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829A - 테이프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829A
KR20190083829A KR1020180001743A KR20180001743A KR20190083829A KR 20190083829 A KR20190083829 A KR 20190083829A KR 1020180001743 A KR1020180001743 A KR 1020180001743A KR 20180001743 A KR20180001743 A KR 20180001743A KR 20190083829 A KR20190083829 A KR 20190083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rotective tape
gripper
uni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승
이희정
주영춘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829A/ko
Publication of KR2019008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10/0409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for cells with wound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75Polyorganosiloxane-contai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6Multip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지셀의 외측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보호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공급릴과, 상기 보호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유닛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언와인드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퍼 유닛을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송 유닛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상기 소정 길이만큼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보호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커팅 유닛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1 면에 마주하는 제1 커터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마주하는 제2 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터 및 제2 커터에는 상기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 방지층이 각각 구비된다.

Description

테이프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a tap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테이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 제조 공정에서 젤리 롤(jelly roll) 형태를 갖는 전지셀의 외측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젤리 롤 형태의 전지셀이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젤리-롤 형태의 전지셀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시트와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 시트가 분리막을 개재하여 젤리 롤 형태로 권취된 것으로, 상기 전지셀이 권취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권취 단부 부위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호 테이프는 상기 전지셀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권취 단부가 배치되는 전지셀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들에 모두 보호 테이프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장치는 상기 보호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공급릴과, 상기 보호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유닛과, 상기 그리퍼 유닛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그리퍼 구동 유닛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 구동 유닛은 상기 그리퍼 유닛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의 단부가 파지된 후 상기 그리퍼 유닛을 상기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가 기 설정된 길이만큼 언와인드(unwind)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보호 테이프를 소정 길이만큼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보호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절단을 위한 제1 커터와 제2 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보호 테이프의 공급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커터들에는 상기 보호 테이프로부터 접착 물질이 누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 테이프가 절단된 후 절단된 보호 테이프가 상기 제1 커터 또는 제2 커터에 부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2793호 (등록일자 2015년 12월 30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호 테이프의 절단을 위한 커팅 유닛에 상기 보호 테이프로부터 접착 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테이프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지셀의 외측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보호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공급릴과, 상기 보호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유닛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언와인드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퍼 유닛을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송 유닛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상기 소정 길이만큼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보호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팅 유닛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1 면에 마주하는 제1 커터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마주하는 제2 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터 및 제2 커터에는 상기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 방지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부착 방지층은 실리콘 고분자 화합물 또는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절단을 위해 상기 제1 커터 및 상기 제2 커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커팅 구동부와 제2 커팅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그리퍼 유닛에 의해 언와인드된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2 면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커팅 유닛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 사이에서 상기 커팅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2 면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제2 진공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테이프 공급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 테이프로부터 이형 필름을 회수하기 위한 이형 필름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지셀의 외측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 장치는, 상기 보호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공급릴과, 상기 보호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유닛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언와인드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퍼 유닛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송 유닛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상기 소정 길이만큼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보호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팅 유닛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1 면에 마주하는 제1 커터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마주하는 제2 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터 및 제2 커터에는 상기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 방지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방지층은 실리콘 고분자 화합물 또는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접착제가 상기 커팅 유닛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팅 유닛에 접착제가 부착 및 누적되는 문제점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에서의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접착제 누적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리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리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100)는 이차 전지 제조 공정에서 젤리 롤 형태를 갖는 전지셀(10)의 외측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 테이프(12)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지셀(10)은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 시트와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 시트를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것이며, 상기 보호 테이프(12)는 상기 전지셀(10)이 권취된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전지셀(10)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공급 장치(100)는, 상기 보호 테이프(12)가 권취된 테이프 공급릴(110)과,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유닛(120)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언와인드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퍼 유닛(120)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송 유닛(130)과,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상기 소정 길이만큼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절단하는 커팅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테이프(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필름(14)과 상기 기재 필름(14)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기재 필름(14)으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필름(14)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접착제층(16) 상에는 이형 필름(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의 상부에는 상기 이형 필름(18)을 회수하기 위한 이형 필름 회수부(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테이프(12)와 상기 