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987A -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987A
KR20190083987A KR1020190000494A KR20190000494A KR20190083987A KR 20190083987 A KR20190083987 A KR 20190083987A KR 1020190000494 A KR1020190000494 A KR 1020190000494A KR 20190000494 A KR20190000494 A KR 20190000494A KR 20190083987 A KR20190083987 A KR 2019008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different
transmitted
information processing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121B1 (ko
Inventor
모리카즈 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르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또한 직접 수신하고,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근접도를 추정한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무선LAN이나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Bluetooth LE)등의 무선 기능을 갖추는 수가 증가하고 있다. 유저는, 이 Bluetooth LE기능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과 화상형성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고, 통신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휴대 단말과 화상형성장치의 페어링을 행한 후, 각종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전파강도는, 일반적으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서 감쇠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휴대 단말이 수신한 전파강도에 근거하여, 그 휴대 단말과 화상형성장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와 휴대 단말과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선행 기술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2012-173070호 공보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해서, RSSI를 산출하고, 그 RSSI로부터 전파환경지표를 산출한다. 일본 특허공개2012-173070호 공보에는, 이 지표의 산출을 액세스 포인트마다 행하고, 위치의 특정시 각 액세스 포인트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weighting)을 행해서, 각 휴대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Bluetooth LE의 무선전파에 대해서, 각 회사가 독자적인 포맷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면, Apple사는, iBeacon(등록상표)을 정의하고 있고, Google사는, Eddystone(등록상표)을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화상형성장치가 발신한 Bluetooth LE의 패킷의 전파강도에 근거하여, 화상형성장치와 휴대 단말과의 사이의 거리를 특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예를 들면, 그 거리가 일정값이하인 것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소정의 처리를 의뢰하는 등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는 Bluetooth LE의 전파신호의 수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개의 화상형성장치가 복수의 포맷을 지원하기 때문에,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를 시분할로 송출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포맷만의 전파신호를 사용해서 거리를 측정하면, 화상형성장치가 다른 포맷의 전파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동안은, 소정의 포맷의 전파신호를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측정의 정밀도가 저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종래의 기술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단일의 포맷의 경우와 같은 감도로 거리를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서는,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고, 이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르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또한 직접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근접도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서는,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이 제어 방법은,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르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또한 직접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근접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서는,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르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또한 직접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근접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는,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4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와 휴대 단말과의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이 보유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a 및 5b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발신된 Bluetooth LE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다.
도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발신되는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가 시분할로 발신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다.
도7a 및 7b는,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를 거리검지에 이용하고, 포맷에 따라 전파신호의 발신 시간 간격이 다른 경우, 단일의 포맷의 전파신호만으로의 거리검지와 비교하여 감도가 떨어지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화상형성장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한 거리에 따라 행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9는,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실행하는 도8의 단계 S801의 거리측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10은, 도9의 단계 S908에서 부가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실행하는 도8의 단계 S801의 거리측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실행하는 도8의 단계 S801의 거리측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이하의 실시예들에 따라 설명되어 있는 국면들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제1실시예]
도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다.
이 시스템은, 네트워크(120)를 통해서 접속된 화상형성장치(100∼102), PC(11O)와, 휴대 단말(130) 및 액세스 포인트(140)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102)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PC(11O)나 휴대 단말(130)등의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하다. 또, 화상형성장치(100∼102)는 각각 무선 기능을 갖추고, 무선LAN이나 Bluetooth(등록상표)의 전파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와 통신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단말(130)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타블렛 단말, 노트북 PC, 또는 웨어러블 단말등의 정보처리장치이여도 좋다.
PC(11O)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102)의 하나에 송신해서 인쇄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130)은, 액세스 포인트(14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102)의 하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해서 인쇄시킬 수 있다. 또, 휴대 단말(130)은, 액세스 포인트(14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화상형성장치100, 101, 102중 하나와 무선접속하고, 그 무선접속된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해서 인쇄시킬 수 있다. 또, 휴대 단말(130)은, 화상형성장치(100∼102)로부터 송신된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이 전파신호들의 상세 내용을 해석해서,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00∼102)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해서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102)에 관한 설명은, 간략화를 위해,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한 것으로서 설명하고, 다른 화상형성장치101, 102의 경우도 같다.
