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864A - 이동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864A
KR20190084864A KR1020180168800A KR20180168800A KR20190084864A KR 20190084864 A KR20190084864 A KR 20190084864A KR 1020180168800 A KR1020180168800 A KR 1020180168800A KR 20180168800 A KR20180168800 A KR 20180168800A KR 20190084864 A KR20190084864 A KR 20190084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air
drain pan
heat exchanger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078B1 (ko
Inventor
김무희
김대혁
김문신
김중욱
박종훈
이동활
정대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241,03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16225B2/en
Priority to CN201920030267.3U priority patent/CN209639146U/zh
Publication of KR2019008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864A/ko
Priority to KR1020200079265A priority patent/KR102266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하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실외열교환부의 위쪽에 드레인 팬을 배치하고, 드레인 팬의 위쪽에 실내열교환부를 배치하며, 컨트롤박스를 드레인 팬에 장착하되 상기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가 일부영역은 상기 상부 수용공간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영역은 상기 하부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형 공기조화기{MOV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또는 냉각된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컨트롤박스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증발기(일반적으로는 실내열교환기), 팽창밸브, 응축기(일반적으로는 실외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증발기와 응축기를 구획된 공간에 배치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일반적인 공조장치와 달리 증발기와 응축기가 단일 케이스에 설치 제작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냉매의 역방향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방사이클과 난방사이클이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므로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술을 습득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 설치가 용이하도록 소형화를 이루는 추세이다. 소형화된 제품의 내부에 수많은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부품은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박스가 설치된다. 컨트롤박스에는 인버터와 같은 발열소자가 포함된다. 발열소자의 효율적인 냉각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발열소자 냉각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0)는 인버터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1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210)에는 동작시에 열이 발생하는 발열소자(212)가 포함된다. 발열소자(21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히트싱크(215)를 부착한다.
그리고 히트싱크(215)가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도록 히트싱크(215)를 실외열교환기의 흡기 유로(112) 내부에 배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히트싱크(215)와 발열소자(212)가 공기의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고, 또한 실외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실외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필터링을 거치지 않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며 전자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10)과 접촉하게 되므로, 인쇄회로기판(210) 에 수분이나 이물질(먼지, 꽃가루 등)이 부착되어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컨트롤박스의 발열소자를 냉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컨트롤박스의 발열소자에 히트싱크를 배치하고 공기조화기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히트싱크가 냉각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냉각된 공기를 이용하여 발열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부품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열교환부와 실내열교환부와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매 회로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에 구비되는 히트싱크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하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실외열교환부의 위쪽에 드레인 팬을 배치하고, 드레인 팬의 위쪽에 실내열교환부를 배치하며, 컨트롤박스를 드레인 팬에 장착하되 상기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가 일부영역은 상기 상부 수용공간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영역은 상기 하부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하부 수용공간과 상부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드레인 팬과, 냉매 회로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되, 컨트롤박스는 발열부품을 냉각시키는 히트싱크가 상기 드레인 팬에 수용되도록 드레인 팬에 장착되고, 드레인 팬 상부 영역의 공기와 드레인 팬 하부 영역의 공기가 히트싱크를 사이에 두고 연통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드레인 팬의 하부에 실외열교환기를 배치하고, 드레인 팬의 상부에 실내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컨트롤박스가 드레인 팬에 장착된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송풍유닛에 연결되어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가 히트싱크로 안내되도록 하는 보조냉각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발열소자에 배치된 히트싱크가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어서 제품성능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동작시에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열소자에 배치된 히트싱크로 안내함으로써, 별도의 냉각팬 또는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발열소자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를 이용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열소자를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발열소자를 냉각한 공기가 실내측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냉각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발열 소자 냉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3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와 드레인팬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컨트롤박스를 추가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흡입구 그릴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부의 공기유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히트싱크로 유동되는 공기유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 냉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 냉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 냉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에 컨트롤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기술분야에 따라 옵션으로 선택)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분야에 따라 옵션으로 선택)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3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0)과, 압축기(1200)와, 실외열교환기(1300)와, 제1 송풍유닛(1400)과, 실내열교환기(1500)와, 제2 송풍유닛(1600)과, 베이스 플레이트(1700)와, 드레인 팬(1800)과 컨트롤박스(19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0)은 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하우징(1100a)과,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1100b)로 분리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더 많은 수로 분할될 수도 있고, 전후방 및 측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단일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면 하우징(1100a)이 배치된 측을 전방, 후면 하우징(1100b)이 배치된 측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하우징(1100)의 내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700)와 드레인 팬(1800)이 배치된다. 드레인 팬(1800)은 하우징(1100)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7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바닥 외관을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700)는 하우징(1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100a,1100b)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는 냉매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주변의 공기와 두 차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매와 주변의 공기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실외열교환기(1300)와 실내열교환기(1500)가 구비된다.
