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292A -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의 제어 - Google Patents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292A
KR20190088292A KR1020180006665A KR20180006665A KR20190088292A KR 20190088292 A KR20190088292 A KR 20190088292A KR 1020180006665 A KR1020180006665 A KR 1020180006665A KR 20180006665 A KR20180006665 A KR 20180006665A KR 20190088292 A KR20190088292 A KR 2019008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app
applicatio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현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0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8292A/ko
Priority to US16/961,764 priority patent/US11089176B2/en
Priority to PCT/KR2018/008151 priority patent/WO2019142984A1/en
Publication of KR2019008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37Intelligent menus, e.g. anticipating user sel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통신 장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앱 서버로 요청하고, 앱 서버로부터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리스트 내에서 제어될 제1 앱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의 제어{CONTROLLING APPS PROVIDING SAME OR SIMILAR SERVICE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PLATFORMS}
화상 형성 장치는 앱을 배포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필요한 앱을 다운로드 하여 앱을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플랫폼에 기반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플랫폼 각각에서 필요한 앱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복수의 플랫폼 각각에 앱을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한 앱을 설치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플랫폼 각각에 앱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앱 서버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앱 서버의 구성 및 스토리지에 저장된 앱들의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의 상태 제어에 따라,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의 설치 여부 및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설치 여부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 및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각 플랫폼에 설치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 지원되는 제1 앱이 제1 플랫폼에 설치되고,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제2 플랫폼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이 제1 플랫폼에 설치되지 않고,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제2 플랫폼에 설치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 및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각 플랫폼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 상에 표시된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선택하는 앱이 수신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 상에 표시된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된 리스트 내의 소정 앱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복수의 플랫폼 각각에서 지원되는 앱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 앱들 중 하나의 대표 앱을 표시하기 위해 설정하는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스캔 파일"이란 스캐너에서 화상을 스캔하여 생성한 파일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통신부(130)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30)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1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인쇄 명령 신호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플랫폼 중 제1 플랫폼 상의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함에 따라, 제1 플랫폼과 상이한 플랫폼 상의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 발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통신부(2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가전기기,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서버(250)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서버(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서버(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통신부(23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메모리(14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부(151), 스캔부(152) 및 팩스부(15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이들 중 일부 구성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부(151)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이미지 센서로서, 예를 들어 CCD (Charge Coupled Device),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 구조, 이미지 센서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 구조, 또는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팩스부(153)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152)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151)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독자적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와 별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제어부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의 제어 시스템에는 UI를 제공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250)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요청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어될 앱과 관련된 정보, 데이터, 파일 등을 서버(2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어될 앱을 제어하는 명령 또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a는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앱 서버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앱 서버(350)는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1, 300-2, 300-3)에서 설치될 앱들의 파일을 화상 형성 장치(300-1, 300-2, 300-3)로 전송할 수 있고, 설치된 앱들을 업데이트 하는 데에 이용되는 파일을 화상 형성 장치(300-1, 300-2, 300-3)로 전송할 수 있고, 설치된 앱들을 제거하는 데에 이용되는 파일을 화상 형성 장치(300-1, 300-2, 