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494B1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2494B1 KR102272494B1 KR1020210017890A KR20210017890A KR102272494B1 KR 102272494 B1 KR102272494 B1 KR 102272494B1 KR 1020210017890 A KR1020210017890 A KR 1020210017890A KR 20210017890 A KR20210017890 A KR 20210017890A KR 102272494 B1 KR102272494 B1 KR 1022724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sacrificial
- support
- piles
- slo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면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 시설을 이용하여 절토를 최소화하고 흙막이 시설을 지지하여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후 구조적 강성도 우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a retaining force and tension, which minimizes cutting by using a retaining facility, supports the retaining facility, enables safe construction, and has excellent structural rigidity after constru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s about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옹벽과 지하구조물은 흙을 지지하는 벽체로서 제한된 용지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탈면 하부에 설치된다. 현행 설치되고 있는 옹벽으로는 깎기 비탈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옹벽 등이 있다. 콘크리트 옹벽은 자연 비탈면을 깎은 후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여 비탈면의 횡방향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의 옹벽이다.Retaining walls and underground structures are walls that support the soil, and are installed under the slope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limited land as much as possible. Retaining walls currently being installed include concrete retaining walls installed on cut slopes.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a retaining wall of a structure that resists the lateral earth pressure of a slope by installing an unreinforced 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fter cutting the natural slope.
이러한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물로서, 도로, 철도, 하천, 교대 등 용지의 제한에 따른 토지의 최적 이용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hese retaining walls are the most common structures that resist earth pressure, a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optimal use of land due to site restrictions such as roads, railways, rivers, and bridges.
이와 같은 옹벽은 사면의 절토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절토 작업이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볼 때 비합리적이고 안정성도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Retaining walls like this require cutting work on the slope, and this cutting work is unreasonable in terms of time and cost and has poor stability. In order to solve this shortcoming, a method using temporary retaining facilities has been proposed. there is a bar
등록특허 제10-1465149호는 성토사면 또는 절토사면의 전면에 시공되어 횡방향 토압을 지지하는 합벽식 옹벽에 있어서, H-파일, 토류판 및 영구앵커로 구성되고, 상기 영구앵커의 두부에 띠장이 형성되며, 성토사면 또는 절토사면의 전면에 시공되는 흙막이 구조물;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전면 하부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제작되고, 상기 기초 콘크리트 상에 적층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력블록; 상기 흙막이 구조물의 띠장과 상기 중력블록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후크형 연결부재; 및 상기 흙막이 구조물 및 상기 중력블록 사이의 공간에 타설되는 뒷채움 콘크리트를 포함하되, 상기 흙막이 구조물, 상기 중력블록 및 상기 뒷채움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합벽식 옹벽을 형성하며, 상기 앵커 두부에 설치되는 H형강인 띠장은 H-파일과 토류판 배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띠장 전면에 앵커 두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부재는, 흙막이 구조물의 앵커 두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된 띠장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정착 후크; 및 일단이 상기 중력블록 각각의 측면에 매립되고, 타단이 상기 흙막이 구조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착 후크와 체결되는 블록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정착 후크는 H 형강인 띠장의 플랜지 내측에 걸려져 정착(종방향 길이(d1))되도록 한 것이며, 뒷채움 콘크리트의 불필요한 공정을 수반하고, 영구앵커의 설치를 위한 천공 등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을 수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Registered Patent No. 10-1465149 discloses a combined wall retaining wall that is constructed on the entire surface of a fill slope or cut slope to support lateral earth pressure, and is composed of an H-pile, an earth plate and a permanent anchor, and a wale is placed on the head of the permanent anchor. a retaining structure that is formed and is construc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l slope or the cut slope; Foundation concrete to be poured on the lower front of the retaining structure; At least one gravity block manufactured by precast and installed in a laminated manner on the foundation concrete; a hook-typ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wa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and the gravity block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backfilling concrete pour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taining structure and the gravity block, wherein the retaining structure, the gravity block, and the backfilling concrete are integrated to form a junction-type retaining wall, and an H-shaped steel installed on the head of the anchor The wale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H-pillar and the earth plate, so that the anchor head is supported on the front of the wale, and the hook-typ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wale installed so that the anchor head of the retaining structure is supported. ; and a block hook having one end embedded in each side of the gravity block, the other e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taining structure, and fastened with the anchoring hook, wherein the anchoring hook is hung inside the flange of the H-shaped wale. It is designed to be fixed (longitudinal length (d1)), and it entails unnecessary processes of backfilling concrete,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complicated and difficult work such as drilling for installation of permanent anchor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토 작업을 최소화하고 흙막이 시설의 설치 작업을 단순화하면서도 합성 벽체를 견고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the bearing capacity and tension that can keep the composite wall strong and safe while minimizing the cutting work and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retaining facility. There is a purpose to do that.