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466A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3466A KR20190083466A KR1020180001135A KR20180001135A KR20190083466A KR 20190083466 A KR20190083466 A KR 20190083466A KR 1020180001135 A KR1020180001135 A KR 1020180001135A KR 20180001135 A KR20180001135 A KR 20180001135A KR 20190083466 A KR20190083466 A KR 201900834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umb pile
- pile
- wall
- retaining wall
- perman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지반을 절토하고,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지반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구조물인 흙막이벽을 설치한다.When cutting the ground and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 temporary retaining wall is installed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ground.
흙막이벽은 본 구조물인 용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동안 절토면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적 안전성과 강성을 갖도록 설계된다.The retaining walls are designed to have structural safety and rigidity to prevent the cut surface from collaps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structure.
흙막이벽은 옹벽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면 일부 또는 전부가 철거되는데, 흙막이벽의 철거를 위해 대형장비와 많은 인력이 동원되고, 철거시간이 필요하게 된다.Whe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completed, some or all of the retaining wall is demolished. In order to demolish the retaining wall, large equipment and a lot of manpower are mobilized, and demolition time is required.
그러나 구조적 안전성과 강성을 갖도록 시공된 흙막이벽은 지반에 매립되는 구조로서, 철거가 용이하지 않고, 철거 중 일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Howeve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to have structural safety and rigidity is buried in the ground, which is not easy to demolish, and some of the demolished parts may be damaged or damaged and can not be removed.
상술하는 종래의 기술구성, 명칭, 도면번호는 그 종래기술의 설명에 한정되어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cal constructions,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are used only in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한국특허 10-2016-0010831호 '앵커용 저수조를 이용한 L형 식생옹벽 및 이를 이용한 L형 식생옹벽 시공방법'은 배후토사(10)의 복수회 다짐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다짐층(100); 복수의 다짐층(100) 전면에 형성된 L형 옹벽(200); 복수의 다짐층(100) 상면에 설치되되, L형 옹벽(200)의 후면에 일측 끝 부분이 결합하여 설치된 보강재(500); 배후토사(10) 내부의 수분을 저류시키고, L형 옹벽(20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500)에 결합하는 앵커용 저수조(300); 앵커용 저수조(300)로부터 수분을 공급받도록 L형 옹벽(200)의 전면에 형성된 식생부(400);를 포함하고, 시공방법은 L형 옹벽(200)을 형성하는 응벽 형성단계; L형 옹벽(200)의 후방에 1차 성토 및 다짐에 의해 1차 다짐층(110)을 형성하는 1차 성토 및 다짐단계; 1차 다짐층(110)의 상면에 일단이 L형 옹벽(200)의 후면에 결합하도록 보강재(500)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단계; 둘출부(510) 타측 가장자리의 상면에 앵커용 저수조(300)를 설치하는 앵커용 저수조 설치단계; 돌출부(510)가 앵커용 저수조(300)를 감싸도록 전방으로 말아지는 구조로 앵커용 저수조(300)와 돌출부(510)를 결합하는 앵커용 저수조 결합단계; 보강재(500) 및 앵커용 저수조(300)의 상면에 대한 2차 성토 및 다짐에 의해 2차 다짐층(120)을 형성하는 2차 성토 및 다짐단계;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No. 10-2016-0010831 'L-sha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an anchor water tank and method of constructing L-shape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comprises a plurality of
한국특허 10-2003-0019504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옹벽이 설치될 자리의 기초부(1)에 수평하게 올려지는 저판(10)과 상기 저판(10)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수직벽(20)을 구비하는 L형 또는 역T형으로 설계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으로서, 상기 저판(10)에서 그 옹벽블록 (100)의 무게중심을 균형있게 받쳐줄 수 있는 위치들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다수의 너트관(11)과, 상기 너트관(11)들에 나사 조립되어 상하로 수직 이동하면서 옹벽블록의 수직도 및 수평도를 조정하여 유지시킨 상태로 그 하면이 상기 기초부(1)의 상면에 접지되어 옹벽블록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다수의 레벨링 볼트(12)와, 상기 저판(10)의 소정 위치에 자리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이상의 콘크리트 투입구(13)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볼트(12)는 그 하면이 상기 기초부(1)의 상면과 점 접촉하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을 제공한다.Korean Patent No. 10-2003-0019504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has a
한국실용신안 20-2004-0005984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저판(10)과 전면벽(20)이 일체로 성형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저판 (10)의 양측 단부에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저판(10)의 콘크리트 속에 정착되는 철근을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 (11)의 공간상으로 노출시킨 돌출철근(12)이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2004-0005984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is a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in which a
옹벽블록은 기초부 위에 거치한 후 기초부(F)와 옹벽블록(B)의 사이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홈(11)에 고유동성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옹벽블록 (B)들과 기초부(F)를 일연체로 접합하여 주는 작업을 통해 옹벽을 시공함로써, 시공단계별로 철근조립·거푸집설치·콘크리트 타설·거푸집 해체를 여러번 반복하는 공정이 생략되게 되어 시공의 편리성과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안전하게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block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and then the high-pressure concrete mortar is placed between the base portion F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B and into the concrete casting recess 11 to form the retaining wall blocks B and the base portion F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period dramatically by eliminating the process of repeatedly assembling reinforcing bars, installing concrete, pouring concrete, and dismantling form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s.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structure safely.