도2는, 제1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은 복합기를 상정하고 있지만, 스캐너 기능을 갖추지 않는 프린터이여도 좋다. 또한, 다른 화상형성장치101, 102의 하드웨어 구성도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CPU(중앙처리장치)(201)는, ROM(판독전용 메모리)(202)이 기억한 제어 프로그램을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203)에 전개하고, 그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처리를 실행한다. CPU(201)는, 버스(200)를 통해 다른 유닛과 접속되어 있다. ROM(202)은, 제어 프로그램이나 장치정보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RAM(203)은, CPU(201)의 주 메모리,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04)는, 인쇄 데이터나 스캔 화상등의 여러가지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1개의 CPU(201)가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다른 구성을 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CPU가 협동해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Wi-Fi통신부(205)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130)과의 사이에서 IEEE 802.11시리즈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Wi-Fi통신부(205)가 실행한 무선통신은,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중계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휴대 단말(130)과 직접 실행된다. Bluetooth통신부(213)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130)과의 사이에서 Bluetooth Low Energy(Bluetooth LE)에 준거하는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또, 휴대 단말(130)은, 휴대 단말(130)이 수신하는 Bluetooth LE에 준거하는 무선통신의 전파강도에 따라,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프린터I/F(206)는, 프린터(프린터 엔진)(207)와 버스(200)를 접속한다. 프린터(207)는, 예를 들면 PC(11O)나 휴대 단말(130)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나, 스캐너(209)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등에 근거해서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스캐너I/F(208)는, 스캐너(209)와 버스(200)를 접속한다. 스캐너(209)는,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캐너(209)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207)에 의해 인쇄되거나, HDD(204)에 기억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210)는, 조작부(211)와 버스(200)를 접속한다. 조작부(211)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표시부나 키보드를 구비하고, 각종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조작부(211)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하여 정보나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I/F(212)는, 네트워크(120)에 접속된 네트워크상의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네트워크I/F(212)는, 네트워크(120)상의 PC(11O)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린터(207)에 의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는 인쇄 처리가 실행된다.
도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3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CPU(301)는, ROM(302)이 기억한 제어 프로그램을 RAM(303)에 전개하고, 그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처리를 실행한다. CPU(301)는, 버스(300)를 통해 다른 유닛과 접속되어 있다. ROM(302)은,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RAM(303)은, CPU(301)의 주 메모리,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HDD(304)는 화상등의 여러가지 데이터를 기억한다. Wi-Fi통신부(305)는, 휴대 단말(130)등의 단말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Wi-Fi통신부(305)가 실행한 무선통신은, 액세스 포인트(140)와 같은 중계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에서 실행된다. Bluetooth 통신부(306)는,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또, 휴대 단말(130)은, 휴대 단말(130)이 수신하는 Bluetooth LE에 준거하는 무선통신의 전파강도에 근거하여,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의 거리를 추정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307)는, 조작부(308)와 버스(300)를 접속한다. 조작부(308)는, 터치패널 기능을 가지는 표시부나 키보드를 구비하고, 각종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조작부(308)를 통해 휴대 단말(130)에 대하여 정보나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에는, Bluetooth LE에 준거하는 무선통신이나 IEEE802.11에 준거하는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MFP(1O1)와 연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도시 생략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도 기억되어 있다. 휴대 단말(130)등의 유저는, 휴대 단말(130)에 프리인스톨(pre-install)된 (도시 생략의) 기억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서 MFP(101)와 연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인스톨할 수 있다.
도4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130)과의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130)이 보유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130)은, 도4에 나타낸, 거리와 전파강도간의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을 사전에, 예를 들면 ROM(302)등에 보유한다. 예를 들면, 수신한 무선전파의 강도가 60dBm일 경우, 그 전파를 발신한 화상형성장치(100)와, 그 전파를 수신한 휴대 단말(130)과의 사이의 거리는, 약 1m로 추정할 수 있다. 통상의 거리판정에서는, 전파신호의 반사나 복사(radiation)등으로 인해 상기 전파강도에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수신한 1개의 전파신호보다는 복수의 전파강도를 기초로 거리의 판정을 행한다. 또, 거리의 판정을 행하는 대신에, 근접도와 관련지어 전파강도(예를 들면, 터치를 나타내는 "very immediate", 30cm정도를 나타내는 "immediate", 50cm∼5m정도를 나타내는 "near", 5m이상을 나타내는 "far")를 기억할 수 있다.
