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432A - 수프류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수프류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432A
KR20190087432A KR1020197014478A KR20197014478A KR20190087432A KR 20190087432 A KR20190087432 A KR 20190087432A KR 1020197014478 A KR1020197014478 A KR 1020197014478A KR 20197014478 A KR20197014478 A KR 20197014478A KR 20190087432 A KR20190087432 A KR 2019008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engaging
upper cover
tubular
vertic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유키 이쿠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쿠노시스테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쿠노시스테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쿠노시스테무
Publication of KR2019008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67D1/000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07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based on volumetric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67D1/101Pump mechanism of the piston-cylinder type
    • B67D1/102Pump mechanism of the piston-cylinder type for one liquid compon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41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with provisions for metering the liquid to be disp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프류의 공급 장치는, 호퍼에 수납된 수프류를 내측 밸브(26)의 회전 및 상기 플런저(30)의 진퇴 이동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X)에 있어서, 계탈 수단(61)은, 교반용 모터의 출력축(14a)의 하단부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걸어맞춤 부분을 가지는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와, 걸어맞춤 부분에 계탈되는 피걸어맞춤 부분을 가지는 동시에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된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로 이루어지고, 통형 제2 걸어맞춤체에는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에 형성한 삽통공(10)과 연통되는 가로 방향의 걸어맞춤공(64)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공과 삽통공에 록 볼트(65)의 봉형 삽입부(65b)가 꽂혀져 있고, 적어도 호퍼용 상부 커버 및 수직 회전축을 세정할 때, 기체의 상부 수납 케이싱의 자유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또한 호퍼용 상부 커버를 호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록 볼트를 걸어맞춤공과 삽통공으로부터 인발하고, 이로써,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 수직 회전축(9) 및 호퍼용 상부 커버(8)를, 각각 분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호퍼용 상부 커버 및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직 회전축을 세정할 때, 적어도 이들 부품(상부 커버와 수직 회전축)을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고, 또한 세정 후에도, 이들 부품을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프류의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수프(soup)류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형물(건더기; solid ingredients)을 함유하는 수프류를 정량씩 공급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는, 수프류를 정량씩 공급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먼저, 특허문헌 1의 공급 장치는, 「냉각 장치」가 특징 사항이며, 이 냉각 장치는, 수프류를 일정량씩 공급하는 펌프 및 펌프용 구동원을 구비한 기체(機體)와, 상기 펌프에 분리 가능하게 세팅되는 호퍼와, 이 호퍼의 주위의 일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면접촉하는 냉각판을 포함하는 전자 냉각 소자체를 가지고, 또한 상기 기체에 일체로 설치된 환형(環形) 지지체와, 이 환형 지지체 또는 상기 기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냉각 유닛에 배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환형 지지체의 내부 공간에 주위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특허문헌 2의 단락[0036], 단락[0067] 및 도 3에는, 소분(小分) 장치(X)는, 제1 구동원(32)과 제2 구동원(34)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원(32)의 구동력은, 동력 전달 수단(33)을 통하여 내통체(11)의 후단부(11b)에 전달되고, 내통체(11)는 제1 구동원(32)의 구동력에 의해 간헐적으로 소정량 회전하고, 한편, 제2 구동원(34)의 구동력은,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 변환 기구(機構)(35)를 통하여 구동 작동간(drive operation rod)(30)의 후단부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 작동간(30)은 제2 구동원(34)의 구동력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진퇴 이동하는 것이, 도면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부호는 특허문헌 2의 것).
다음에, 특허문헌 3에는, 기체의 하단부 측에 설치되고, 또한 수프류를 일정량씩 공급하는 펌프 및 펌프용 구동원과, 상기 기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교반용 구동원을 내장하는 상부 수납 케이싱과, 호퍼용 상부 커버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상단부에 상기 교반용 구동원의 수직축의 출력축과 걸어맞추어지는 다각형(多角形)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동시에, 롱 로드형(long rod-like)의 하단부에 수프류를 교반하는 교반 블레이드(stirring blade)를 가지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상단부 가까이의 부위에 설치된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와, 이 호퍼용 상부 커버가 외측에서 끼워맞춤되고, 또한 하단부에 콘형(cone-shaped) 부분을 가지는 호퍼와, 이 호퍼의 상기 콘형 부분을 지지하고 또한 가열 수단을 구비한 환형 지지체와, 상기 기체 또는 환형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어부나 전원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환형 지지체의 벽에 호퍼의 온도 상태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도, 호퍼에 수납된 수프류를 내측 밸브의 회전 및 플런저(plunger)의 진퇴(進退) 이동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가 기재되고, 상기 수프류는, 기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수평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된 교반용 모터의 출력축의 하단부에 걸어맞춤 수단(engaging means)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롱 로드형 하단부에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직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상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기체(1)에, 고정 부재로서의 외측 밸브(21), 회전 부재로서의 내측 밸브(26) 및 직선 운동을 하는 플런저(30)를 구비한 펌프(2)와, 상기 펌프의 구동원(32, 34)과, 상기 외측 밸브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에 일체로 설치된 환형 지지체(5)와, 이 환형 지지체의 내벽에 끼우거나 분리 가능하게 세팅되고, 또한 하단부가 상기 외측 밸브의 펌프 헤드(22)에 체결 수단(23)을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퍼(6)와, 이 호퍼에 끼우거나 분리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호퍼용 상부 커버(8)와, 이 호퍼용 상부 커버(8)의 상벽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또한 롱 로드형 하단부에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직 회전축(9)과, 이 수직 회전축과 계탈(係脫; engagement/disengagement) 수단을 통하여 출력축이 접속되는 교반용 모터(14)와, 이 교반용 모터를 내장하고 또한 상기 기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부 수납 케이싱(1d)과, 상기 펌프의 구동원(32, 3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호퍼에 수납된 수프류를 상기 내측 밸브(26)의 회전 및 상기 플런저(30)의 진퇴 이동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X)」는, 공지 기술이다(부호는, 편의 상, 특허문헌 3의 것을 원용).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는,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직 회전축, 이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호퍼용 상부 커버 및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와 교반용 모터의 출력축을 접속하는 상부 커버 측의 1개의 다각형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부재(상부 커버 측의 걸어맞춤체)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세정 시, 이들 부재(예를 들면, 상부 커버와 수직 회전축)를 분해하지 않고, 그대로 세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용이하고 또한 충분히 호퍼용 상부 커버 및 수직 회전축을 세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반용 모터의 출력축과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를 확실하게 접속하는 것, 수직 회전축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 호퍼의 온도(수납되어 있는 수프류)의 온도 상태를 육안 관찰할 수 있는 것, 기체의 주변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가 수프류의 정보를 받아 지지할 수 있는 것 등의 개량점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5―25335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8―195410호 공보의 도 3 재공표 특허(A1)의 WO2010/050043호 공보 재공표 특허(A1)의 WO2003/031265호 공보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호퍼용 상부 커버 및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직 회전축을 세정할 때, 적어도 이들 부품(호퍼용 상부 커버와 수직 회전축)을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고, 또한 세정 후에도, 이들 부품을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기체의 상부 수납 케이싱의 자유단부를 아래쪽 방향으로 내림으로써, 출력축 측의 통형(筒形) 제1 걸어맞춤체와 수직 회전축 측의 통형 제2 걸어맞춤체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수직 회전축을 호퍼용 상부 커버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그 외의 목적은, 종속항에 의해 특정된다.
