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537A -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537A
KR20190088537A KR1020197018940A KR20197018940A KR20190088537A KR 20190088537 A KR20190088537 A KR 20190088537A KR 1020197018940 A KR1020197018940 A KR 1020197018940A KR 20197018940 A KR20197018940 A KR 20197018940A KR 20190088537 A KR20190088537 A KR 2019008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fluid
alcoholic beverage
ethanol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988B1 (ko
Inventor
사미 가우핀
Original Assignee
와인밀 오와이
사미 가우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인밀 오와이, 사미 가우핀 filed Critical 와인밀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9008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1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distillation or rectification of fermented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0Vacuum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8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ethods for altering the composition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G3/02 - C12G3/07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3/00Methods for reduc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 to obtain low alcohol or non-alcoholic bever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3/00Methods for reduc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 to obtain low alcohol or non-alcoholic beverages
    • C12H3/02Methods for reduc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 to obtain low alcohol or non-alcoholic beverages by evap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2Small separation devices for domestic application, e.g. for canteens, industrial kitchen, washing mach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리셉터클(receptacle)(102, 202),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2 리셉터클(104, 204), 상기 제 1 리셉터클로부터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에도 연결되는 제 3 리셉터클(106, 206), 적어도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의 내부 압력을 낮추기 위해 적어도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진공을 생성하는 수단(211b) 및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 및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분별 장치(205)를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 음료에 대한 진공 증류를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상기 알코올 음료로부터 증발된 에탄올은 상기 분별 장치(205)를 통해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로 이동되어 상기 증발된 에탄올이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의 상기 유체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음료를 탈알코올화 하기 위한 장치(100, 2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알코올화에 상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통상적으로 본 발명은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에 관한 것이다. 제한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본 발명은 가정과 레스토랑에서 정밀하게 와인과 같은 음료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인은 적어도 신석기시대부터 생산되고 소비되고 있는 상품으로서 높게 평가를 받는 제품이다. 요즘 와인은 여전히 많이 소비되며 생산은 규제에 의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더욱이 전통은 특히 와인 양조법(wine making)에 긴 뿌리를 가진 국가에서 아마도 와인이 어떻게 생산되고 소비되는지를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와인의 알코올 함량(the alcohol by volume, ABV)은, 적어도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적어도 20-30년 동안 매 10년마다 약 1.5%의 증가율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알코올 함량(ABV)의 증가는 따뜻한 기후에서 자라는 포도와 와인의 ABV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더 많은 설탕의 생산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동시에, 와인 양조법의 규제와 전통은 와인의 ABV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이는 와인 양조법이 와인의 본질, 즉, 맛, 색상 및 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적은 탈알콜화 수단과 프로세스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많은 경우 와인의 에탄올 함량은 부산물이거나 와인의 본질을 증가시키는 촉매이다. 그러므로 에탄올 그 자체를 꼭 필요로 하지는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많은 경우 ABV가 높은 와인을 더 많이 소비함으로써 건강에 많은 단점을 갖고 있는 와인의 알코올을 많이 소비하게 된다. 와인의 관능적 및 건강적 특성을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는 증가된 알코올의 함량을 고려하여 소비를 제한해야 한다.
많은 탈알코올화 방법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첫 번째로, 음료 생산 공정 이전 및/또는 중에 사용될 수 있는 발효 전(발효 중) 생물학적 공정 및 발효 정지 기술이 존재한다. 두 번째로, 제조 된 음료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본 발명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종래 기술로부터 개념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중 일부는 흡착(수지,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 막여과, 증류 기법, 스피닝 콘 컬럼(spinning cone columns), 동결 농축, 유기용매 또는 초 임계 용제를 이용한 증발 또는 추출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시된 많은 탈알코올화 기술은 규모가 크고 일반적으로 대규모 산업 또는 실험실 수준의 생산 시설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일반 소비자, 식당 및 술집이 알코올 음료의 최종 소비자인 것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게다가, 많은 국가들의 현행법은 알코올 생산 및 취급에 엄격한 규정을 제정하여 언급된 음료 생산자들만 탈알코올화를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특히 알코올 음료를 탈알코올화하는 장치 및 공정과 관련된 전술한 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반적으로 청구 범위에 따른 장치 및 방법으로 달성 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과제는 알코올 음료로부터 제거된 에탄올 함량을 액체로 희석시켜서 기계로부터 에탄올 증류가 제조되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가정 및 식당 조건에서 알코올 음료를 편리하게 탈알코올화 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알코올 음료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탈알코올화를 가능한 부드럽게 수행하여 알코올 음료의 상태에 영향(예를 들어 조리 또는 동결에 의해)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와인과 맥주가 너무 많이 가열되면 맛과 양상이 변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이다.