300-3)로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은 화상 형성 장치(300-1, 300-2, 300-3)의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 또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플랫폼"은 구조(architecture),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프로그래밍 언어, 런타임 라이브러리,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1, 300-2, 300-3)"는 복수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상 형성 장치(300-1)는 제1 플랫폼 및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을 설치, 실행, 업데이트, 제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상 형성 장치(300-2)는 제2 플랫폼 및 제3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을 설치, 실행, 업데이트, 제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화상 형성 장치(300-3)는 제3 플랫폼 및 제4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을 설치, 실행, 업데이트, 제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앱 서버(350)는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1, 300-2, 300-3)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을 관리할 수 있다. 앱 서버(350)는 동일한 서비스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을 그룹핑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핑은 앱의 이름, 앱을 지원하는 플랫폼, 앱의 버전, 앱 개발자, 앱의 다운로드 파일, 및 스토리지에 저장된 앱들 중 관련도가 높은 앱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앱 서버(35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라도 앱이 지원되는 플랫폼이 다르면, 플랫폼 별로 앱들을 구분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앱 서버(350)는 앱을 개발한 개발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동일한 서비스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을 그룹핑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앱 서버(350)는 스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1" 및 "앱 2"를 동일한 그룹으로 구분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앱 서버(350)는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 1"과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 1"을 구분하여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 1"과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 1" 각각을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앱 서버(350)는 앱을 개발하는 개발자로부터 앱을 등록하는 입력 및 등록된 앱에 대한 리뷰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앱 서버(350)는 리뷰 요청된 앱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여, 앱 리뷰를 수행할 수 있다. 앱 리뷰 결과, 리뷰 요청된 앱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면, 앱 서버(350)는 등록된 앱이 배포될 수 있도록 앱을 공개할 수 있다. 반면에, 리뷰 요청된 앱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지 않으면, 앱 서버(350)는 등록된 앱을 반려 처리할 수 있다. 앱 서버(350)와 관련된 구체적인 동작은 도 3b에서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화상 형성 장치(300-1), 제2 화상 형성 장치(300-2) 및 제3 화상 형성 장치(300-3)를 "화상 형성 장치(300)"로 지칭한다.
도 3a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300)는 통신 장치(3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 메모리(330) 및 프로세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3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화상 형성 장치(3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 3a에 도시된 통신 장치(310)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부(130)와 대응될 수 있고, 도 3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과 대응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메모리(330)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40)와 대응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40)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20)와 대응될 수 있다. 도 3a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통신 장치(3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스캔 후 이메일을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캔 투 이메일(scan to email) 앱"을 설치하기 위해 통신 장치(310)를 통해 앱 서버(3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310)는 앱 서버(350)로부터 "스캔 투 이메일 앱"의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3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프로세서(340)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한 화면, 프로세서(340)의 동작에 따른 결과를 출력한 화면, 화상 형성 장치(300)의 상태를 표시한 화면 및 화상 형성 장치(300)에 설치된 앱들의 정보를 표시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앱 서버(35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 앱을 설치, 실행, 업데이트 또는 제거하기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3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4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3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앱 서버(350)로 요청하고, 앱 서버(350)로부터 리스트를 수신하는 명령어들, 리스트 내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제어될 제1 앱을 결정하는 명령어들,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들, 및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통신 장치(31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앱 서버(35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지원되는 복수의 플랫폼의 정보를 앱 서버(35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통신 장치(310)를 통해 앱 서버(350)로부터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복수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리스트 내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제어될 제1 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를 통해 복수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제어될 제1 앱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는 제1 앱에서 제공되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는 제1 앱에서 제공되는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앱이 제1 플랫폼에서 스캔 기능을 제공하는 앱이라면, 프로세서(340)는 스캔 기능을 제공, 스캔 후 스캔 파일을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 또는 스캔 후 스캔 파일을 팩스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앱 중에서 제1 플랫폼과 