실외열교환기(1300)와 실내열교환기(1500)가 구분되지 않는 단일 공간에 배치된다면, 실외열교환기(13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열교환기(15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15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열교환기(1300)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전체적인 열교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실외열교환기(1300)와 실내열교환기(1500)는 상하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1300)와 실내열교환기(1500)의 상하 구획은 드레인 팬(180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는 내부의 수용 공간이 드레인 팬(1800)에 의하여 상측의 제2 수용공간 및 하측의 제1 수용공간으로 구획된다.
제2 수용공간에는 실내열교환기(1500)와 이에 인접하는 제2 송풍유닛(1600)이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1500)와 제2 송풍유닛(1600)은 드레인 팬(18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드레인 팬(1800)은 제2 수용공간을 제1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과,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500)와 제2 송풍유닛(16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수용공간에는 실외열교환기(1300)와 이에 인접하는 제1 송풍유닛(1400)이 배치된다. 실외열교환기(1300)와 제1 송풍유닛(1400)은 베이스 플레이트(17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압축기(1200)도 베이스 플레이트(1700)에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700)에 장착된 실외열교환기(1300)와 제1 송풍유닛(1400)의 상단면이 드레인 팬(18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드레인 팬(1800) 및 이에 결합되는 실내열교환기(1500)와 제2 송풍유닛(1600)과 같은 부품들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700)에는 압축기(1200), 실외열교환기(1300) 및 제1 송풍유닛(1400)이 장착되고, 드레인 팬(1800)에는 실내열교환기(1500), 제2 송풍유닛(1600), 컨트롤박스(1900)가 장착된다.
실외 열교환부는 실외열교환기(1300)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700), 압축기(1200), 실외열교환기(1300), 제1 송풍유닛(1400)을 포함한다.
실내 열교환부는 실내열교환기(1500)를 통해 발생된 차가운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드레인 팬(1800), 실내열교환기(1500), 제2 송풍유닛(1600) 및 컨트롤박스(19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후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와,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한다.
공기 흡입구는 하부 흡입구(1130)와 상부 흡입구(1140)가 있다. 토출구는 실외토출구(1135)와 실내토출구(1145)가 있다.
하부 흡입구(1130)로 흡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1300)를 통해 열교환된 후 실외토출구(1135)를 통해 배출된다. 실외토출구(1135)는 배기관(1150)을 통해 창문으로 연결된다.
상부 흡입구(1140)로 흡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1500)를 통해 열교환된 후 실내토출구(1145)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실내토출구(1145)에는 토출도어(1550)를 구비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에서 따라서 실내토출구(1145)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토출구(1145)가 상부면에 배치된 경우에는 실내토출구(1145)를 통해 먼지 등이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토출도어(1550)가 실내토출구(1145)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흡입구(1130)에는 하부흡입구필터(1130f)와 하부흡입구그릴(1130g)이 장착된다. 하부흡입구필터(1130f)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1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흡입구그릴(1130g)은 상기 하부흡입구필터(1130f)를 고정하는 역할과, 하부 흡입구(113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과,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흡입구(1140)에는 상부흡입구필터(1140f)와 상부흡입구그릴(1140g)이 장착된다. 상부흡입구필터(1140f)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가 일반적인 냉방 동작을 수행할 때, 실외열교환기(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고 실내열교환기(1500)는 증발기로 작동한다.
