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475A -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475A
KR20190086475A KR1020197015504A KR20197015504A KR20190086475A KR 20190086475 A KR20190086475 A KR 20190086475A KR 1020197015504 A KR1020197015504 A KR 1020197015504A KR 20197015504 A KR20197015504 A KR 20197015504A KR 20190086475 A KR20190086475 A KR 20190086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er
optical fiber
base material
glass base
wire dr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617B1 (ko
Inventor
사토시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3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 C03B37/035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having means for deflecting or stripping-off fibres or for removing defective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03B37/02736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or feeding the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to be drawn, e.g. fibre draw towers, preform alignment, butt-joining preforms or dummy parts during fee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9Furna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8Bushings, e.g. construction, bushing reinforcement means; Spinnerettes; Nozzles; Nozzle pl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80Means for sealing the preform entry or upper end of the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90Manipulating the gas flow through the furnace other than by use of upper or lower seals, e.g. by modification of the core tube shape or by using baffles
    • C03B2205/96Manipulating the gas flow through the furnace other than by use of upper or lower seals, e.g. by modification of the core tube shape or by using baffles using tangential fe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draw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캡 부재를 장착한 광섬유용 유리 모재를 와이어 드로잉 노에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는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를 제공한다.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부에 시드 로드 및 테이퍼부가 존재하는 광섬유용 유리 모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이다. 유리 모재의 시드 로드에 계합하는 제 1 캡 부재(30)와,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 및 제 1 캡 부재를 덮는 제 2 캡 부재(40)와, 제 1 캡 부재와 제 2 캡 부재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동시에, 제 2 캡 부재를 지지하고, 위치 조정 구조에 의해,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고, 제 2 캡 부재의 하단이 테이퍼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부재(50)와, 유리 모재 및/또는 제 2 캡 부재와, 상단 개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wire drawing furnace)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부에 시드 로드(seed rod) 및 테이퍼부가 존재하는 광섬유용 유리 모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석영을 주 성분으로 하는 광섬유용 유리 모재(이하, 유리 모재라고 한다)를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이하, 와이어 드로잉 노라고 한다)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노심 관 내에 삽입하고, 유리 모재의 선단을 가열 용융해서 세경화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드로잉 노의 하방으로부터 와이어 드로잉된다.
통상, 유리 모재는 소경의 시드 로드가 출발 유리가 되고, 그 단 부분에 유리 미립자를 퇴적시켜 유리화하여, 제조된다. 이 때문에, 유리 모재는, 똑바른 몸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시드 로드와의 경계 부분까지가 테이퍼형상으로 축경되어 있고(테이퍼부라고도 한다), 시드 로드에 대략 동일 직경의 더미봉을 연결하고, 와이어 드로잉 노의 노심 관 내에 매달린다.
이와 같이, 유리 모재에는 직경이 크게 변화하는 테이퍼부가 있으므로, 이 테이퍼부나 시드 로드, 더미봉의 위치에서의 시일이 어렵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유리 모재의 삽입구측의 시일을 안정시키기 위한 시일 구조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더미봉에는, 그 외주를 둘러싸는 슬리브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드로잉 노의 상단 개구부에 제 1 시일부를, 상단 개구부의 상방에 제 2 시일부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와이어 드로잉 개시 시는, 제 1 시일부가 유리 모재의 똑바른 몸통부를 시일한다. 유리 모재가 더욱 하강하고,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 부근이 제 1 시일부를 통과하기 시작한 이후는, 제 1 시일부로부터 제 2 시일부로 전환되고, 제 2 시일부가 더미봉을 둘러싸는 슬리브 부재의 외주면을 시일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162671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와이어 드로잉시에 있어서의 노 내 압력의 변동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더미봉을 둘러싸는 슬리브 부재의 길이를 가능한한 하방으로 연장하고, 시드 로드나 테이퍼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리브 부재를 캡 부재라고도 하지만, 이 캡 부재의 길이는, 용착하지 않게 캡 부재의 하단이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의 길이나 형상은 일정은 아니다. 