상이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40)는 앱 서버(350)로부터 수신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통신 장치(310)를 통해 제1 앱의 정보를 앱 서버(350)로 요청하고, 앱 서버(350)로부터 제1 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앱의 정보는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정보,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의 정보,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의 상태의 정보,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앱들과 제1 앱의 관련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의 상태의 정보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제1 플랫폼에서 설치된 제1 앱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제1 앱의 업데이트가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앱과 유사한 앱들의 관련도는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앱일수록 관련도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에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1 플랫폼과 상이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유사 앱들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앱들이 있으면, 프로세서(340)는 유사 앱들과 제1 앱의 관련도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의 앱들을 그룹핑하여 그룹핑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40)는 유사 앱들 각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유사 앱들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유사 앱들 각각이 지원되는 플랫폼의 정보 및 유사 앱들 각각이 플랫폼에 설치되었는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고,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40)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현재 메모리(330) 공간, 현재 화상 작업 처리 능력 등을 고려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4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및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상반되는 제3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40)는 제1 플랫폼에 제1 앱을 설치하면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플랫폼에 설치된 제2 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제1 플랫폼에 설치된 제1 앱을 업데이트 하면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플랫폼에 설치된 제2 앱도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34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될 수 없으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이 설치되다가 중단되거나, 제1 앱이 설치될 수 없으면, 프로세서(340)는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앱을 제2 플랫폼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34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거하는 동작,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 및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거하는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40)는 소정의 플랫폼 상의 소정의 앱의 상태를 제어함에 따라, 다른 플랫폼 상에서의 소정의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앱의 상태를 함께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플랫폼 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40)는 통신 장치(3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 및 메모리(33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각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앱 서버의 구성 및 스토리지에 저장된 앱들의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앱 서버(350)는 통신 장치(351), 프로세서(352) 및 스토리지(3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앱 서버(35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앱 서버(35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 3b에 도시된 앱 서버(350)는 도 2에 서버(250)와 대응될 수 있다. 도 3b의 설명에서는, 도 2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통신 장치(351)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351)는 화상 형성 장치(30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351)는 화상 형성 장치(30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지원되는 플랫폼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플랫폼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351)는 화상 형성 장치(300)로부터 소정의 앱의 파일 전송의 요청에 따라, 스토리지(353)에 저장된 소정의 앱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52)는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을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52)는 동일한 서비스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을 그룹핑하여 스토리지(353)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52)는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라도 지원되는 플랫폼이 다르면, 플랫폼 별로 구분하여 스토리지(353)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352)는 복수의 앱들에 관한 리스트(360)를 스토리지(353)에 저장하면서, 복수의 앱들 각각의 앱 이름, 앱을 지원하는 플랫폼, 앱의 버전, 앱 개발자, 앱의 다운로드 파일, 스토리지(353)에 저장된 앱들 중 관련도가 높은 앱들에 대한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52)는 앱 2를 저장하면서, A 플랫폼, B 플랫폼, C 플랫폼 별로 구분하여 앱 2 for A, 앱 2 for B, 앱 2 for C 으로 각각 저장할 수 있고, 서로 링크된 앱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52)는 앱들을 관리함에 있어서, 앱을 개발하는 개발자로부터 앱을 등록하는 입력 및 등록된 앱에 대한 리뷰를 요청하는 입력을 통신 장치(35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52)는 리뷰 요청된 앱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여, 앱 리뷰를 수행할 수 있다. 앱 리뷰 결과, 리뷰 요청된 앱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면, 프로세서(352)는 등록된 앱이 배포될 수 있도록 앱을 공개할 수 있다. 반면에, 리뷰 요청된 앱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지 않으면, 프로세서(352)는 등록된 앱을 반려 처리할 수 있다.
스토리지(353)는 앱 서버(350)와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353)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앱들을 복수의 플랫폼 별로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앱 서버(350)의 각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0에서,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앱 서버(350)로 요청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지원되는 복수의 플랫폼의 정보를 앱 서버(350)로 전송할 수 있다.