이형 필름(18)은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과 상기 커팅 유닛(140) 사이에 배치된 제1 가이드 롤러(114)와 제2 가이드 롤러(116)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테이프 공급릴(110)과 이형 필름 회수부(11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114, 116)의 배치 관계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커팅 유닛(140)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1 면과 마주하는 제1 커터(142)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2 면과 마주하는 제2 커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터(142) 및 제2 커터(144)에는 상기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 방지층(142A, 144A)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착 방지층(142A, 144A)은 실리콘 고분자 화합물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과 같은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리콘 고분자 화합물과 상기 불소 수지는 고체 표면의 표면 에너지 밀도를 대략 20 dyne/cm 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커터(142)와 제2 커터(144)의 표면들에 상대적으로 높은 소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높은 극성을 갖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제1 커터(142) 및 제2 커터(144)에 부착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 유닛(140)은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절단을 위해 상기 제1 커터(142) 및 상기 제2 커터(144)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커팅 구동부(146)와 제2 커팅 구동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커팅 구동부들(146, 148)은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리퍼 유닛(120)은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1 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1 그리퍼(122)와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2 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2 그리퍼(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리퍼(122)에는 상기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 방지층(124)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착 방지층(124)은 상기 제1 그리퍼(122)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고분자 화합물 또는 PTFE와 같은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그리퍼 유닛(120)은 상기 제1 그리퍼(122)를 동작시키기 위한 그리퍼 구동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퍼 구동부(128)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링크 방식으로 상기 제1 그리퍼(12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그리퍼 구동부(128)의 세부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그리퍼 이송 유닛(130)은 상기 제1 및 제2 그리퍼들(122, 126)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단부를 파지하고 기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언와인드하기 위해 상기 그리퍼 유닛(120)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공급 장치(100)는 상기 그리퍼 유닛(120)에 의해 언와인드된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2 면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 블록들(1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팅 유닛(140)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12)가 절단된 후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 측의 보호 테이프(12)의 제2 면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제2 진공 블록(15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은 상기 커팅 유닛(140)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 사이에서 상기 커팅 유닛(140)에 인접하도록, 즉 상기 커팅 유닛(140)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들(114, 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테이프(12)가 절단된 후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 측의 보호 테이프(12)를 진공압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진공 블록들(150)과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은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2 면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복수의 진공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진공 블록들(150)과 제2 진공 블록(152)은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진공 흡착 및 흡착 해제를 위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블록들(150) 사이에는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상기 전지셀(10)에 부착하기 위한 테이프 부착 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테이프 부착 장치(200)는 상기 전지셀(10)의 외측 표면들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착 롤러들(20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테이프 부착 장치(200)의 세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테이프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그리퍼 유닛(120)은 상기 그리퍼 이송 유닛(130)에 의해 상기 커팅 유닛(140)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제1 그리퍼(122)와 제2 그리퍼(126)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테이프(12)는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에 의해 진공 흡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리퍼 유닛(120)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단부가 파지된 후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에 의한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진공 흡착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이 하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그리퍼 이송 유닛(130)은 상기 그리퍼 유닛(120)이 상기 커팅 유닛(1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그리퍼 유닛(120)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호 테이프(12)가 기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로부터 언와인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블록들(150)과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이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블록들(150)과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2 면이 진공 흡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커팅 유닛(140)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12)가 절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보호 테이프(12)가 절단된 후 상기 진공 블록들(150) 사이에 상기 전지셀(10)이 로드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테이프 부착장치(200)의 부착 롤러들(202)이 상승됨으로써 상기 보호 테이프(12)가 상기 전지셀(10)의 하부면과 전면 및 후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리퍼 유닛(120)에 의한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파지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진공 블록들(150)에 의한 흡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진공 블록(152)에 의한 흡착 상태는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단부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전지셀(10)의 하부면과 전면 및 후면에 보호 테이프(12)를 부착하는 과정이 설명되었으나,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상기 전지셀(10)의 측면들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100)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지셀(10)의 외측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 테이프(12)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 장치(100)는, 상기 보호 테이프(12)가 권취된 테이프 공급릴(110)과,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유닛(120)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110)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언와인드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퍼 유닛(120)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송 유닛(130)과,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상기 소정 길이만큼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절단하는 커팅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팅 유닛(140)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제1 면에 마주하는 제1 커터(142)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마주하는 제2 커터(14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터(142) 및 제2 커터(144)에는 상기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 방지층(142A, 144A)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방지층(142A, 144A)은 실리콘 고분자 화합물 또는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호 테이프(12)의 접착제가 상기 커팅 유닛(14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팅 유닛(140)에 접착제가 부착 및 누적되는 문제점에 의해 상기 보호 테이프(12)를 부착하는 테이핑 공정에서의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접착제 누적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지셀 12 : 보호 테이프
14 : 기재 필름 16 : 접착제층
18 : 이형 필름 100 : 테이프 공급 장치
110 : 테이프 공급릴 112 : 이형 필름 회수부
114, 116 : 가이드 롤러 120 : 그리퍼 유닛
122 : 제1 그리퍼 124 : 부착 방지층
126 : 제2 그리퍼 128 : 그리퍼 구동부
130 : 그리퍼 이송 유닛 140 : 커팅 유닛
142 : 제1 커터 142A : 부착 방지층
144 : 제2 커터 144A : 부착 방지층
146 : 제1 커팅 구동부 148 : 제2 커팅 구동부
150 : 진공 블록 152 : 제2 진공 블록
200 : 테이프 부착 장치 202 : 부착 롤러