이러한 테이퍼부의 길이 등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높이가 상이한 캡 부재를 복수 준비하고, 유리 모재를 와이어 드로잉 노에 세트할 때마다, 캡 부재를 분리해서 다른 캡 부재로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수고스럽고, 유리 모재를 와이어 드로잉 노에 용이하게 세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캡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페이서 부재를 이용하면, 캡 부재를 복수 준비하지 않아도 되지만, 높이가 상이한 스페이서 부재를 복수 준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리 모재를 와이어 드로잉 노에 세트할 때마다, 캡 부재나 스페이서 부재를 분리해서 다른 스페이서 부재로 교환하는 것은 수고스럽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실정에 감안하여 이뤄진 것으로, 캡 부재를 장착한 유리 모재를 와이어 드로잉 노에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는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는,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부에 시드 로드 및 테이퍼부가 존재하는 광섬유용 유리 모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로서,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상기 시드 로드에 계합하는 제 1 캡 부재와,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상기 테이퍼부 및 상기 제 1 캡 부재를 덮는 제 2 캡 부재와, 상기 제 1 캡 부재와 상기 제 2 캡 부재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캡 부재를 지지하고, 위치 조정 구조에 의해, 상기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 2 캡 부재의 하단이 상기 테이퍼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부재와,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 및/또는 상기 제 2 캡 부재와, 상기 상단 개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에 의하면, 스페이서 부재나 캡 부재를 복수 준비하는 일 없이, 캡 부재를 장착한 유리 모재를 와이어 드로잉 노에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의 제조 방법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유리 모재, 제 1, 2 캡 부재, 스페이서 부재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스페이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캡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캡 부재를 설치한 유리 모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페이서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페이서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열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는, (1)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부에 시드 로드 및 테이퍼부가 존재하는 광섬유용 유리 모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로서,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상기 시드 로드에 계합하는 제 1 캡 부재와,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상기 테이퍼부 및 상기 제 1 캡 부재를 덮는 제 2 캡 부재와, 상기 제 1 캡 부재와 상기 제 2 캡 부재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캡 부재를 지지하고, 위치 조정 구조에 의해, 상기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 2 캡 부재의 하단이 상기 테이퍼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부재와,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 및/또는 상기 제 2 캡 부재와, 상기 상단 개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한다. 스페이서 부재가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높이가 상이한 스페이서 부재를 복수 준비할 필요가 없고, 제 2 캡 부재를 유리 모재로부터 분리해서 스페이서 부재를 교환하는 작업도 불필요하다. 또한, 높이가 상이한 제 2 캡 부재를 복수 준비할 필요도 없다.
(2) 상기 위치 조정 구조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면 둘레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축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이한 지지부로 이뤄진다. 1개의 스페이서 부재로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3) 상기 위치 조정 구조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측면 둘레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축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이한 지지부로 이뤄진다. 1개의 스페이서 부재로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4) 상기 지지부가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단차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5) 상기의 시일 구조를 이용하여, 와이어 드로잉 노 내에서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를 가열 용융해서 광섬유를 와이어 드로잉하는 광섬유의 제조 방법이다.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드로잉 작업을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히터에 의해 노심관을 가열하는 저항 노를 예로 설명하지만, 코일에 고주파 전원을 인가하고, 노심관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노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유리 모재와 더미봉의 접속 방법 등에 대해서도, 하기에서 설명하는 것은 일례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드로잉 노(10)는, 예를 들면 노 하우징(18), 하부 챔버(19), 상부 챔버(20)로 이뤄진다. 노 하우징(18)의 중앙부에는, 카본제로 원통형의 노심관(15)이 설치되고, 하부 챔버(19) 및 상부 챔버(20)와 연통되어 있다.
상부 챔버(20)는, 예를 들면, 노심관(15)과 동일 정도의 내경을 갖고, 유리 모재(11)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유리 모재(11)의 상단은 후술의 더미봉(13)(지지봉이라고도 한다)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부 챔버(20)에는, 기밀을 취하기 위한 시일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심관(15)의 상단 개구부(15a)에는 제 1 시일부(21)가 설치되고, 상단 개구부(15a)와 유리 모재(11)와의 간극을 시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시일부(21)에는, 예를 들면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등을 노심관(15) 내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구(21a)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챔버(20)의 상단에는, 제 1 시일부(21)와 동일의 시일 기능을 갖는 제 2 시일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시일부(22)에도, 예를 들면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등을 노심관(15) 내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구(22a)가 설치되어 있다.
유리 모재(11)는, 제 1, 2 시일부(21, 22)에 의해 시일되면서 노심관(15) 내에 매달려 강하한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드로잉 개시 시는, 제 1 시일부(21)가 유리 모재(11)의 똑바른 몸통부(11a)로 시일한다.
