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894A - 수계 접착층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 Google Patents

수계 접착층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894A
KR20190084894A KR1020190002324A KR20190002324A KR20190084894A KR 20190084894 A KR20190084894 A KR 20190084894A KR 1020190002324 A KR1020190002324 A KR 1020190002324A KR 20190002324 A KR20190002324 A KR 20190002324A KR 20190084894 A KR20190084894 A KR 2019008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inorganic
separator
lay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이상준
윤수진
성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08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68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01M2/1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기재; 상기 분리막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무기물과 제1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층;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접착층; 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에서 제1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무기물이 결합하여 층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만 포함되며, 상기 무기물접착층에는 상기 무기물이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바인더는 수성 용매에 가용성인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함으로써, 전해액의 젖음 특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 기재와 무기물층의 접착력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계 접착층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qua Based Adhesive Layer}
본원 발명은 수계 접착층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서, 구체적으로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기재와 상기 분리막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무기물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접착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특히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양산중인 안전 강화 분리막(Safety Reinforced Separator, 이하 'SRS')은 다공성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 기재에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가 표면에 코팅된 것이다.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에 의한 기공 구조로 인해 액체 전해액이 들어갈 공간이 증가하여 리튬이온 전도도 및 전해액 함침율이 높아지며 이를 통해 상기 분리막을 사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성능 및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관련된 리튬이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 소자가 기재되어 있다.
현재 양산중인 SRS는 PVDF 계열의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어 양극과의 접착력은 우수하나, SBR(Styrene-Butadiene Rubber) 계열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는 음극과는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PVDF 계열의 바인더는 소수성이므로 전해액에 대한 분리막의 젖음 특성이 좋지 않아 전지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SRS 분리막의 열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기물이 분리막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바인더-무기물, 원단-바인더의 접착력 특성이 매우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바인더는 PVDF 계열로서 바인더의 접착력 특성이 낮기 때문에 열적 안정성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2는 분리막-접착층 및 전극-접착층을 가지는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공성 기재/제1 바인더 고분자로 이루어진 분리막-접착층/무기물과 제2 바인더 고분자로 이루어진 다공성 코팅층/제3 바인더 고분자로 이루어진 전극 접착층 순으로 적층된 분리막을 공지하고 있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에서 제 2 바인더 고분자에 비해 무기물이 과량으로 첨가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기본적인 구성은 본원 발명의 구성과 유사하나 사용하고 있는 바인더가 소수성 특징이 있는 PVDF계 고분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종래의 SRS 분리막에 사용되고 있는 바인더와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은 별도의 분리막 접착층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문제점인 전해액에 대한 분리막의 젖음 특성이 좋지 않아 전지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다공성 고분자 기재와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된 다공성 코팅층 및 상기 다공성 코팅층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접착층은 고분자 바인더 섬유로 형성된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본원 발명의 특징인 별도의 분리막 접착층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어 다공성 고분자 기재와 다공성 코팅층 사이의 접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은 기공들을 갖는 다공성 기재,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 단부를 제외한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무기물 입자들과 제1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무기 다공성 코팅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 단부 상에서 상기 유기-무기 다공성 코팅층과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바인더 고분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고분자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분리막 접착층을 별도의 층으로 구비하지 않고 다공성 기재의 양 단부 상에 배치하였다. 이로 인해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전해액 젖음 특성을 개선시키면서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 기재와 무기물층의 접착력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기술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531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260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549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36148호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해액의 젖음 특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 기재와 무기물층의 접착력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제1양태는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기재; 상기 분리막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무기물과 제1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층;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접착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접착층에는 상기 무기물이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바인더는 수성 용매에 가용성인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한다.