장치에서 나온 순수한 에탄올을 장치로부터 배출하지 않는 것은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도수가 높은 알코올, 특히 에탄올 증류는 상기 장치로부터 제조할 수 없고 가연성 및 과민성 에탄올 가스는 기계로부터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기체 상태의 에탄올은 가연성이 높고 따라서 위험하며 또한 자극적인 냄새로 불편하여 기체 또는 액체 형태로 장치로부터 배출하지 않는 것이 실제 사용에 있어서 중요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 냉각 액체를 통한 진공을 생성하면 에탄올 증류가 상기 냉각 액체로 희석되어 결과적으로 에탄올 증기가 펌프 또는 장치 밖으로 이동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된 장점은 가정에서 상이한 기성품의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 장점은 궁극적으로 순수한 에탄올의 증류를 생성하지 않고 대신 에탄올 증기가 직접 응축되어 유체로 희석된다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이용을 통해 임의의 증류 제품을 생산 및 소비할 수 없기 때문에 가정용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게다가, 전술한 것은 본질적으로 장치 부품의 상호 관련 및 배열에 의해 달성되며, 결과적으로 에탄올 증류를 수집하기 위한 필터 또는 용기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특히 맛, 향 및 이러한 와인의 본질에 최소의 영향으로 와인의 탈알코올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탈알코올화 과정은 맥주, 강한 포도주 등과 같은 유사한 음료를 탈알코올화될 수 있도록 하지만 와인을 처리하는 데 가장 적합한 조건을 가지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리셉터클(receptacle);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2 리셉터클;
상기 제 1 리셉터클로부터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에도 연결되는 제 3 리셉터클;
적어도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의 내부 압력을 낮추기 위해 적어도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진공을 생성하는 수단(211b); 및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 및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분별 장치(205);를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 음료에 대한 진공 증류를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상기 진공은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 및 상기 분별 장치(205)를 통하여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로 생성되고, 상기 알코올 음료로부터 증발된 에탄올은 상기 분별 장치(205)를 통해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로 이동되어 상기 증발된 에탄올이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의 상기 유체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음료를 탈알코올화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 음료는 와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리셉터클은 상기 제 3 리셉터클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 3 리셉터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리셉터클은 상기 제 1 리셉터클과 별개의 리셉터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별 장치는 분별 컬럼을 포함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 2 리셉터클 내의 상기 유체는 상기 증기를 액체 나아가 상기 유체 자체 내로 응축시키기 위한 상기 컬럼 내의 상기 증기를 냉각시키는 상기 분별 장치와 상호작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별 장치는 상부에 캡(cap) 부분이 있는 개방형 분별 컬럼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캡 부분은 상기 에탄올 증기에 대한 응축 표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별 장치(205)의 이전 또는 상기 분별 장치에서 상기 진공 증류의 제 1 증기를 수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증기는 상기 제 1 리셉터클(102, 202)로 유도되고, 상기 제 1 증기는 내부의 유체와 혼합된다. 상기 제 1 증기는 마이크로 버블 디퓨저(micro bubble diffuser)와 같은 디퓨저를 통해 상기 제 1 리셉터클로 유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알코올 음료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제 3 리셉터클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 3 리셉터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리셉터클 및/또는 그 내부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분별 장치를 효율적으로 냉각함으로써 상기 분별 장치에서 응축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냉각 액체의 양과 온도는 상기 분별 장치에서 바람직한 응축 효율의 관점에서 제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별 장치는 두 상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 1 상은 상기 진공 증류의 상기 제 1 증기를 상기 제 2 리셉터클 보다 다른 리셉터클로 유출시키고 제 2 상은 에탄올 증기를 상기 제 2 리셉터클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별 장치는 두 상의 밸브 메커니즘 또는 도관(conduit) 배열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상은 상기 제 1 증기를 상기 진공 증류된 알코올 음료로부터 상기 제 1 리셉터클로 내보내고 제 2 상은 에탄올 증기를 상기 제 2 리셉터클로 유도한다. 상기 밸브의 작동은 타이밍 또는 목표 압력과 관련하여, 즉 타이머 혹은 진공 펌프에 의해 유도된 압력 변화와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휘발성 에스테르 및 상기 알코올 음료의 처리에서 약 10-20 초 초기에 형성되는 것 등과 같은 상기 제 1 증기는 상기 제 1 리셉터클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알코올된 상기 알코올 음료는 탈알코올된 후에 상기 제 3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제 1 리셉터클로 흐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탈알코올화된 알코올 음료 일부를 처리하지 않은 알코올 음료와 혼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것은 상기 탈알코올화된 알코올 음료 및/또는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탄올-유체 혼합물은 상기 제 2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제 3 리셉터클로 흘러가고 탈 알코올화된 음료가 상기 제 3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제 1 리셉터클로 흘러간 후 장치 밖으로 유출된다. 이것은 상기 제 3 리셉터클을 세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에탄올-유체 혼합물은 상기 장치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상기 도관들, 상기 밸브들 및 상기 리셉터클들을 통해서 운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리셉터클에서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는 단계;
제 2 리셉터클에서 유체를 수용하는 단계;
유체가 실질적으로 비알코올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진공 증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알코올 음료를 낮은 압력 및 적합한 온도 조건으로 세팅(setting)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음료로부터 에탄올 증기를 추출하는 시간 동안 상기 압력 및 온도 조건을 유지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에탄올 증기를 분별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 2 리셉터클로 유도하는 단계;
액체 증류액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분별 장치를 통해서 이동하는 상기 에탄올 증기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체 증류액을 상기 분별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리셉터클 내의 유체로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를 탈알콜화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 음료의 초기 알코올 도수(alcohol by bolume, ABV)를 결정하는 단계의 방법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 음료의 목표 알코올 도수와 관련되는 시간 동안 압력 및 온도 조건을 유지하는 단계의 방법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증류는 제 3 리셉터클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과 온도의 목표 값은 에탄올이 49 ℃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기화되도록 에탄올 - 물 용액의 진공 증류를 일으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 음료로부터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증기는 상기 분별 장치를 통해서 상기 유체와 혼합되지 않고 탈알콜화되지 않은 알코올 음료와 유도되거나 혼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의 객관적인 기술적 문제는 공정의 결과로서 순수한 에탄올 증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상이한 기성품의 알코올 음료를 탈알코올화가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다. 많은 나라들이 집에서 알코올을 제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것은 가정에 적용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이전에 제시된 고려 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 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들의 유용성은 각각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쟁점들로부터 발생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예시적인(exemplary)"라는 용어는 유일한 또는 오직 선호하는 옵션이 아닌 예시 또는 예와 유사한 특징을 의미한다.