그 다음에, 유리 모재(11)의 테이퍼부(11b)가 제 1 시일부(21)를 통과하기 시작한 이후는, 제 1 시일부(21)로부터 제 2 시일부(22)로 전환되고, 제 2 시일부(22)가 후술하는 제 2 캡 부재(40)의 외주면을 시일한다.
노 하우징(18) 내에는, 히터(16)가 노심관(15)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단열재(17)가 히터(16)의 외측을 덮도록 수납되어 있다. 히터(16)는, 노심관(15)의 내부에 삽입된 유리 모재(11)를 가열 용융하고, 용융 축경한 광섬유(12)가 하부 챔버(19)로부터 수하된다. 와이어 드로잉 노(10)에서 와이어 드로잉된 광섬유는 냉각 장치(도시 생략)로 향한다. 또한, 와이어 드로잉 노 내에 이송된 불활성 가스 등도, 유리 모재(11)와 노심관(15)의 간극을 통과하고, 하부 챔버(19)의 하방의 셔터 부분 등에서 외부에 방출된다.
유리 모재(11)는 소경의 시드 로드(11d), 유리 모재(11)의 대경의 똑바른 몸통부(11a)와, 그 사이에, 테이퍼형상으로 축경된 테이퍼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시드 로드(11d)는, 예를 들면 어댑터(도시 생략)를 이용해서 더미봉(13)에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유리 모재, 제 1, 2 캡 부재, 스페이서 부재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유리 모재(11)에는, 제 1 캡 부재(30), 스페이서 부재(50), 제 2 캡 부재(40)의 순서로 조립할 수 있다.
제 1 캡 부재(30)는, 예를 들면 석영 유리로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부(31)를 갖고, 본체부(31)의 내경은 시드 로드(11d)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1)의 하단에는 플랜지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캡 부재(30)의 본체부(31)의 소정 위치에는 단면 원형형상의 핀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를 시드 로드(11d)의 예를 들면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핀 구멍(32)이 시드 로드(11d)의 핀 구멍(11f)이 대응하는 위치에서 단면 원형형상의 고정 핀(34)을 찔러넣으면, 제 1 캡 부재(30)가 시드 로드(11d)에 계합된다.
스페이서 부재(50)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며, 그 형상은, 중앙에, 제 1 캡 부재(30)를 삽통시킬 수 있는 원통형상이다. 스페이서 부재(50)를 제 1 캡 부재(3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랜지부(33)에 탑재하는 것으로, 스페이서 부재(50)가 제 1 캡 부재(30)에 탑재된다. 제 1 캡 부재(30)의 플랜지부(33)의 상면과 스페이서 부재(50)의 하단면이 접촉하기 때문에, 이전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0)는 제 2 캡 부재(40)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51)는 제 2 캡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핀 지지부(52)를 구비하고 있다. 핀 지지부(52)는, 예를 들면 본체부(51)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본 위치가 동일 높이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본체부(51)의 둘레 방향에 따라서 절반 둘레분이 점차 높이를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 지지부(52)가 본 발명의 지지부에 상당한다.
핀 지지부(52)는, 예를 들면 절반 둘레분이 10단의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중앙에는, 원형형상의 오목부(5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단의 단차는 예를 들면 10㎜ 정도이다. 제 2 캡 부재(40)를 축선 회전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캡 부재(40)의 지지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1개의 스페이서 부재(50)에서, 도 1에서 설명한 테이퍼부(11b)의 적당한 위치에, 제 2 캡 부재(40)의 하단 개구부(4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캡 부재(40)는, 예를 들면 석영 유리로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부(41)를 구비하고, 본체부(41)의 내경은 스페이서 부재(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와이어 드로잉 노 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체부(41)와 스페이서 부재(50)와의 사이의 간극을 가능한한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0)가 금속제이면, 석영 유리에 비해 선팽창 계수가 크기 때문에, 와이어 드로잉 시에 팽창하고, 제 2 캡 부재(40)의 내주면과 스페이서 부재(50)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좁게, 혹은 없게 할 수 있다.
제 2 캡 부재(40)의 본체부(41)의 예를 들면 내벽의 상단에는, 위치 결정 핀(45)이 예를 들면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핀(45)은 본체부(41)의 내벽에 마련한 핀 설치부의 상하 방향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위치 결정 핀(45)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볼트나 너트를 이용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위치 결정 핀(45)은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또한, 제 2 캡 부재(40)의 본체부(41)는, 도 2에서 설명한 스페이서 부재(50)와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부(41)의 상단 근방을 투명하게 해도 좋다.