본 발명은 임시구조물인 흙막이벽을 이용하여 용벽구조물을 설치하는 기술로서, 안전성과 강성을 확보한 흙막이벽을 이용한 용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wall structure using an earth retaining wall securing safety and rigidit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s a technique for installing a wall structure using an earth retaining wall which is a temporary structur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지반(1)의 절토면(2)에 설치되되, 복수의 엄지말뚝(110)과 상기 엄지말뚝(110)의 사이에 형성된 벽체(120)로 형성된 흙막이벽(100); 상기 흙막이벽(100)의 후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엄지말뚝(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방 엄지말뚝(200); 상기 흙막이벽(100)의 변위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강성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강봉(300); 상기 강봉(300)이 매립되는 구조로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슬래브(400); 상기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구구조물로 형성되는 영구벽체(500);를 포함한다.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cut-off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은 상기 엄지말뚝(110)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엄지말뚝(110)의 상단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단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보강재(60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토사(3)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ill the top of the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의 내부에는 철근 또는 와이어메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bar or a wire mesh is installed inside the
상기 엄지말뚝(110)의 전면에는 상기 영구벽체(500) 설치시 상기 영구벽체(5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단연결재(11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end of the
성가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은 강 재질의 H-파일으로서, 상기 지반(1)을 천공하여 천공홀(10)을 형성한 후 삽입되고,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엄지말뚝(110),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는 충전재(20)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엄지말뚝(110)의 사이에 충전되는 상기 충전재(20)는 상기 영구벽체(500)가 결합된 영역의 하측에 충전되고,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20)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가 결합된 영역의 하측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영구벽체(500)는 상기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510); 상기 본체부(5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520)는 상기 절토면(2)의 하측 영역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manent wall body (500) includes a body portion (51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100); And 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구조물 시공방법은 상기 지반(1)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을 설치하는 말뚝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상기 지반(1)을 터파기하는 1차 터파기단계; 상기 1차 터파기단계의 깊이까지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에 후방 토류판(210)을 설치하는 후방토류판 설치단계; 상기 강봉(300)과 상기 보강재(600)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를 형성하는 강봉-보강재-슬래브설치단계; 상기 엄지말뚝(110)의 전방 영역인 상기 지반(1)을 터파기하는 2차 터파기단계; 상기 엄지말뚝(110)에 상기 벽체(120)를 설치하는 벽체설치단계;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벽체(120)를 후면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상기 영구벽체(500)를 설치하는 영구벽체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상기 토사(3)를 충전하는 토사충전단계: 포함한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lling step of drilling the
상기 벽체(120)는 토류판, 콘크리트 주열벽, 콘크리트파일벽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은 임시구조물인 흙막이벽과 영구벽체를 결합한 옹벽구조물로서, 구조물의 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mbining a temporary retaining wall and a permanent wall,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is excellent.
또한, 영구벽체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공사금액을 절감할 수 있고, 임시구조물인 흙막이벽의 철거공정이 없어 공기가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Also, the size of the permanent wall can be minimiz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because there is no demolition process of the earth retaining wall, which is a temporary structure.