상기 제2바인더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methyl cellulose, HEMC),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또는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HEC),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ho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의 건조시간이 20초 미만일 필요가 있다. 이 시간을 초과하면 무기물접착층의 PVP가 용해되어 박리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2바인더에는 각 분자에서 히드록실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중량% 이상인 다당류계 바인더가 추가될 수 있다. 구체적인 종류로는 탄닌산, 파이로갈릭산, 아밀로즈, 아밀로펙틴, 잔탄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제2바인더에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제1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제1바인더는 통상의 SRS 바인더에 사용되는 바인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상기 무기물층 위에 전극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극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접착층은 별도의 층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무기물층과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2양태는 본원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기재; 상기 분리막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무기물과 제1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층;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접착층; 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에서 제1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무기물이 결합하여 층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만 포함되며, 상기 무기물접착층에는 상기 무기물이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바인더는 수성 용매에 가용성인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함으로써, 전해액의 젖음 특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 기재와 무기물층의 접착력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비교예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비교예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분리막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따른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100)은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기재(110); 상기 분리막기재(110)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무기물과 제1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층(130); 상기 분리막기재(110)와 상기 무기물층(1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기재(110)와 상기 무기물층(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접착층(120);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130)에서 제1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무기물이 결합하여 층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만 포함되며, 상기 무기물접착층(120)에는 상기 무기물이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바인더는 수성 용매에 가용성이다. 이때 막의 최외각에는 전극접착층(140)이 부가된다.
도 2에 따른 분리막(200)은 도 1에 따른 분리막(100)에서 전극접착층(140)을 제외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의 분리막(300, 400)은 각각 도 1 및 도 2의 분리막(100, 200)에서 무기물접착층(120)이 제외된 것으로서 상기 무기물접착층(120)이 제외된 분리막은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100, 200)에 대비하여 분리막기재(110)와 무기물층(130)과의 접착력이 약하다.
<실시예 1>
분리막 기재로서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고분자 기재를 사용하였으며, 무기물접착층은 PVP(polyvinlypyrrolidone, 중량평균분자량 : 300,000)를 사용하였다. 무기물층으로는 아크릴계 입자형 고분자 바인더(5중량%)와 알루미나(95중량%)를 사용하였다. 전극접착층으로는 아크릴계 입자형 고분자 바인더를 사용하였다. 무기물층의 건조시간은 10초 이하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전극접착층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무기물접착층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무기물접착층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PVP 대신에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중량평균분자량 : 300,000)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PVP를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0인 것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PVP를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0인 것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PVP를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인 것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PVP 대신에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중량평균분자량 : 50,000)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
PVP 대신에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중량평균분자량 : 300,000)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무기물층의 건조시간을 30초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무기물층의 건조시간을 60초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무기물층의 건조시간을 120초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박리강도 측정>
상기 분리막을 15 X 70㎜의 크기로 준비하였으며,하기 측정방법에 따라 각각 4회 측정하였다.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붙이고 준비된 분리막의 코팅층이 형성된 면이 양면 접착테이프에 붙도록 하며, 양면 접착 테이프와 붙지 않은 분리막 하단부위에 20 x 100㎜ PET 필름 1장을 단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붙였다.
UTM 장비의 아래 홀더에 분리막이 붙어있는 슬라이드 글라스를 고정하였다. UTM 장비의 위쪽 홀더에는 분리막과 연결된 PET 필름 부위를 고정하였다. (위쪽 홀더 : 당기는 쪽, 아래쪽 홀더 : 고정된 쪽). UTM 장비에서 peel test mode, peel speed 300㎜/min, peel distance 40㎜ 설정하였다. 수동 모드로 홀더를 위로 올려(당기는 것) 2㎜ 정도 코팅층이 테이프와 분리되도록 한 후 홀더를 아래로 내려 분리막이 받는 장력이 0이 되도록 하였다. 이 상태가 distance 0㎜, 0 N으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속도로 당겨지면서 코팅층과 양면 접착 테이프간의 접착 부위가 떨어지고, 매 distance의 접착력은 gf 단위로 기록하였다.
아래 표는 본원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박리강도 측정 결과 및 이들의 평균 값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를 볼 때 본원 발명에 따른 무기물접착층이 부가된 분리막은 그렇지 않은 비교예 1, 비교예 2에 대비하여 약 5배 이상의 박리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4, 비교예 4와 대비를 해 보았을 때, PVP를 사용할 경우라도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이하일 경우에는 비교예 2와 대비하여 큰 차이가 없을 만큼 충분한 박리강도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 따른 PVP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 이상일 경우 충분한 박리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2, 3, 4의 결과를 볼 때 중량평균분자량의 증가에 따라서 박리강도가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것이 아님을 볼 때, 이들의 범위를 단순하게 결정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분자량의 PVDF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3)에는 매우 낮은 박리 강도를 보여주고 있다. PVDF 적용시 수계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입자형 타입의 에멀젼을 사용하였으나, 박리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VP 대신에 CMC를 사용할 경우(비교예 5, 6) PVP에 대비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충분히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박리강도를 얻을 수 없었다.
무기물층은 무기물접착층 위에 형성되는 것인바, 무기물층의 건조시간이 길어질 경우, 무기물접착층의 PVP가 다시 용해되어 박리강도가 오히려 저하됨을 알 수 있다(비교예 7, 8, 9).
100, 200, 300, 400 : 분리막
110 : 분리막기재
120 : 무기물접착층
130 : 무기물층
140 : 전극접착층