42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앱 서버(350)로부터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지원되는 앱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43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리스트 내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제어될 제1 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복수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리스트 내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제어될 제1 앱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44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앱의 정보는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정보,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의 정보,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의 상태의 정보, 및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앱들과 제1 앱의 관련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에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1 플랫폼과 상이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유사 앱들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앱들이 있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유사 앱들과 제1 앱의 관련도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의 앱들을 그룹핑하여 그룹핑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유사 앱들 각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서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유사 앱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유사 앱들 각각이 지원되는 플랫폼의 정보 및 유사 앱들 각각이 플랫폼에 설치되었는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블록 45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여,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설정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실행 화면을 통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상반되는 제3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될 수 없으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거하는 동작,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 및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거하는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의 상태 제어에 따라,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에서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제2 플랫폼에서 제2 앱을 제1 상태에 상반되는 제3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510을 참고하면,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의 520을 참고하면,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의 설치 여부 및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설치 여부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44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블록 6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앱의 정보로부터 제1 플랫폼에 제1 앱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플랫폼에 제1 앱이 설치되었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블록 62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플랫폼에 제1 앱이 설치되지 않았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블록 63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 62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앱의 정보로부터 제2 플랫폼에 제2 앱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플랫폼에 제2 앱이 설치되었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7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플랫폼에 제2 앱이 설치되지 않았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8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 63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앱의 정보로부터 제2 플랫폼에 제2 앱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플랫폼에 제2 앱이 설치되었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9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플랫폼에 제2 앱이 설치되지 않았으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도 1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 및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각 플랫폼에 설치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블록 7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각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들의 제어하고자 하는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을 업데이트 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블록 72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을 제거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블록 750이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 72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을 업데이트 하는 입력으로부터 모든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들을 업데이트 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들을 업데이트 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73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의 제1 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의 제2 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소정의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만 업데이트 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74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선택된 플랫폼 상의 앱만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블록 75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을 제거하는 입력으로부터 모든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들을 제거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들을 제거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76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의 제1 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의 제2 앱을 제거할 수 있다.
소정의 플랫폼 상에 설치된 앱만 제거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77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선택된 플랫폼 상의 앱만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 지원되는 제1 앱이 제1 플랫폼에 설치되고,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제2 플랫폼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블록 8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의 상태를 결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설치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설치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82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의 상태를 결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제거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제거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83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제거하고,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제거하지 않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84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이 어떻게 제어될 것인지가 결정되면, 블록 85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앱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실행 화면이 다시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이 제1 플랫폼에 설치되지 않고,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제2 플랫폼에 설치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블록 9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의 상태를 결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설치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설치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92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의 상태를 결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제거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제거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93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설치하고,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플랫폼 상에서 제2 앱을 제거하지 않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94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플랫폼 상에서 제1 앱이 어떻게 제어될 것인지가 결정되면, 블록 95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실행 화면이 다시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1 앱 및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이 각 플랫폼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각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블록 1010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는 각 플랫폼 상에서 앱의 상태를 결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플랫폼 각각에 플랫폼 각각에서 지원되는 앱을 설치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플랫폼 각각에 플랫폼 각각에서 지원되는 앱을 설치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102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 제1 앱을 설치하고, 제2 플랫폼 상에 제2 앱을 설치할 수 있다.