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사면의 지중에 삽입 설치되어 사면의 토사층에 의한 수동 토압을 받아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말뚝과; 콘크리트의 벽체부와 흙막이 시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말뚝의 앞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시공되는 합성 벽체와; 상기 지지말뚝과 합성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말뚝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합성 벽체를 지지하는 긴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 벽체는 상기 흙막이 시설이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지중에 삽입되는 다수의 희생말뚝, 상기 희생말뚝들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연결되는 띠장, 상기 희생말뚝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토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는 상기 희생말뚝과 합성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pile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round of the slo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supported by passive earth pressure by the soil layer of the slope; a composite wall made of a combination of a concrete wall part and a retaining facility and construc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support pile; A plurality of sacrificial piles fixed to the support pile and the composite wall to support the composite wall based on the support pile as a support base, wherein the composite wall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taining facilities. , a wale connected while being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sacrificial piles, and an earth plate installed between the sacrificial piles, wherein the wall portion is compositely constructed with the sacrificial piles.
상기 희생말뚝은 경사면에 지지말뚝과 높이가 다르게 설치될 경우 경사로 설치가 용이한 경사쐐기와 경사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crificial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clined wedge and an inclined tension material that is easy to install on a ramp when the sacrificial pile is install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support pile.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사면의 토사층에 다수의 지지말뚝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지지말뚝의 앞에 희생말뚝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지지말뚝과 상기 흙막이 시설 사이의 토사층에 공간을 확보하고 긴장재를 거치한 후 길이방향의 양쪽을 상기 지지말뚝과 흙막이 시설의 희생말뚝에 각각 연결하여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희생말뚝의 전면부를 터파기하고 띠장과 토류판을 설치하여 흙막이 시설을 시공하며, 상기 지지말뚝과 희생말뚝 사이의 토사층 위에 배수로 및 수동 토압부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설치한 흙막이 시설의 앞에 콘크리트의 벽체부를 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piles in the soil layer of the slope and installing the sacrificial piles in front of the supporting piles; a second step of securing a space in the soil layer between the support pile and the retaining facility, mounting a tension member, and then connecting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upport pile and the sacrificial pile of the retaining facility, respectively; a thir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part of the sacrificial pile and installing a wale and earth plate to construct a retaining facility, and constructing a drainage channel and a manual earth pressure part on the soil layer between the support pile and the sacrificial pi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ourth step of constructing a wall part of concrete in front of the retaining facility installed in the third step.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사면의 토사층에 지지말뚝을 선 설치하고 지지말뚝의 앞에 흙막이 시설을 설치하면서 흙막이 시설에 의해 보호를 받는 상태에서 흙을 제거하는 것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대형 장비없이 절토 작업이 가능하거나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도 사용 시간이 짧아 시공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하고 공기도 단축하는 효과가 있고, 지지말뚝을 통해 흙막이 시설을 지지하여 벽체부의 완성까지 흙막이 시설의 붕괴를 막고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soil is removed in a state protected by the retaining facility while installing the support piles on the soil layer of the slope and installing the retaining facilities in front of the support piles. Because the construction is done by doing this, cutting work is possible without large equipment, or the use time is short even with large equipment, which greatly reduces construction costs and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facility until completion and protecting the workers safely.
그리고, 긴장재를 통해 지지말뚝들을 일체로 합성하여 큰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므로 장기간동안 사면 보강 구조물에 의한 사면의 안정화가 가능하고 사면의 붕괴를 막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iles are integrally synthesized through the tension member to secure a large bearing capacity, the slope can be stabilized by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slope.