"탈알코올화(dealcoholization)" 및 "탈알코올화 하는(dealcoholized)"이라는 용어는 알코올 음료의 알코올(에탄올) 함량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는 주로 알코올 음료의 알코올 함량을 줄임으로써 알코올 음료의 알코올 함량을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비록 탈알코올화의 결과로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에탄올이 없는 제품을 달성했다고 하더라도, 상기 용어는 탈알코올화의 결과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에탄올이 없는 제품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용해(dissolve)"라는 용어는 에탄올 증류액 또는 기화된 에탄올과 유체의 용해 및/또는 혼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첨부된 종속항들에서 개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검토되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음료를 탈알코올화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장치(100)는 본질적으로 물 및 알코올성 유체와 같은 유체가 이송될 수 있는 제 1 리셉터클(102), 제 2 리셉터클(104) 및 제 3 리셉터클(106)을 유체들 사이에 포함한다.
상기 제 1 리셉터클(102)은 탈알코올화 될 알코올 음료를 흡입 및 함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1 리셉터클(102)은 바람직하게는 진공 프루프 스크류 클로저(vacuum proof screw closure), 캡(cap), 밸브(valve) 또는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다른 진공 프루프 수단(vacuum proof means)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리셉터클(102)은 또한 냉각 코일(cooling coil), 냉각 루프(cooling loop(s)), 또는 알코올 음료와 같은 유체를 냉각하기 위한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셉터클(102)에서 상기 알코올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은 상기 제 1 리셉터클(102) 내부에 내부 리셉터클(inner receptacle)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리셉터클은 냉수 또는 얼음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제 1 리셉터클(102)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냉각 수단은 냉각 유체 및/또는 얼음을 순환시키기 위한 자체 도관(own conduit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셉터클(104)은 바람직하게 진공 프루프 스크류 클로저(vacuum proof screw closure), 캡(cap), 밸브(valve) 또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다른 진공 프루프 수단(vacuum proof means)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는 물 또는 다른 비알코올성 유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100)의 기술적인 견지에서, 만약 상기 장치가 상기 알코올 유체의 알코올 도수를 높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면 알코올 유체 또한 상기 제 2 리셉터클(104)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셉터클(104)은 또한 상기 제 3 리셉터클(106)과 적어도 기능적으로 연결된 분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분별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리셉터클(10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분별 컬럼을 포함하고, 상기 분별 컬럼은 상기 수단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분별 컬럼은 예를 들어, 비그럭스 컬럼(Vigreux column)을 포함한다. 상기 분별 컬럼은 바람직하게는 콘덴서 도관(condenser conduit) 또는 컬럼을 둘러싸는 캡 부분(cap part)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컬럼에서 나온 상기 에탄올 증기 및 응축액이 상기 주변 액체 내로 이동하도록 강제된다.
상기 제 3 리셉터클(106)은 바람직하게는 와인을 끓이는 탱크(wine boiling tank)로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추가적으로 상기 제 3 리셉터클(106)은 상기 제 2 리셉터클(104)에서 유체와 혼합된 증류된 에탄올의 폐기물을 상기 제 2 리셉터클(104)로부터 상기 제 3 리셉터클(106)로 상기 혼합물을 운반함으로써 저장 및 처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수단 및 진공 펌프 또는 흡인기 수단은 상기 액체 회로를 통해서 상기 제 3 리셉터클(106)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들(102, 104 및 106)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플라스틱, 유리, 강철, 알루미늄 또는 충분히 알코올을 견딜 수 있는 다른 재료 또는 이러한 재료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들(102, 104 및 106)은 동일한 재료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적어도 진공 하에 놓이는 상기 리셉터클들은 진공 증류 조건을 바람직하게는 약 90-95% 또는 85-90%, 또는 95-99% 진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진공 프루프 재료, 구조 및 밀봉 수단을 포함해야 한다.
상기 장치(100)는 또한 예를 들어 와인 또는 맥주 병, 유리 잔, 또는 이러한 용기일 수 있는 외부 리셉터클(108) 내로 탈알코올화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배출구(spout)와 같은 유체(110)를 이송 및/또는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도관은 외부 리셉터클(108)로부터 액체를 꺼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의 기능은 회전 가능한 및/또는 가압 가능한 노브(knob)와 같은 입력 수단(input means)(1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의 설정은 탈알코올화 공정을 위한 입력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114)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user interface means)과 같은 다른 것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수단 및 인터페이스 수단은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M2M 통신 수단, 외부 서버 및 클라우드 컴퓨팅 수단과 같은 IoT 수단은 상기 장치(100)의 기능, 제어 및/또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또한 도관 및 리셉터클들 및 