도 1에서 설명한 유리 모재(11)를 와이어 드로잉 노에 세트하는 경우, 유리 모재(11)에, 제 1 캡 부재(30), 스페이서 부재(50)에 조립한 후, 제 2 캡 부재(40)를 스페이서 부재(5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위치 결정 핀(45)에서 스페이서 부재(50)의 핀 지지부(52)에 지지되면, 제 2 캡 부재(40)가 스페이서 부재(50)에 탑재된다.
그리고, 제 2 캡 부재(40)의 하단 개구부(42)가 유리 모재(11)의 테이퍼부(11b)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스페이서 부재(50)의 핀 지지부(52)에 대한 제 2 캡 부재(40)의 지지 위치를 조정한다.
상세하게는, 제 2 캡 부재(40)를 스페이서 부재(50)에 조립하고, 제 2 캡 부재(40)의 하단 개구부(42)와 유리 모재(11)의 테이퍼부(11b)의 위치를 확인한다. 만일, 테이퍼부(11b)가 하단 개구부(42)보다 하방에 노출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제 2 캡 부재(40)를 들어 올리고, 위치 결정 핀(45)과 핀 지지부(52)와의 접촉을 해제한다. 그 다음에, 예를 들면 제 2 캡 부재(40)를 회전시키고, 위치 결정 핀(45)을 보다 낮은 위치의 핀 지지부(52)에 접촉시키고, 하단 개구부(42)와 테이퍼부(11b)의 위치를 확인한다. 테이퍼부(11b)가 소망한 위치에 올 때까지, 이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만일 테이퍼부(11b)가 하단 개구부(42)로부터 노출하지 않다고 상정되는 경우에는, 제 2 캡 부재(40)를 들어 올리고, 예를 들면 제 2 캡 부재(40)를 회전시켜, 위치 결정 핀(45)을 보다 높은 위치의 핀 지지부(52)에 접촉시키고, 하단 개구부(42)와 테이퍼부(11b)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 부재(50)가 제 2 캡 부재(40)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 모재(11)의 테이퍼부(11b)의 위치(길이)가 상이한 경우에서도, 하단 개구부(42)를 테이퍼부(11b)에 항상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가 상이한 스페이서 부재를 복수 준비할 필요가 없고, 제 2 캡 부재를 유리 모재로부터 분리해서 스페이서 부재를 교환하는 작업도 불필요하다. 또한, 높이가 상이한 제 2 캡 부재를 복수 준비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된 핀 지지부의 예를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핀 지지부는, 계단형상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높이 방향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구조이면, 예를 들면, 나사형상으로 형성된 홈이라도 좋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부재(50)의 본체부(51)의 외주면(측면)에, 그 둘레 방향에 따라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면 나사형상의 홈(52b)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제 2 캡 부재의 내주면에 돌출하는 위치 결정 핀(도시 생략)을 마련하면, 제 2 캡 부재를 스페이서 부재(50)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형상의 홈(52b)을 계단형상으로 하고, 그 단부의 중앙에 오목부(52c)를 형성하고, 거기서 위치 결정 핀을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으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의미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제시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 와이어 드로잉 노 11: 유리 모재
11a: 똑바른 몸통부 11b: 테이퍼부
11d: 시드 로드 11f: 핀 구멍
12: 광섬유 13: 더미봉
15: 노심관 15a: 상단 개구부
16: 히터 17: 단열재
18: 노 하우징 19: 하부 챔버
20: 상부 챔버 21: 제 1 시일부
21a, 22a: 가스 공급구 22: 제 2 시일부
30: 제 1 캡 부재 31: 본체부
32: 핀 구멍 33: 플랜지부
34: 고정 핀 40: 제 2 캡 부재
41: 본체부 42: 하단 개구부
45: 위치 결정 핀 50: 스페이서 부재
51: 본체부 52: 핀 지지부
52a: 오목부 52b: 홈
52c: 오목부

Claims (5)

  1.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상단 개구부와, 상부에 시드 로드 및 테이퍼부가 존재하는 광섬유용 유리 모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한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상기 시드 로드에 계합하는 제 1 캡 부재와,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상기 테이퍼부 및 상기 제 1 캡 부재를 덮는 제 2 캡 부재와,
    상기 제 1 캡 부재와 상기 제 2 캡 부재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캡 부재를 지지하고, 위치 조정 구조에 의해, 상기 제 2 캡 부재의 축 방향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 2 캡 부재의 하단이 상기 테이퍼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부재와,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 및/또는 상기 제 2 캡 부재와, 상기 상단 개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시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구조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상면 둘레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축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이한 지지부로 이뤄지는
    시일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구조는,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측면 둘레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축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이한 지지부로 이뤄지는
    시일 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일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시일 구조를 이용하여, 와이어 드로잉 노 내에서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를 가열 용융해서 광섬유를 와이어 드로잉하는
    광섬유의 제조 방법.