그리고, 지지말뚝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하여 종래 앵커홀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보다 사면을 안정화할 수 있다.And, by installing the support pile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slope rather than installing the conventional anchor hole inclined.
또한, 지지말뚝의 시공을 위한 부분만을 절토하고 이 절토 작업은 종래 절토 작업에 비해 적은 비용과 짧은 시간으로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par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is cut, and this cutting operation is possible at a low cost and a shorter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tting operation, the workability is very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의 시공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의 시공 상태 평면도로서, 긴장재를 보이기 위한 위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희생 말뚝과 띠장의 연결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희생 말뚝과 띠장의 연결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희생 말뚝과 띠장의 연결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희생 말뚝과 토류판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희생 말뚝과 띠장 및 토류판을 보이기 위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긴장재가 지지말뚝에 고정되는 부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슬롯을 보이기 위한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의 시공 공정도.1 is a side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force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force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of the position for showing the tension material.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sacrificial pile and wale applied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sacrificial pile and wale applied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sacrificial pile and the bandage applied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acrificial pile and earth plate applied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acrificial pile, wale and earth plate applied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in which the tension material applied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force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support pile.
Figure 9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lot applied to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force and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5 are construction process diagrams of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force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벽체부(11)와 흙막이 시설{강재의 희생말뚝(12)와 띠장(13)과 토류판(15)의 조합}이 합성된 합성 벽체(10), 합성 벽체(10)의 뒤쪽에 설치되는 지지말뚝(20), 지지말뚝(20)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합성 벽체(10)를 지지하는 긴장재(30)를 포함하고, 긴장재(30)는 평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면서 연쇄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지지말뚝(20)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사면 보강 구조물의 설명에서는 시공 후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성들의 유기적 결합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후에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합성 벽체(10)는 콘크리트의 벽체부(11)와 강재의 희생 말뚝(12)이 합성된 구조체이며, 콘크리트의 벽체부(11)는 콘크리트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면으로부터 전가되는 토압에 대한 버팀강성을 발휘하고, 희생 말뚝(12)은 예를 들어 H 빔의 기성품으로 벽체부(11)와 일체로 합성되면서 저부가 지중에 삽입 정착되어 지지력을 확보한다.The