본 발명의 수프류의 공급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기체(1)에, 외측 밸브(21), 내측 밸브(26) 및 직선 운동을 하는 플런저(30)를 구비한 펌프(2)와, 상기 펌프의 구동원(3)과, 상기 외측 밸브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에 일체로 설치된 환형 지지체(5)와, 이 환형 지지체의 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세팅되는 호퍼(6)와, 이 호퍼에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호퍼용 상부 커버(8)와, 이 호퍼용 상부 커버의 상벽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또한 롱 로드형 하단부에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직 회전축(9)과, 이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와 계탈 수단을 통하여 출력축의 하단부가 접속되는 교반용 모터(14)와, 이 교반용 모터를 내장하고 또한 상기 기체의 상단 에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부 수납 케이싱(1d)과, 상기 펌프의 구동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호퍼에 수납된 수프류를 상기 내측 밸브(26)의 회전 및 상기 플런저(30)의 진퇴 이동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X)에 있어서, 상기 계탈 수단(61)은, 상기 교반용 모터의 출력축(14a)의 하단부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걸어맞춤 부분을 가지는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와, 상기 걸어맞춤 부분에 계탈되는 피걸어맞춤 부분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된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제2 걸어맞춤체에는, 상기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에 형성한 삽통공(揷通孔)(10)과 연통되는 가로 방향의 걸어맞춤공(64)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공과 상기 삽통공에 록 볼트(lock bolt)(65)의 봉형 삽입부(rod-shaped inserting portion)(65b)가 꽂혀져 있고, 적어도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 및 수직 회전축을 세정할 때, 상기 상부 수납 케이싱의 자유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또한 호퍼용 상부 커버를 호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록 볼트를 상기 걸어맞춤공과 상기 삽통공으로부터 인발(引拔; pulled out)하고, 이로써, 상기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 상기 수직 회전축(9) 및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8)를, 각각 분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부 수납 케이싱(1d)의 저벽(底壁)과, 통형 제1 걸어맞춤체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저벽을 관통한 교반용 모터 출력축에 감아장착된 가압 수단(urging means)(66)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출력축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통형 제1 걸어맞춤체를, 항상 통형 제2 걸어맞춤체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퍼용 상부 커버(8) 상벽의 중심부에는, 수직 회전축을 지지하는 단통형(短筒狀)의 베어링 부재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형 지지체의 상단(上端) 개구와 하단(下端) 개구의 사이의 내주벽에는, 호퍼(6)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한 호퍼의 온도를 기체(1)에 설치한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체(1)는, 제어부나 전원용 기판을 내장한 세로형의 제어 박스(1b)의 전벽(前壁)으로부터 대략 수평 상태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조작 박스(1c)를 가지고, 적어도 상기 좌우 한 쌍의 조작 박스 중 어느 한쪽의 조작 박스의 전면(前面)에는, 수프류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프류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정보 발신 수단을 통하여 기체(1)의 주변으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통형 제2 걸어맞춤체는, 세정 시, 기체의 상부 수납 케이싱의 자유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통형 제2 걸어맞춤체와 수직 회전축을 걸리게 하고 있는 록 볼트를 인발함으로써, 양자(통형 제2 걸어맞춤체와 수직 회전축)는 분해되고, 또한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직 회전축을 호퍼용 상부 커버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인발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구성 부품은 모두 분해 상태로 된다. 따라서, 통형 제2 걸어맞춤체, 수직 회전축 및 호퍼용 상부 커버를, 간단하고 충분히 구석구석까지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분해한 각 부품을 반대의 순서로 용이하게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b)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부 수납 케이싱의 저벽과 통형 제1 걸어맞춤체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저벽을 관통한 출력축에 감아장착된 가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출력축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통형 제1 걸어맞춤체를, 항상 소정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통형 제2 걸어맞춤체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기체의 상부 수납 케이싱의 자유단부를 아래쪽으로 내렸을 경우에는, 통형 제1 걸어맞춤체의 걸어맞춤 부분과 통형 제2 걸어맞춤체의 피걸어맞춤 부분은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걸어맞추어진다.
(c)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호퍼용 상부 커버의 상벽의 중심부에는, 수직 회전축을 지지하는 단통형의 베어링 부재가, 예를 들면, 상벽의 상면 또는(및)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회전축을 호퍼용 상부 커버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d) 제4항 및 제5항에 기재된 각 발명은, 환형 지지체의 상단 개구와 하단 개구의 사이의 내주벽에는, 호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한 호퍼의 온도를 기체(1)에 설치한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호퍼의 가열 온도 또는 냉각 온도를 육안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경우, 자유롭게 가열 또는 냉각 스위치를 「ON」으로 할 수 있다.