그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인클로저(enclosure)(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립 트레이(drip tray)(118)은 상기 장치(100)의 작동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overflow) 및 어느 드립(drips)을 수집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200)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은 또한 도관을 통해 제 3 리셉터클(206)과 연결되며, 도관은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은 또한 냉각 수단(20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은 스크류 클로저(screw closure) 또는 리드(lid)를 갖는 컬럼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클로저(closure)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의 상기 냉각 수단(203)은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에 수용된 알코올 음료의 온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냉각 수단은 또한 저장 및/또는 서빙(serving)을 위한 특정 온도에서 상기 알코올 음료를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반대로, 상기 제 1 리셉터클(202)는 상기 제 1 리셉터클(202) 내에 있는 상기 알코올 음료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열 및/또는 냉각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수단(203)은 서빙(serving) 전에 상기 알코올 음료의 온도를 설정하는데 유용한데, 즉, 상기 장치(200)로부터 상기 알코올 음료를 유출시키지만, 이러한 수단은 진공 증류 조건을 용이하게 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음료의 적어도 일부분을 탈알코올화시키기 위해 상기 알코올 음료의 적어도 일부분의 온도를 진공 증류 공정에서 상승시키고 상기 알코올 음료는 상기 알코올 음료의 냉각을 위해서 탈알코올화 후 상기 제 1 리셉터클(202)로 다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알코올 음료의 용기로부터 상기 제 1 리셉터클(202)로 주입된 소정의 양의 알코올 음료는 밸브(209a)의 제어를 통해서 제 3 리셉터클(206)로 흐르게 되고, 선택적으로 펌프(211a)의 작동을 통해서 일 수 있다. 유량계(207)는상기 제 3 리셉터클(206)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알코올 음료의 양을 검출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상기 알코올 음료의 특정 부분만을 진공 증류 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알코올 음료의 양은 공정 중에 진공 증류된 알코올 음료의 최종 알코올 함량을 평가 및/또는 제어하기 위해서 알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것은 탈알코올화된 상기 알코올 음료의 일부와 상기 제 1 리셉터클(202) 내에서 처리되지 않은 알코올음료와 혼합될 때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전술한 고려 사항은 최종 생성물의 최종 알코올 함량에만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상기 장치(200)의 기계적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제 1 리셉터클(202)로부터 상기 제 3 리셉터클로 흐르는 상기 유체는 밸브(209a) 그리고 펌프(211a) 또는 펌프(211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셉터클(204)은 물 또는 이와 같은 저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유체가 첨가된다. 선택적으로, 경우에 따라서 와인과 같은 알코올 유체가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의 유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유체의 유형은 상기 유체 내의 상기 에탄올의 용해도를 개선시키는 냉각 특성에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체의 양은 분별 장치(205)의 유형 및 기능(functioning)뿐만 아니라 분별 장치 배열의 선호되는 냉각 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게다가, 유체의 양은 또한 냉각수 또는 다른 유체의 목표 알코올 함량 및 진공 증류의 추출된 에탄올 용액 결과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의 유체의 주요 기능은 에탄올 증류가 상기 장치(200) 또는 상기 펌프(211b)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에탄올 증류를 희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 2 리셉터클 내의 유체의 부차적인 선택적 기능은 상기 분별 장치(205)를 냉각시키고 에탄올 증기의 응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제 3 리셉터클(206)에서, 상기 알코올 음료는 진공 펌프(211b), 흡인기 또는 이와 같은 상기 밸브(209c)를 통해서 상기 제 2 리셉터클 및 제 3 리셉터클에 진공 조건을 생성함으로써,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알코올 음료의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키고 상기 알코올 음료로부터 에탄올을 증발시키기 위한 압력에 따라서 진공 증류 조건을 가져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209b 및 209a)는 진공 증류 공정 중에는 폐쇄됨으로써 상기 진공은 상기 분별 장치(205)를 통해서 상기 제 3 리셉터클(206)로 더 운반되는 진공 조건에서 상기 제 2 리셉터클(204)로 먼저 생성된다. 기화된 에탄올은 분별 컬럼 및 상기 분별 장치를 둘러싸는 캡 부분(cap part)(여기에서 캡 부분은 다른 단부로부터 닫혀있고 상기 분별 장치를 세트 오버(set over)한 실린더로서 도시 됨)으로 도시된 분별 장치(205)로 상승하고, 상기 컬럼 주위의 캡 부분은 상기 제 2 리셉터클(204)로부터 추가된 유체(상기 유체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상기 에탄올 증기는 상기 분별 장치(205)로 이동하여, 제 2 리셉터클(204) 또는 캡 부분의 내부 표면의 유체 안에 단부가 잠긴 콘덴서 도관과 같은 분별 장치의 구성(part)에서 응축되고, 상기 응축된 에탄올은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고 응축액으로서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의 유체와 혼합되고 및/또는 직접적으로 기체상, 즉, 에탄올 증기로부터 상기 유체의 표면과 직접 용해된다. 상기 에탄올 증기의 일부는 유체로 직접 그리고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의 유체를 통해서 기포로서 이동할 수 있지만 어떤 일부는 에탄올 가스, 예를 들어 액체로부터의 버블링(bubbling)의 양이, 너무 높게 자라지 않는 한 허용된다. 