱크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 격막(40, 50)이 모두 열려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가 상기 제1, 제2 격막을 통하여 엔진 서지탱크로 이동되면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이 증폭된다.
그러나,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벤츄리관(20)의 구멍(30)을 개폐시키는 제1, 제2 원형격막(40, 50)은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원형 격막(40)(50)이 상기 구멍(30)의 내부에 내설되어 개폐되는 관계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가 상기 격막(41)(51)의 돌출부(41)(51)사이의 공간부(70)를 통하여 벤츄리관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협소한 공간부(70)를 통해 유입되는 소량의 에어에 의해 엔진 부스터의 부압이 크게 증폭될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특허등록 제10-1561680호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은 밸브 하우징(10)의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 및 벤츄리관(20) 일단부 하측에 수직으로 연통 연설되는 구멍(30)의 주변으로 원형 단턱부(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턱부(60)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공간 유지용 돌기부(71)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부(7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20) 하부 양측에 형성된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 내부에는 중앙부를 향하여 다수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 사이에 에어 통로(33)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돌출 설치되는 공간 유지용 돌기부(71)의 단부 내측에는 개폐용 제1 및 제2 격막(40)(50)이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는 밸브 하우징의 벤츄리관 목부분 및 일단부 하측에 수직으로 연통 연설되는 구멍에 개폐용 제1 격막 및 제2 격막을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엔진의 서지탱크로 유입되는 브레이크 부압을 가일층 증폭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런 발명의 경우 부압증폭기의 공기통과 면적은 증대되었으나 다이어프램형상과 내부 구조형상은 기존 부압증폭기와 유사하기 때문에, 유량통과 면적 증대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다이어프램 단면적 축소로 인해 공기통과시 다이어프램의 떨림은 기존 형상 대비 더 악화되었다.
즉, 부스터에 진공을 충전시킬 때 필연적으로 다이어프램이 부압증폭기의 다이어프램의 열리고 닫힘이 반복되는데 이때, 다이어프램이 부압증폭기의 상/하판 바디(body)를 불규칙하게 타격하거나 부압증폭기 자체의 팔랑거림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이를 고객이 인지하여 불만을 제기하였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8997호 (2005.07.05 공개)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906호 (2014.09.15 공개)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0175호 (2015.06.03 공개)
1. 한국 특허공보 제10-1561680호 (2015.10.13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유량통과면적을 증대시키고 다이어프램의 떨림을 최소한으로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의 서지탱크 사이에 밸브 하우징(10)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 및 벤츄리관(20) 일단부 하측에 수직으로 연통 연설되는 구멍(30)의 주변으로 원형 단턱부(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는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공간 유지용 돌기부(71)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부(7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20) 하부 양측에 형성된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 내부에는 중앙부를 향하여 다수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 사이에 에어 통로(33)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이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 단턱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 상기 단턱부(6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리브(100)가 다수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00)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끼움홈(210)이 다수 형성된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이 안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은 부스터 부압이 높을 때 부스터 측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동은 차단되고, 부스터 내의 부압은 형상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고, 부스터 부압이 낮을 때, 제1 및 제 2다이어프램(200,300)이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상에 안착되어 부스터 내의 공기가 엔진측이나 오리피스 측 홀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였다.
본 발명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부압 증폭장치의 상판에 가이드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공기통과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둘째, 기존에 부스터에 진공을 충전시킬 때 발생하는 부압증폭장치 자체의 팔랑거림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부압증폭장치 바디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에 알맞도록 다이어프램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팔랑거림을 방지하고, 상/하판 바디와 접촉시에도 전면접촉으로 불규칙 적인 이음을 방지할 수가 있다.
셋째, 다이어프램이 부압증폭장치의 가이드리브를 가이드 삼아서 거동하기 때문에 내구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다이어프램의 변형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또는 도 2는 종래의 서로 다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압 증폭기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종래의 또 다른 브레이크 부압 증폭기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단면 구조도, 주요부 평면구조도 및 벤츄리관의 구멍을 개폐하는 다른 격막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종래와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종래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이고, (b)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부스터 부압이 높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부스터 압이 낮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은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의 서지탱크 사이에 밸브 하우징(10)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 및 벤츄리관(20) 일단부 하측에 수직으로 연통 연설되는 구멍(30)의 주변으로 원형 단턱부(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는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공간 유지용 돌기부(71)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부(7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20) 하부 양측에 형성된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 내부에는 중앙부를 향하여 다수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 사이에 에어 통로(33)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이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기존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원형 단턱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 상기 단턱부(6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리브(100)가 다수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00)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끼움홈(210,310)이 다수 형성된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이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의 떨림방지 및 공기통과 면적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 특장점이다.
이때, 본 발명은 가이드리브(100)의 내경을 증대하고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의 외경은 유지하였다.
즉,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의 형상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100)의 형상에 맞도록 끼움홈(210,310)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이 가이드리브(100)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공기 통과시 다이아프램의 떨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특히, 다이아프램의 좌우 떨림 방지 가능) 결과적으로 기류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의 (a) 및 (b)는 종래와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종래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이고, (b)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를 나타낸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공기흐름 즉 공기통과 면적이 작은데 반하여, 본 발명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과 면적이 큼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부스터 부압이 높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부스터 압이 낮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스터부압이 높을 때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200,300)의 상부 쪽이 부스터측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동은 차단함으로써, 부스터 내의 부압은 현상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부스터부압이 낮을 때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200,300)의 하부 쪽이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상면 쪽에 밀착됨으로써, 부스터 내의 공기가 엔진측이나 오리피스 측 홀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부스터 내의 부압은 높아지게 된다.
이때, 부스터부압이 엔진 측이나 부압 증폭장치 부압과 같거나 높으면 제1 및 제2 다이아프램(200,300)은 다시 상부 쪽이 부스터 측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동은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이 가이드리브(100)를 가이드 삼아서 상하로 거동하기 때문에 내구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이어프램의 변형 방지 및 떨림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벤츄리관 31 : 에어 유입구
32 : 지지편 33 : 에어통로
60 : 원형 단턱부 70 : 공간부
71 : 공간유지용 돌기부
100 : 가이드 리브 200,300 : 다이어프램
210,310 : 끼움홈