도 1은 한국특허 10-2016-0010831호의 식생옹벽 측면도.
도 2는 한국특허 10-2003-0019504호의 기초부위에 거치된 옹벽블록들의 전면 선형과 레벨 조정 및 연접블록들의 체결을 완료한 후 콘크리트로 기초부와 접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3은 한국실용신안 20-2004-0005984호의 조립식 옹벽의 시공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구조물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이 설치되는 절토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슬래브 상부에 토사가 충전된 것을 나타내는 옹벽구조물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흙막이벽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슬래브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흙막이벽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로 토류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엄지말뚝의 전면에 전단연결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공단계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말뚝설치단계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몰탈이 충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터파기단계 공정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보강재-슬래브설치단계 공정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터파기단계 공정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구벽체설치단계 공정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로 콘크리트 주열벽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로 콘크리트 파일벽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side view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of Korean Patent No. 10-2016-0010831.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linearity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of Korean Patent No. 10-2003-0019504, the level adjustme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the fastening of the connecting blocks and the concrete are joined with the base por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al example of a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of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4-0005984.
4 is a side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ut-away surface on which an earth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6 is a side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showing that the top of a concrete slab is filled with gra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an earth retaining wall showing a steel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lan view of an earth retaining wall showing that a concrete slab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il plate installed on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front end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a thumb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rocess diagram of a drill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rocess diagram of a pile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at a mort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ged.
FIG. 14 is a process diagram of a first-stage destruc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rocess diagram of a steel bar-stiffener-slab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process diagram of a second stage destruc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rocess diagram of a permanent wall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concrete main heat wall is installed as a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of a concrete pile with a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지반(1)의 절토면(2)에 설치되되, 복수의 엄지말뚝(110)과 엄지말뚝(110)의 사이에 형성된 벽체(120)로 형성된 흙막이벽(100); 흙막이벽(100)의 후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엄지말뚝(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방 엄지말뚝(200); 흙막이벽(100)의 변위를 후방 엄지말뚝(200)의 강성으로 제어하기 위해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강봉(300); 강봉(300)이 매립되는 구조로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슬래브(400);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구구조물로 형성되는 영구벽체(500);를 포함한다.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도 4 와 같이, 본원발명의 옹벽구조물은 기존에 임시 구조물로 설치되었던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영구벽체(500)가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As shown in FIG. 4,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흙막이벽(100)은 강봉(300)에 의해 후방 엄지말뚝(200)과 결합되는데, 토압에 대하여 흙막이벽(100)과 후방 엄지말뚝(200)이 동시에 저항하기 때문에 상부 변위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The
또한, 후방 엄지말뚝(200)과 결합된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영구벽체(500)가 형성되기 때문에 옹벽구조물에 대하여, 전도에 대한 안전성, 활동에 대한 안전성, 지지력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the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흙막이벽(10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강성에 영구벽체(500)의 강성이 더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영구벽체(500)의 두께 및 배근되는 철근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iffness of the