(e)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어부는, 적어도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프류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정보 발신 수단을 통하여 기체(1)의 주변에 발신할 수 있으므로, 그 정보를 받아 지지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면, 고형물을 함유하는 수프, 고형물을 함유하지 않는 수프, 고형물이 큰 수프, 고형물이 작은 수프, 두부를 넣은 수프, 야채 수프, 돼지고기 된장국 수프, 수프의 양, 칼로리, 가격 등의 정보를 간단하게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각각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베어링 부재를 호퍼용 상부 커버의 하면에 고정시킨 개략 단면(斷面)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환형 지지체에 냉각 수단을 설치한 각각의 설명도이다.
도 1은 우측면에서 볼 때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정면에서 볼 때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3은 펌프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주요부의 설명도(내측 밸브가 회전한 상태).
도 5는 주요부의 설명도(플런저가 후퇴한 상태).
도 6은 외측 밸브의 흡인공·토출공(吐出孔)에 대한 내측 밸브의 개구와의 연통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a)는 외측 밸브의 흡인공과 내측 밸브의 개구가 연통된 상태, 한편 (b)는 외측 밸브의 토출공과 내측 밸브의 개구가 연통된 상태이다.
도 7은 주요부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주요부를 개략 단면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부를 사시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각 부품을 결합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기체의 상부 수납 케이싱의 자유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린 상태의 정면에서 볼 때의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가압 수단이 신장(伸長)된 상태, (b)는 가압 수단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각 개략 설명도이다.
도 14는 주요부(통형 제2 걸어맞춤체, 호퍼용 상부 커버, 수직 회전축, 환형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주요부(수직 회전축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호퍼를 환형 지지체에 세팅한 설명도(온도 센서의 확대도도 포함함).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측면에서 볼 때의 일부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의 기체가 정보 발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취지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에 나타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의해 설명한다.
(1) 발명의 실시의 환경 … 도 1, 도 2
도 1 및 도 2는 발명의 실시의 환경을 나타내는 각 개략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X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이다. 1은 고형물을 함유하는 수프류를 일정량씩 공급하는 펌프(2) 및 펌프용 구동원(3)을 구비한 기체이다. 상기 펌프(2)는 기체(1)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4는 기체(1)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이며, 이 제어부(4)는 각종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의 검지 신호를 취득하여 유도 가열 코일용의 공급 전원(고주파 전력)을 ON, OFF하는, 기억부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호퍼에 대한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호퍼의 온도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억부의 저장되어 있는 수프류에 관한 정보를 정보 발신 수단에 출력하는, 펌프용 구동원(3) 및 교반 블레이드용 구동원의 구동 전원을 ON, OFF하는 등이다.
5는 펌프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1)에 일체로 설치된 호퍼용 환형 지지체[호퍼 크래들(hopper cradle)]와, 이 환형 지지체(5)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온도 센서(55)를 구비한 지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6은 상기 환형 지지체(5)의 콘형의 환형 벽에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호퍼이며, 이 호퍼(6)의 콘형 부분(아래쪽으로 끝이 좁은 상태의 원통형 부분)을 상기 콘형의 환형 벽에 지지하게 하면, 호퍼(6)의 단통형 하단부(6c)는, 상기 환형 지지체(5)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단통형 하단부(6c)는 연결 수단(7)을 통하여 펌프(2)의 위쪽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세팅된다.
8은 호퍼용 상부 커버(이하, 「상부 커버」라고 함)와, 이 상부 커버(8)에는 수직 회전축(9)이 회전 가능하게 수하(垂下)되어 있다. 이 수직 회전축(9)은 약간 캡형(cap shape)으로 형성된 상부 커버(8)의 상벽(8a)의 대략 중심부를 관통하는 소경(小徑)의 상단부(9a)에 축 방향의 삽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경의 상단부(9a)에 연속하는 대경(大徑)의 롱 로드형 하단부(9b)에는 고형물을 함유하는 수프류를 교반하는 교반 블레이드(11)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11)보다 아래쪽 위치에 호퍼의 콘형 부분의 내주면(內周面)을 슬라이딩 접촉하는 스프링성의 수지편을 가지는 눌어붙음(scorch) 방지용 블레이드(12)와, 푸드(food)를 펌프(2)의 위쪽 개구측으로 압입(押入)하는 압입 블레이드(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15를 참조). 수직 회전축(9)의 소경의 상단부(9a)는 상부 커버(8)의 중심공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소경의 상단부(9a)는 상부 커버(8) 상벽(8a)의 상면에 복수 개의 고착구(fixture)를 통하여 고정된 베어링 부재(60)의 축공(軸孔)으로부터 소정량 돌출하고, 또한 대경의 롱 로드형 하단부(9b)의 단면(端面)이 상부 커버(8) 상벽(8a)의 하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부품의 분해 시, 수직 회전축(9)은 상부 커버(8)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도 9, 도 11을 참조).
1d는 기체(1)의 상단부의 전면측에 힌지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수납 케이싱이며, 이 상부 수납 케이싱(1d) 내에는, 모터 베이스판(14b)을 통하여 교반용 모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교반용 모터(14)의 출력축(14a)과, 전술한 수직 회전축(9)의 상단부는, 도 7 내지 도 15로 나타내는 계탈 수단(61)[여기서는 출력축(14a)과 공동(共動)하는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와, 수직 회전축(9)과 공동하는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를 통하여 자유롭게 걸거나 분리한다. 또한, 수직 회전축(9)의 상단부는 상부 커버(8)의 일측면에 고정시킨 베어링 부재(6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계탈 수단(61)을 구성하는 출력축(14a) 측의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는 가압 수단(66)에 의해 상시 걸어맞춤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계탈 수단(61), 가압 수단(66) 등의 본 발명의 특징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2) 기체(1)의 구체적 구성
또한, 기체(1)를 설명한다. 1a는 하부 지지대, 1b는 하부 지지대(1a)의 위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후벽(後壁)에 방열용의 개구를 가지는 세로형의 제어 박스, 1c는 세로형 제어 박스(1b)와 교차하도록 하부 지지대(1a)의 위쪽에 일체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조작 박스, 1d는 전술한 상부 수납 케이싱이다. 상부 수납 케이싱(1d)은, 후단부의 하측 에지 부분이 힌지를 통하여 세로형 제어 박스(1b)의 상단 에지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상부 수납 케이싱(1d)의 자유단부의 하면에 적절하게 손을 넣어 자유롭게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가 있다. 이 경우, 출력축(14a) 측의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는 수직 회전축(9)의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로부터 이격된다(도 12 참조).