도5a 및 5b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발신된 Bluetooth LE의 패킷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다.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발신되는 Bluetooth LE에 준거하는 무선전파에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이나, Bluetooth LE에 의한 커넥션을 확립한 후의 통신 패킷이 있다.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e)에는, 포맷 종별이나 프린터명등의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휴대 단말(130)은 수신한 Bluetooth LE에 준거하는 무선전파에 근거해 상대편의 Bluetooth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범용 고유 식별자(UUID)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UID는, Public Device Address등으로 대표된 Bluetooth디바이스 식별자다.
휴대 단말(130)은, 수신한 전파의 UUID를 활용하여, 포맷이 다른 애드버타이징 패킷이여도, 동일한 UUID이면, 동일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동일 디바이스로부터, 도5a와 도5b에 나타낸 2개의 포맷(Mobile app beacon과 iBeacon for print)의 전파신호가 발신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포맷의 전파신호가 동시에 발신되어도 된다.
도5b의 "iBeacon for print"는, Apple사가 정의한 프린터를 탐색하기 위한 포맷이다. 또, 도5a의 "Mobile app Beacon"은, 휴대 단말(130)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포맷이다.
도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발신되는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가 시분할로 발신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다. 도6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시간이 흐르고,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발신된 전파신호를 휴대 단말(130)이 수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가 25msec 시간간격으로 1회 발신되고, 포맷 "iBeacon for print"의 전파가 100msec 시간간격으로 1회 발신된다. 이 전파신호들이 100msec에서 한번 전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는,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가, 25msec마다 1회가 4회 반복해 발신되고, 다음에, 포맷 "iBeacon for print"의 전파신호가, 100msec마다 1회 발신된다. 다음에,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의 4회의 발신과, 포맷 "iBeacon for print"의 전파신호의 1회의 발신을 반복한다. 여기에서는, 동일 디바이스로부터 2개의 포맷의 전파신호가 발신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포맷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전환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어, 각 포맷의 전파신호가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발신된다.
도7a 및 7b는, 시분할 송신에 의한 감도의 저하를 설명하는 도다.
도7a는, 화상형성장치(100)가 발신 시간간격 25msec의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만을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거리의 추정을 설명하는 도다. 도7a의 참조부호 700은, 거리의 측정에 사용되는 전파신호(20개의 전파신호)를 취득하는 시간의 양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주파수 간섭등에 기인하는 오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소정수의 샘플을 취득하고, 이 샘플들에 근거해 거리의 추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 도7b는, 화상형성장치(100)가 발신 시간간격 25msec의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와, 발신 시간간격 100msec간격의 포맷 "iBeacon for print"의 전파신호를 시분할 송신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7b의 상황에서 "iBeacon for print"를 무시하고, "Mobile app Beacon"의 20개의 전파신호만을 취득해서 그 거리를 판정하는 경우에서는, 거리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우려를 감안하여, 다른 포맷의 경우에도, 동일한 UUID의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사용하는 것을, 거리의 측정에 생각한다. 도7b의 참조부호 701은, 거리의 측정에 사용되는 전파신호(20개 전파신호)를 취득하는 시간의 양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7b의 상황에서 "iBeacon for print"를 무시하고, "Mobile app Beacon"의 20개의 전파신호만을 취득해서 거리를 판정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보다 짧은 시간 양으로 샘플링하여서 그 거리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도7a의 참조부호 700으로 나타낸, 화상형성장치(100)가 발신 시간간격 25msec의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만을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거리 추정과 비교하여, 보다 측정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져 있다. 다시 말해, 도7b의 참조부호 7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7a의 참조부호 700으로 나타낸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이전의 시간에서 취득한 전파강도가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130)과의 사이의 거리가, 그 동안, 같으면(일정하면) 문제 없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유저가 휴대 단말(130)을 보유하는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는 경우 등, 휴대 단말(130)이 이동하고 있을 경우, 현재의 휴대 단말(13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오래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전파신호는, 거리의 측정에 영향을 주고, 거리 측정 정밀도가 저하하게 된다.