실외 열교환부는 실외열교환기(1300)와 제1 송풍유닛(1400)을 포함한다.
제1 송풍유닛(1400)은 실외열교환기(1300)를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제1 송풍유닛(140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1410)와,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420)과, 송풍팬(142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모터(1430)과, 송풍팬(1420)에서 가속된 공기가 토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케이스(1440)를 포함한다.
하부 흡입구(1130)를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는 하부흡입구필터(1130f)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후, 실외열교환기(130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후, 제1 송풍유닛(1400)을 통과하며 가속된 후 실외토출구(1135)를 통해 배출된다. 실외토출구(1135)에는 배기관(1150)이 연결된다. 배기관(1150)은 창문에 설치되는 설치키트(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실외토출구(1135)로 보내지는 가열된 공기는 배기관(1150)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냉매가 순환하며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냉매 회로부는 실외열교환부와, 실내열교환부와, 압축기(1200)를 포함한다.
컨트롤박스(1900)는 냉매회로부를 제어한다. 컨트롤박스(1900)는 여러 소자들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910)과, 인쇄회로기판(1910)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1920)과, 상기 프레임(1920)과 결합된 인쇄회로기판(1910)의 일면을 차폐하는 제1케이싱(1930)과, 상기 프레임(1920)과 결합된 인쇄회로기판(1910)의 다른면을 차폐하는 제2케이싱(1940)을 포함한다.
컨트롤박스(1900)의 세부 구성에 관해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와 드레인팬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컨트롤박스를 추가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팬(1800)에는 컨트롤박스(1900)가 결합된다.
컨트롤박스(1900)는 전자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91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은 일측에 배치된 발열소자(1912)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발열소자(191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소자(1912)와 접촉되도록 히트싱크(1915)가 배치된다.
컨트롤박스(1900)는 내부 전자부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싱(1930,1940)을 포함한다. 히트싱크(1915)는 케이싱(1930,1940)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컨트롤박스(1900)에는 동작 시에 열이 발생하는 발열소자(1912)가 포함되는데,
이 발열소자(191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적절하게 배출하지 못하면 컨트롤박스(1900)의 내부가 과열로 인하여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발열소자(1912)의 열은 히트싱크(19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발열소자(1912)으로 전력반도체 등이 있다.
컨트롤박스(1900)는 인쇄회로기판(1910)의 테두리를 감싸는 프레임(1920)과, 상기 프레임(1920)의 일측면을 밀폐하는 제1케이싱(1930)과, 상기 프레임(1920)의 타측면을 밀폐하는 제2케이싱(1940)을 포함한다.
이 때, 제1케이싱은 프레임의 일측면을 밀폐하되 히트싱크(1915)는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1915)를 인쇄회로기판(1910)의 하부에 배치하고, 제1케이싱(1930)은 히트싱크(1915)를 제외한 히트싱크(1915)의 위쪽구간을 밀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프레임(1920)은 인쇄회로기판(191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프레임(1920)은 제1케이싱(193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리브(1922)와 제2리브(1924)를 구비한다. 제1리브(1922)는 히트싱크(1915)의 바로 윗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케이싱(1930)은 제1리브(1922)와 제2리브(1924)의 사이 구간을 밀폐하도록 결합된다. 다시말해, 프레임(1920)에 구비된 제1리브(1922)의 아래쪽 구간은 케이싱(1930,1940)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 노출된다. 제1리브(1922)의 아래쪽 구간에는 발열소자(1912)와 히트싱크(1915)가 배치된다.