그런데, 본 발명의 종속적 사항이지만, 환형 지지체(5)의 상단 개구와 하단 개구 사이의 경사형 내주벽(48)에는, 호퍼(6)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55)가 설치되고, 제어부(4)는, 상기 온도 센서(55)가 검출한 호퍼의 온도를 기체(1)에 설치한 조작 패널(20)의 액정의 표시부(21a)에 표시한다.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1)는, 제어부(4)나 전원용 기판(17)을 내장한 세로형의 제어 박스(1b)의 전벽으로부터 대략 수평 상태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조작 박스(1c), (1c)를 가지고 있으므로, 적어도 상기 좌우 한 쌍의 조작 박스 중 어느 한쪽(예를 들면, 도 2의 좌측)의 조작 박스(1c)의 전면에 조작 패널(20)을 설치하고, 이 조작 패널(20)에 상기 표시부(21a)와 함께, 전원용 버튼, 교반용 모터(14)의 스피트를 선택하는 버튼, 토출(吐出) 상태를 연속시키는 버튼 등 각종 조작 버튼(20b)을 설치하고 있다. 또 다른 쪽의 (예를 들면, 도 2의 우측)의 조작 박스(1c)의 전면에도, 토출량을 대와 소로 선택할 수 있는 조작 버튼(20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1)의 각 상부는,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므로, 도시한 기체(1)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원용 기판(17)은, 코드(18)를 통하여 상업 전원(교류)(19)과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전기 회로를 도시하지 않지만, 전원용 기판(17)에는, AC/DC 변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박스(1c)의 조작 버튼(스위치)(20b), (20c)을 누르면, 이들의 신호는 기억부(71)에 보내지고, 제어부(4)는, 예를 들면, 펌프용 구동원(3)이나 교반용 구동원(14)의 기동, 반전(反轉), 회전수 및 유도 가열 코일에 대한 고주파 전력의 출력 등을 제어한다.
(3) 펌프(2)와 펌프용의 구동원(32), (34) … 도 3 내지 도 6
플런저 형 펌프(2)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외측 밸브(21)와 상기 외측 밸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밸브(26)와, 이 내측 밸브 내를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의 펌프 헤드(22)는 체결 수단(예를 들면, 나사결합 볼트)(23)을 통하여 외측 밸브(21)의 선단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펌프 헤드(22)에 형성한 흡인공(위쪽 개구)(24) 및 토출공(25)에 대하여 각각 연통 가능한 개구(27)를 가지는 통형 내측 밸브(26)가 외측 밸브(21)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측 밸브(26)의 축 방향 측의 벽면에 대하여, 내측 밸브(26)의 개구(27)와 연통되고, 또한 상기 흡인공(24) 및 토출공(25)에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통공(28)을 가지는 시일(29)을 고정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도 3은 호퍼(6)에 수납된 수프류를 내측 밸브(26)의 회전 및 플런저(30)의 진퇴 이동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하는 펌프용 구동원(3)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주지(周知)의 기술]. 여기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면 우측의 내측 밸브(26)의 돌출 내단부(內端部)(26a)에는, 동력 전달 수단(31)을 통하여 내측 밸브 회전용의 제1 구동원(32)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플런저(30)의 돌출 단부에는 동력 변환 기구(33)를 통하여 플런저 진퇴 이동용의 제2 구동원(34)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동원(32) 및 제2 구동원(34)은, 전술한 전원용 기판(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펌프(2)는, 호퍼(6)로부터 고형물을 함유하는 수프류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구동원(32)의 구동력에 의해 내측 밸브(26)가 소정량(예를 들면, 대략 180°) 간헐적으로 회전하고, 내측 밸브(26)가 간헐적으로 회전하는데 대응하여 플런저(30)가 제2 구동원(34)의 구동력에 의해 왕복동(reciprocating)하고, 펌프(2) 내의 수프류(예를 들면, 고형물을 함유하는 수프)를, 그 토출공(25)의 아래쪽에 놓여진 컵(35)에 일정량 공급한다.
(4) 호퍼(6) … 도 1, 도 14, 도 16
호퍼(6)는, 펌프(2)의 흡인공(위쪽 개구)(24)에 연결 수단(7)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호퍼(6)는, 자성 금속 재료로 「깔때기형(funnel shape)」으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호퍼(6)는, 상단부가 크게 개구된 장통형부(長筒狀部)(6a)와, 콘형 부분(6b)과, 이 콘형 부분(6b)에 연장되는 작은 개구의 단통형 부분(하단부)(6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통형 부분(6c)에는, 연결용의 플랜지부가 주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호퍼(6)의 단통형 부분(하단부)(6c)과 펌프 헤드(22)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추는 연결 수단(7)의 구성은 생략한다.