이러한 소량은 필터 또는 예를 들어 주입구 밸브(inlet valve)(209c) 또는 진공 펌프(211b)와 같은 것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도 2의 분별 장치(205)는 본질적으로 상기 제 3 리셉터클로부터 나오는 증기를 운반하기 위해 연결된 컬럼과 상기 컬럼의 주위에 위치되는 외부 인클로징(outer enclosing) (캡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증기는 컬럼을 통해서 이동하고 상기 분별 장치(205)의 상기 캡 부분의 내부 표면에서 응축하며 상기 응축액은 상기 캡 부분의 하부 한계 및 상기 캡 부분과 상기 응축액이 상기 제 2 리셉터클(204)의 내부의 유체와 혼합되는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상기 유체 및 상기 캡 부분과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사이의 공간을 통한 제 2 리셉터클(204)로부터의 진공으로 인해, 상기 에탄올 응축액은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부의 상기 유체로 이동된다(상기 에탄올 응축액은 유체의 벽의 어느 지점에서 필수적으로 만난다). 내부 튜브(inner tube)와 외부 인클로저(outer enclosure) 사이에서 응축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캡 부분과 분별 컬럼의 배열을 포함하는 도시된 분별 장치(205)의 관점에서, 상기 유체는 상기 유체의 높이를 상승 시키는 원인이 되는 상기 제 2 리셉터클(204)에 진공을 생성한 후에도 상기 분별 장치(205)의 캡 부분이 상기 유체에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진공을 먼저 상기 제 2 리셉터클(204)에서, 그리고 상기 분별 장치(205)를 통해서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에서 생성하는 것은 유체가 상기 캡 부분과 상기 분별 컬럼 사이로부터 부분적으로 빠져 나오는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에서 상기 유체의 수면이 상승하는 것을 야기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유체의 높이가 상기 캡 부분 외부 표면에 대향하여 상기 분별 장치(205)의 밖으로 상승하는 것을 야기하고, 따라서 상기 유체 높이는 언급한 것처럼 상기 분별 장치(205)의 밖으로 상기 유체가 빠져 나오는 것에 따라서 상기 분별 장치 내에서 감소하는 것을 야기한다. 전술한 것은 결국 상기 분별 장치(205)의 내부의 유체가 없는 내부 체적(volume)을 증가시켜 넓은 캡 부분의 외부 영역이 유체에 의해 둘러 싸이게 하고 넓은 캡 부분의 내부 표면은 유체가 없어져, 결국 상기 에탄올 증기가 상기 캡 부분과 상기 분별 컬럼(상기 컬럼의 외부 벽) 사이의 표면에서 더 효과적으로 응축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분별 장치(205)의 캡 부분의 외부(상기 제 2 리셉터클(204)과 캡 부분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유체의 높이는 상기 캡 부분(상기 분별 컬럼 옆의 벽 영역)의 내부 공간에서 분별장치의 냉각 영역을 증가시키면서 상승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204)에서 생성된 진공과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에서 증발된 에탄올에 기인한 약간 높은 압력에 의해 야기된 상기 진공 펌프의 방향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진공으로 인해 상기 캡 부분과 상기 컬럼 사이의 상기 유체의 높이가 감소한다. 상기 에탄올 증기가 응축되기 위한 더 넓은 공간 또는 면적을 갖는 것은 상기 에탄올이 기체 상태의 에탄올로서가 아닌 응축된 액체로서 상기 액체에 들어간다는 관점에서 유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은 진공 증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가열 수단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며, 코일과 같은 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수단은 상기 제 3 리셉터클의 액체 외부에 잠겨있거나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209a)는 4 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209d)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와 같은 2 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밸브(209c)는 공기 릴리프(relief)를 갖는 3 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밸브(209b)는 공기 주입구(inlet) 및/또는 공기 릴리프를 갖는 3 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덕빌 밸브(duckbill valve)와 같은 진공 릴리프 밸브(vacuum relief valve) 또는 배기구(vent)(209e)는 또한 상기 분별장치(205)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증류 반응은 진공 증류가 끝나는 것 및/또는 전력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기 진공 펌프의 오작동 후에 상기 제 3 리셉터클(206) 내의 상기 유체가 냉각된다면 상기 제 3 리셉터클(206) 내에 더 높은 진공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따라서 압력의 차이는 상기 장치의 붕괴 또는 고장의 위험 없이 설명될 수 있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진공 증류 조건은 약 49℃의 최대 온도 및 상기 온도와 상응하는 진공 조건을 포함한다(상이한 온도 조건이 가능함). 에탄올-물 혼합물(에탄올-물 혼합물 상 다이아그램(phase diagram)에 따라서)을 진공 증류하기 위한 기본 조건 및 다른 실현 가능한 조건은 당 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약 49℃의 상한선은 와인에 과도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와인을 가열하기 위해 인정되는 상한선입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진공 증류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약 90-95% 또는 85-90%, 또는 95-99%의 진공을 포함한다. 전자의 두 진공 범위는 가열 수단이 사용될 때 적합할 수 있고 후자의 진공 범위는 대기 온도에서 작동할 때와 같이 가열 수단이 없을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임의의 바람직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200)는 상기 제 2 리셉터클과 상기 제 3 리셉터클 사이 에서 또는 안에서 온도(T) 및 압력(P)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에 온도 검출 수단(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은 상기 제 2 리셉터클 내의 상기 유체를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의 상기 유체의 일부는 상기 밸브(209a)를 통해서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체가 물인지 알아내는 절차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유체의 2cl과 같은 소량이 상기 제 3 리셉터클(206)로 유도되고,
2) 상기 유체는 진공 조건 하에 놓여지고 온도는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에서 상승되고,
3) 상기 유체의 3cl은 신속하게 끓여지고 상기 온도 및 압력은 상기 압력 및 온도 센서(P, T) 또는 이러한 수단으로 모니터링 된다.