한편, 프레임(1920)의 제1리브(1922)는 드레인 팬(1800)에 형성된 후술하는 제3개구부(1812)를 통과하지 못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프레임(1920)의 제1리브(1922)가 드레인 팬(1800)에 걸쳐지는 단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케이싱(1940)은 드레인 팬(1800)에 형성된 끼움돌기(1842)와 결합되는 끼움홈(1942)을 구비할 수 있다. 끼움홈(1942)에 끼움돌기(1842)가 완전히 결합되면 제2케이싱(1940)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한다. 컨트롤박스(1900)가 드레인 팬(1800)의 제3개구부(1812)를 통하여 결합될 때, 제1케이싱(1930)이 단턱으로 걸려지게 되고, 제2케이싱(1940)의 끼움홈(1942)에 끼움돌기(1842)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컨트롤박스(1900)가 드레인 팬(1800)에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박스(1900)의 하부에 히트싱크(1915)가 배치되는 부분이 드레인 팬(1800)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컨트롤박스(1900)와 드레인 팬(1800)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결합 높이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다시말해, 컨트롤박스(1900)가 결합되는 구간의 드레인 팬(1800)은 다른 부분 보다 상하 높이(두께)가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살펴보면, 드레인 팬(1800)의 좌측 부분이 드레인 팬(1800)의 우측 부분 보다 (h1)만큼 두껍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드레인 팬(1800)은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과, 그 위에 장착되는 실내열교환부를 지지하는 역할과, 실내열교환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드레인 팬(1800)의 좌측 부분을 제1베이스(1852)라 칭하고, 드레인 팬(1800)의 우측 부분을 제2베이스(1854)라 칭할 수 있다. 제1베이스(1852)는 컨트롤박스(19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제2베이스(18540)보다 두껍께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제1베이스(1852)와 제2베이스(1854)의 바닥면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면의 높이에서 h1만큼 차이가 나도록 형성된 것이나, 반대로 상면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바닥면의 높이를 달리하여 두께의 차이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과, 실내 열교환부를 지지하는 역할과, 응축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드레인 팬(1800)의 두께는 제2베이스(1854)와 같은 정도이다. 그러나, 제2베이스(1854) 정도의 두께로 드레인 팬(1800) 전체를 형성하게 되면, 컨트롤박스(1900)가 드레인 팬(1800)에 결합된 구간의 높이가 너무 낮아, 컨트롤박스(1900)의 고정이 불완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1800)은 컨트롤박스(1900)가 장착되는 부분인 제1베이스(1852)의 두께를 다른 부분(제2베이스(1854))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레인 팬(1800)에는 다수의 바닥구획리브(18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구획리브(1820)는 드레인 팬(18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을 형성하고,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바닥구획리브(1820)는 등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드레인 팬(18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 팬(1800)에는 실내열교환기(150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드레인 팬(1800)의 상면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드레인 팬(1800)에는 다수의 바닥응축수홀(18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응축수홀(1830)은 실내열교환기(1500)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드레인 팬(1800)의 하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응축수 낙하 가이드는 드레인 팬(1800)의 저면으로 이동된 응축수가 타 부위로 흘러가지 않고, 바로 낙하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응축수 낙하 가이드는 드레인 팬(18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축수 낙하 가이드는 각각의 바닥응축수홀(183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응축수 낙하 가이드는 바닥응축수홀(183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응축수홀(1830)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드레인 팬(1800)에는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간섭을 피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영역들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박스(1900)가 드레인 팬(1800)에 결합되면, 컨트롤박스(1900)의 하부에 노출된 히트싱크(1915)는 드레인 팬(1800)을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가 배치된 제1영역으로 노출된다. 이 때, 히트싱크(1915)를 제1영역으로 노출시키는 영역이 제2개구부(1816)이다.