도8은, 제1∼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30)이 화상형성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측정(추정)하고, 그 측정(추정)한 거리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CPU(301)가 RAM(303)에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 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2 및 제3실시예의 양쪽에서 실행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13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를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전제조건으로서, 이 애플리케이션에는, 조작 대상인 화상형성장치(100)가 등록되어 있다. 등록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를 무선통신으로 접속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정보를 휴대 단말(130)에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130)의 애플리케이션에, 그 화상형성장치(100)가 등록된다. 여기에서는, 그 화상형성장치(100)의 MAC어드레스나 IP어드레스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취득되어서 휴대 단말(130)에 보존된다.
우선, 단계 S801에서,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130)과의 사이의 거리를 측정(추정)한다. 이 제1실시예에 따른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9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다음에, 단계 S802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그 측정으로 얻어진 거리에 따라, 어느 처리가 선택되었는지 판정한다.
단계 S802에서,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130)이 Wi-Fi로 직접 접속하는 다이렉트 접속을 시작해야 할 거리라고 판정하면, 단계 S8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03에서, CPU(301)는, 다이렉트 접속을 행하도록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804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04에서, CPU(301)는, 단계 S801에서 측정한 거리가, "near"에 해당하는 50cm∼5m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805의 처리로 진행되고, 화상형성장치(100)와 다이렉트 접속 처리를 실행해서, 단계 S812로 진행된다. 다이렉트 접속 처리는, 화상형성장치(100)와 Bluetooth LE통신을 확립하고,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CPU(301)는,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통신을 사용해서 소프트웨어AP의 기동 지시나,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패스워드의 취득 처리를 행하여서, CPU(301)가 화상형성장치(100)와의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다. 한편, 단계 S804에서, CPU(301)가, 단계 S801에서 측정한 거리가 "near"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단계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 단계 S802에서 CPU(301)는, 휴대 단말(130)이 보유한 어드레스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송신하는 어드레스 송신을 실행해야 하는 거리라고 판정하면, 단계 S806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06에서, CPU(301)는, 보유된 어드레스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송신하는 어드레스 송신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807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07에서, CPU(301)는, 단계 S801에서 측정한 거리가, "immediate"에 해당하는 30cm정도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808의 처리로 진행되고, 어드레스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단계 S812에 진행된다. 어드레스의 송신 처리에서는, 우선, CPU(301)는, 전술의 다이렉트 접속 처리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다이렉트 접속을 확립한다. 다음에, CPU(301)는, 보유된 어드레스를, 해당 확립된 무선통신으로 화상형성장치(100)에 송신한다. 또한, 단계 S808에서 송신되는 상기 보유된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130)의 주소록 애플리케이션등을 통해 사전의 유저 조작으로 선택된 E메일 어드레스나 팩시밀리 번호다. 한편, 단계 S807에서 CPU(301)는, 단계 S801에서 측정한 거리가, immediate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단계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 단계 S802에서 CPU(301)는, 휴대 단말(130)에 보유된 유저 크레덴셜(credential) 정보에 근거해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유저를 로그인시키는 로컬 로그인 처리를 실행해야 할 거리라고 판정하면, 단계 S809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09에서,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로컬 로그인하는 처리가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810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10에서, CPU(301)는, 단계 S801에서 측정한 거리가 "very immediate"에 해당하는 터치 조작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811의 처리로 진행되고, 화상형성장치(100)에의 로그인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단계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한, 로컬 로그인 처리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조작부를 통해 화상형성장치를 이용가능한 상태에 천이시키는 처리다.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커넥션을 확립하고,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하여 GATT통신으로 유저 크레덴셜과 로그인 요구를 송신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저 크레덴셜에 근거해 유저를 인증한다. 인증에 성공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조작부(211)를 통하여, 해당 인증에 성공한 유저의 권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 S810에서 터치 조작이 없다고 판정하면, 단계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812에서, CPU(301)는,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가 계속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계속될 때는 단계 S801의 처리로 진행되고, 전술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해서, 그 처리가 계속되지 않을 때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가 송신될 경우라도, 휴대 단말(130)이, 단일의 포맷일 때와 같은 감도로 거리를 측정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도9는,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30)이 실행하는 도8의 단계 S801의 거리측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CPU(301)가 RAM(303)에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단계 S901에서, CPU(301)는, 전파신호 포맷마다 가중치를 취득하여, RAM(303)에 보존한다. 다음에, 단계 S902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Bluetooth 무선통신부(306)에 의해 무선전파를 수신하고, 그 무선전파의 전파강도를 취득한다. 그 무선전파에 포함된 정보를 취득해서 RAM(303)에 기억한다. 다음에, 단계 S903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그 무선전파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그 수신한 전파신호의 포맷을 식별하고,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이면, 단계 S906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902 및 S903의 처리는,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된다.