상기 제 2 리셉터클 내의 유체는 또한 사용자, 알코올 및 추출 미터 또는 적절한 센서에 의해 에탄올 함량에 대해 분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200)는 진공 증류 조건이 상기 제 1 증기를 유도하지 않고 상기 냉각 액체를 통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상기 제 1 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진공 증류 조건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상기 제 1 증기가 상기 에탄올이 증발을 시작하기 전 및/또는 동시에(예를 들어, 적절한 조건 하에서 약 20초) 에스테르 및 이러한 휘발성 화합물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이러한 화합물들(에탄올 제외)은 향기, 맛 등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인에 여러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휘발성 화합물들은 예를 들어 상기 밸브(209a)의 제어를 통해서 도관(213)을 통해서(분별 장치로 가는 것 대신에)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에서 상기 휘발성 화합물들이 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화합물들이 상기 제 1 리셉터클(202) 내의 상기 유체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퓨저는 자신의 주입구가 요구되지만 마이크로-버블(micro-bubble) 디퓨저는 상기 제 1 리셉터클(202) 내의 유체와 휘발성 화합물들을 혼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 리셉터클(206) 내의 알코올 음료의 진공 증류가 수행 된 후에 상기 알코올 음료는 탈알코올화 되며(목표 알코올 함량(ABC)은 예를들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됨), 상기 탈알코올화된 유체는 상기 제 1 리셉터클로 흘러 들어가며, 이는 상기 제 1 리셉터클 내의 소정의 양의 처리되지 않은 원래의 알코올 음료와 같은 임의의 유체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셉터클 내의 상기 알코올 음료 또는 이러한 유체는 상기 밸브(209d) 및 분배장치(201)를 통해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의 상기 에탄올-유체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혼합물을 상기 혼합물을 처리 및 세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상기 제 3 리셉터클(206)로 흘려보내는 것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탄올-유체 혼합물은 아웃풋 도관(output conduit) 및 밸브를 통해서 하수도 시스템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드레인(drain)/아웃렛(outlet) 도관으로 직접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는 그들이 수동으로 처리해야 하는 마일드 에탄올-물 혼합물을 남겨두거나, 상기 장치(200)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에탄올 혼합물에 전혀 접근하지 못하는 것과 같이 상기 혼합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제 2 리셉터클(206)은 장점을 가지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오직 하나의 냉각 코일이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내의 상기 알코올 음료 및 상기 유체를 냉각하기 위해 필요하며, 왜냐하면 상기 유체가 냉각을 위해 상기 제 2 리셉터클(204)로부터 상기 제 1 리셉터클로 유도되는 동안 상기 와인은 상기 제 3 리셉터클로 퍼내어 졌기 때문이고, 그 후에 상기 유체를 진공 증류 공정 중에 상기 분별 장치 내의 상기 에탄올 증기를 액화시키기 위해 냉각을 제공하는 상기 제 2 리셉터클(204)로 유도될 수 있다.그에 반해서, 상기 제 1 리셉터클(202)의 내부 또는 일부분에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을 갖는 것은 시스템이 보다 간편하고 리셉터클(202, 204 및 206) 사이의 어느 유체들을 옮길 필요를 줄이면서 상기 알코올 음료를 상기 제 1 리셉터클(202) 내에서 직접적으로 진공 증류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알코올 음료 자체와 같은 외부 용기(208)는 제 1 리셉터클(202)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관 자체가 상기 병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진공 증류는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및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에 의해 수행되며, 이는 이 실시예에서 벨브 제어로 상기 제 2 리셉터클(204) 및 상기 제 3 리셉터클(206)에만 진공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 1 리셉터클(202)과는 별도의 리셉터클인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들 및 도관 시스템은 다른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장치(200)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에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인 것은 본 기술과 관련된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것이다. 당면한 발명을 위해, 액체 및 가스의 수송 및 공정을 위한 시스템에서 명백한 기능 및 상호 관련된 역할은 필수적이며 본 발명은 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장치(200)의 실현 가능한 사이즈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제 1 컬럼 및 상기 제 2 컬럼은 예를 들어 1600ml-2000ml(그림과 같은 컬럼 프로파일(profiles) 포함)의 부피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3 리셉터클은 일반적으로 750ml 병의 와인을 탈 알코올화하기에 적합한 부피인 예를들어 1000ml-1200ml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필수적으로, 상기 장치(200)는 주방 테이블 용 기기의 크기일 수 있다. 그러나 명백하게, 본 발명은 당 업자가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확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인을 탈알코올화하는 공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명백하게, 다른 음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예시적인 장치 기능 및 기능성 중 일부의 명백한 묘사를 위해 와인이 사용된다.
시작(start-up)이라고 칭하는 단계 302에서,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사용자의 입력(input)과 관련되어 시작(set up)된다. 상기 시작(set up)은 적어도 탈알코올화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4에서, 사용자는 소정의 양의 와인을 탈알코올화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주입한다.
단계 306에서 상기 와인의 알코올 함량(ABV)은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input)을 통해서 결정된다. 상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원래 와인의 용기에서 ABV를 얻을 수 있다.
단계 308에서, 상기 와인의 목표 ABV는 즉, 탈알코올화 후 상기 ABV가 결정된다. 상기 목표 ABV는 미리 결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소정의 양의 유체는 상기 장치에 주입되며, 상기 유체는 상기 와인과 다른 장소에 추가됨으로써 상기 와인과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에 첨가되는 상기 유체의 양은 적어도 탈올코올화를 위해 상기 장치에 추가되는 상기 와인의 양과 같다.
단계 312에서, 단계 310에서 추가된 상기 유체는 적합하고 적어도 주로 저-알코올성 또는 완전히 알코올이 없는 유체인지 여부를 확인된다. 상기 유체의 에탄올 함량은 예를 들어 사용자, 알코올 및 추출 미터 또는 적합한 센서에 의해서 결정된다. 적어도 임의의 알코올 함량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하고, 또는 어떤 경우에는 상기 유체에 알코올 함량이 얼마나 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어떤 경우에 상기 유체는 또한 주스, 차, 커피 또는 이러한 것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유체가 에탄올-물 혼합물과 같은 비-적합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공정은 새로운 유체가 추가될 때까지 종료되어야 하고, 310 및 312 항목에 따라서 분석되어야 한다. 만약 물 또는 이와 같은 적합한 비-알코올성 유체가 검출되면, 상기 공정은 314항목으로 진행한다.
단계 314에서, 상기 와인은 예를들어 진공 펌프 흡인으로 진공 증류 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동된다. 상기 와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유량계로 모니터링된다. 상기 물은 또한 진공 하에 가져올 수 있고, 상기 물의 부피는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모니터링되는 와인의 양보다 적은 물과 같이 매우 적은 양의 물이 감지되면, 공정을 제어하기 위해 더 많은 물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물은 또한 상기 분별 장치 내에서 이동하는 에탄올 증기의 액화를 더 유용하게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약 8-10℃의 온도에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와인의 일부는 진공 증류 공정 하에 놓이지 않는 일부 장소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미처리된 양은 또한 냉각될 수 있다. 탈알코올화될 와인의 양은 약 90-95% 진공의 진공 조건 및 약 35-40℃의 온도 하에 놓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어떤 경우에도 와인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야기하는 높은 온도로 확인된 온도인 49℃이상 높으면 안 된다. 대신에, 85-90%, 또는 95-99%의 진공을 사용할 수도 있다. 넓은 의미에서, 당업자는 진공 증류에 따라 상이한 실행할 수 있는 조건을 이해할 것이다.