앞서 설명한 제3개구부(1812)는 히트싱크(1915)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1개구부(1814)는 상부 흡입구(1140)의 공기가 히트싱크(1915)로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이고, 제2개구부(1816)는 히트싱크(1915)를 거친 공기가 제1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한편, 제3개구부(1812)와 제1개구부(1814)는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개구부(1816)는 제1개구부(1814)와 분리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3개구부(1812)와, 제1개구부(1814)와 제2개구부(1816)는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역할을 수행하나, 물리적으로는 서로 연결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히트싱크(1915)는 발열소자(1912)에 접촉되는 전도판(1915a)과, 상기 전도판(1915a)과 연결되는 복수의 방열핀(1915b)을 포함한다. 전도판(1915a)은 발열소자(1912)의 열을 전도를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발열소자(1912)에 직접 부착되거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이 때 전도판(1915a)과 발열소자(1912)의 사이에는 써멀그리스가 도포될 수 있다.
히트싱크(1915)의 방열핀(1915b)을 컨트롤박스(1900)의 케이싱(1930,1940) 외부로 노출되어, 공기와 접촉을 통하여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히트싱크(1915)는 열전효율이 우수한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방열핀(1915b)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방열핀의 배열 방향은 방열핀(1915b)의 주변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방열핀(1915b)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수평방향의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된 것이다.
컨트롤박스(1900)에서 노출된 히트싱크(1915)가 드레인 팬(1800)에 장착되더라도, 히트싱크(1915)의 방열핀(1915b)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드레인 팬(1800)은 히트싱크의 방열핀(1915b)을 제1영역으로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1816)를 구비한다. 제2개구부(1816)는 히트싱크(1915)를 냉각시킨 공기가 제2공간으로 유입되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히트싱크 수용홀(1810)의 주변에는 컨트롤박스(190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면(1840)가 구비된다. 가이드면(1840)는 컨트롤박스(1900)의 적어도 2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면(1840)은 컨트롤박스(1900)가 드레인 팬(1800)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드레인 팬(1800)에는 배선이나 배관 등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1845)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1845)는 컨트롤박스(1900)와 연결되는 배선 또는 냉매 순환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구 역할을 수행한다.
도 9의 단면을 살펴보면, 컨트롤박스(1900)의 프레임(1920)에 구비되는 제1리브(1922)이 드레인 팬(1800)에 형성된 제3개구부(1812)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쳐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싱(1940)에 구비된 끼움홈(1942)의 내부에 드레인 팬(1800)의 끼움돌기(1842)가 삽입되어, 컨트롤박스(1900)의 양측이 드레인 팬(1800)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며 결합될 수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인쇄회로기판(1910)이 제1케이싱(1930)과 제2케이싱(1940)에 수납된 형태가 된다. 제1케이싱(1930)과 제2케이싱(194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1940)을 금속재질로 형성하면, 인쇄회로기판(1910)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박스(1900)의 프레임은 제2개구부(1816)를 가로지르는 케이블가이드(1926)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가이드(1926)는 L자 형태로 히트싱크(1915)의 측면과 하면을 감싸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가이드(1926)는 컨트롤박스(1900)가 정확하게 결합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컨트롤박스(1900)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컨트롤박스로 연결되는 배선의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케이블가이드(1926)는 배선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ㄷ'자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1900)가 드레인 팬(1800)에 결합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팬(1800)의 제1개구부(1814)를 통해서 히트싱크(1915)가 제1수용공간으로 노출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팬(1800)의 제2개구부(1816)을 통해서 히트싱크(1915)가 제2수용공간으로 노출된다.
히트싱크(1915)를 냉가하는 공기는 제1개구부로 유입되어 히트싱크(1915)를 냉각시킨 후 제2개구부(1816)를 통해서 제2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제2수용공간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흡입구 그릴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B-B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형 공기조화기(1000)의 상부 흡입구(1140)는 제2수용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부 흡입구(1140)는 실내열교환기(1500)로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이 주흡입구(1140a)와, 히트싱크(1915)를 냉각시키는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이 보조흡입구(1140b)를 포함한다.