(5) 본 발명의 특징 사항 … 도 7 내지 도 15
도 7은 하방향의 출력축(14a)을 가지는 교반용 모터(14), 중앙부에 관통공을 가지는 모터 베이스판(14b), 가압 수단의 일례로서의 가압 스프링(66),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 플랜지형의 헤드부(頭部)를 가지는 고착구(67)를 분해한 개략 설명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각 부품을 개략 단면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한, 도 9는,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 호퍼용 상부 커버(8), 수직 회전축(9)을 나타낸 일부 개략 단면 설명도, 도 10은 도 9의 주요부를 사시로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각 부품을 결합한 설명도에서, 수직 회전축(9)의 소경의 상단부(9a)를 호퍼용 상부 커버(8)의 중심공에 아래로부터 꽂은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계탈 수단(61)은, 출력축(14a)과 공동하는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와, 수직 회전축(9)과 공동하는 제2 걸어맞춤체(6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사항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a) 교반용 모터(14)의 출력축(14a)의 하단부와, 전술한 수직 회전축(9)의 상단부는, 계탈 수단(61)을 통하여 자유롭게 걸거나 분리하는 점. (b) 또한 계탈 수단(61)을 구성하는 출력축(14a) 측의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는 가압 수단(66)에 의해 상시 걸어맞춤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점. (c) 또한 수직 회전축(9)의 소경의 상단부(9a)는 상부 커버(8)의 일측면에 고정시킨 베어링 부재(6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점이다. 이하, 도면으로부터 당업자가 간단하게 판독할 수 있는 사항의 설명은, 부호를 생략하고, 또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면의 위쪽에 나타낸 교반용 모터(14)의 출력축(14a)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수직 방향의 돌조(突條; projection)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14a)에는, 하단면(下端面)이 축 방향으로 고착구(67)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판(14b)의 관통공(68)은, 출력축(14a)의 반경, 가압 수단(66)의 크기,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의 반경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판(14b)의 하면과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의 상면에 압접(壓接)하는 가압 수단(66)은 소정 길이의 코일 스프링이지만,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는 판스프링이라도 된다.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는, 하방향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지고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걸어맞춤 부분(62a)과, 이 걸어맞춤 부분에 연속하는 단통형 끼워맞춤부(62b)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통형 끼워맞춤부(62b)에는, 상기 출력축(14a)에 대응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반경 외측 방향의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62a)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할 수 있는 사항이며, 예를 들면, 하방향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파형(波形)으로 연속 형성할 수 있다. 고착구(67)는 플랜지형의 헤드부를 가지지만, 도시하지 않은 와셔(washer)를 가미(加味; add)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도면의 위쪽에 나타낸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는, 상단부의 피걸어맞춤 부분(63a)와, 이 피걸어맞춤 부분(63a)에 연속하는 단통형부(63b)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통형부(63b)에는 수직 회전축(9)의 소경의 상단부(9a)가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선 O과 직교하는 반경 방향의 걸어맞춤공(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걸어맞춤 부분(63a)은 상방향의 오목부와 볼록부이다.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60)의 상면에 지지되고, 베어링 부재(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베어링 부재(60)는, 하단부에 플랜지를 가지는 단통형 베어링(60a)과, 상기 단통형 베어링을 상부 커버(8) 상벽에 가압하는 환형 고정판(6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 고정판(60b)은 상부 커버(8) 상벽에 복수의 수나사(69)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수직 회전축(9)의 소경의 상단부(9a)에 형성된 삽통공(10)은 수직 장공(長孔)이다. 또한, 걸어맞춤공(64) 및 삽통공(10)에 대하여 자유롭게 꽂거나 또는 빼낼 수 있는 (inserted into and removed) 볼트(65)는, 구형(球狀; ball shape) 또는 판형의 손잡이부(65a)와, 상기 손잡이부(65a)로부터 돌출되는 봉형 삽입부(65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주요부는, 「계탈 수단(61)이, 교반용 모터(14)의 출력축(14a)의 하단부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걸어맞춤 부분(62a)을 가지는 통형 제1 걸어맞춤체(62)와, 상기 걸어맞춤 부분(62a)에 계탈되는 피걸어맞춤 부분(63a)을 가지는 동시에, 상벽(8)의 대략 중심부를 관통하는 수직 회전축(9)의 상단부(9a)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된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에는, 상기 수직 회전축(9)의 상단부에 형성한 삽통공(10)과 연통되는 가로 방향의 걸어맞춤공(64)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공(64)과 상기 삽통공(10)에 록 볼트(65)의 봉형 삽입부(65b)가 꽂혀져 있고, 적어도 상부 커버(8) 및 수직 회전축(9)을 세정할 때, 기체(1)의 상부 수납 케이싱(1d)의 자유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또한 호퍼용 상부 커버를 호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록 볼트(65)를 상기 걸어맞춤공(64)과 삽통공(10)으로부터 인발하고, 이로써,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 수직 회전축(9) 및 상부 커버(8)를, 각각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6) 상부 커버(8), 수직 회전축(9) … 도 4, 도 10, 도 11
상부 커버(8)는 호퍼(6)의 상단부에 끼움장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수직 회전축(9)은, 상부 커버(8)의 상면측에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를 통하여 상기 상부 커버(8)에 회전 가능하게 수하되어 있다. 따라서, 11은, 수직 회전축(9)의 중앙부에 교차형(X형)으로 고정된 복수(2개)의 교반 블레이드이며, 이들 교반 블레이드(11)는 수프의 고형물을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 블레이드(11)는, 경사형의 광폭 부분(11a)과, 이 광폭 부분(11a)의 상단부로 연장되는 짧은 수평 부분(11b)으로 이루어진다. 수프의 고형물은 상기 짧은 수평 부분(11b)과 광폭 부분(11a)에 닿아 효율적으로 교반된다.
12는, 그 수직 기단부(基端部)가 수직 회전축(9)에 고정된 눌어붙음 방지용 블레이드이며, 이 눌어붙음 방지용 블레이드(12)의 경사형 자유단부(12a)에는, 호퍼(6)의 콘형 부분(6b)의 내주면을 슬라이딩 접촉하는 스프링성의 수지편(41)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형 자유단부(12a)는, 길이 방향으로 절결(切缺)(42)을 가지는 단면 C자 형상이다. 스프링성의 수지편(41)은, 상기 경사형 자유단부(12a)에 끼워넣는 장착 기단부(41a)와, 이 장착 기단부(41a)로부터 상기 절결(42)을 통하여 소정량 긴 판형으로 돌출하는 스프링성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41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성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41b)은, 눌어붙은 것을 긁어내는(scraping off) 기능을 가진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눌어붙음 방지용 블레이드(12)의 장착 기단부의 하단에는, 수직 회전축(9)의 하단면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소돌출편형(小突片狀)의 교반 부분(12b)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소돌출편형의 교반 부분(12b)은, 호퍼(6)의 단통형 부분(6c)의 작은 개구(43) 내에 위치하고, 수프의 고형물이 단통형 부분(6c) 내에 머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행한다. 또한, 수직 회전축(9)은 눌어붙음 방지용 블레이드(12)의 반대측으로 푸드(food)를 펌프(2)의 위쪽 개구측으로 압입하는 압입 블레이드(13)를 가지고 있다. 이 압입 블레이드(13)는 전술한 교반 블레이드(11)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7) 환형 지지체(5) … 도 16
환형 지지체(5)는 경사형의 환형 벽(48)을 가지고, 기체(1)의 좌우의 조작 박스(1c), (1c)와 상부 수납 케이싱(1d)의 사이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제어 박스(1b)의 전면으로 돌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지지체(5)는, 상벽(45a)에 형성된 위쪽 개구(46)와 하벽(45b)에 형성된 아래쪽 개구(47)를 가지는 케이스체(45)와, 이 케이스체(45)의 내부에 상기 위쪽 개구(46)를 에워싸도록 플랜지(48a) 및 고정 수단을 통하여 고정되고, 또한 상기 플랜지(48a)에 연장되는 콘형의 환형 벽(48)을 가지는 (호퍼 크래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콘형의 환형 벽(48)의 상부의 일부에는, 온도 센서용의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5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형의 환형 벽(48)의 내벽면에는, 온도 센서 방어용의 자기 차폐 부재(magnetic shield member)(52)가 설치되어 있다.