Claims (11)

  1.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기재;
    상기 분리막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배치되는 무기물과 제1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층;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막기재와 상기 무기물층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바인더를 포함하는 무기물접착층;
    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접착층에는 상기 무기물이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2바인더는 수성 용매에 가용성인 이차전지용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인더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methyl cellulose, HEMC),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또는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HEC),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ho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인 이차전지용 분리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인더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인 이차전지용 분리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의 건조시간이 20초 미만인 이차전지용 분리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인더에는 각 분자에서 히드록실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중량% 이상인 다당류계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자에서 히드록실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중량% 이상인 다당류계 바인더는 탄닌산, 파이로갈릭산, 아밀로즈, 아밀로펙틴, 잔탄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이차전지용 분리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인더에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가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이차전지용 분리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 위에 전극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극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접착층은 별도의 층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무기물층과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분리막.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0190002324A 2018-01-08 2019-01-08 수계 접착층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KR20190084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2507 2018-01-08
KR1020180002507 2018-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894A true KR20190084894A (ko) 2019-07-17

Family

ID=6751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24A KR20190084894A (ko) 2018-01-08 2019-01-08 수계 접착층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8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782A (ko)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 함침성이 개선된 권취형 전극조립체용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이차전지
KR20210136570A (ko) 2020-05-08 2021-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형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2015118A1 (ko) * 2020-07-16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45839A1 (ko) 2020-08-28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h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가변형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에 따른 분리막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10B1 (ko) 2004-12-22 2007-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KR20130136148A (ko)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개선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40026009A (ko) 2012-08-24 2014-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접착층 및 전극-접착층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60054936A (ko)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분리막-전극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10B1 (ko) 2004-12-22 2007-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KR20130136148A (ko)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개선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40026009A (ko) 2012-08-24 2014-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접착층 및 전극-접착층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60054936A (ko)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분리막-전극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782A (ko)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 함침성이 개선된 권취형 전극조립체용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이차전지
KR20210136570A (ko) 2020-05-08 2021-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형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2015118A1 (ko) * 2020-07-16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45839A1 (ko) 2020-08-28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h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가변형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에 따른 분리막 제조방법
KR20220028339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H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가변형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에 따른 분리막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894A (ko) 수계 접착층을 구비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US11264676B2 (e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2021141078A (ja) リチウム電池用の改善されたコーティングしたセパレータおよび関連方法
KR102583612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폴리락탐 코팅 분리막 및 이와 관련된 코팅제
JP6148331B2 (ja) 水系コーティング液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有/無機複合コーティング多孔性分離膜の製造方法
JP4618831B2 (ja)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
KR102137533B1 (ko) 기능성 바인더가 적용된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적용한 전기화학 소자
JP2018170287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改良型隔離板および関連する方法
CA2589104A1 (en) Surface-treated microporous membrane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KR20180004832A (ko) 적층 다공질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60117109A (ko) 접착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0282A (ko) Pvdf 아크릴레이트 라텍스에 기반한 li-이온 배터리용 세퍼레이터 코팅
US11081760B2 (en) Coated battery separator
CN111180642A (zh) 陶瓷隔离膜及其制备方法
TWI752384B (zh) 陶瓷隔離膜及其製備方法
CN108448028B (zh) 一种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JP2016213019A (ja) 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蓄電デバイス、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2287723B1 (ko) 분리막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KR20220141068A (ko)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3752235B2 (ja) 電子部品用セパレータ
KR20180085512A (ko) 바인더
KR102168816B1 (ko)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CN114284641A (zh) 一种复合涂层隔膜及其制备方法及具有其的电池、物体
TW201820676A (zh) 電池用隔膜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