즉, 본원발명은 임시구조물로 사용되었던 흙막이벽(100)을 영구구조물인 영구벽체(500)와 결합하여 구조물의 강성은 향상시키고, 흙막이벽(100)의 철거에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면서, 영구벽체(500)의 두께와 철근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by coupling the
후방 엄지말뚝(200)은 엄지말뚝(110)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엄지말뚝(110)의 상단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단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보강재(60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토사(3)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ill the top of the
본원발명은 도 6과 같이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높이를 변경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단부를 보강재(600)로 결합하여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단 결합력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또한,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토사(3)를 충전하여 흙막이벽(100)에 상재하중을 재하하여 흙막이벽(100)의 변위를 더욱 더 줄일 수 있다.Also, displacement of the
뿐만아니라,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충전된 토사(3)를 이용하여 식생부를 형성하여 미관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getation part can be formed by using the gravel-
콘크리트슬래브(400)의 내부에는 철근 또는 와이어메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bar or a wire mesh is installed inside the
콘크리트슬래브(400)에는 내부에 철근을 조립하거나 와이어메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슬래브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엄지말뚝(110)의 전면에는 영구벽체(500) 설치시 영구벽체(5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단연결재(11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도 9, 10과 같이 엄지말뚝(110)의 전면에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영구벽체(5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단연결재(111)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a front
전단연결재(111)는 볼트 타입의 스터드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철근을 가공하여 엄지말뚝(110)에 용접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은 강 재질의 H-파일으로서, 지반(1)을 천공하여 천공홀(10)을 형성한 후 삽입되고, 천공홀(10)과 엄지말뚝(110), 천공홀(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는 충전재(20)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천공홀(10)과 엄지말뚝(110)의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20)는 영구벽체(500)가 결합된 영역의 하측에 충전되고, 천공홀(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20)는 콘크리트슬래브(400)가 결합된 영역의 하측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 설치 후에는 천공홀(10)에 충전재(20)를 충전하여 말뚝(110, 200)과 천공홀(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After the
여기서, 충전재(20)는 콘크리트, 시멘트 페이스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Here, either the concrete or the cement paste is used as the
또한, 위와 같이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의 충전재(20) 타설 위치를 한정한 것은 엄지말뚝(110)에 결합되는 벽체(120)와 후방 엄지말뚝(200)에 결합되는 토류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placement of the
영구벽체(500)는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510); 본체부(5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520)를 포함하고, 돌출부(520)는 절토면(2)의 하측 영역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manent wall body (500) includes a body portion (51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100); And 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구조물 시공방법은 지반(1)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을 설치하는 말뚝설치단계; 콘크리트슬래브(4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지반(1)을 터파기하는 1차 터파기단계; 1차 터파기단계의 깊이까지 후방 엄지말뚝(200)에 후방 토류판(210)을 설치하는 후방토류판 설치단계; 강봉(300)과 보강재(60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슬래브(400)를 형성하는 강봉-보강재-슬래브설치단계; 엄지말뚝(110)의 전방 영역인 지반(1)을 터파기하는 2차 터파기단계; 엄지말뚝(110)에 벽체(120)를 설치하는 벽체설치단계; 엄지말뚝(110)과 벽체(120)를 후면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영구벽체(500)를 설치하는 영구벽체설치단계;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토사(3)를 충전하는 토사충전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lling step of drilling the
본원발명의 옹벽구조물은 말뚝설치단계 이후, 도 14와 같이 강봉(300), 보강재(600), 콘크리트슬래브(400)를 형성하여 엄지말뚝(110)과 후방 엄지말뚝(200)을 결합시킨다.14, the reinforcing
이후, 2차 터파기 단계를 진행하면서 벽체(120)를 설치하고, 2차 터파기단계가 완료되면 엄지말뚝(110)과 벽체(120)를 후면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영구벽체(500)를 설치하게 된다.After the second trenching step is completed, the
따라서 영구벽체(500)를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은 전면거푸집과 측면거푸집만이 사용되게 된다.Therefore, only the front formwork and the side formwork are used for the mold for installing the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영구벽체(500)는 콘크리트 블럭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이 경우, 엄지말뚝(110)과 벽체(120)의 전면에 복수의 콘크리트 블럭이 적치되는 구조로 영구벽체(500)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벽체(120)는 토류판, 콘크리트 주열벽, 콘크리트파일벽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18, 도 19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는 콘크리트 주열벽 또는 콘크리트 파일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concrete hot wall or a concrete pile wall.