단계 316에서, 상기 에탄올은 분별 장치를 통해서 증발되고 이동하며, 상기 분별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비알코올성 유체를 냉각하는 것은 상기 에탄올 증기를 액화시키고, 액화된 에탄올 증기는 상기 분별 장치를 통해서 상기 물로 이동된다. 선택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에탄올 증기는 분별 장치를 통해서 또는 상기 물에 응축될 수 있는 상기 물의 표면에 혹은 근접하여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상기 에탄올의 일부는 거품으로서 상기 물을 통과할 수 있지만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려될 수도 있다.
318 단계에서, 특정한 양의 에탄올(목표 ABV에 따른 것 및 다른 용기 안의 미처리된 와인의 가능한 양)이 상기 와인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상기 진공은 풀어지고 상기 탈알코올화된 와인은 다른 용기로 펌핑될 수 있다. 거기에서 상기 탈알코올화된 와인은 상기 미처리된 와인과 혼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냉각은 와인을 분배 및 소비하기 위해 또는 저장 및 보호하기 위해서 특정 온도를 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인은 또한 와인의 저장 조건 및 보존을 개선하기 위해 진공 하에서 가져오게 될 수 있다.
폐기물로 보이는 상기 에탄올-물 혼합물은 배수구(drain outlet)으로 유도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처리되도록 남겨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물은 원래 와인의 ABV보다 높을 수 없고 실제로는 항상 상당히 농도가 더 적어서 상기 사용자는 시작 와인 보다 높은 ABV의 어떤 것도 남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와 그와 상응하는 것들에 의해 결정된다.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추가적인 실시예, 모든 변경, 조합,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리셉터클(receptacle)(102, 202);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제 2 리셉터클(104, 204);
    상기 제 1 리셉터클로부터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에도 연결되는 제 3 리셉터클(106, 206);
    적어도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의 내부 압력을 낮추기 위해 적어도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진공을 생성하는 수단(211b); 및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 및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분별 장치(205);를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 음료에 대한 진공 증류를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상기 진공은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 및 상기 분별 장치(205)를 통하여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로 생성되고, 상기 알코올 음료로부터 증발된 에탄올은 상기 분별 장치(205)를 통해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로 이동되어 상기 증발된 에탄올이 상기 제 2 리셉터클(104, 204)의 상기 유체에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음료를 탈알코올화 하기 위한 장치(100, 2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셉터클(102, 202)은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 3 리셉터클로 구성되는 것인, 장치(100, 2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리셉터클(106, 206)은 상기 제 1 리셉터클(102, 202)과 별개의 리셉터클인 것인, 장치(100, 200).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별 장치(205)는 분별 컬럼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100,200).
  5.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별 장치는 상부에 캡(cap) 부분이 있는 개방형 분별 컬럼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캡 부분은 상기 에탄올 증기에 대한 응축 표면을 제공한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별 장치(205)의 이전 또는 상기 분별 장치(205)에서 상기 진공 증류의 제 1 증기를 수집하는 수단(209a)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100, 200).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기는 상기 제 1 리셉터클(102, 202)로 유도되고, 상기 제 1 증기는 내부의 유체와 혼합되는 것인, 장치(100, 200).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기는 마이크로 버블 디퓨저(micro bubble diffuser)와 같은 디퓨저를 통해 상기 제 1 리셉터클(102, 202)로 유도되는 것인, 장치(100, 200).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음료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제 3 리셉터클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 3 리셉터클에 위치하는 것인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셉터클 및/또는 그 내부의 유체를 냉각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 1 리셉터클에서 알코올 음료를 수용하는 단계(304);
    제 2 리셉터클에서 유체를 수용하는 단계(310);
    유체가 실질적으로 비알코올인지를 결정하는 단계(312);
    진공 증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알코올 음료를 낮은 압력 및 적합한 온도 조건으로 세팅(setting)하는 단계(314);
    상기 알코올 음료로부터 에탄올 증기를 추출하는 시간 동안 상기 압력 및 온도 조건을 유지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에탄올 증기를 분별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 2 리셉터클로 유도하는 단계(316);
    액체 증류액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분별 장치를 통해서 이동하는 상기 에탄올 증기를 냉각시키는 단계(316); 및
    상기 액체 증류액을 상기 분별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리셉터클 내의 유체로 유도하는 단계(316);
    를 포함하는 알코올 음료를 탈알콜화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음료의 알코올 도수(alcohol by bolume, ABV)를 결정하는 단계의 방법 항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음료의 목표 알코올 도수와 관련되는 시간 동안 압력 및 온도 조건을 유지하는 단계의 방법 항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증류가 제 3 리셉터클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197018940A 2016-11-29 2017-11-29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66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65906A FI127521B (en) 2016-11-29 2016-11-29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LCOHOLIC BEVERAGE
FI20165906 2016-11-29
PCT/FI2017/050844 WO2018100247A1 (en) 2016-11-29 2017-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alcoholic beverage dealcoholiz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537A true KR20190088537A (ko) 2019-07-26
KR102566988B1 KR102566988B1 (ko) 2023-08-14

Family

ID=6224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940A KR102566988B1 (ko) 2016-11-29 2017-11-29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66922B2 (ko)
EP (1) EP3548596B1 (ko)
JP (1) JP7076719B2 (ko)
KR (1) KR102566988B1 (ko)
CN (1) CN109072148B (ko)
AU (1) AU2017369762B2 (ko)
CA (1) CA3045225A1 (ko)
FI (1) FI127521B (ko)
WO (1) WO2018100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5130B1 (en) * 2020-07-27 2023-06-07 API Schmidt-Bretten GmbH & Co. KG Plant and method for reducing an alcohol content in a beverage
ES2929854A1 (es) * 2021-06-01 2022-12-02 Esplugas Angel Salvador Método y aparato para la extracción total o parcial del contenido en alcohol de una bebida alcohólic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1330A1 (fr) * 2000-07-10 2002-01-11 Garnier Ets Dispositif de traitement d'une boisson fermentee
US20130243922A1 (en) * 2012-03-19 2013-09-19 Judd B. Lynn Removal of alcohol from potable liquid using vacuum extraction
CN103695221A (zh) * 2013-12-19 2014-04-02 浙江乡情山泉有限公司 零度葡萄酒制备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206A (en) * 1980-04-07 1982-05-11 Solar Development Inc. Alcohol distillation apparatus
GB2084607B (en) * 1980-09-25 1984-03-07 Ag Patents Lt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low alcohol beverages
CH654023A5 (de) * 1981-02-06 1986-01-31 Eidgenoess Wein & Gartenbau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oholfreiem wein oder fruchtwein.