자기 차폐 부재(52)의 형상은 통형 또는 프레임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형의 환형 벽(48)의 내벽면의 하부측에 권취한 유도 가열 코일(53)의 발열에 의해, 온도 센서(5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방향 ㄷ자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체(45)의 아래쪽 개구(47)는 위쪽 개구(46)보다 크고, 호퍼 크래들(48)은, 케이스체(45)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체(45) 중 에 넣고, 그 플랜지(48a)는 케이스체(45)의 상벽(45a)의 하면에 고정된다.
(8) 온도 센서와 지지 부재 … 도 16
도 16은 가동식(可動式)의 온도 센서(55)를 구비한 지지 부재(56)의 구성도 포함한다. 지지 부재(56)는 유도 가열 코일(53)으로부터 차폐(遮蔽; shielded)된 상태로 호퍼 크래들로서의 콘형의 환형 벽(48)의 내벽면에 복수 개의 고착(固着) 수단(57)을 통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56)는, 콘형의 환형 벽(48)의 관통공(51)에 끼워맞추어지는 단면 단차형(段差狀)의 통형 안내 지지판(56a)과, 이 통형 안내 지지판(56a)에 복수 개의 고착 수단(57)을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고, 또한 파이프형 부분의 외주 벽의 중앙부에 주위 설치된 장착 플랜지를 가지는 파이프형 지지판(56b)으로 이루어진다.
온도 센서(55)는, 그 선단부(55a)가 콘형의 환형 벽(48)의 관통공(51)을 통하여 지지 부재(56)에 설치한 스프링 부재(58)와 호퍼(6)의 콘형 부분(6b)의 외면에 맞닿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되고 있다.
부언하면, 가동(可動)의 온도 센서(55)는, 선단부(55a)가 통형 안내 지지판(56a)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중심공을 관통하여 콘형의 환형 벽(48)의 외벽면으로부터 소정량 돌출되어 있고, 또한 선단부(55a)에 연장되는 대경통형(大徑筒牀)의 후단부(55b)는, 파이프형 지지판(56b)의 선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측에서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58)는 온도 센서(55)에 내장되고, 일단부(一端部)는 온도 센서(55)의 내면에 압접되고, 타단부는 제2 파이프형 지지판(56b)의 선단면에 압력접촉되고 있다. 또한, 온도 센서(55)용의 접속 코드(59)는 파이프형 지지판(56b) 내를 통하여 제어부(4)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통형 안내 지지판(56a)은 가동의 온도 센서(55)를 진퇴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의 역할을 행한다. 또한, 온도 센서(55)와 지지 부재(56)의 조합은 임의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9) 호퍼용 환형 지지체와 호퍼와의 관계
호퍼(6)를 호퍼용 환형 지지체(5)에 세팅하기 전, 온도 센서(55)는 스프링 부재(58)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 선단부(55a)는 소정량 돌출되어 있다. 한편,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6)를 호퍼용 환형 지지체(5)에 세팅한 경우, 온도 센서(55)는 스프링 부재(5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케이스체(45)의 내부로 소정량 후퇴한다. 그러나, 가동식의 온도 센서(55)는 스프링 부재(58)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시 가압되고 있으므로, 그 선단부(55a)는 호퍼(6)의 콘형 부분(6b)의 외면에 확실하게 맞닿고 있다.
(10) 제어부(4)의 전원용 기판(17)
제어부(4)의 전원용 기판(17)은, 기체(1)의 일부인 환형 지지체(5) 또는 기체(1)의 제어 박스(1b)에 설치되고, 또한 유도 가열 코일(53)에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유도 가열 코일(53)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한다.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호퍼(6)는, 내측의 페라이트 스테인레스층과, 외측의 페라이트 스테인레스층과, 이들 스테레스층의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알루미늄층(가열 촉진층)의 3층 구조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 스테인레스층은 자성 금속 재료이므로, 전원용 기판(17)으로부터 유도 가열 코일(53)에 고주파 전력이 공급되면, 이른바 줄열(Joule heating)과 호퍼(6)의 콘형 부분(6b)이 유도 가열되고, 예를 들면, 고형물을 함유하는 수프가, 예를 들면, 120°정도로 가열되어 비등(沸騰)한다. 그 결과, 유도 가열 코일(53)에 대한 전원 공급이나 교반용 구동원(14)에 대한 제어 여하에 따라서는, 상기 콘형 부분(6b)의 내벽면이 눌어붙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 내의 푸드를 가열 내지 비등시키는 경우에는, 수직 회전축(9)을 우측 및 좌측으로 교호적(交互的)으로 회전시킨다. 수직 회전축(9)이 회전하면, 교반 블레이드(11)는 수프류를 균등 상태로 교반한다. 또한, 눌어붙음 방지용 블레이드(12)도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때, 스프링성의 수지편(41)이 호퍼(6)의 콘형 부분(6b)의 내주면을 깎도록 슬라이딩 접촉한다. 그리고, 제어부(4)는 온도 센서(55)가 검출하는 온도 정보를 취득하고, 예를 들면, 푸드가 비등했을 때(예를 들면, 설정 온도가 120°시), 유도 가열 코일(5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시킨다.