콘크리트의 벽체부(11)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동일 내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단면이고 저부에 더 넓은 단면의 저판부(11a)(말굽부)를 포함하는 구조이고 바람직하게 현장 타설로 시공되지만 동일한 구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도 사용될 수 있다.The
희생 말뚝(12)은 합성 벽체(10)의 지지력 확보를 위한 것으로 흙막이부(12-1) 및 지중에 벽체부(11)보다 더 깊은 지중에 삽입 정착되는 정착부(12-2)로 구분할 수 있다.The
희생 말뚝(12)은 벽체부(11)가 현장 타설형인 경우 합성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스터드가 포함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구성의 희생 말뚝(12)은 사면 보강 구조물의 크기에 맞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다수개가 사용되고, 이 때,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웃하는 희생 말뚝(12)은 띠장(13)으로 연결된다.A plurality of
띠장(13)은 도면에 예를 들어 H빔으로 도시하였을 뿐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이웃하는 희생 말뚝(12)에 고정되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모든 자재가 가능하다. 또한, 띠장(13)의 고정 방법으로 예컨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희생 말뚝(12)에 띠장쐐기(14)를 고정(용접 등)하고 띠장쐐기(14)에 띠장(13)을 고정(볼팅 등)하는 방법이 가능하다.The
띠장(13)은 희생 말뚝(12)의 안에 삽입 즉 희생 말뚝(12)의 앞쪽으로 돌출되지 않아 벽체부(11)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침범하지 않으므로 돌출로 인한 벽체부(11)의 두께 증가를 막을 수 있다.The
띠장(13)은 사면 보강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1단 또는 2단 이상으로 설치되고 도면은 2단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The
띠장(13)도 희생 말뚝(12)과 동일한 목적으로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띠장(13)을 통해 다수의 희생 말뚝(12)이 연결됨으로써 이 때 희생 말뚝(12)은 저부가 지중에 정착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한 자립이 가능하다.By connecting a plurality of
띠장쐐기(14)는 희생 말뚝 고정부(14-1)과 띠장 고정부(14-2)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희생 말뚝 고정부(14-1)는 H 빔 형태의 희생 말뚝(12) 안에 삽입되어 마주하는 2개의 플랜지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수직형태이고 띠장 고정부(14-2)는 희생 말뚝 고정부(14-1)들을 연결하면서 띠장(13)의 웨브에 겹쳐져 고정되는 형태이다.The
벽체부(11)의 현장 타설을 위하여 희생 말뚝(12)들의 사이에는 토류판(거푸집)(15)(도 1, 도 6, 도 7에 도시됨)을 설치할 수 있다. 토류판(15)은 뒤쪽에서 흙이 넘어오는 것을 막고 거푸집의 기능도 하도록 양쪽이 희생 말뚝(12)에 삽입되면서 고정구(15a)를 통해 고정된다.An earth plate (form) 15 (shown in FIGS. 1, 6 and 7)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지지말뚝(20)은 시공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희생 말뚝(12)의 뒤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가 일정 간격{바람직하게 희생 말뚝(12)들의 간격과 동일}으로 설치되고, 긴장재(30)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희생 말뚝(12)들 사이의 중앙을 설치 위치로 하며, 즉, 희생 말뚝(12)과 지지말뚝(2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다.A plurality of
지지말뚝(20)은 예를 들어 저부가 절토부의 지중에 삽입 정착된다.
긴장재(30)는 지지말뚝(20)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합성 벽체(10)를 지지하며, 평철, 앵글, 케이블, 빔 등의 다양한 자재의 사용이 가능하면서 전후 양쪽이 각각 희생 말뚝(12)과 지지말뚝(20)에 고정된다.The
긴장재(3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희생 말뚝(12)과 지지말뚝(20)의 연결을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경사 쐐기(31,32)가 사용된다.The
경사 쐐기(31,32)는 희생 말뚝(12)쪽과 지지말뚝(20)쪽에 설치되지만 구성은 동일한 하나의 제품이며, 각각 일정 각도의 경사면(31a,32a)을 포함하여야 한다.Inclined
경사 쐐기(31,32)는 내부에 공간이 있으면서 일면에 경사면(31,32a)이 형성되는 박스(상하 개방 가능) 형태로서, 경사면(31a,32a)은 희생 말뚝(12)과 지지말뚝(20)의 바깥으로 돌출되어야 하며, 희생 말뚝(12)과 지지말뚝(20)에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경사면(31a,32a)에 긴장재(30)가 볼트와 너트 등으로 고정된다.
도 1과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사면을 절토할 경우 배면에 물이 흡수 되어 토압이 증가하고 더욱 위험해 질 수 있어 서둘러 배수로를 설치하고 상면 마감이 필요하며, 지지말뚝(20) 전면에 배수로를 설치 할 경우 수동토압을 받아 전도방지에 효과적이다.As shown in Figures 1 and 8, when the slope is cut, water is absorbed on the back surface, increasing the earth pressure and making it more dangerous. When installed, it is effective to prevent overturning by receiving manual earth pressure.