보조흡입구(1140b)에는 보조흡입구(1140b)로 흡입되는 공기를 히트싱크(1915)로 방향으로 안내하는 베인(1140c)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1915)의 상하 높이에 비하여 보조흡입구(1140b)의 상하 높이를 크게 형성하면, 보조흡입구(1140b)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고, 보조흡입구(1140b)의 내면에 하향 경사진 베인(1140c)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히트싱크(1915)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인 보조흡입구(1140b)를 공기가 실내열교환기(1500)로 흡입되는 영역이 주흡입구(1140a)와 근접하게 배치하여, 이들이 단일의 상부 흡입구(1140)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상부 흡입구(1140) 전체를 커버하는 상부흡입구필터(1140f)와 상부흡입구그릴(1140g)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1915)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가 실내열교환기(1500)로 유입되는 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히트싱크(1915)로 유입되는 공기도 필터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흡입구에 필터를 구비하지 않으면,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며 누전 또는 합선 등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도 9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보조흡입구(1140b)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트싱크(1915)를 향해 유동되고, 이를 통해, 히트싱크(1915)는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부의 공기유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히트싱크로 유동되는 공기유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흡입구(1140b)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F1)는 히트싱크(1915)를 통과하면서 히트싱크(1915)의 방열핀(1915b)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드레인 팬(1800)의 하부로 유동되고, 메인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동되는 외부공기(F2)와 합류되고, 제1 송풍유닛(1400)에 의해 유동력을 제공받고, 배관부 연결덕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추가 냉각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유로의 설계구조를 통해 외부공기가 히트싱크(1915)의 방열핀(1915b)을 향하도록 유동시키고, 히트싱크(1915)가 냉각되며, 히트싱크(1915)가 부착된 발열소자(1912)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 냉각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를 이용하여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 냉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 냉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의 히트싱크 냉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컨트롤박스(1900)의 상부에 히트싱크(1915)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냉각된 공기가 상부로 토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냉각된 공기를 분기하여 히트싱크(1915)로 안내함으로써 히트싱크(1915)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냉각된 공기가 상부로 토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히트싱크(1915)를 컨트롤박스(1900)의 상부측에 배치하여, 냉각된 공기를 안내하는 보조냉각유로(도 17의 1690)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컨트롤박스(1900)의 히트싱크(1915)로 냉각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냉각유로(16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냉각유로(1690)는 제1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송풍유닛(1600)에 형성된다. 제2 송풍유닛(1600)은 공기가 증발기인 실내열교환기(1500)를 거쳐 송풍되도록 하는 유동을 발생시킨다.
제2 송풍유닛(1600)에 형성되는 보조냉각유로(1690)는 실내측으로 토출되는 토출부에서 분기된 형태의 유로로, 컨트롤박스(1900)의 냉각 대상 부분인 히트싱크(1915)로 냉각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보조냉각유로(1690)가 히트싱크(1915)를 지나 케이스의 내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보조냉각유로(1690)의 내부 영역에 해당되는 케이스에는 보조토출구(1090)가 형성된다.