실시예
이하, 다음에서는,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베어링 부재(60)의 장착 장소]를 나타낸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이 제2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주로 상이한 사항은, 호퍼용 상부 커버(8) 상벽의 중심부의 하면은, 수직 회전축(9)을 지지하는 단통형의 베어링 부재(60)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베어링 부재(60)는 상벽의 상면 및/또는 하면이라도 된다.
다음에,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측면에서 볼 때의 일부 개략 단면 설명도이다. 이 제3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주로 상이한 사항은, 가열 수단(유도 가열 코일)(53)을 냉각 수단(펠티에 소자)(53A) 대신한 것이다. 이 냉각 수단(53A)은, 이 호퍼(6)의 콘형 부분(6b)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는 경사형의 환형 주위벽(48)에 호퍼 내의 수프류로부터 상기 호퍼(6)를 통하여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53A)을, 예를 들면, 상기 경사형의 환형 주위벽(48)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합계 4개 고정하고, 이들 냉각 유닛(53A)은 배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 기판(17)에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냉각 유닛(53A)은,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호퍼(6)의 콘형 부분(6b)의 외주면의 곡률에 따른 접촉면을 가지는 첨설용(添設用) 제1 냉각판(accompanying first cooling plate)과, 이 첨설용 제1 냉각판의 외벽면의 끼워맞춤 오목부로 열을 빨아 들이는 수직면이 면접촉으로 설치된 전자 냉각 소자체와, 이 전자 냉각 소자체의 열방출면에 내벽면이 면접촉 상태로 설치된 제2 냉각판과, 이 제2 냉각판의 외벽면에 일체로 설치된 복수 개의 냉각 핀(cooling fins)과, 이 냉각 핀에 첨설된 냉각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팬, 냉각 핀, 제2 냉각판, 전자 냉각 소자체 및 첨설용 제1 냉각판은, 복수 개의 유닛용 고착구를 통하여 일체로 걸어맞추어지고, 1개의 냉각 구조체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공지사항).
마지막으로 도 19는 제1 실시형태에 가미되어 있는 부수적 사항이다. 도 19에 있어서, 19, 20은 입력부(21b), (21c) 및 표시부(21a)를 가지는 조작 패널, 4는 상기 입력부의 정보가 들어가는 제어부(연산 처리부), 71은 수프류의 관한 복수의 정보 a, 설정 온도 정보 b, 가격 정보, 칼로리 정보, 회사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기억부, 72는 제어부가 연산 처리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73은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수프류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출력부(72)를 통하여 기체(1)의 주변으로 발신하는 정보 발신 수단, 74는 수신 수단, 75는 타이머, 76은 상기 수신 수단에 호응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등이다. 그리고,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기체(1)와 휴대 단말기(76)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에 의한 주지의 통신이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03―218763호).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수프류를 공급원으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면서 펌프를 통하여 일정량씩 공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X: 수프류의 공급 장치, 1: 기체, 2: 펌프, 3: 펌프용 구동원,
4: 제어부, 5: 환형 지지체, 6: 호퍼, 6b: 콘형 부분, 6c: 하단부,
8: 호퍼용 상부 커버, 9: 수직 회전축, 10: 삽통공, 11: 교반 블레이드,
14: 교반용 모터, 14a: 출력축, 14b: 모터 베이스판,
20: 조작 패널, 21a: 표시부, 53: 가열 수단[주로 유도(誘導) 가열 코일],
53A: 냉각 수단[주로 펠티에(peltier) 소자], 55: 온도 센서,
56: 지지 부재, 58: 스프링 부재, 61: 계탈 수단, 62: 통형 제1 걸어맞춤체,
63: 통형 제2 걸어맞춤체, 64: 걸어맞춤공,
65: 록 볼트, 65a: 손잡이부, 65b: 봉형 삽입부,
66: 가압 수단, 67: 고착구, 71: 기억부, 73: 정보 발신 수단.

Claims (6)

  1. 기체(機體; machine body)(1)에, 외측 밸브(21), 내측 밸브(26) 및 직선 운동을 하는 플런저(plunger)(30)를 구비한 펌프(2)와, 상기 펌프의 구동원(3)과, 상기 외측 밸브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에 일체로 설치된 환형(環形) 지지체(5)와, 상기 환형 지지체의 벽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세팅되는 호퍼(6)와, 상기 호퍼에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호퍼용 상부 커버(8)와,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의 상벽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또한 롱 로드형(long rod-like) 하단부에 교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수직 회전축(9)과, 상기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와 계탈 수단(engagement/disengagement means)을 통하여 출력축의 하단부가 접속되는 교반용 모터(14)와, 상기 교반용 모터를 내장하고 또한 상기 기체의 상단 에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부 수납 케이싱(1d)과, 상기 펌프의 구동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호퍼에 수납된 수프류(soup)를 상기 내측 밸브(26)의 회전 및 상기 플런저(30)의 진퇴(進退) 이동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X)에 있어서,
    상기 계탈 수단(61)은, 상기 교반용 모터의 출력축(14a)의 하단부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걸어맞춤 부분을 구비하는 통형(筒形) 제1 걸어맞춤체(engaging body)(62)와, 상기 걸어맞춤 부분에 계탈되는 피걸어맞춤 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끼워맞춘 상태로 설치된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제2 걸어맞춤체에는, 상기 수직 회전축의 상단부에 형성한 삽통공(揷通孔)(10)과 연통되는 가로 방향의 걸어맞춤공(64)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공과 상기 삽통공에 록 볼트(lock bolt)(65)의 봉형 삽입부(rod-shaped inserting portion)(65b)가 꽂혀져 있고, 적어도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 및 상기 수직 회전축을 세정할 때, 상기 상부 수납 케이싱의 자유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또한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를 상기 호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록 볼트를 상기 걸어맞춤공과 상기 삽통공으로부터 인발(引拔; pulled out)하고, 이로써 상기 통형 제2 걸어맞춤체(63), 상기 수직 회전축(9) 및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8)를, 각각 분해할 수 있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납 케이싱(1d)의 저벽(底壁)과 상기 통형 제1 걸어맞춤체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저벽을 관통한 교반용 모터 출력축에 감아장착된 가압 수단(urging means)(66)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출력축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통형 제1 걸어맞춤체를, 항상 소정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상기 통형 제2 걸어맞춤체에 걸어맞추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용 상부 커버(8)의 상벽의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 회전축을 지지하는 단통형(短筒狀)의 베어링 부재(60)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지지체의 상단(上端) 개구와 하단(下端) 개구 사이의 내주벽에는, 상기 호퍼(6)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55)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한 상기 호퍼의 온도를 상기 기체(1)에 설치한 표시부(21a)에 표시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는, 제어부나 전원용 기판을 내장한 세로형의 제어 박스(1b)의 전벽(前壁)으로부터 대략 수평 상태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조작 박스(1c)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좌우 한 쌍의 조작 박스 중 어느 한쪽의 조작 박스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수프류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21a)가 설치되어 있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프류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정보 발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기체(1)의 주변으로 발신하는, 수프류의 공급 장치.