단계 S906에서, CPU(301)는, 그 무선전파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한 전파신호가 소망의 화상형성장치(대상 기기)로부터의 전파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907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904에서, CPU(301)는, Bluetooth통신부(306)가 무선전파를 수신하고, 그 전파강도나, 무선전파에 포함된 정보를 RAM(303)에 기억한다. 단계 S905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301)는, 그 무선전파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그 수신한 전파신호의 포맷을 식별하고, 그 전파신호가 소망의 포맷의 전파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906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907에서, CPU(301)는, 그 전파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그 수신한 전파신호가 가중치를 부가하는 대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908의 처리로 진행되고, 소정의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을 행하고, 단계 S909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에 대해서, 단계 S907에서 가중치를 부가하는 대상의 전파신호가 아니면, 단계 S909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의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단계 S909에서, CPU(301)는, 수신한 무선전파의 전파강도를 RAM(303)에 기억한다. 단계 S910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개수(예를 들면, 20개)의 전파강도를 취득해서 기억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911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911에서, CPU(301)는, 그 기억한 소정개수의 무선전파의 전파강도에 근거하여, 화상형성장치(100)까지의 거리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억한 소정개수의 무선전파의 전파강도의 평균값, 중간값, 또는 최대값에 근거하여, 화상형성장치(100)까지의 거리를 판정(추정)한다. 단계 S912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301)는, 거리의 측정 처리를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종료했다고 판정하면 이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04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렇게 하여, 휴대 단말(130)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Bluetooth LE신호의 전파강도를 기초로, 그 화상형성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가 소정의 거리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는 양방향의 무선통신을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로컬 UI에의 로그인, Wi-Fi에의 핸드오버, 화상형성장치(100)에 보유된 인쇄 데이터의 출력등의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도9의 단계 S908에서 부가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것 같이, Bluetooth LE의 Beacon에는 복수의 전파신호 포맷이 있어, 각각의 포맷에 따라, 전파신호의 발신의 간격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의 발신 간격이 25msec인 반면에, 포맷 "iBeacon for print"의 전파신호의 발신 간격은 100msec로 4배 길다. 따라서,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를 사용한 거리의 측정에 있어서, 포맷 "iBeacon for print"의 전파신호의 가중치를,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의 4(4배)에 설정한다. 예를 들면,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를 1개 수신했을 경우는, 1개의 전파강도로서 기록한다. 예를 들면, 포맷 "iBeacon for print"의 전파를 1개 수신했을 경우는, 4개의 전파신호의 전파강도로서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포맷의 가중치에 대해서도, 다른 포맷의 발신 간격을,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의 발신 간격으로 나누어서 얻은 값을 적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해, 복수의 전파신호 포맷의 전파신호를 사용했을 경우라도, 단일의 포맷의 전파신호를 사용해서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와 동등한 감도로,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복수의 포맷의 전파신호가 수신될 경우라도, 단일의 포맷의 전파신호의 경우와 같은 감도로 거리를 측정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전파신호의 수신 시간간격에 따라서 가중치를 결정하는 예로 설명한다. 이때,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및 휴대 단말(130)의 하드웨어 구성, 및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전술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30)이 실행하는 도9의 단계 S901의 거리측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CPU(301)가 RAM(303)에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한편, 전술의 도9와 같은 처리의 단계들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단계 S11O1에서,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발신된 전파신호에 근거한 발신 시간간격(예를 들면, 25msec)을 취득해서 RAM(303)에 기억한다. 다음에, 단계 S902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무선전파를 수신하고, 그 전파강도나, 그 전파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취득해서 RAM(303)에 기억한다. 단계 S903에서, CPU(301)는, 그 전파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전파신호가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수신한 전파신호가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이면, 단계 S11O2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그 수신한 전파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수신한 전파신호가 소망의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전파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수신한 전파신호가 소망의 화상형성장치이면, 단계 S11O3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그 전파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그 수신한 전파신호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대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수신한 전파신호가 가중치를 부여하는 대상이면, 단계 S11O4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기준 전파신호 발신 시간간격과, 현재 수신된 전파신호의 발신 시간간격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행하고 나서, 단계 S11O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1O5에서, CPU(301)는,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를 RAM(303)에 기억한다.