1 : 지반
2 : 절토면
3 : 토사
10 : 천공홀
20 : 몰탈
100 : 흙막이벽
110 : 엄지말뚝
111 : 전단연결재
120 : 벽체
200 : 후방말뚝
300 : 강봉
400 : 콘크리트 슬래브
500 : 영구벽체
510 : 본체부
520 : 돌출부
600 : 보강재1: ground 2: cut-off surface
3: Tosa 10: Perforated hole
20: mortar 100: earth retaining wall
110: Thumb pile 111: Shear connector
120: wall 200: rear pile
300: steel bar 400: concrete slab
500: permanent wall body 510:
520: protrusion 600: stiffener
Claims (10)
상기 흙막이벽(100)의 후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엄지말뚝(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방 엄지말뚝(200);
상기 흙막이벽(100)의 변위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강성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강봉(300);
상기 강봉(300)이 매립되는 구조로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슬래브(400);
상기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영구구조물로 형성되는 영구벽체(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A soil retaining wall 100 formed of a plurality of thumb piles 110 and a wall 120 formed between the thumb piles 110 and installed on the cut-off surface 2 of the ground 1;
A rear thumb pile (200) installed behind the earth retaining wall (100) and spaced rearward from the thumb pile (110);
The thumb pile 110 and the rear thumb pile 200 are installed on top of the thumb pile 110 and the rear thumb pile 200 to control th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100 by the rigidity of the rear thumb pile 200, A steel bar 30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rear thumb pile 200;
A concrete slab 400 formed between the thumb pile 110 and the rear thumb pile 20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bar 300 is embedded;
And a permanent wall body (500)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100) and formed as a permanent structure.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은
상기 엄지말뚝(110)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엄지말뚝(110)의 상단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상단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보강재(6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thumb pile (200)
A stiffener 600 is further provid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humb pile 110 and has both ends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thumb pile 110 and an upper end of the rear thumb pile 200, Retaining wall structure.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토사(3)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gravel (3) is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slab (400).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의 내부에는 철근 또는 와이어메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reinforcing bar or wire mesh is installed inside the concrete slab (400).
상기 엄지말뚝(110)의 전면에는 상기 영구벽체(500) 설치시 상기 영구벽체(5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단연결재(1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ront end coupling member (111)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humb pile (110) to improve a coupling force with the permanent wall body (500) when the permanent wall body (500) is installed.
성가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은 강 재질의 H-파일으로서,
상기 지반(1)을 천공하여 천공홀(10)을 형성한 후 삽입되고,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엄지말뚝(110),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는 충전재(20)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happed thumb pile 110 and the rear thumb pile 200 are steel H-files,
The ground 1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0 after forming the perforation hole 10 and inserted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10 and the thumb pile 110 and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10 and the rear thumb pile 200 Is filled with the filler (20).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엄지말뚝(110)의 사이에 충전되는 상기 충전재(20)는 상기 영구벽체(500)가 결합된 영역의 하측에 충전되고,
상기 천공홀(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의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20)는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가 결합된 영역의 하측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ller 20 filled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10 and the thumb pile 110 is fi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gion where the permanent wall 500 is coupled,
Wherein a filler (20) filled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10) and the rear thumb pile (200) is fi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area where the concrete slab (400) is coupled.
상기 영구벽체(500)는
상기 흙막이벽(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본체부(510);
상기 본체부(5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520)는 상기 절토면(2)의 하측 영역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ermanent wall (500)
A main body 51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arth retaining wall 100;
And a protrusion 520 protruding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510,
Wherein the protrusions (520) are installed to be embedded in a lower region of the cut-off surface (2).
상기 지반(1)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을 설치하는 말뚝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상기 지반(1)을 터파기하는 1차 터파기단계;
상기 1차 터파기단계의 깊이까지 상기 후방 엄지말뚝(200)에 후방 토류판(210)을 설치하는 후방토류판 설치단계;
상기 강봉(300)과 상기 보강재(600)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를 형성하는 강봉-보강재-슬래브설치단계;
상기 엄지말뚝(110)의 전방 영역인 상기 지반(1)을 터파기하는 2차 터파기단계;
상기 엄지말뚝(110)에 상기 벽체(120)를 설치하는 벽체설치단계;
상기 엄지말뚝(110)과 상기 벽체(120)를 후면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상기 영구벽체(500)를 설치하는 영구벽체설치단계;
상기 콘크리트슬래브(400)의 상부에 상기 토사(3)를 충전하는 토사충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A drilling step of drilling the ground 1;
A pile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the thumb pile 110 and the rear thumb pile 200;
A first stage destructing the ground 1 to a position where the concrete slab 400 is formed;
A rear soil board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rear soil board (210) on the rear thumb pile (200) up to a depth of the first terrain;
A steel bar-stiffener-slab installing step of installing the steel bar 300 and the stiffener 600 and forming the concrete slab 400;
A second stage of digging the ground 1 in front of the thumb pile 110;
Installing a wall (120) on the thumb pile (110);
Installing the permanent wall (500) by using the thumb pile (110) and the wall body (120) as a rear formwork;
And filling the gravel (3) with the top of the concrete slab (400).