KR1020197015504A 2016-11-30 2017-11-28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 KR102429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2151 2016-11-30
JPJP-P-2016-232151 2016-11-30
PCT/JP2017/042500 WO2018101228A1 (ja) 2016-11-30 2017-11-28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75A true KR20190086475A (ko) 2019-07-22
KR102429617B1 KR102429617B1 (ko) 2022-08-04

Family

ID=6224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504A KR102429617B1 (ko) 2016-11-30 2017-11-28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30490B2 (ko)
JP (1) JP6973408B2 (ko)
KR (1) KR102429617B1 (ko)
CN (1) CN110035980B (ko)
RU (1) RU2745625C2 (ko)
WO (1) WO2018101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5184B (zh) * 2019-10-25 2022-04-29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共轨式光纤拉丝装置及其拉丝方法
CN112768177A (zh) * 2020-12-28 2021-05-07 常州市英中电气有限公司 纸密封绝缘导电杆及其加工方法
US20220315473A1 (en) * 2021-04-06 2022-10-06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draw furnace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452A (ja) * 1988-11-28 1990-06-0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線引き方法
JPH0733471A (ja) * 1993-07-22 1995-02-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線引き方法
JPH1067532A (ja) * 1996-04-23 1998-03-10 Alcatel Fibres Optiques 光ファイバのプリフォームの繊維化装置
WO2014129471A1 (ja) * 2013-02-25 2014-08-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線引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線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3016B2 (ja) * 2007-08-10 2012-09-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線引き炉のシール方法
US8074474B2 (en) * 2007-11-29 2011-12-13 Corning Incorporated Fiber air turn for low attenuation fiber
JP5624796B2 (ja) * 2010-04-30 2014-11-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02025116U (zh) * 2011-04-07 2011-11-02 马一华 改良的电讯商品用摄影镜头与镜座组装结构
CN203728719U (zh) * 2014-03-14 2014-07-23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拉丝炉密封装置
CN105739045A (zh) * 2014-12-12 2016-07-06 精狮光学股份有限公司 镜筒与镜座的组合结构
JP6269640B2 (ja) * 2015-11-16 2018-01-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RU2740642C2 (ru) * 2016-09-07 2021-01-19 Сумитомо Электрик Индастриз, Лтд. Способ вытягива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ягивания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452A (ja) * 1988-11-28 1990-06-0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線引き方法
JPH0733471A (ja) * 1993-07-22 1995-02-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線引き方法
JPH1067532A (ja) * 1996-04-23 1998-03-10 Alcatel Fibres Optiques 光ファイバのプリフォームの繊維化装置
WO2014129471A1 (ja) * 2013-02-25 2014-08-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線引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線引装置
JP2014162671A (ja) 2013-02-25 2014-09-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線引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線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9120023A3 (ko) 2021-01-25
RU2019120023A (ru) 2021-01-11
CN110035980A (zh) 2019-07-19
WO2018101228A1 (ja) 2018-06-07
US20200002213A1 (en) 2020-01-02
JP6973408B2 (ja) 2021-11-24
JPWO2018101228A1 (ja) 2019-10-24
US11230490B2 (en) 2022-01-25
KR102429617B1 (ko) 2022-08-04
CN110035980B (zh) 2021-08-24
RU2745625C2 (ru)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620B1 (ko) 광섬유 인선 방법 및 광섬유 인선 장치
KR20190086475A (ko)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
KR102594267B1 (ko)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CN104936909A (zh) 光纤线的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JP2018048999A (ja) 温度センサ較正用ブロック較正器
JP2015074600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CN109689583B (zh) 光纤拉丝方法及拉丝装置
KR101986422B1 (ko) 드로잉 노의 밀봉 장치
JP6513147B2 (ja) 製造方法及びキャップ
RU27578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газа в печь,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птоволокн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птоволокна
JP2011046563A (ja) 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
JP6638432B2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834561B2 (ja) 光ファイバ母材用加熱炉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