Claims (5)

  1.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의 서지탱크 사이에 밸브 하우징(10)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벤츄리관(20)의 목부분(22) 및 벤츄리관(20) 일단부 하측에 수직으로 연통 연설되는 구멍(30)의 주변으로 원형 단턱부(6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는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공간 유지용 돌기부(71)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부(70)가 형성되고, 상기 벤츄리관(20) 하부 양측에 형성된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 내부에는 중앙부를 향하여 다수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 사이에 에어 통로(33)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원형 단턱부(60) 내주면에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이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 단턱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사이에 상기 단턱부(6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구멍(30)의 에어 유입구(3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리브(100)가 다수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00)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끼움홈(210,310)이 다수 형성된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이 안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은 부스터 부압이 높을 때 부스터 측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동은 차단되고, 부스터 내의 부압은 형상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은 부스터 부압이 낮을 때, 상기 공간 유지용 돌기부(71) 상에 안착되어 부스터 내의 공기가 엔진측이나 오리피스 측 홀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부압이 엔진측이나 부압 증폭장치 부압과 같거나 높으면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은 부스터 쪽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동을 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100)는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200,300)의 떨림방지 및 공기통과 면적을 확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KR1020180007330A 2018-01-19 2018-01-19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KR10247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30A KR102478140B1 (ko) 2018-01-19 2018-01-19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30A KR102478140B1 (ko) 2018-01-19 2018-01-19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09A true KR20190088809A (ko) 2019-07-29
KR102478140B1 KR102478140B1 (ko) 2022-12-16

Family

ID=6748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330A KR102478140B1 (ko) 2018-01-19 2018-01-19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2824A (zh) * 2019-12-31 2020-04-0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文氏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997A (ko) 2003-12-30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압 증폭장치가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
KR20140108906A (ko) 2013-03-04 2014-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증폭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50060175A (ko) 2013-11-26 2015-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113300A (ko) * 2014-03-27 2015-10-08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US9581258B2 (en) * 2014-01-20 2017-02-28 Dayco Ip Holdings, Llc Check valve with improved sealing memb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997A (ko) 2003-12-30 2005-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압 증폭장치가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
KR20140108906A (ko) 2013-03-04 2014-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증폭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50060175A (ko) 2013-11-26 2015-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US9581258B2 (en) * 2014-01-20 2017-02-28 Dayco Ip Holdings, Llc Check valve with improved sealing member
KR20150113300A (ko) * 2014-03-27 2015-10-08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KR101561680B1 (ko) 2014-03-27 2015-10-22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2824A (zh) * 2019-12-31 2020-04-0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文氏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140B1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2112A (en) Flow through cap for attenuating any noise caused by air flow in a pneumatic servomotor
KR10076748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압 증폭기
JPH06502712A (ja) 吸気機能付きチェックバルブ
KR20190088809A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KR20110109520A (ko) 브레이크 부스터의 파워 실린더
KR20120049152A (ko) 공압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체를 위한 필터 지지체를 구비한 밸브 리턴 스프링
US20050231028A1 (en) Master cylinder
KR101561680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KR101745068B1 (ko) 배기 브레이크
US4970939A (en) Plunger for a control valve of a servomotor
US5249505A (en) Poppet retainer for control valve
KR101704273B1 (ko)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US5117738A (en) Check valve and booster shell
JPH0117485Y2 (ko)
CN210799081U (zh) 单向阀挡油组件及车辆
CN215861764U (zh) 排气阀
KR100428098B1 (ko) 브레이크 부우스터의 대기압력 유지장치
KR20180029821A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기
JP3313252B2 (ja) エバポコントロ―ルバルブ
KR20180117940A (ko) 리저버 캡
US1608074A (en) Accelerator for dry-pipe-sprinkler systems
CN205841585U (zh) 一种活塞式弹簧制动缸
JP2574985Y2 (ja) エアモジュレータ
JPH1143034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S63254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