상기 벽체(120)는
토류판, 콘크리트 주열벽, 콘크리트파일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시공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ll (120)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one of an earth plate, a concrete main heating wall, and a concrete pile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135A KR102102919B1 (en) | 2018-01-04 | 2018-01-04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1135A KR102102919B1 (en) | 2018-01-04 | 2018-01-04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3466A true KR20190083466A (en) | 2019-07-12 |
KR102102919B1 KR102102919B1 (en) | 2020-04-21 |
Family
ID=6725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1135A KR102102919B1 (en) | 2018-01-04 | 2018-01-04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291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2494B1 (en) * | 2021-02-08 | 2021-07-02 |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9504A (en) | 2003-01-27 | 2003-03-06 | 서인원 | External power supp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JP2007308876A (en) * | 2006-05-16 | 2007-11-29 | Kanuka Design:Kk |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0957599B1 (en) * | 2010-01-20 | 2010-05-13 | (주)힐건설 | Basement-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o use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
KR100989945B1 (en) * | 2010-01-05 | 2010-10-26 | 이형훈 |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block-pile |
KR20130073030A (en) * | 2013-06-05 | 2013-07-02 | 박성언 | Soil retaining structure of two rows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oil retaining structure |
JP2014125797A (en) * | 2012-12-27 | 2014-07-07 | Kanukadesign Ltd | Composi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60010831A (en) | 2014-07-18 | 2016-01-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timulation apparatus using 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for pain management and muscle strengthening |
KR101715795B1 (en) * | 2016-03-17 | 2017-03-14 | 이기환 | Soil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18
- 2018-01-04 KR KR1020180001135A patent/KR10210291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9504A (en) | 2003-01-27 | 2003-03-06 | 서인원 | External power supp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JP2007308876A (en) * | 2006-05-16 | 2007-11-29 | Kanuka Design:Kk |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0989945B1 (en) * | 2010-01-05 | 2010-10-26 | 이형훈 |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block-pile |
KR100957599B1 (en) * | 2010-01-20 | 2010-05-13 | (주)힐건설 | Basement-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o use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
JP2014125797A (en) * | 2012-12-27 | 2014-07-07 | Kanukadesign Ltd | Composi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30073030A (en) * | 2013-06-05 | 2013-07-02 | 박성언 | Soil retaining structure of two rows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oil retaining structure |
KR20160010831A (en) | 2014-07-18 | 2016-01-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timulation apparatus using 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for pain management and muscle strengthening |
KR101715795B1 (en) * | 2016-03-17 | 2017-03-14 | 이기환 | Soil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실용신안 20-2004-0005984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2494B1 (en) * | 2021-02-08 | 2021-07-02 |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2919B1 (en) | 2020-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6515173A (en) |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 |
KR101211469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JP2017155574A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KR101902791B1 (en) |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steel pile and under ground structure therewith | |
KR10118270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d structure using PHC pile | |
KR102395328B1 (en) | Embank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panel | |
KR20190083466A (en)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2019701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 |
JP3107716B2 (en) | Soil retaining wall | |
KR100462236B1 (en) | panel for external underground wall of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30097084A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Anchoring | |
JP3185129B2 (en) | Column-integrated column base fixed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665338B1 (en) | Latticed assembly of retaing wall with soil nailing and anchor | |
KR101884663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soil retaining wall using cap slab | |
KR101305357B1 (en)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c beam unit connection structure for expensive space | |
JP2813605B2 (en) | Construction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
JP6279892B2 (en) | Form for wall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ll using the same | |
JPH0739666B2 (en) | Permeable temporary earth retaining material, permeable frame structure and concrete wall construction method | |
KR101954113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10208B1 (en) | Retaining wall-block having variable support and connecting wall-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JP3234820B2 (en)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for building residential land | |
JPH07138972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keleton | |
JP7314432B1 (en) | Foundation structure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structure | |
KR102391424B1 (en) | Landscape structure using eps bloc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200266585Y1 (en) | panel for external underground wall of building and external undergrou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