KR1020197014478A 2016-11-21 2016-11-21 수프류의 공급 장치 KR20190087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04937 WO2018092177A1 (ja) 2016-11-21 2016-11-21 スープ類の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432A true KR20190087432A (ko) 2019-07-24

Family

ID=6214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478A KR20190087432A (ko) 2016-11-21 2016-11-21 수프류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43339A1 (ko)
EP (1) EP3542645A1 (ko)
JP (1) JP6749598B2 (ko)
KR (1) KR20190087432A (ko)
CN (1) CN110167359A (ko)
WO (1) WO2018092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2321B1 (en) * 2019-12-16 2021-06-01 June Life, Inc. Cooking applianc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USD978600S1 (en) 2021-06-11 2023-02-21 June Life, Inc. Cooking vessel
USD1007224S1 (en) 2021-06-11 2023-12-12 June Life, Inc. Cooking vessel
CN113401522B (zh) * 2021-06-16 2022-05-27 华能左权煤电有限责任公司 一种料仓自动清理设备
CN113828238B (zh) * 2021-11-26 2022-02-11 潍坊市宇虹防水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隔热防水涂料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265A (ja) 2001-07-12 2003-01-3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5253355A (ja) 2004-03-11 2005-09-22 Bay City Service Co Ltd 飲食物用冷却装置
JP2008195410A (ja) 2007-02-09 2008-08-28 Bay City Service Co Ltd スープ類の小分け装置
JP2010050043A (ja) 2008-08-25 2010-03-04 Sharp Corp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113U (ja) * 1996-07-02 1997-01-21 株式会社フジマック スープディスペンサー
JPH1118944A (ja) * 1997-07-02 1999-01-26 Orion Mach Co Ltd 調理装置
US6513421B2 (en) * 2000-10-04 2003-02-04 Kazumasa Ikuta Subdividing apparatus for ingredients-contained soup
CN1538921A (zh) 2001-08-06 2004-10-20 ����һ 流动物的高速细分填充装置
JP2003218763A (ja) 2002-01-17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可能な機器
EP2055372B1 (de) * 2007-11-01 2010-09-15 Mettler-Toledo AG Rührereinheit aufweisend einen Adapter
CN102196751B (zh) * 2008-10-31 2014-04-16 生田尚之 羹类感应加热装置
CN102202547B (zh) * 2008-11-10 2014-05-07 生田尚之 羹类的搅拌装置
JP5637587B2 (ja) * 2010-06-14 2014-12-10 佐竹化学機械工業株式会社 撹拌装置のミキシングシャフトの着脱カップリング
KR20170016021A (ko) * 2012-10-05 2017-02-10 데스고무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리기
CN205024211U (zh) * 2015-10-12 2016-02-10 嘉兴卓盛生物科技有限公司 改良结构生物酶搅拌机
CN205514228U (zh) * 2016-02-26 2016-08-31 中山市美斯特实业有限公司 一种破壁机用的可拆式刀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265A (ja) 2001-07-12 2003-01-3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5253355A (ja) 2004-03-11 2005-09-22 Bay City Service Co Ltd 飲食物用冷却装置
JP2008195410A (ja) 2007-02-09 2008-08-28 Bay City Service Co Ltd スープ類の小分け装置
JP2010050043A (ja) 2008-08-25 2010-03-04 Sharp Corp 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9598B2 (ja) 2020-09-02
EP3542645A1 (en) 2019-09-25
US20190343339A1 (en) 2019-11-14
CN110167359A (zh) 2019-08-23
JPWO2018092177A1 (ja) 2019-10-10
WO2018092177A1 (ja)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432A (ko) 수프류의 공급 장치
US8348186B2 (en) Food mixers and processors
AU2008342326B2 (en) Automatic milk foamer
US20100135109A1 (en) Blade-motor coupler for a blender
US20170188743A1 (en) Vessel for sous vide cooking on an induction cooktop with magnetic stirring and wireless temperature control
KR101609327B1 (ko) 교반 기능을 갖는 용기 시스템
JP5376535B2 (ja) スープ類の誘導加熱装置
CN204952941U (zh) 组合式搅拌振动恒温加热水浴装置
JP5376536B2 (ja) スープ類の攪拌装置
KR20210019794A (ko) 블렌더
CN105919463A (zh) 食物加工机
CN203469857U (zh) 一种能够调温的化学试验搅拌器
US20230137076A1 (en) Blender
JP2016007247A (ja) 撹拌アダプタ
CN202723654U (zh) 具有新型搅拌装置的液体食品发泡机
CN214248942U (zh) 一种灯光显示互动装置
US20230225563A1 (en) Blender
EP3777621A1 (en) Blender
CN217795687U (zh) 一种食品加工器
CN107349853B (zh) 家用搅拌棒的使用方法
CN218832504U (zh) 搅拌机
EP4098321A1 (en)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nic device having vertical assembly structure
CN112555613A (zh) 一种灯光显示互动装置及控制方法
JP2015223317A (ja) インペラ
US20130105510A1 (en) Dispenser stir st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