보조냉각유로(1690)는 제2 송풍유닛(16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냉각유로(1690)는 증발기를 거친 냉각된 공기가 히트싱크(1915)를 경유하도록 안내하는 유로이다. 보조냉각유로(1690)는 제2 송풍유닛(1600)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제2 송풍유닛(1600)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과, 전면 하우징(도 4의 1100a)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보조냉각유로(1690)가 제2 송풍유닛(1600)의 일부와 전면 하우징(1100a)의 일부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냉각된 공기가 히트싱크(1915)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히트싱크(1915)를 통해 발열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안정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져온다. 또한 히트싱크(1915)를 냉각한 공기가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보조냉각유로(169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히트싱크(1915)에 구비되는 방열핀(1915b)은 상기 보조냉각유로(1690)의 유체의 흐름 방향과 나란한 표면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보조냉각유로(1690)가 컨트롤박스(1900)에 구비된 히트싱크(1915)의 일부만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보조냉각유로(1690)에서 토출된 공기가 실내측으로 토출되지 않고 케이스 내부에서 확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냉각된 공기가 컨트롤박스(1900) 주변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18의 실시예보다 냉각효과는 적으나, 냉각된 공기의 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장점을 가진다. 왜냐하면 냉각된 공기의 배출저항이 크기 때문에 냉각된 공기의 유입유량이 앞선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질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의 경우 보조냉각유로(1690)에서 토출되는 냉각된 공기가 하부의 제1수용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드레인 팬(1800)에 소통공(186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드레인 팬(1800)에 구비된 소통공(1860)으로 토출된 공기는 제2수용공간의 외기와 함께 혼합되어 증발기를 통과한 후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증발기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8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보조냉각유로(1690)가 히트싱크(1915)의 일부만을 감싸는 형태이나, 히트싱크(1915)를 냉각한 공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보조토출구(1090)를 구비한 형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팬에 컨트롤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팬(1800)는 수용공간의 횡단면의 형성과 대응하여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전면 하우징(1100a)과 후면 하우징(1100b)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도 20은 보조냉각유로(1690)가 제2 송풍유닛(1600)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1692)과, 전면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1694)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0: 이동형 공기조화기 1090: 보조토출구
1100: 하우징 1100a: 전면 하우징
1100b: 후면 하우징 1130: 하부 흡입구
1130g: 하부흡입구그릴 1130f: 하부흡입구필터
1135: 실외 토출구 1140: 상부 흡입구
1140a: 주흡입구 1140b: 보조흡입구
1140c: 베인 1140f: 상부흡입구필터
1140g: 상부흡입구그릴 1145: 실내토출구
1150: 배기관 1200: 압축기
1300: 실외열교환기 1400: 제1 송풍유닛
1410: 오리피스 1420: 송풍팬
1430: 송풍모터 1440: 유로케이스
1500: 실내열교환기 1550: 토출도어
1600: 제2 송풍유닛 1690: 보조냉각유로
1700: 베이스 플레이트 1800: 드레인 팬
1810: 히트싱크 수용홀 1812: 제3개구부
1814: 제1개구부 1816: 제2개구부
1820: 바닥구획리브 1830: 바닥응축수홀
1840: 가이드면 1842: 끼움돌기
1845: 홀더 1852: 제1베이스
1854: 제2베이스 1860: 소통공
1900: 컨트롤박스 1910: 인쇄회로기판
1912: 발열소자 1915: 히트싱크
1915a: 전도판 1915b: 방열핀
1920: 프레임 1922: 제1리브
1924: 제2리브 1926: 케이블가이드
1930: 제1케이싱 1940: 제2케이싱
1942: 끼움홈

Claims (22)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하부 수용공간과 상부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드레인 팬;
    상기 하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실외열교환부와, 상기 상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부와,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매 회로부; 및
    상기 냉매 회로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발열소자를 냉각시키는 히트싱크를 포함하여, 상기 히트싱크가 상기 드레인 팬에 수용되도록 상기 드레인 팬에 결합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히트싱크를 상부 수용공간으로 노출시키는 제1개구부를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발열부품을 포함하는 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며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발열부품에 부착된 히트싱크를 노출시키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의 반대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케이싱을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 또는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드레인 팬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히트싱크를 노출시키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을 감싸는 상부판과,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구획판을 연결하는 형상을 가지는 케이블 홀더를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는 U자형 단면을 가지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8.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하부 수용공간과 상부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드레인 팬;
    상기 하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실외열교환부와, 상기 상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부와,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매 회로부;
    상기 냉매 회로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발열부품을 냉각시키는 히트싱크가 상기 드레인 팬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이동형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 상부 영역의 공기와 상기 드레인 팬 하부 영역의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를 사이에 두고 연통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의 일부영역은 상기 상부 수용부 내부의 공기와 접촉하고,
    상기 히트싱크의 다른 일부영역은 상기 하부 수용부 내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실외 열교환부와 연통되는 하부 공기 흡입구와, 상기 실내 열교환부와 연통되는 상부 공기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공기 흡입구는 상기 실내 열교환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주흡입구와, 상기 히트싱크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보조흡입구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구는 상기 보조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로 안내하는 베인을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입구와 상기 주 흡입구는 단일의 상부흡입구필터로 덮혀지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4.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수용공간 및 상부의 제2수용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드레인 팬;