소정의 플랫폼에서만 소정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설치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블록 103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선택된 플랫폼 상에 선택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 상에 표시된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앱 서버(35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는 앱 및 앱이 지원되는 플랫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리스트를 화상 형성 장치(300) 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B앱을 선택하는 입력(1110)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B 앱 for 제2 플랫폼"을 선택하는 입력(1110)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B 앱 for 제2 플랫폼"을 선택하는 입력(1110)을 수신함에 따라,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B앱에 대한 정보를 표시(113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앱에 대한 정보는 B앱이 지원되는 플랫폼 정보, B앱의 버전 정보, B앱의 개발자, B앱이 다운로드될 때의 파일 이름, B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앱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앱 for 제2 플랫폼"과 관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제2 플랫폼이 아닌 제1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B 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선택된 B 앱은 제1 플랫폼에서도 지원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포함하는 팝업 창(11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B 앱 for 제2 플랫폼"이 선택됨에 따라, 팝업 창(1120) 내에 "B 앱 for 제1 플랫폼"의 정보에 대해 "다시 보지 않기"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가 팝업 창(1120) 내의 "선택된 플랫폼 설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B 앱 for 제2 플랫폼"의 파일을 앱 서버(350)로부터 다운로드 하고, 제2 플랫폼 상에서 "B 앱 for 제2 플랫폼"을 설치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가 팝업 창(1120) 내의 "다른 플랫폼 설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B 앱 for 제1 플랫폼"의 파일은 앱 서버(350)로부터 다운로드 하고, 제1 플랫폼 상에서 "B 앱 for 제1 플랫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을 선택하는 앱이 수신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 상에 표시된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B앱을 선택하는 입력(1210)을 수신할 수 있고,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B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표시(1230)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한 정보는 도 11에서 설명한 "B앱에 대한 정보"와 동일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선택된 B 앱과 관련하여 화상 형성 장치(300) 내에서 지원되는 플랫폼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선택된 앱들에 대해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포함하는 팝업 창(1220)을 표시할 수 있다. 팝업 창(1220)에서는 "제1 플랫폼에 설치된 B앱을 업데이트" 및 "제2 플랫폼에 설치된 B앱을 업데이트"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플랫폼"은 현재 화상 형성 장치(300)가 동작되고 있는 플랫폼을 나타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가 팝업 창(1220) 내의 "모두 업데이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 설치된 B앱을 업데이트하고, 제2 플랫폼 상에 설치된 B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가 팝업 창(1220) 내의 "업데이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선택된 플랫폼 상에 설치된 B앱만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된 리스트 내의 소정 앱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복수의 플랫폼 각각에서 지원되는 앱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의 1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A 앱", "B 앱", "C 앱", "D 앱" 및 "E 앱"의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B 앱"을 선택하는 입력(1311)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지원하는 플랫폼 각각에서 지원되는 "B 앱"의 정보를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의 1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B 앱이 제1 플랫폼 및 제2 플랫폼 모두에서 지원됨을 나타내는 "B 앱 for 제1 플랫폼" 및 "B 앱 for 제2 플랫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 앱들 중 하나의 대표 앱을 표시하기 위해 설정하는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1410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설치된 앱들을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복수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앱들에 대해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을 그룹핑하고, 앱들 중 하나의 대표 앱을 설정하는 팝업 창(14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2 for 제1 플랫폼"과 "앱 2 for 제2 플랫폼"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앱 2 for 제1 플랫폼"과 "앱 2 for 제2 플랫폼" 중 하나의 앱을 대표 앱으로 설정하는 팝업 창(142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플랫폼 및 제2 플랫폼 중 사용 빈도가 높은 플랫폼에 대한 앱을 대표 앱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20)는 제2 플랫폼에서보다 제1 플랫폼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앱 2를 선택하는 "앱 2 for 제1 플랫폼"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서 지원되는 앱 2"를 "앱 2"에 대한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앱 2"를 실행시키는 입력이 수신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1 플랫폼 상에서 앱 2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앱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상기 앱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상기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리스트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될 제1 앱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상기 제1 상태에 상반되는 제3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될 수 없으면,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의 정보는,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정보, 상기 제1 앱을 지원하는 상기 제1 플랫폼의 정보, 상기 제1 플랫폼 상에서 상기 제1 앱의 상태의 정보, 및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앱들과 상기 제1 앱의 관련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설정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해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지원되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의 정보를 상기 앱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상기 앱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리스트를 수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상기 앱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될 상기 제1 앱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 내에서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플랫폼과 상이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유사 앱들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사 앱들이 있으면, 상기 유사 앱들과 상기 제1 앱의 관련도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 내의 앱들을 그룹핑하여 상기 그룹핑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유사 앱들 각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유사 앱들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유사 앱들 각각이 지원되는 플랫폼의 정보 및 상기 유사 앱들 각각이 플랫폼에 설치되었는지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제거하는 동작;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거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제거하는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앱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상기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될 제1 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제1 상태로 제어하면서,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상기 제1 상태에 상반되는 제3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1 상태로 제어될 수 없으면,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을 상기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2 상태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 내에서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플랫폼과 상이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유사 앱들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유사 앱들이 있으면, 상기 리스트 내의 앱들을 그룹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5.