또한, 배수로 설치와 경사면에 지지말뚝(20)을 설치할 경우 희생말뚝과 높이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긴장재(30)는 지지말뚝(20)으로 가면서 상향(또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의 경사 쐐기(31,32) 중 하나 이상은 긴장재(30)가 체결되는 경사 쐐기(31,32)의 체결공은 긴장재의 단부쪽은 원형으로 제작되고 내측 체결공은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체결장공(슬롯)으로 하며, 도 9는 지지말뚝(20)에 설치되는 경사 쐐기(32)에 체결장공(32b)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긴장재(30)는 체결장공을 통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drainage channel and installing the
합성 벽체(10)와 지지말뚝(20) 사이의 토사층(40) 위에는 배수로(41)가 시공되고 배수로(41)의 높이에서부터 합성 벽체(10)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는 전방 복구부(42) 및 배수로(41)의 뒤에서 절토사면까지 상향 경사지게 시공되는 후방 복구부(43)를 포함할 수 있다.A
배수로(41)는 지지말뚝(20)의 두부를 지지기반으로 하며 지지말뚝(20)과 추가적인 고정(볼트와 너트, 앵커, 용접 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전방 복구부(42)와 후방 복구부(43)는 동일한 복구재료이며 토사 등이 사용된다.The
배수로(41)의 앞에는 콘크리트에 의한 수동 토압부(44)가 시공될 수 있다. 수동 토압부(44)는 배수로(41)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는 것으로 하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A manual
도 10은 합성 벽체(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벽체부(11)의 저판부(11 a)에서 강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저판 합성부(12a)가 포함된다. 10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저판 합성부(12a)는 희생 말뚝(12)과 동일한 자재(강재)로 저판부(11a)의 위치에 맞춰 캔틸레버 형태로 고정되어 벽체부(11)의 저판부(11a) 안에 매설됨으로써 벽체부(11)의 저판부(11a)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균열과 파단을 막아준다.The bottom plate
또한, 희생 말뚝(12)과 저판 합성부(12a)가 연결되는 우각부에 보강재(12b)가 포함될 수 있다. 보강재(12b)는 거셋판형, 채널형, 스트럿형 등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본 발명에 의한 지지력과 긴장력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크게 지지말뚝 설치 - 흙막이 시설 설치 - 긴장재 설치 - 벽체부 시공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한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bearing capacity and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following steps: support pile installation - retaining facility installation - tension material installation - wall part construction.
1. 절토 사면 정리(도 12 참고).1. Cut slope clearance (see Figure 12).
지지말뚝(20)의 설치를 위하여 사면의 일부를 절토하고 절토 사면을 정리하며, 이 때, 평평한 바닥의 작업레벨(1)은 대략 합성벽체(10)의 상단 높이이다. 즉, 합성벽체(10)의 높이에 맞춰 절토 사면을 정리한다.A part of the slope is cu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2. 지지말뚝과 희생말뚝 설치(도 13 참고).2. Installation of supporting piles and sacrificial piles (refer to FIG. 13).
작업레벨(1)에서부터 사면 안쪽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지지말뚝(20)을 설치한다. 예를 들어 지지말뚝(20)을 항타로 설치하거나 사면에 말뚝공을 형성하여 지지말뚝(20)을 삽입 설치한 후 채움재의 채움으로 설치한다.Install the support piles (20) approximately vertically from the working level (1) toward the inside of the slope. For example, the support piles 20 are installed by driving, or pile holes are formed on the slopes to insert and install the support piles 20, and then install them by filling the filler material.
설치 방법에 상관없이 지지말뚝(20)의 두부는 작업레벨(1)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배수로(41)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이다.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method, the head of the
그리고, 지지말뚝(20)의 앞쪽에 희생말뚝(12)을 설치한다. 희생말뚝(12)의 설치 방법도 지지말뚝(20)의 설치방법과 동일하며, 단 희생말뚝(12)은 두부가 작업레벨(1)보다 더 높게 돌출되지 않고 동일할 수 있다.Then, the
희생말뚝(12)은 정착부(12-2)가 후속 공정에서 시공될 벽체부(11)의 저판부(11a) 보다 더 깊은 심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벨이다.The
3. 긴장재 설치(도 14 참고).3. Install the tension member (see Fig. 14).
희생말뚝(12)과 지지말뚝(20)에 경사 쐐기(31,32)를 각각 설치하고 긴장재(30)를 희생말뚝(12)의 뒤쪽 공간에 경사지게 배치하면서 전후 양측(도면 기준 좌우)을 경사 쐐기(31,32)에 각각 고정한다. 긴장재(30)를 설치한 후 흙을 되메우기 하여 긴장재(30)를 매설한다. 즉, 작업레벨(1)로 다시 복구를 한다.
4. 흙막이 시설 완료(도 15 참고).4. Completion of retaining facilities (see Fig. 15).