    상기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제1수용공간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송풍유닛;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제2수용공간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송풍유닛;
    상기 드레인 팬에 장착되는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에 구비되는 히트싱크; 및
    상기 제2 송풍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로 안내하는 보조냉각유로;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유로는 상기 히트싱크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냉각유로로 공급되는 공기가 케이스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보조토출구를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유로는 상기 히트싱크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냉각유로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보조토출구를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하며, 상기 방열핀은 상기 보조냉각유로의 흐름면과 표면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보조냉각유로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소통공을 구비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0.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하부의 제1수용공간 및 상부의 제2수용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드레인 팬;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송풍유닛;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제2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 열효관기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송풍유닛;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에 구비되는 히트싱크; 및
    상기 제2 송풍유닛의 토출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로 안내하는 보조냉각유로;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유로는 상기 제2 송풍유닛의 토출유로에 일체로 형성된 이동형 공기조화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냉각유로는 상기 제2 송풍유닛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0180168800A 2018-01-08 2018-12-24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21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41,034 US10816225B2 (en) 2018-01-08 2019-01-07 Movable air conditioner
CN201920030267.3U CN209639146U (zh) 2018-01-08 2019-01-08 移动式空调
KR1020200079265A KR102266357B1 (ko) 2018-01-08 2020-06-29 이동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2522 2018-01-08
KR1020180002522 2018-01-08
KR1020180032277 2018-03-20
KR20180032277 2018-03-20
KR20180043581 2018-04-13
KR1020180043581 2018-04-13
KR1020180054917 2018-05-14
KR20180054917 2018-05-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65A Division KR102266357B1 (ko) 2018-01-08 2020-06-29 이동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864A true KR20190084864A (ko) 2019-07-17
KR102218078B1 KR102218078B1 (ko) 2021-02-22

Family

ID=675126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800A KR102218078B1 (ko) 2018-01-08 2018-12-24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0200079265A KR102266357B1 (ko) 2018-01-08 2020-06-29 이동형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65A KR102266357B1 (ko) 2018-01-08 2020-06-29 이동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18078B1 (ko)
CN (1) CN20963914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5390A1 (en) * 2020-01-13 2021-07-15 Lennox Industries Inc. Condensation protection tr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830A (ja) * 1997-01-22 1998-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用インバータ制御回路装置
KR20080003528A (ko) 2006-07-03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4102034A (ja) * 2012-11-20 2014-06-0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60009232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830A (ja) * 1997-01-22 1998-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用インバータ制御回路装置
KR20080003528A (ko) 2006-07-03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4102034A (ja) * 2012-11-20 2014-06-0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60009232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639146U (zh) 2019-11-15
KR102266357B1 (ko) 2021-06-18
KR102218078B1 (ko) 2021-02-22
KR20200080215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6225B2 (en) Movable air conditioner
EP2905549B1 (en) Outdoor unit control for air conditioner
EP3017255B1 (en) Air conditioner
KR1012984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0634368B2 (en) Control box,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JP2009222328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格納装置
KR10226635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JP200001864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115342445A (zh) 一种空调室外机和空调设备
US11982462B2 (en) Air conditioner
KR1007601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4424682A (zh) 一种换热模块及机柜
CN219222966U (zh) 嵌入式的制冷设备
CN219063862U (zh) 制冷设备
CN216011082U (zh) 一种除湿组件的散热结构及除湿机
CN219390180U (zh) 半导体制冷的制冷设备
KR20180018093A (ko)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EP4135495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and electric control box
KR20230158961A (ko) 공기조화기
JP200324025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090020759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
CN118274546A (zh) 制冷设备
CN117628782A (zh) 冰箱
JP2021046973A (ja) 冷凍装置の室外機
KR2005004980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