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앱들의 리스트를 앱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상기 리스트를 수신하는 명령어들;
    상기 리스트 내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어될 제1 앱을 결정하는 명령어들;
    상기 제1 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앱을 지원하는 제1 플랫폼과 상이한 제2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제2 앱의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상기 제1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플랫폼에서 상기 제2 앱의 상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80006665A 2018-01-18 2018-01-18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의 제어 KR20190088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65A KR20190088292A (ko) 2018-01-18 2018-01-18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의 제어
US16/961,764 US11089176B2 (en) 2018-01-18 2018-07-19 Control of apps providing same or similar services in image forming device supporting multiple platforms
PCT/KR2018/008151 WO2019142984A1 (en) 2018-01-18 2018-07-19 Control of apps providing same or similar services in image forming device supporting multiple platfor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65A KR20190088292A (ko) 2018-01-18 2018-01-18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의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92A true KR20190088292A (ko) 2019-07-26

Family

ID=6730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65A KR20190088292A (ko) 2018-01-18 2018-01-18 복수의 플랫폼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들의 제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9176B2 (ko)
KR (1) KR20190088292A (ko)
WO (1) WO2019142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191A (ko) * 2017-09-29 2019-04-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DE102018221703A1 (de) * 2018-12-13 2020-06-18 HELLA GmbH & Co. KGaA Verifizierung und Identifizierung eines neuronalen Netzes
CN111026477B (zh) * 2019-11-25 2021-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6005B2 (ja) 2000-07-05 2012-02-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838985B2 (ja) * 2004-04-09 2011-12-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338002B1 (ko) 2006-12-22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타 화상형성장치의 셋업 엔트리를 이용하여 기능을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US8448193B2 (en) 2007-04-27 2013-05-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00017023A (ko) * 2008-08-05 2010-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US7987241B2 (en) * 2008-10-15 2011-07-26 Xerox Corporation Sharing EIP service applications across a fleet of multi-function document reproduction devices in a peer-aware network
JP5268597B2 (ja) * 2008-11-28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293238B2 (ja) 2009-02-03 2013-09-1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方法
JP2011248536A (ja) 2010-05-25 2011-12-0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ラットフォーム形成方法
KR101820721B1 (ko) 2011-11-29 2018-01-23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803906B1 (ko) 2011-11-30 2017-12-05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복수의 플랫폼이 설치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JP6056384B2 (ja) * 2012-10-31 2017-01-11 株式会社リコー 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装置
JP5782055B2 (ja) * 2013-01-31 2015-09-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035713A (ja) 2014-08-04 2016-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機能拡張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6423645B2 (ja) * 2014-08-08 2018-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リソース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78515B2 (ja) 2014-11-13 2017-02-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89176B2 (en) 2021-08-10
US20210067655A1 (en) 2021-03-04
WO2019142984A1 (en)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6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63085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o update firmwar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when adding a web application to the electronic apparatus
US92861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management system, program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459822B2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print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9489163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mobile print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93959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irmware renew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710432B2 (e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US934247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089176B2 (en) Control of apps providing same or similar services in image forming device supporting multiple platforms
JP2013191196A (ja) 情報処理装置、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8112803A (ja) ソフトウェアアップデート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管理サーバー
US9407785B2 (e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801594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4548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17235A (ja) 管理プログラム、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US11093184B2 (en) Installation of application based on platform
US11146707B2 (en) Method for installing application by image formation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using same method
US106020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7182181A (ja) 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6013801B2 (ja) 画像出力システム、及び、画像出力装置
US100913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8036495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6424441B2 (ja) 複合機、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798603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US11223737B2 (en) Managing and recommending apps to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app usage patterns data and even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