희생말뚝(12)의 앞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터파기와 흙막이 시설의 시공을 완료하며, 희생말뚝(12)들을 띠장(13)으로 연결하고 희생말뚝(12)들 사이에 토류판(15)을 설치하는 작업과 터파기의 단계적 병행을 통해 흙막이 시설의 시공을 완료한다.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front of the
이어서, 토사층(40) 위에 배수로(41)를 시공한다.Next, a
배수로(41)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이용한 방식과 현장 타설을 이용한 방식 모두가 가능하고 각각의 방식에 맞춰 시공한다. 이 때, 배수로(41)를 지지말뚝(20)의 두부와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방법은 상기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The
배수로(41)의 전면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동 토압부(44)를 시공하고 배면부를 복토한다.A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front part of the
6. 벽체부 시공(도 1 참고)6. Wall construction (refer to Fig. 1)
희생말뚝(12)을 포함하는 흙막이 시설 앞에 벽체부(11)를 시공하며, 현장 타설의 경우 희생말뚝(12)과 토류판(15)의 앞에 타설 공간을 두고 거푸집을 설치 및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부(11)를 시공한다. The
벽체부(11)의 시공을 완료한 후 바닥부에 흙을 메우고 정리하여 마감한다.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10 : 합성 벽체, 11 : 벽체부
12 : 희생 말뚝, 12-1 : 흙막이부
12-2 : 정착부,
13 : 띠장
14 : 띠장쐐기, 15 : 토류판
20 : 지지말뚝, 30 : 긴장재
31,32 : 경사 쐐기, 40 : 토사층
41 : 배수로, 42 : 전방 복구부
43 : 후방 복구부, 44 : 수동 토압부10: composite wall, 11: wall part
12: sacrifice stake, 12-1: retaining part
12-2: fixing unit,
13 : belt
14: belt wedge, 15: earth plate
20: support pile, 30: tension material
31,32: inclined wedge, 40: soil layer
41: drainage, 42: front recovery part
43: rear recovery part, 44: manual earth pressure part
Claims (7)
콘크리트의 벽체부와 흙막이 시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말뚝의 앞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시공되는 합성 벽체와;
상기 지지말뚝과 합성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말뚝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합성 벽체를 지지하는 긴장재와;
상기 지지말뚝과 상기 합성 벽체 사이의 토사층 표면에 시공되는 배수로 및 상기 배수로의 전면부에 시공되는 수동 토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 벽체는 상기 흙막이 시설이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지중에 삽입되는 다수의 희생말뚝, 상기 희생말뚝들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연결되는 띠장, 상기 희생말뚝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토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는 상기 희생말뚝과 합성 시공되며,
상기 지지말뚝은 상기 희생말뚝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긴장재는 상기 합성 벽체와 지지말뚝의 지그재그 형태에 맞춰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말뚝과 합성 벽체를 연쇄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토사층 표면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말뚝의 두부와 상기 수동 토압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합성 벽체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는 전방 복구부 및 뒤쪽의 절토사면까지 상향 경사지게 시공되는 후방 복구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적 흙막이 시설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a plurality of support piles inserted into the ground of the slop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supported by passive earth pressure by the soil layer of the slope;
a composite wall made of a combination of a concrete wall part and a retaining facility and construc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support pile;
a tension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ile and the composite wall to support the composite wall based on the support pile;
A drainage channel constructed on the surface of the soil layer between the support pile and the composite wall and a passive earth pressure part constructed on the front part of the drain passage,
The composite wall includes a plurality of sacrificial piles in which the retaining facilities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 wale connec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sacrificial piles, and a earth plate installed between the sacrificial piles and , The wall part is synthetically constructed with the sacrificial pile,
The support pile is installed in a zigzag form with the sacrificial pile, and the tension member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zigzag shape of the composite wall and the support pile to connect the support pile and the composite wall in a chain,
The drainage path is supported by the head of the support pile protruding above the surface of the soil layer and the passive earth pressure part, and a front recovery part that slopes downward as it goes to the composite wall and a rear recovery part that is constructed to be inclined upward to the cut slope at the back. A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a permanent retain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사면의 토사층에 다수의 지지말뚝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지지말뚝의 앞에 희생말뚝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지지말뚝과 상기 희생말뚝 사이의 토사층에 공간을 확보하고 긴장재를 거치한 후 길이방향의 양쪽을 상기 지지말뚝과 흙막이 시설의 희생말뚝에 각각 연결하여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희생말뚝의 전면부를 터파기하고 띠장과 토류판을 설치하여 흙막이 시설을 시공하며, 상기 지지말뚝과 희생말뚝 사이의 토사층 위에 배수로와 수동 토압부를 시공하고 전방 복구부와 후방 복구부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설치한 흙막이 시설의 앞에 콘크리트의 벽체부를 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적 흙막이 시설을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As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permanent retaining facility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tep of inserting a plurality of support piles in the soil layer of the slope and installing the sacrificial piles in front of the support piles;
a second step of securing a space in the soil layer between the support pile and the sacrificial pile and installing a tension member by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upport pile and the sacrificial pile of the retaining facility, respectively;