Claims (7)

  1. 전지셀의 외측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 테이프가 권취된 테이프 공급릴;
    상기 보호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 유닛;
    상기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상기 보호 테이프를 언와인드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퍼 유닛을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송 유닛; 및
    상기 보호 테이프를 상기 소정 길이만큼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보호 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커팅 유닛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1 면에 마주하는 제1 커터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마주하는 제2 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터 및 제2 커터에는 상기 접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 방지층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방지층은 실리콘 고분자 화합물 또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절단을 위해 상기 제1 커터 및 상기 제2 커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커팅 구동부와 제2 커팅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 유닛에 의해 언와인드된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2 면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진공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 사이에서 상기 커팅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 테이프의 제2 면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제2 진공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 테이프로부터 이형 필름을 회수하기 위한 이형 필름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KR1020180001743A 2018-01-05 2018-01-05 테이프 공급 장치 KR20190083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743A KR20190083829A (ko) 2018-01-05 2018-01-05 테이프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743A KR20190083829A (ko) 2018-01-05 2018-01-05 테이프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29A true KR20190083829A (ko) 2019-07-15

Family

ID=6725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743A KR20190083829A (ko) 2018-01-05 2018-01-05 테이프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8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730A (zh) * 2019-08-20 2019-10-25 湖州浩方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布料成卷用的安全加持放置装置
KR102251847B1 (ko) * 2019-12-04 2021-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회전식 섬유공급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KR102354323B1 (ko) * 2020-07-16 2022-01-20 김규철 지지테이프 부착장치
WO2023195680A1 (ko) * 2022-04-05 2023-10-1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필름 부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793B1 (ko) 2015-05-14 2016-01-07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절연 테이프 피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793B1 (ko) 2015-05-14 2016-01-07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절연 테이프 피딩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730A (zh) * 2019-08-20 2019-10-25 湖州浩方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布料成卷用的安全加持放置装置
KR102251847B1 (ko) * 2019-12-04 2021-05-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회전식 섬유공급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WO2021112507A1 (ko) * 2019-12-04 2021-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회전식 섬유공급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KR102354323B1 (ko) * 2020-07-16 2022-01-20 김규철 지지테이프 부착장치
WO2023195680A1 (ko) * 2022-04-05 2023-10-1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필름 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829A (ko) 테이프 공급 장치
KR20190063958A (ko) 테이프 공급 장치
EP40128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electrode assemblies for secondary batteries
EP2889948B1 (en)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EP3813172B1 (en) Automatic replacement device of secondary battery material
JP2010102871A (ja) 連続セパレータ及びシート状電極の積層装置
KR101429132B1 (ko) 극판 와인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셀
TW202240960A (zh) 用於電極之間隔物、電極堆疊及電池與其系統及方法
KR102099571B1 (ko) 테이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부착 방법
WO2013122093A1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1849421B1 (ko) 배터리 셀의 절연 테이프 자동 부착 장치
JP2023517563A (ja) 単位セル製造装置及び方法
JP2023517320A (ja) セル製造装置及び方法
KR20140042328A (ko) 이차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를 위한 자동화 폴딩 시스템
KR20210126842A (ko) 불량 전극 자동 제거 장치 및 불량 전극 자동 제거 방법
JP6962163B2 (ja) 積層電極体の製造装置
KR102253132B1 (ko) 2차 전지용 단위 셀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8041625A (ja) 電極製造装置
KR101221009B1 (ko) 전극체의 상면 테이핑 장치 및 상면 테이핑 방법
US20110146915A1 (en) Label attaching device
KR20230122541A (ko) 전극 연결용 필름 권취장치, 권취방법 및 전극 롤
KR102661995B1 (ko) 테이프 제거 장치
US20240162472A1 (en) Winding Apparatus and Winding Method for Electrode Connection Film and Electrode Roll
JP2019216115A (ja) 巻回装置
KR20220008631A (ko) 전극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연결 자동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