단계 S11O5에서는, 예를 들면, 수신한 전파신호가 발신 시간간격 25msec의 포맷 "Mobile app Beacon"의 전파신호이면, 이것은, 1개의 전파강도로서 기록된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발신 시간간격이 200msec의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것의 가중치는 "8"이 되고, 단계 S11O5에서는, 그 수신한 전파신호에 대해 8개의 전파강도가 기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신호의 포맷이 복수일 경우라도, 그 전파신호의 수신 간격과 기준 발신 시간간격에 근거하여, 전파강도의 가중치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일의 포맷의 전파신호를 수신해서 거리를 구하는 경우와 같은 감도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값이하라고 판정되면,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는 양방향 통신을 행하고, 예를 들면, 휴대 단말(130)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로컬 UI에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Wi-Fi에의 핸드오버나, 화상형성장치(100)에 보유 인쇄 데이터의 출력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각 전파신호 포맷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대신에, 소정량의 시간에서 수신할 수 있는 전파신호의 전파강도에 근거해서 거리를 판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및 휴대 단말(130)의 하드웨어 구성, 및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전술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30)이 실행하는 도9의 단계 S901의 거리측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CPU(301)가 RAM(303)에 전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한편, 전술의 도9와 같은 처리의 단계들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부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단계 S1201에서, CPU(301)는, 거리판정의 기준인 시간량을 취득하여 RAM(303)에 보존한다. 단계 S902∼단계 S903에서, CPU(301)는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그 전파강도나 무선전파에 포함된 정보를 RAM(303)에 기록하고, 그 전파신호의 포맷이 "Mobile app Beacon"이면, 단계 S12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1202에서, CPU(301)는, 수신한 전파신호가 소망의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전파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1203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그 수신한 무선전파의 전파강도를 RAM(303)에 기록한다. 다음에, 단계 S1204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301)는, 거리판정을 행하기 위한 소정량의 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러면 단계 S911의 처리로 진행되고, 그 수신한 전파신호의 전파강도에 근거하여, 화상형성장치(100)까지의 거리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해, 송신원인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전파신호의 포맷(종류)이 복수일 경우라도, 소정량의 시간에서 수신할 수 있는 전파강도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전파신호에 대한 단일의 포맷이 있는 경우와 같은 감도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값이하라고 판정되면, 휴대 단말(130)과 화상형성장치(100)는 양방향 통신을 행하고, 예를 들면, 휴대 단말(130)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로컬 UI에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Wi-Fi에의 핸드오버, 화상형성장치(100)에 보유 인쇄 데이터의 출력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0)

  1.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르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또한 직접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근접도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각각을, 다른 타이밍에서 수신하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다른 타이밍에서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상기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각각은, 다른 시간간격으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포맷마다 송신 간격이 다른, 정보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각각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공통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포맷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포맷 종별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소정 횟수 동안 샘플링해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포맷을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식별된 포맷에 따라서 샘플링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다르게 행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전파의 발신 간격에 따르는, 정보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소정량의 시간이 경과하는 기간에 샘플링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한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한 근접도가 제1의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에 제1의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근접도가 상기 제1의 조건과는 다른 제2의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1의 처리와는 다른 제2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부(unit)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은, Bluetooth LE(Low Energy)인, 정보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동일한 범용 고유 식별자(UUID)를 각각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의 각각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처리장치.
  14.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르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또한 직접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근접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각각을, 다른 타이밍에서 수신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다른 타이밍에서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상기 수신된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각각은, 다른 시간간격으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포맷마다 송신 간격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각각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공통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포맷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포맷 종별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소정 횟수 동안 샘플링해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20.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르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또한 직접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근접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다른 포맷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전파강도를 사용하여 상기 근접도를 추정하는, 기억매체.