US4570534A (en) * 1982-01-21 1986-02-18 Joseph E. Seagram & Sons, Inc. Reduced alcohol wine and its manufacture
JPS58156502U (ja) * 1982-04-08 1983-10-19 平原 康次 溶剤の再生装置
AT391875B (de) * 1989-05-09 1990-12-10 Schoeller Bleckmann Stahlwerke Verfahren zum vermindern des alkoholgehaltes alkoholischer getraenke
JPH0760002A (ja) * 1993-08-23 1995-03-07 Mitsubishi Chem Corp 蒸留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溶媒の精製方法
US6019034A (en) * 1999-07-29 2000-02-01 Ford, Sr.; Clifton K. Apparatus for treatment of liquor
FR2863625A1 (fr) * 2003-12-11 2005-06-17 Alexis Defarge Dispositif pour diminuer le taux d'alcool du vin avant sa consommation
JP4898358B2 (ja) 2006-09-07 2012-03-14 町田酒造 株式会社 蒸留方法及び蒸留装置
US20090159421A1 (en) * 2007-12-21 2009-06-25 Chip Aadland Portable closed circuit, sealed, pressurized distillation system
EP2852660B1 (en) * 2012-05-23 2016-11-02 Pienaar, Schalk Willem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alcohol in fermented beverages
JP6470491B2 (ja) * 2013-12-27 2019-02-1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生物原料からの好ましい香りの回収方法
GB2537308A (en) * 2014-01-30 2016-10-12 Progetto 3000 S R L Portable device for reducing the alcohol content of wines and other alcoholic beverages
GB2552297B (en) * 2016-06-15 2020-01-08 Russell Distillers Ltd Liquid treatment apparatus, distil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tillation
EP3338867B1 (de) * 2016-12-22 2019-09-25 GEA Wiegand GmbH Anlage und verfahren zum entalkoholisieren von alkoholhaltigen getränken
US10463983B2 (en) * 2017-03-31 2019-11-05 Picobrew, Inc. Distillation and essence extractor insert for beer br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1330A1 (fr) * 2000-07-10 2002-01-11 Garnier Ets Dispositif de traitement d'une boisson fermentee
US20130243922A1 (en) * 2012-03-19 2013-09-19 Judd B. Lynn Removal of alcohol from potable liquid using vacuum extraction
CN103695221A (zh) * 2013-12-19 2014-04-02 浙江乡情山泉有限公司 零度葡萄酒制备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0706A (ja) 2020-01-16
FI127521B (en) 2018-08-15
JP7076719B2 (ja) 2022-05-30
KR102566988B1 (ko) 2023-08-14
FI20165906L (fi) 2018-05-30
CA3045225A1 (en) 2018-06-07
EP3548596C0 (en) 2023-12-27
WO2018100247A1 (en) 2018-06-07
CN109072148B (zh) 2020-07-03
EP3548596B1 (en) 2023-12-27
US11266922B2 (en) 2022-03-08
FI20165906A (fi) 2018-05-30
AU2017369762A1 (en) 2019-07-04
CN109072148A (zh) 2018-12-21
EP3548596A4 (en) 2020-07-29
AU2017369762B2 (en) 2022-06-09
EP3548596A1 (en) 2019-10-09
US20190322968A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982B2 (en) Vacuum brewed beverage machine
KR100847886B1 (ko) 알코올 증류장치
US8586117B2 (en) Liquid infusion process and method of brewing a beverage
EP2948030B1 (en) Vacuum brewed beverage machine and vacuum brewing method
US10226716B2 (en) Device for reducing the alcohol content of wines and other alcoholic beverages
KR102566988B1 (ko) 알코올 음료의 탈알코올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249381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alcohol in fermented beverages
US11970679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hortening aging time and enhancing flavor of distilled or fermented beverages
US20130243922A1 (en) Removal of alcohol from potable liquid using vacuum extraction
CN202808768U (zh) 一种便捷式制酒机
EP3945130B1 (en) Plant and method for reducing an alcohol content in a beverage
US20200181548A1 (en) Accelerated Maturation Process (A.M.P.) device
WO2018182430A1 (en) A method of removing one or more compounds from a distillate, and systems and apparatus therefor
CA2913095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alcohol in fermented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