The third step of excavating the front part of the sacrificial pile and installing a wale and earth plate to construct a retaining facility, constructing a drainage channel and a manual earth pressure part on the soil layer between the support pile and the sacrificial pile, and constructing a front restoration part and a rear restoration part Wow;
A construction method of a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a permanent retaining facility, comprising a fourth step of constructing a wall part of concrete in front of the retaining facility installed in the third step.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ourth step is to form a pouring space using the earth plate as a formwork by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in front of the retaining facility and installing a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into the pouring space to construct a wall part. Construction method of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permanent retain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890A KR102272494B1 (en) | 2021-02-08 | 2021-02-08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890A KR102272494B1 (en) | 2021-02-08 | 2021-02-08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2494B1 true KR102272494B1 (en) | 2021-07-02 |
Family
ID=7689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890A Active KR102272494B1 (en) | 2021-02-08 | 2021-02-08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2494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8134A (en) * | 2010-11-05 | 2012-05-15 | 한국도로공사 | Retaining wall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30062055A (en) * | 2011-12-02 | 2013-06-12 | 이득근 | Device for enhanced soil slope and how to install the device |
KR101465149B1 (en) | 2012-12-17 | 2014-11-2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nchored retaining wall of gravity block typ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KR101949728B1 (en) * | 2018-07-10 | 2019-02-19 | 강숙인 | Retaining Wall having Truss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20190083466A (en) * | 2018-01-04 | 2019-07-12 | 롯데건설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21
- 2021-02-08 KR KR1020210017890A patent/KR1022724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8134A (en) * | 2010-11-05 | 2012-05-15 | 한국도로공사 | Retaining wall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30062055A (en) * | 2011-12-02 | 2013-06-12 | 이득근 | Device for enhanced soil slope and how to install the device |
KR101465149B1 (en) | 2012-12-17 | 2014-11-2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nchored retaining wall of gravity block typ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KR20190083466A (en) * | 2018-01-04 | 2019-07-12 | 롯데건설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949728B1 (en) * | 2018-07-10 | 2019-02-19 | 강숙인 | Retaining Wall having Truss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2743B1 (en) | Phc pile and its using the same soil cement wall construction methode | |
KR101274974B1 (en) |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6616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hair-type freestanding wall | |
WO2020021294A1 (en) | Retaining engineering structure and design method for stabilizing deep excavations or earth slope instability near existing civil objects | |
EA037484B1 (en) |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 |
KR20200124949A (en) | Anchor Tension way sheathing structure and sheathing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0831332B1 (en) | Underground wal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US5356242A (en)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y connecting wall facing panels to the soldier beams of a tie-back or anchored wall | |
KR101206860B1 (en) | Excavation tunnel constructing method using vertical side wall and arch ceiling | |
KR100562158B1 (en) | Steel pipe loop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its loop structure, and structure of steel pipe | |
JP2020070705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lightweight fill retaining wall structure | |
US9951493B2 (en) | Precast integral post and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 |
KR102272494B1 (en)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support and ten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490872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 |
JP2001329545A (en) | Bridge pier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 slab for bridge pier | |
JP2000144769A (en) | Method of landslide protection work for preparing housing lot | |
KR10215053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617795B1 (en) |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 |
JP2004346729A (en) | Widened road | |
KR100770159B1 (en) | Steel pipe roof structure | |
KR100813910B1 (en) | Steel pipe roof structure | |
US5558470A (en)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y anchoring traffic barriers and wall facing panels to the soldier beams of a wall | |
KR100488501B1 (en) | Straight retaining wall having a shelf using H-shaped pil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493516B1 (en) | Micro pile and assembly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member and its method for pier | |
KR100744972B1 (en) | Prefabricated Earth Block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