KR1020190000494A 2018-01-05 2019-01-03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445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0770 2018-01-05
JP2018000770A JP7042623B2 (ja) 2018-01-05 2018-01-05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87A true KR20190083987A (ko) 2019-07-15
KR102445121B1 KR102445121B1 (ko) 2022-09-20

Family

ID=6714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494A KR102445121B1 (ko) 2018-01-05 2019-01-03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67085B2 (ko)
JP (1) JP7042623B2 (ko)
KR (1) KR102445121B1 (ko)
CN (1) CN110045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2669B2 (ja) 2019-11-13 2023-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及び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2811A1 (en) * 2005-05-12 2007-01-04 Nokia Corporation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provision of beacon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US20100240320A1 (en) * 2007-11-15 2010-09-23 Michinari Kohno Radio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60001530A (ko)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US20160050526A1 (en) * 2014-08-12 2016-02-18 Aerohive Networks, Inc. Network device based proximity beacon locating
US20170192083A1 (en) * 2016-01-05 2017-07-06 Elta Systems Ltd. Method of locating a transmitting source in multipath environment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9948A (en) 1988-12-06 1999-01-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s process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binarized multi-value image data to convert pulse widths differently in at least two modes
US6453071B2 (en) 1997-04-04 2002-09-17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and programs for data communication process stored i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3938121B2 (ja) 2003-09-17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691613B2 (ja) 2011-02-18 2015-04-0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位置推定装置、移動端末位置推定方法及び電波環境指標算出方法
US9699715B2 (en) * 2013-01-09 2017-07-04 Lg Electronics Inc. Discovery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53023B2 (en) * 2014-05-28 2019-10-22 Fedex Corporate Services, Inc. Methods and node apparatus for adaptive node communication within a wireless node network
KR101868444B1 (ko) * 2014-07-01 2018-07-23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그 위치 안내 방법 및 화상 형성 시스템
US9584965B2 (en) * 2014-07-25 2017-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proximity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KR102164268B1 (ko) * 2014-09-03 2020-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거리에 기반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JP6265873B2 (ja) * 2014-09-24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バイル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63162B2 (ja) * 2015-02-10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90486B2 (ja) * 2015-02-18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方法、通信端末
JP2016178385A (ja) * 2015-03-18 2016-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67565A (ja) * 2015-09-29 2017-04-0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装置および測位プログラム
JP7175584B2 (ja) * 2015-10-30 202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06752A (ja) * 2015-12-07 2017-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65827B2 (ja) * 2016-03-11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8970B2 (ja) 2016-03-24 2021-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0855B2 (ja) * 2016-03-24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89649B2 (ja) * 2016-03-24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08059B2 (ja) * 2016-08-26 2020-06-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情報処理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10506643B2 (en) * 2016-09-20 2019-12-10 Apple Inc. Bluetooth connection establishment
KR20180050947A (ko) * 2016-11-07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표 파형 제공 장치 및 방법
JP6801401B2 (ja) * 2016-11-28 2020-1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2811A1 (en) * 2005-05-12 2007-01-04 Nokia Corporation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provision of beacon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US20100240320A1 (en) * 2007-11-15 2010-09-23 Michinari Kohno Radio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60001530A (ko)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US20160050526A1 (en) * 2014-08-12 2016-02-18 Aerohive Networks, Inc. Network device based proximity beacon locating
US20170192083A1 (en) * 2016-01-05 2017-07-06 Elta Systems Ltd. Method of locating a transmitting source in multipath environment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42623B2 (ja) 2022-03-28
CN110045330B (zh) 2023-05-30
US20190215651A1 (en) 2019-07-11
CN110045330A (zh) 2019-07-23
US10667085B2 (en) 2020-05-26
JP2019121930A (ja) 2019-07-22
KR102445121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8743B2 (en) Service sharing device and method
US110443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01947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898238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creen data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741943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US11055040B2 (en) 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6352280A (ja)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通信装置
US961527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based on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02333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134161B2 (en) 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o search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a message on lock screen,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8058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ased on obtained regulation information that depends on geographic lo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06930B1 (ko) 근접 무선통신을 실행가능한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N110045330B (zh)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6898772B2 (ja) 通信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51573B2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データ出力方法
US111379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line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337935B2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1916534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72234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765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8182572A (ja)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9706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無線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